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042A -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042A
KR20100115042A KR1020090033541A KR20090033541A KR20100115042A KR 20100115042 A KR20100115042 A KR 20100115042A KR 1020090033541 A KR1020090033541 A KR 1020090033541A KR 20090033541 A KR20090033541 A KR 20090033541A KR 20100115042 A KR20100115042 A KR 2010011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h shell
conch
hole
shell
she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09003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042A/ko
Priority to PCT/KR2009/006552 priority patent/WO2010120023A1/ko
Publication of KR2010011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주도 바닷가에서 소라를 채취한 후 소라살을 따로 분리해내고 남는 소라껍질을 재활용하여 이를 원재료로 하여 식물이 소라껍질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하도록 가공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활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은 폐쓰레기로 버려지던 소라껍질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을 가진 가정이나 실내에서도 식물을 손쉽게 키울 수 있도록 하여 녹색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주거환경이나 실내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식물이 호흡하면서 제공하는 산소나 방향으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오염 및 악취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미니사이즈로 제작함과 동시에 별도로 부착부를 형성시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조립 또는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소 및 위치에 따라 새로운 실내인테리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소라껍질, 화분, 식물

Description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MINI POT USING SHELL OF TURBAN SHELL AND MAK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주도 바닷가에서 소라를 채취한 후 소라살을 따로 분리해내고 남는 소라껍질을 재활용하여 이를 원재료로 하여 식물이 소라껍질 내부에서 식생이 가능하도록 가공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주거환경이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식물을 실내에서 많이 키우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는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여 키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경우 식물을 식생시키기 위하여는 화분을 놓아둘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베란다에 화분들을 놓아두고 있으며 사무실에서는 책상 위나 탁자 위에 올려 둘 정도의 크기의 미니사이즈 화분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화분들은 모두 바닥에 놓거나 책상 위나 탁자 위에 놓아야 하는 등 화분이 위치하는 장소가 한정되거나 많은 공간을 요구하게 되므로 넉넉하지 않은 실내공간을 가지고 있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통상적인 크기와 형태를 가진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키우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4746호에서는 조가비 또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화분을 제공한 바 있으나, 이는 음식점 등에서 대량으로 쓰레기로 방출되는 조가비나 소라껍질을 재활용한다는 측면에서 다수 개의 조가비 껍질이나 소라껍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화분을 제공하고 있어 사이즈의 축소화 및 경량화는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아울러 다수 개의 조가비 껍질이나 소라껍질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는 바닥이나 평면에 놓는 통상적인 화분의 형태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화분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적 제약이 있다는 불편함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자재로 배출되는 소라껍질을 가공하여 그 자체를 미니화분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라껍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을 가진 가정이나 실내에서도 식물을 손쉽게 키울 수 있도록 하여 녹색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주거환경이나 실내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식물이 호흡하면서 제공하는 산소나 방향으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오염 및 악취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다양한 물체나 벽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화분들끼리도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부착부를 별도로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소 및 위치에 따라 새로운 실내인테리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은, 상부를 향하여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라껍질 본체;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통공;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꼬리측에 부설되어 있으며 다른 물체나 벽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 및 상기 소라껍질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식생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라껍질의 본체 외측면과 내측면의 표면에는 광택을 부여하고 염분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코팅막을 형성시키는 재료로는 표면을 경화시켜 광택효과를 부여하면서도 염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부착부는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냉장고 등 철재 재료로 제작된 각종 물품 또는 벽체에 본 발명에 의한 미니화분을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은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통공을 이루는 내측면에 부설되며 다른 물체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걸이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돌출부나 고리 등에 본 발명에 의한 미니화분을 편리하게 걸어 둘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은 상기 소라껍질 본체 하부의 일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물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통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장식용 통공은 다른 악세사리를 걸 수 있도록 하여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의 제조방법은, 소라껍질을 수세하는 단계; 수세된 소라껍질의 본체의 일측에 식생유도통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식생유도통공이 형성된 소라껍질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코팅제를 발라 코팅층을 형성시킨 후 건조시키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단계를 거친 소라껍질 본체의 꼬리부분에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부를 부설시키는 단계;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통공 내측면에 걸이끈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코팅된 소라껍질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식생재를 삽입한 후 식물을 식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장식용 통공을 더 형성시키는 장식용통공형성단계를 상기 부착부 부설단계 이후에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활용한 미니화분은 폐쓰레기로 버려지던 소라껍질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을 가진 가정이나 실내에서도 식물을 손쉽게 키울 수 있도록 하여 녹색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주거환경이나 실내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식물이 호흡하면서 제공하는 산소나 방향으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오염 및 악취발생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화분을 미니사이즈로 제작함과 동시에 별도로 꼬리 부분에 부착부를 형성시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화분끼리 조립하거나 다른 물체나 벽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장소 및 위치에 따라 새로운 실내인테리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 및 그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소라껍질 본체(100)에는 소라살을 제거하고 나면 상부를 향하여 통공(110)이 형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통공의 내부에 이끼, 면섬유, 톱밥 등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공지의 식생재료(20)가 내장되어 식물(10)이 뿌리를 박고 생장을 할 수 있는 미니화분의 기본적인 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소라껍질 본체(100)의 중심부에는 가로로 긴 막대형태의 식생유도통공(12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라껍질 본체(100)의 크기가 큰 경우 상부에 형성된 통공(110)만을 이용하여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보다는 소라껍질 본체의 중심부에 식생유도통공(120)을 형성시켜 그 내부에 상기 식생재료를 내장한 후 식물을 추가로 식재하여 키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식생유도통공(120)을 어떻게 형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식물(10)의 생장방향 및 식생태양이 각각 다르게 되나 통상적으로 식물의 생장은 굴광성 또는 반중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점이 형성되는 특성 및 식물의 크기를 감안하여 상기 식생유도통공(120)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는 미니화분에 식재되는 식물들은 상부를 향하여 생장이 되며 측면방향으로 뿌리를 생장시켜 커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식생유도통공(120)의 형태도 상기 소라껍질 본체(100)의 중심부에 가로로 길게 막대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라껍질 본체(100)의 꼬리부분에는 부착부(130)가 부설되어 있는데, 본 도에서는 상기 부착부(130)로서 영구자석을 채택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부착 부(130)로 사용된 영구자석을 통해 자성이 미치는 곳이면 어디든지 본 발명에 의한 미니화분을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미니화분 하나만으로 장식하기에 실내 공간이 넓다거나 실내장식물로서 소라껍질의 자연미를 독특하게 표현하여 인테리어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미니화분끼리 쉽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부착부(130)가 필요하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 이외에도 점착테이프, 벨크로테잎 등이 상기 부착부(130)로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도에서는 소라껍질 본체 내부 및 외부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걸이끈 부분도 도시하지 않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을 연결시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도에서는 부착부(130)로 사용한 영구자석끼리 결합시켜 2개의 미니화분이 하나의 특이한 미니화분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좌측의 미니화분에는 소라껍질 본체(100)에 통공(110)이외에 식생유도통공(120)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도 식생재료(20)가 안치되어 식물(10)이 생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우측의 미니화분은 소라껍질 본체(100)에 별다른 식생유도통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상기 소라껍질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110) 내부에 식생재료를 안치시킨 후에 그에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소라껍질 본체(100)의 외측면 중 하부의 일측에는 여러 형태의 장식물을 걸어서 매달 수 있도록 장식용 통공(1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도이다.
수세단계(S100)는 채취된 소라껍질을 흐르는 물에 수세하는 단계로서 소라껍질에 묻어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소라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을 충분히 물에 녹여서 제거하기 위한 단계이다. 식생유도통공형성단계(S200)에서는 상기 수세단계를 거친 소라껍질 본체의 일측에 식생유도통공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 소라껍질 본체를 가공하여 식생유도통공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후 코팅단계(S300)에서는 식생유도통공이 형성된 소라껍질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코팅제를 발라 코팅층을 형성시킨 후 건조를 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제로는 에폭시 수지 계열의 투명한 재질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소라껍질 본체의 본래의 색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소라껍질 본체의 외측면에 대해서는 광택제 및 껍질이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내측면에 대해서는 소라껍질 본체에 함유되어 있던 염분이 유출되어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거나 식물을 죽이는 것을 방지하는 방염막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코팅단계를 거친 소라껍질 본체에 대해서는 이후 부착부부설단계(S400)을 통해 소라껍질 본체의 꼬리부분에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부를 부설시키게 된다. 이후 부착부가 부설된 이후에는 걸이끈부설단계(S500)를 통해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통공 내측면에 양 측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결합시켜 투명한 재질의 걸이끈을 부착시킨다. 상기 단계까지 가공된 소라껍질 본체에 대해 식물식재단계(S600)를 통해 소라 껍질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식생재료를 삽입한 후 식물을 식재시켜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을 제조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을 연결시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의 제조방법에 관한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물 20 : 식생재료
100 : 소라껍질 본체 110 : 통공
120 : 식생유도통공 130 : 부착부
140 : 장식용 통공

Claims (6)

  1. 상부를 향하여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라껍질 본체;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식생유도통공;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꼬리측에 부설되어 있으며 다른 물체나 벽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착부; 및
    상기 소라껍질 본체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식생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
  2. 제1항에서,
    상기 소라껍질의 본체 외측면과 내측면의 표면에는 광택을 부여하고 염분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
  3. 제1항에서,
    상기 부착부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통공을 이루는 내측면에 부설되며 다른 물체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걸이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껍질을 이 용한 미니화분.
  5. 제4항에서,
    상기 소라껍질 본체 하부의 일측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장식물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통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
  6. 소라껍질을 수세하는 단계;
    수세된 소라껍질의 본체의 일측에 식생유도통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식생유도통공이 형성된 소라껍질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코팅제를 발라 코팅층을 형성시킨 후 건조시키는 코팅단계;
    상기 코팅단계를 거친 소라껍질 본체의 꼬리부분에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부를 부설시키는 단계;
    상기 소라껍질 본체의 통공 내측면에 걸이끈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코팅된 소라껍질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식생재료를 삽입한 후 식물을 식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의 제조방법.
KR1020090033541A 2009-04-17 2009-04-17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KR20100115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41A KR20100115042A (ko) 2009-04-17 2009-04-17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PCT/KR2009/006552 WO2010120023A1 (ko) 2009-04-17 2009-11-09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41A KR20100115042A (ko) 2009-04-17 2009-04-17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42A true KR20100115042A (ko) 2010-10-27

Family

ID=4298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541A KR20100115042A (ko) 2009-04-17 2009-04-17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15042A (ko)
WO (1) WO20101200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81B1 (ko) * 2013-06-19 2013-12-30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조립모듈을 이용한 녹화시스템
KR102431828B1 (ko) 2021-08-09 2022-08-11 김원식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254A (ko) * 1998-06-30 2000-01-25 고삼철 소라껍질을 이용한 화분
KR200225359Y1 (ko) * 1998-07-24 2001-06-01 최일천 고둥껍질을 이용한 식물 재배분의 구조
KR200278142Y1 (ko) * 2002-03-02 2002-06-20 이병준 자석 부착식 화분
KR200379856Y1 (ko) * 2005-01-13 2005-03-30 최기열 현수화분
KR200408452Y1 (ko) * 2005-11-11 2006-02-09 서종연 조개를 이용한 화분조립구조
KR200435971Y1 (ko) * 2006-09-18 2007-03-28 박청일 수직조립식화분(垂直組立式花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81B1 (ko) * 2013-06-19 2013-12-30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조립모듈을 이용한 녹화시스템
KR102431828B1 (ko) 2021-08-09 2022-08-11 김원식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0023A1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211693Y (zh) 一种由三个有透气性能的盆型容器套装成的蓄水、保湿花盆
KR20100115042A (ko) 소라껍질을 이용한 미니화분과 그 제조방법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N205124497U (zh) 一种变色花盆
TWM634760U (zh) 人造植物幹身主體與真實植物的共體結構
CN107318554A (zh) 紫薇与龙柏组合栽培造型方法
CN2798560Y (zh) 单体立体花盆
CN210247674U (zh) 一种植物壁挂组件
CN207048219U (zh) 一种竹制花篮装饰墙架
KR101140073B1 (ko) 일회용 컵을 활용한 화분
US20230189717A1 (en) Flower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336844Y (zh) 天然木制花盆
CN207754176U (zh) 一种用于种植萱草的葫芦容器
CN202635205U (zh) 一种吊盆
CN210610724U (zh) 悬挂式景观装置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TWI810889B (zh) 人造植物幹身主體與真實植物的共體結構
CN207692486U (zh) 一种相框花盆
CN201995365U (zh) 五色草装饰盘
KR200251271Y1 (ko) 액자형 조형 장식대
CN201216089Y (zh) 带插杆的花盆
CN2670256Y (zh) 一种花盆套
KR200285243Y1 (ko) 화분
CN201009647Y (zh) 人造育苗魔豆
KR20110003825U (ko) 산수분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