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141A -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141A
KR20100115141A KR1020090033730A KR20090033730A KR20100115141A KR 20100115141 A KR20100115141 A KR 20100115141A KR 1020090033730 A KR1020090033730 A KR 1020090033730A KR 20090033730 A KR20090033730 A KR 20090033730A KR 20100115141 A KR20100115141 A KR 20100115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ing
hole
bucket tooth
bucke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중-칭 고
Original Assignee
중-칭 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칭 고 filed Critical 중-칭 고
Priority to KR102009003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141A/ko
Publication of KR20100115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91Tool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16B1/02Means for securing elements of mechanisms aft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댑터(1)는 버킷 티스(5)와 함께 장착된다. 제1 관통공(121)은 어댑터(1)를 수평으로 관통한다. 버킷 티스(5)의 양측면에는 제2 관통공(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계합 유닛(7)은 제1 관통공(121)과 제2 관통공(52)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에서 활주한다. 버킷 티스(5)는 어댑터(1) 상에 설치되어 그 어댑터의 일정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킷 티스(5)가 반복적으로 어댑터(1)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Figure P1020090033730
어댑터, 버킷, 스토핑 포스트, 제1 및 제2 관통공, 스토핑 벽

Description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REPLACEMENT AND URGING DEVICE FOR THE BUCKET TEETH OF AN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버킷 티스가 어댑터와 반복적으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버킷 티스를 버킷의 어댑터 상에 고정시킨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는 종래의 굴착기의 버킷 티스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버킷에는 여러 개의 버킷 티스(9)들이 균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버킷 티스(9) 각각은 어댑터(90)와 버킷 티스(91)를 포함한다. 어댑터(90)는 수평의 제1 관통공(901)을 구비한다. 버킷 티스(91)는 어댑터(90) 상에 장착된다. 버킷 티스의 양측면은 어댑터(90)의 제1 관통공(901)과 대응하는 제2 관통공(911)을 각각 구비한다. 해머(93)는 버킷 티스(91)의 일측면 상의 제2 관통공(911)에서 제1 관통공(901)으로 핀(91)을 타격한다. C형 버클(902)은 핀(92)을 제1 관통공(901) 내에 위치시킨다. 핀(92)의 양단부는 제2 관통공(911)으로부터 돌출하여 버킷 티스(91)를 어댑터(90) 상에 구속 및 위치시킨다.
전술한 종래의 굴착기 버킷 티스 구조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의 버킷 티스(9)들 사이의 공간은 한정되어 있다. 핀(92)이 제1 관통공(901)의 예정된 위치로 타격될 때, 충분한 타격 간격과 적절한 타격 각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격을 위해 작은 공간 속으로 해머를 배치해야 한다. 핀(92)이 제2 관통공(911)을 지나 제1 관통공(901)의 적절한 깊이까지 통과한 후에만, 사용자는 해머(93)를 소정의 각도에서 붙들 수 있고, 보조 타격용 봉을 이용하여 핀(92)을 더 타격할 수 있다. 그 다음, 핀(92)은 어댑터(90)의 제1 관통공(901) 및 제2 관통공(911)과 버킷 티스(91) 사이에 완전하게 배치되어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 타격으로 인해 핀(92)의 국부적인 구조가 변형될 수 있거나 전체 구조가 비틀릴 수 있다. 이는 장래에 버킷 티스(90)를 교체해야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2. 버킷이 굴착 작업을 수행할 때, 불가피하게 핀(92)과 제1 관통공(901) 및 제2 관통공(911)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자갈이나 금속 덩이일 경우, 핀(92)은 관통공(901, 911) 내에서 움직이지 못할 수 있다. 이물질이 진흙일 경우, 핀(92)은 관통공(901, 911) 내에서 서로 움직일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공(901, 911)으로부터 핀(92)을 빼낼 때, 이들 이물질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 최악의 경우, 버킷 티스(9)를 파괴(예컨대, 수소 불꽃을 사용하여 버킷 티스(9)을 절단)해야 할 경우도 있다.
3. 도 17에는 핀(92)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튜브(95)는 최외측 어댑터(90)의 제1 관통공(901)을 관통한다. 튜브(95)의 일단부는 제거될 핀(92)을 압박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1 관통공(901)과 제2 관통공(911)을 벗어나서 핀(92)이 C형 버클(902)로부터 이탈되도록 해머(93)를 사용하여 핀을 타격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버킷 티스(9)들 사이의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해머(93)의 타격 강도는 핀(92)이 C형 버클(902)로부터 이탈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는 교체 작업에 불편을 느끼게 만든다. 더욱이, 이물질에 의해 핀(92)이 관통공(901, 911)과 C형 버클(902)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거나 정체될 경우 더욱 어렵게 된다.
4.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어댑터(90)와 버킷 티스(91)가 조립된 후, 이들 사이에는 여전히 틈새(A)가 존재한다. 또한, 제2 관통공(911)과 핀(92) 사이에도 틈새가 존재한다. 따라서 버킷 티스(91)가 굴착 작업 동안 어댑터(90)를 압박할 때, 제1 관통공(901)으로부터 돌출하는 핀(92)의 양단부는 버킷 티스(91)에 의해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틈새(B)가 틈새(A)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댑터(90)와 버킷 티스(91) 사이에 틈새가 존재할 경우, 이 틈새는 버킷 티스(91)가 다시 어댑터(90)를 타격할 수 있는 완충 공간을 제공하여 충돌 부분을 쉽게 변형시킨다. 또한, 큰 틈새를 위한 타격 강도는 더 높아야 하며, 이는 어댑터(90)와 버킷 티스(91)에 더 큰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더욱이, 버킷 티스(91)의 제2 관통공(911)은 핀(92)과 마찰하여 더 커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90)와 버킷 티스(91) 사이의 반복적인 충돌로 인해 버킷 티스(91)의 제2 관통공(911)이 더 커지게 되고 틈새(A)가 틈새(B)보다 더 커지게 되면, 버킷 티 스(91)는 굴착 작업 동안 어댑터(90)를 제외한 핀(92)을 압박한다. 따라서, 핀(92)은 굴착 작업 동안 버킷 티스(91)에 의해 반복적으로 부딪히게 되고, 핀(92)은 종종 파손되어 버킷 티스(91)가 이탈하게 된다. 이는 굴착 작업에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버킷 티스(91)가 높은 곳에서 떨어져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굴착기의 버킷 티스 구조를 교체하기 위해 핀(92)을 간단히 제거하는데 약 10분 혹은 반 시간이 소요된다. 종래의 버킷 티스(9)의 교체 작업은 매우 불편하다. 더욱이, 종래의 버킷 티스(9)는 굴착 작업 동안 충돌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킷 티스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조립할 수 있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버킷 상에 버킷 티스를 교체하는 작업은 편리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댑터와 버킷 티스의 틈새가 커지는 것을 방지 하는 데 있다. 이는 핀이 버킷 티스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준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는,
버킷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버킷에서 멀리 떨어진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수평으로 관 통하는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1 관통공의 중심에 마련된 제한부를 구비하는 어댑터와:
일단부에는 상기 삽입부에 대응하는 슬롯이 구비되고, 양측면에는 제2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슬롯과 연통되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슬롯에 의해 상기 어댑터의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는 버킷 티스와;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버킷 티스의 상기 제2 관통공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버킷 티스를 상기 어댑터의 소정위치에 설치하는 계합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는 버킷 티스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조립할 수 있어 버킷 상에 버킷 티스를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사용도중 어댑터와 버킷 티스의 틈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핀이 버킷 티스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동일한 도면 번호를 병기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 예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교체 및 구속 장치는 어댑터(1), 버킷 티스(5) 및 계합 유닛(7)을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1)는 고정부(11)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는 버킷(2)의 전단부에 고정되도록 고정부(11)를 사용한다. 상기 고정부(11)는 버킷(2)에 추가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삽입부(12)는 고정부(11)의 일단부에서 버킷(2)으로부터 더 멀리 돌출한다. 삽입부의 양측면 사이에는 삽입부(12)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관통공(121)의 중심에는 제한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버킷 티스(5)의 일단부에는 상기 삽입부(12)에 대응하는 슬롯(51)이 구비되어 있다. 버킷 티스(5)의 양측면에는 제2 관통공(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통공(52)은 슬롯(51)과 연통하는 상태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버킷 티스(5)는 슬롯(51)에 의해 어댑터(1)의 삽입부(12)에 장착된다.
계합 유닛(7)은 어댑터(1)의 제1 관통공(121)과 버킷 티스(5)의 제2 관통공(52) 사이에 배치되어 그들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킷 티스(5)가 어댑터(1)에 장착되어 위치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계합 유닛(7)은 2개의 스토핑 포스트(3)와 1개의 탄성 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핑 포스트(3)는 삽입부(12)의 제1 관통공(121)의 양단부 속으로 각각 삽입된다. 스토핑 포스트(3)의 각각의 일단부는 제1 관통공(121)으로부터 돌출하여 제2 관통공(52)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관통공(52)의 직경은 스토핑 포스트(3)의 외경보다 더 작다. 슬롯(51) 내측의 버킷 티스(5)의 2개의 대향하는 측벽에는 제2 관통공(52)과 연통되는 노치(5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2 관통공(52)과 노치(53)의 직경 차이로 인해 스토핑 벽(54)이 형성된다. 스토핑 벽(54) 각각은 대응하는 노치(53) 내측에서 대응하는 스토핑 포스트(3)를 정지시킨다. 이는 스토핑 포스트가 대응하는 제2 관통공(5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토핑 포스트(3) 각각은 제1 관통공(121) 내측의 일단부에 마련된 홈(32)들을 구비한다. 상기 홈(32)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탄성 부재(4)는 상기 2개의 홈(32) 사이에 개재된다. 탄성 부재(4)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홈(32)에 내측에 위치하여 스토핑 포스트(3)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4)는 압박 스프링(urging spring)이다.
추가적으로,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3)는 제1 관통공(121)내로 들어가게 할때, 제1 관통공 내의 제한부(122)에 의해 정지하기 때문에 2개의 스토핑 포스트는 그 내부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활주한다. 이는 2개의 스토핑 포스트(3) 상에 미치는 탄성 부재(4)의 가압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스토핑 포스트(3)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토핑 링(31)과 함께 장착되어 이물질이 스토핑 포스트(3)와 삽입부(12) 사이의 간극을 통해 스토핑 포스트(3)의 홈(3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굴착 작업 동안, 자갈 혹은 금속 물질은 스토핑 포스트(3)와 버킷 티스(5)의 제2 관통공(52) 사이의 틈새 속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스토핑 포스트(3) 둘레에 장착된 2개의 스토핑 링(31)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자갈 혹은 금속 물질은 버킷 티스(5)의 제2 관통공(52)과 스토핑 포스트(3) 속으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토핑 포스트(3)가 제1 관통공(121)에 걸리거나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어댑터(1)와 버킷 티스(5)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를 어댑터(1)의 삽입부(12)의 제1 관통공(121)으로 압입하기 위해 홀딩 공구(6)(도면에서 C형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버킷 티스(5)의 슬롯(51)은 삽입부(12) 상에 설치된다. 버킷 티스(5)의 슬롯(51)의 내측 가장자리에 이웃한 스토핑 포스트(3)의 일부는 먼저 버킷 티스(5)의 슬롯(51)의 내측 전방 가장자리에 의해 압박된다. 홀딩 공구(6)를 해제시킨 후, 버킷 티스(5)의 슬롯(51)은 어댑터(1)의 삽입부(12) 상에 직접 장착된다. 이 경우,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는 버킷 티스(5) 양측의 제2 관통공(52)의 스토핑 벽(54)에 대응하게 된다. 탄성 부재(4)의 탄성력은 스토핑 포스트를 밀어 대응하는 제2 관통공(52)의 스토핑 벽(54) 속으로 들어가게 하며, 이에 따라 버킷 티스(5)를 어댑터(1) 상에 위치 설정하게 된다. 다른 한편, 버킷 티스(5)를 어댑터(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홀딩 공구(6)를 사용하여 먼저 제2 관통공(52)을 통해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를 삽입부의 제1 관통공(121) 속으로 압박한다. 그 후, 슬롯(51) 내의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는 버킷 티스(5)의 슬롯(51)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압박된다. 홀딩 공구(6)를 해제시킨 후, 사용자는 버킷 티스(5)를 어댑터(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래의 장점을 갖는다.
1. 버킷 티스(5)를 어댑터(1)에 조립하고자 할 때, 제1 관통공(121)으로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를 압박하기 위해 단지 홀딩 공구(6)를 사용하는 것만을 필요 로 한다. 그 후, 버킷 티스(5)는 어댑터(1)에 장착되어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는 제2 관통공(52)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로 인해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2개의 버킷 티스들 사이의 공간이 매우 제한되어 있더라도, 조립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용자는 타격을 가하는 많은 수고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는 시간 절약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2.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3)는 스토핑 링(31)과 설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어 자갈 혹은 금속 물질이 스토핑 포스트(3)와 버킷 티스(5)의 제2 관통공(52) 사이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는 2개의 스토핑 포스트(3)가 저항을 받지않고 활주할 수 있게 한다.
3. 버킷 티스(5)를 어댑터(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단지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를 제1 관통공(121) 속으로 압박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교체를 위해 버킷 티스(5)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버킷 티스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예에 비해 미소한 차이가 있는 다른 많은 실시 예들을 포함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4A)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속 효과를 얻게 되는 우레탄으로 구성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계합 유닛(7)은 자석으로 각각 이루어진 2개의 스토핑 포스트(3A)로 구성된다. 제1 관통공(121) 내의 2개의 스토핑 포스트(3A)의 대향하는 단부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탄성 부재(4)가 자석 특성을 갖는 스토핑 포스트(3)로 대체되어 있다. 스토핑 포스트(3A)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자화를 통해 자석으로 변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21) 내의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3A)의 단부는 S극이다. 2개의 스토핑 포스트(3A)가 제1 관통공(121) 안으로 들어가게 한 후, 이들 사이의 반발력으로 인해 2개의 스토핑 포스트는 자동으로 튀어나올 수 있다. 상기 2개의 스토핑 포스트는 또한 스토핑 벽(54)에 부착되어 홈(53)에서 정지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스토핑 포스트는 어댑터(1)의 제1 관통공(121)과 버킷 티스(5)의 제2 관통공(52) 사이에서 정지할 수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스토핑 포스트는 제1 실시 예에서의 탄성 부재(4) 및 스토핑 포스트(3)와 여전히 동일한 탄성력 및 위치 설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버킷 티스(5)는 제2 관통공(52)이 슬롯(51)을 향해 개방하고 있는 측면에 마련된 내측 가이딩 앵글(55)을 구비한다. 제1 관통공(121)으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3)의 단부는 고정부(11)를 향하는 외측 가이딩 앵글(33)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 가이딩 앵글(33)은 버킷 티스(5)를 제2 관통공(52)의 내측 가이딩 앵글(55)에 고정시킨다. 외측 가이딩 앵글(33)의 깊이는 내측 가이딩 앵글(55)보다 작다. 이로 인해 어댑터(1)와 버킷 티스(5)는 충돌하지 못하도록 간극이 유지된다.
도 9에는 버킷 티스(5)가 어댑터(1) 상에 장착될 때 2개의 스토핑 포스트(33)의 외측 가이딩 앵글(33)이 초기에 버킷 티스(5)의 내측 가이딩 앵글(55)에 가압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1)와 버킷 티스(5)는 2개의 스토핑 포스트(3)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간극이 존재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 작업 동안 버킷 티스(5)가 충돌할 때, 버킷 티스는 어댑터(1)를 향해 후퇴한다(도 10 참조). 이 경우,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는 탄성 부재(4)를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뻗게 된다(도 11 참조). 버킷 티스(5)는 스토핑 포스트(3)의 외측 가이딩 앵글(3)에 압박되는 내측 가이딩 앵글(55)을 사용한다. 버킷 티스(5)는 봉쇄되기 때문에 어댑터(1)와 버킷 티스(5) 사이에는 여전히 슬라이딩 간극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추가적으로, 외측 가이딩 앵글(33)을 제외한 스토핑 포스트(3)의 측면과 버킷 티스(5)의 제2 관통공(52)의 내측 벽 사이에는 탄력적인(flexible) 공간(8)이 존재한다. 상기 탄력적인 공간(8)은, 스토핑 포스트(3)의 외측 가이딩 앵글(33)이 버킷 티스(5)의 내측 가이딩 앵글(55)을 따라 활주하여 굴착 작업 동안 버킷 티스(5)가 스토핑 포스트(3)와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굴착 작업 동안 어댑터(1)와 버킷 티스(5) 간의 충돌이 발생할 때, 2개의 스토핑 포스트(3)는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내측 가이딩 앵글(33)은 외측 가이딩 앵글(33)에 접촉되어 버킷 티스(5)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버킷 티스(5)와 어댑터(1) 사이에는 여전히 슬라이딩 간극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1)와 버킷 티스(5)가 서로 부딪히게 하는 완충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버킷 티스(5)와 스토핑 포스트(3) 사이에 탄력적인 공간(8)을 마련함으로써, 버킷 티스(5)는 스토핑 포스트(3)와 부딪히지 않고 또 그것을 파손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버킷 티스는 매 우 안전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4)는 제1 관통공(12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외측 가이딩 앵글(33)의 다른 쪽은 또 다른 대응하는 외측 가이딩 앵글(33)을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변형예 뿐만 아니라 개시된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예를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를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를 제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를 조립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조립된 버킷 티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버킷 티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버킷 티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버킷 티스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굴착 작업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의 충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스토핑 포스트를 조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스토핑 포스트의 조정 후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티스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버킷 티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버킷 티스를 전개하여 3차원적으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버킷 티스의 핀을 배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버킷 티스의 핀을 배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버킷 티스로부터 핀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버킷 티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버킷 티스의 어댑터와 버킷 티스 사이의 간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충돌에 의해 파손된 종래의 버킷 티스의 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어댑터 2 : 버킷
3, 3A : 스토핑 포스트 4, 4A : 탄성 부재
5 : 버킷 티스 6 : 홀딩 공구
7 : 계합 유닛 11 : 고정부
12 : 삽입부 31 : 스토핑
32 : 홈 33 : 외측 가이딩 앵글
51 : 슬롯 52 : 제2 관통공
53 : 노치 54 : 스토핑 벽
55 : 내측 가이딩 앵글 121 : 제1 관통공
122 : 제한부

Claims (14)

  1.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강제 장치에 있어서:
    버킷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버킷에서 멀리 떨어진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1 관통공의 중심에 마련된 제한부를 구비하는 어댑터와:
    일단부에는 상기 삽입부에 대응하는 슬롯이 구비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슬롯과 연통되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슬롯에 의해 상기 어댑터의 상기 삽입부에 설치되는 버킷 티스와;
    상기 어댑터의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버킷 티스의 상기 제2 관통공 사이에 활주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버킷 티스를 상기 어댑터의 일정 위치에 설치하는 계 합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유닛은 2개의 스토핑 포스트와 1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관통공의 양단부 속으로 각각 삽입되고;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2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스토핑 포스트 각각은 상기 제1 관통공 내측의 단부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2개의 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양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스토핑 포스트를 가압하도록 상기 홈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박 스프링(urging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포스트 각각은 이물질이 상기 스토핑 포스트와 상기 삽입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상기 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그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핑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 각각의 직경은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버킷 티스의 상기 슬롯 내측의 대향하는 2개의 측벽에는 상기 제2 관통공과 연통하는 노치가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제2 관통공과 대응하는 상기 노치 사이에는 이들의 직경 차이로 인해 스토핑 벽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 벽은 대응하는 상기 노치 내측에서 상기 스토핑 포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유닛은 자석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관통공의 양단부로 삽입된 2개의 스토핑 포스트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핑 포스트 각각은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제2 관통공으로 돌출하고; 2개의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단부들은 상기 제1 관통공 내에서 서로 대향하고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포스트 각각은 이물질이 스토핑 포스트와 삽입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스토핑 포스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둘레에 적어 도 하나의 스토핑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 각각의 직경은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외경보다 더 작고; 상기 버킷 티스의 상기 슬롯 내측의 대향하는 2개의 측벽에는 상기 제2 관통공과 연통하는 노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노치 사이에는 이들의 직경 차이로 인해 스토핑 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는 대응하는 상기 스토핑 벽에 접촉되어 대응하는 상기 노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유닛은 2개의 스토핑 포스트와 1개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제1 관통공의 양단부 속으로 각각 삽입되고;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일단부는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2 관통공으로 삽입되며; 상기 버킷 티스는 상기 제2 관통공이 상기 슬롯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 마련된 내측 가이딩 앵글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는 제1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고정부를 향해 대면하는 상기 각각의 스토핑 포스트의 단부에 외측 가이딩 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 가이딩 앵글은 상기 버킷 티스의 상기 제2 관통공의 상기 내측 가이딩 앵글에 접촉되고; 상기 외측 가이딩 앵글의 깊이는 상기 내측 가이딩 앵글의 깊이보다 작으며; 상기 외측 가이딩 앵글을 제외한 각각의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측면과 상기 버킷 티스의 상기 제2 관통공의 내측 벽 사이에는 탄력적인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단부는 상기 외측 가이딩 앵글의 다른 쪽에 또 다른 대응하는 외측 가이딩 앵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포스트 각각은 이물질이 상기 스토핑 포스트와 상기 삽입부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스토핑 포스트의 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그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핑 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KR1020090033730A 2009-04-17 2009-04-17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KR20100115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730A KR20100115141A (ko) 2009-04-17 2009-04-17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730A KR20100115141A (ko) 2009-04-17 2009-04-17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141A true KR20100115141A (ko) 2010-10-27

Family

ID=4313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730A KR20100115141A (ko) 2009-04-17 2009-04-17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1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488A (ko) * 2017-04-03 2017-04-21 (주) 대동이엔지 진동리퍼의 샹크와 투스 체결장치
CN108678067A (zh) * 2018-05-29 2018-10-19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斗齿
CN108708424A (zh) * 2018-05-29 2018-10-26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快换斗齿
CN108729496A (zh) * 2018-05-29 2018-11-02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弹簧式快换斗齿
CN108729495A (zh) * 2018-05-29 2018-11-02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磁铁式快换斗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488A (ko) * 2017-04-03 2017-04-21 (주) 대동이엔지 진동리퍼의 샹크와 투스 체결장치
CN108678067A (zh) * 2018-05-29 2018-10-19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斗齿
CN108708424A (zh) * 2018-05-29 2018-10-26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快换斗齿
CN108729496A (zh) * 2018-05-29 2018-11-02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弹簧式快换斗齿
CN108729495A (zh) * 2018-05-29 2018-11-02 马鞍山松鹤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挖掘机磁铁式快换斗齿
CN108729496B (zh) * 2018-05-29 2019-11-12 郭木琴 一种挖掘机弹簧式快装斗齿
CN108729495B (zh) * 2018-05-29 2019-11-22 郭泽洪 一种挖掘机磁铁式快换斗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5141A (ko) 토목 건설 기계의 버킷 티스용 교체 및 구속 장치
US20100257759A1 (en) Replacement and urging device for the bucket teeth of an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
JP5744024B2 (ja) 歯をアダプタに取り外し可能に結合する歯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方法
AU2005100997A4 (en) Power Tool With Battery Supply
KR101229682B1 (ko) 키 재설정 가능 잠금 실린더
JP6713355B2 (ja) Usbポートロック装置
EP2248953A1 (en) Replacement and urging device for the bucket teeth of an engineering construction machine
KR20130044538A (ko)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US8776911B2 (en) Hydraulic breaker
KR102067747B1 (ko) 랜 케이블 락장치
US20190218822A1 (en) Cylinder lock and associated key
EA026875B1 (ru) Замок с подвижным элементом
AU2014319938A1 (en) Device for securing teeth to tooth adapters of an earth-moving machine through pins
KR20100084730A (ko) 치즐 고정구조
EP1969198B1 (en) Break-in resistant cylinder for locks
JP2004513791A (ja) 岩石破壊型衝撃装置
EP1870544A1 (en) Lock and associated key
US20120317768A1 (en) Lateral pin extraction tool and lateral pin extraction tool set for working machine bucket
JP4772655B2 (ja) シリンダー錠
CN1871614B (zh) 带有密封抽屉的智能卡连接器
JP5356788B2 (ja) トップチェーンの分解連結用治具
KR101170869B1 (ko) 스트라이커 체결부재의 위치 유도핀
JP2006125083A (ja) バケットのツース着脱工具
BR102019011299A2 (pt) Aparelho de retenção de ferramenta e ferramenta elétrica que contém o mesmo
CN211538976U (zh) 芯棒锁头及周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