KR20100115252A -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252A
KR20100115252A KR1020090033894A KR20090033894A KR20100115252A KR 20100115252 A KR20100115252 A KR 20100115252A KR 1020090033894 A KR1020090033894 A KR 1020090033894A KR 20090033894 A KR20090033894 A KR 20090033894A KR 20100115252 A KR20100115252 A KR 2010011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ver
frame
drainage cover
drai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795B1 (ko
Inventor
지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강
Priority to KR102009003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79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3Gully gratings with slidable or rotatable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의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단순하고 깔끔한 미관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도난을 방지함은 물론, 연결부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바퀴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는 프레임의 일면 상단부에 핀공을 가진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고리와 대응되는 배수로 덮개의 일면에 연결핀을 횡설하여, 상기 연결핀을 연결고리의 핀공 측부에서 삽입하여 연결하되, 상기 연결고리가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고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씌우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연결고리보다 낮은 위치의 배수로 덮개의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상향 절곡된 연결대의 말단에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서로 근접 또는 밀착되는 연장부에 의해 유모차나 자전거 바퀴 등이 빠질 염려가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연장부에 의해 연결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탈착 방법을 예측할 수 없어 쉽게 도난되지 않고 마감이 매우 깔끔하여 미려한 효과가 있다.
배수로, 덮개, 트랜치, 커버, 회동, 조립, 연결

Description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Drain cover}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단순하고 깔끔한 미관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도난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연결부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유모차 바퀴나 자전거 바퀴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수로 덮개는 단순히 배수로의 상단에 연속적으로 밀착하여 안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배수로 덮개는 대부분이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로 이용되는데, 금속재로 제조된 배수로 덮개는 재활용시 이용가치가 크므로 종종 도난되어 분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도난 방지용 배수로 덮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초기에 사용된 구조는 몸체 간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즉, 몸체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볼트공을 형성하고 이 볼트공에 볼트를 삽입한 후 그 타측에서 너트를 조이는 방법으로 서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모든 배수로 덮개가 서로 연결됐기 때문에 단일개체로 탈착되어 분실되기가 어렵고 탈착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너트를 풀어야 하므로 그 탈착 시간이 지연되어 주 위 사람들로부터 도난 작업이 쉽게 발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구조는 각각의 몸체 양단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에 따라 별도의 체결부품 및 연장이 필요하고 연결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조이고 풀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로에 하나하나 설치하면서 연결할 경우 구조상 연장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므로 연장을 집어넣어 조이고 푸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면 위에서 몸체를 뒤집어 전부 연결한 후 배수로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배수로 덮개가 중량체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을 필요로 함은 물론 자칫 잘못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차후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 배수로 덮개가 개발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 덮개의 몸체(1) 일측면에 측 방향의 핀공(2)을 갖는 연결고리(3)를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핀공(2)에 끼워지는 연결핀(5)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에 의해 별도의 체결구 없이 연결됨에 따라 신속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가 저렴하면서도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연결상태가 흔들림 없이 안정되어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연결 구조를 갖는 배수로 덮개는 연결구조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조잡한 디자인적 결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결구조는 연결고리(3)에 연결핀(5)이 결합되는 구조이어서 조립상태가 매우 견고한 장점은 있으나, 연결된 상태가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절도의 목적을 가진 자들이 그 해체 방법을 쉽게 예측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성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 구조상 몸체(1)와 몸체(1) 사이에 조립을 위한 틈새(S)가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이 틈새(S)는 최소한 연결고리(3) 및 연결핀(5)의 돌출 두께에 해당되는 비교적 큰 너비를 갖게 되므로, 유모차나 자전거 등의 바퀴가 빠질 경우 안전사고를 유발케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 간의 틈새를 최소화되도록 연결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그 연결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깔끔하고 심플한 미감의 디자인을 갖도록 한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연결구조를 확인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외부인이 쉽게 해체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연결부의 틈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 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난 방지용 배수로 덮개는,
배수로 덮개를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면 상단부에 핀공을 가진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고리와 대응되는 배수로 덮개의 일면에 연결핀을 횡설하여, 상기 연결핀을 연결고리의 핀공 측부에서 삽입하여 연결하되, 상기 연결고리가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고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씌우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핀은 연결고리보다 낮은 위치의 배수로 덮개의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상향 절곡된 연결대의 말단에 설치하며, 상기 연결대의 절곡부에서 연결핀까지의 길이는 배수로 덮개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프레임의 연장부에 간섭받지 않을 정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 덮개는 연결핀이 형성된 타측면에 프레임과 동일한 연결고리, 핀공, 연장부를 형성하여 복수의 배수로 덮개가 연속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가 형성된 프레임 일면과 대향된 프레임 면에 잠금턱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턱이 설치된 프레임 면과 대응되는 배수로 덮개의 일면에 잠금턱으로부터 쇄정 및 해정되는 잠금장치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배수로 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조작실과; 상기 조작실 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며 일단에 걸림턱을 갖는 잠금쇠와; 상기 잠금쇠의 걸림턱이 배수로 덮개의 가장자리로부터 출몰되도록 하는 비틀 림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실 상면에는 연장을 삽입하여 잠금쇠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개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가 형성된 배수로 덮개의 상부에도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 말단 하부에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난 방지용 배수로 덮개는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단순하면서도 깔끔한 디자인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부에 의해 연결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분리 방법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배수로 덮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 간의 틈새가 최소화되어 있으므로 유모차나 자전거 바퀴 등이 빠질 염려가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는 배수 로 덮개(20)가 안착되는 프레임(10) 일면에 핀공(11)을 형성하고, 이 핀공(11)과 대응되는 배수로 덮개(20)에 연결핀(21)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핀(21)이 핀공(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10)은 사각의 틀 형상을 갖으며 하부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부를 형성하여 배수로 덮개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일측면 상단에 핀공(11)이 측방향으로 형성된 연결고리(12)가 일체로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연결고리(1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장부(13)가 내측으로 수평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 덮개(20)는 일측면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었다가 상향 절곡된 연결대(22)가 형성되고, 이 연결대(22)의 끝단에는 핀공(11)으로 삽입되는 연결핀(21)이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대(22) 부위의 배수로 덮개(20)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연장부(13)에 근접하는 연장부(2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대(22)를 절곡시킨 것은 배수로 덮개(20)가 핀공(11)으로부터 수직으로 위치되었을 때 돌출된 연장부(13)에 간섭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수로 덮개(20)를 수직으로 위치되었을 때 핀공(11)에서부터 연장부(13)의 길이보다 핀공(11)으로부터 연결대(22)의 절곡부까지의 길이가 같거나 길어야 한다. 즉, 프레임(10)의 핀공(11)에 핀 결합된 배수로 덮개(20)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연결대(22)의 절곡부에서 연결핀(21)까지의 길이는 프레임(10)의 연장부(13)에 간섭받지 않을 정도의 길이면 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대(22)는 단순히 배수로 덮개(20)에 용접 결합될 수도 있으 나, 배수로 덮개(20)의 측벽을 관통하여 용접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좀더 견고한 연결대(22) 구조를 이루기 위해 연결대(22)와 배수로 덮개(20)의 측벽 사이에는 파손 방지를 위한 보강 살(23)이 형성된다.
상기 핀공(11) 및 연결핀(21)은 여러 개 형성할 수 있지만, 안정적인 결합과 제조비를 감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 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은 연결고리(12)가 형성된 반대측 상부에 잠금턱(14)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로 덮개(20)는 잠금턱(14)과 대응되는 면에 잠금턱(14)으로부터 쇄정 및 해정되는 잠금장치(30)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장치(30)는 배수로 덮개(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갖는 조작실(31)과, 조작실(31) 내에 설치되어 회동됨에 따라 걸림턱(33)이 돌출되는 잠금쇠(32)와, 잠금쇠(32)를 회동시키는 비틀림 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쇠(32)는 조작실(31) 내에 힌지(H) 결합되어 회동되는 구조로서 회동 여부에 따라 그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33)이 배수로 덮개(20) 가장자리로부터 출몰되는데, 이 걸림턱(33)은 말단 하부에 경사면(35)이 형성되어 프레임(10)의 잠금턱(14)에 접하게 되면 잠금쇠(32)가 회동되어 후퇴하면서 조작실(31) 내로 걸림턱(33)이 삽입된다. 또한, 잠금쇠(32)의 일측에는 회전각을 한정하는 회동방지턱(36)이 조작실(31)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걸림턱(33) 부위만 배수로 덮개(20)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34)은 그 일단이 잠금쇠(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조작실(31) 내측면에 고정되어 항시 잠금쇠(32)의 걸림턱(33)이 배수로 덮개(20)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배수로 덮개(20)는 조작실(31) 상면에 조작실(31)로 관통되는 개방홈(26)이 형성되어 잠금쇠(32)의 쇄정을 위한 연장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배수로 덮개(20)를 프레임(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21)을 프레임(10)의 핀공(11)에 삽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연결핀(21)이 핀공(11)으로 삽입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때문에 손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배수로 덮개(20)를 수평으로 점차 회동시키면 잠금쇠(32)의 걸림턱(33)이 프레임(10)의 잠금턱(14) 상면에 접하되고 더욱 하향하게 되면 경사면 걸림턱(33)의 경사면(35)에 의해 걸림턱(33)이 후퇴하여 조작실(31) 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배수로 덮개(20)는 프레임(10)에 완전 안착되는데, 이와 동시에 잠금쇠(32)는 비틀림 스프링(34)에 의해 원상태로 회동되면서 걸림턱(33)이 잠금턱(14) 하단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쇄정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배수로 덮개(20)는 어떠한 충격에도 개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배수로 덮개(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다란 연장을 이용해야만 개방할 수 있다. 즉, 연장을 배수로 덮개(20)의 개방홈(2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지렛대 원리로 들어올리게 되면 연장이 잠금쇠(32)의 일단을 밀게 되고 잠금 쇠(32)의 걸림턱(33)은 조작실(31) 내로 삽입되므로 잠금턱(14)으로부터 잠금쇠(32)가 쇄정되어 쉽게 개방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는 상기 배수로 덮개(20)가 프레임(10)에 복수개 설치된 것으로, 이들 배수로 덮개(20)의 양측에 핀공(11)과 연결핀(21)을 형성하여 연속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말단에 위치한 배수로 덮개를 제외한 모든 배수로 덮개(20)는 그 일측에 상기 연결대(22) 및 연결핀(21)을 형성하고 그 타측에 연결고리(12') 및 핀공(11')을 형성하며, 상면 양측에 연장부(13')(24)가 각각 형성된다. 물론 제일 마지막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20)는 일측에 연결대(22) 및 연결핀(21)을, 타측에 상기 잠금장치(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 1 실시 예와 같은 방법으로 배수로 덮개(20)를 연속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긴 배수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는 일측의 연장부(24)에 경사면(25)을 형성하여 연장부(13')와 연장부(24) 사이에 형성된 틈새(S)를 더욱 최소화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양 연장부(13')(24) 중 연결대(22)의 상부에 위치된 연장부(24) 말단 하부에 경사면(25)이 형성되고, 양 연장부(13')(24)의 돌출 길이는 배수로 덮개(20) 연결 완료시 거의 밀착될 수 있는 길이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로 덮개(20)는 연장부(24)에 형성된 경사면(25)에 의해 연장부(13')(24)가 서로 밀착됨에도 불구하고 부딪히지 않고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거의 틈새(S)가 없어 깔끔한 설치가 가능하고 그 연결구조가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더욱 도난될 우려가 적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는 핀공(11) 내부에 잠금핀(41)을 설치하여 배수로 덮개(20)가 개방되었을 시에도 핀공(11)으로부터 연결핀(2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잠금핀(41)은 연결핀(21)과 핀공(11) 사이의 틈새로 삽입될 수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으며 그 일단은 연결대(22)를 감싸 고정될 수 있는 일측이 트인 고리 형상의 고리부(41)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은 연결고리(12)의 단부에 걸림되는 걸림부(42)가 역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고리부(41)는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음에 따라 트인 부분을 강제로 벌려 연결대(22)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잠금핀(40)은 연결대(22)에 고리부(41)를 미리 감싸고 연결핀(21)에 나란히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고리(12)의 핀공(11)으로 연결핀(21)과 함께 삽입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걸림부(42)가 역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이므로 삽입시 걸림부(42)가 좁혀져 삽입되고 핀공(11)을 관통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면서 연결고리(12)의 단부에 걸림된다.
잠금핀을 결합하는 다른 방법은 잠금핀(40)을 미리 연결고리(12)의 핀공(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핀(21)을 삽입한 후 연결대(22)에 고리부(41)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걸림부(42)의 절곡된 각이 과도할 필요 없이 90°이내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배수로 덮개는 배수로 덮개(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연결핀(21)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배수로 덮개(20)를 당기더라도 연결대(22)에 일체로 고정된 잠금핀(40)의 걸림부(42)가 연결고리(12)의 단부에 걸림 됨으로써 핀공(11)으로부터 연결핀(21)이 빠지지 않게 되므로 의도적으로 배수로 덮개(20)를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1b는 종래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작동 상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프레임에 설치된 상 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1 - 핀공
12 - 연결고리 13, 13', 24 - 연장부
14 - 잠금턱 20 - 배수로 덮개
21 - 연결핀 22 - 연결대
23 - 보강살 25, 35 - 경사면
30 - 잠금장치 31 - 조작실
32 - 잠금쇠 33 - 걸림턱
34 - 비틀림 스프링 36 - 회전방지턱
40 - 잠금핀 41 - 고리부
42 - 걸림부 H - 힌지
S - 틈새

Claims (7)

  1. 배수로 덮개(20)를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프레임(10)의 일면 상단부에 핀공(11)을 가진 연결고리(12)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연결고리(12)와 대응되는 배수로 덮개(20)의 일면에 연결핀(21)을 횡설하여,
    상기 연결핀(21)을 연결고리(12)의 핀공(11) 측부에서 삽입하여 연결하되,
    상기 연결고리(12)가 형성된 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고리(12)가 노출되지 않도록 씌우는 연장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핀(21)은 상기 연결고리(12) 보다 낮은 위치의 배수로 덮개(20)의 일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고 그 단부가 상향 절곡된 연결대(22)의 말단에 설치하며,
    상기 연결대(22)의 절곡부에서 연결핀(21)까지의 길이는 배수로 덮개(20)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프레임(10)의 연장부(13)에 간섭받지 않을 정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덮개(20)는 연결핀(21)이 형성된 타측면에 프레임(10)과 동일한 연결고리(12'), 핀공(11'), 연장부(13')를 형성하여 복수의 배수로 덮개(20)가 연속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2)가 형성된 프레임(10) 일면과 대향된 프레임(10) 면에 잠금턱(14)을 형성하고, 상기 잠금턱(14)이 설치된 프레임(10) 면과 대응되는 배수로 덮개(20)의 일면에 잠금턱(14)으로부터 쇄정 및 해정되는 잠금장치(3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30)는,
    상기 배수로 덮개(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조작실(31)과;
    상기 조작실(31) 내에 힌지(H) 결합되어 회동되게 설치되며 일단에 걸림턱(33)을 갖는 잠금쇠(32)와;
    상기 잠금쇠(32)의 걸림턱(33)이 배수로 덮개(20)의 가장자리로부터 출몰되도록 하는 비틀림 스프링(3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실(31) 상면에는 연장을 삽입하여 잠금쇠(32)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개방홈(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2)가 형성된 배수로 덮개(20)의 상부에도 연장부(24)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4) 말단 하부에 경사면(1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21)에는 배수로 덮개(20) 개방시 핀공(11)으 로부터 연결핀(21)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핀(40)을 설치하되,
    상기 잠금핀(40)은 연결핀(21)과 핀공(11) 사이의 틈새로 삽입될 수 있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으며 그 일단은 연결대(22)를 감싸 결합되는 고리부(41)를 형성하고, 다른 일단은 연결고리(12)의 단부에 걸리도록 절곡된 걸림부(42)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KR1020090033894A 2009-04-17 2009-04-17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KR10104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94A KR101049795B1 (ko) 2009-04-17 2009-04-17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894A KR101049795B1 (ko) 2009-04-17 2009-04-17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252A true KR20100115252A (ko) 2010-10-27
KR101049795B1 KR101049795B1 (ko) 2011-07-19

Family

ID=4313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894A KR101049795B1 (ko) 2009-04-17 2009-04-17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3100A (zh) * 2022-11-25 2023-03-28 扬中恒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轻型高强度不锈钢钢格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29B1 (ko) * 2018-10-17 2020-03-30 이방열 배수구(排水口)의 맨홀덮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314B1 (ko) * 2005-05-10 2007-03-09 주식회사 에이스그레이팅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
KR100880208B1 (ko) 2007-06-29 2009-01-28 김영달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3100A (zh) * 2022-11-25 2023-03-28 扬中恒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轻型高强度不锈钢钢格栅
CN115853100B (zh) * 2022-11-25 2023-10-13 扬中恒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轻型高强度不锈钢钢格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795B1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573B2 (en) Vehicle accessory mounting system
RU24427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велосипеда с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KR101049795B1 (ko)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
KR100592091B1 (ko) 탄성편을 이용한 맨홀덮개 잠금장치
KR200401660Y1 (ko) 맨홀의 철개
EP0407680B1 (fr) Procédé de liaison d'un plancher préfabriqué avec une traverse horizontale, et plancher préfabriqué pour ce procédé
JP3142803U (ja) 溝蓋の盗難防止装置
FR2953542A1 (fr) Dispositif de fixation temporaire d’un filet de securite sur un montant de garde-corps
JP2019218835A (ja) 閉蓋固定構造
KR200436686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0988726B1 (ko) 도난방지용 맨홀뚜껑
EP0943495A1 (fr) Dispositif d'attache et de fixation de plateforme support d'articles sur des boules d'attelage
JP2001049730A (ja) グレーチング
EP0504044A1 (fr) Armoire à porte verrouillable et retournable, et système comportant une telle armoire
KR19990081812A (ko) 맨홀
JPH0238158A (ja) 車両用ルーフキャリア
KR101066279B1 (ko) 맨홀뚜껑 고정장치
KR200216339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H0739931Y2 (ja) 埋込収納式車止め装置
FR2728609A1 (fr) Cliquet de verrouillage pour cloture et ses outils de pose et de depose
KR100522439B1 (ko) 맨홀
KR100835937B1 (ko) 맨홀뚜껑 결합장치
KR10101617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KR200414911Y1 (ko) 장탈착이 용이한 파이프 행거
JP3766328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