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663A - 다기능 멸균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멸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663A
KR20100114663A KR1020090033150A KR20090033150A KR20100114663A KR 20100114663 A KR20100114663 A KR 20100114663A KR 1020090033150 A KR1020090033150 A KR 1020090033150A KR 20090033150 A KR20090033150 A KR 20090033150A KR 20100114663 A KR20100114663 A KR 20100114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as
chamber
gas cylinder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혜정
Original Assignee
선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혜정 filed Critical 선혜정
Priority to KR102009003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663A/ko
Publication of KR20100114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세척부와 스팀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소독시키는 멸균기를 함께 구비한 다기능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가스 또는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멸균부; 세척을 위하여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공급해주는 세척부; 및 상기 멸균부와 상기 세척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멸균기, 스팀, 가스, 세척수

Description

다기능 멸균기{MULTIFUNCTIONAL STERILIZER}
본 발명은 다기능 멸균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EO Gas)멸균기와 스팀멸균기 및 세척수공급장치를 하나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였으며, 인체에 유해한 에틸렌 옥사이드 가스(EO Gas)통의 장착방법 및 상기 가스의 사용 후 처리문제를 크게 개선시킨 다기능 멸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진료하기 전에 손 등을 세척하는 세척수 공급장치와 의료용 기기를 멸균시키는 스팀멸균기 및 가스멸균기는 결합구성이 용이하지 못하여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공급장치, 상기 스팀멸균기 및 상기 가스멸균기는 각각 별도로 설치되었으며, 이는 공간활용도를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스팀멸균기(고온멸균)의 경우 멸균소독시 가스멸균기(저온멸균)에 비해 온도에 따른 의료기기의 재질이나 형상 변형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일례로, 플라스틱류는 고온에 일정 시간 노출시 재질과 형상 등이 변형된다.
또한, 의료용 튜브와 같은 플라스틱류를 소독시키는 경우에는 스팀이 상기 의료용 튜브 등의 성질과 형상을 변형시켜 스팀멸균작업은 불가능하였으며, 최근에는 금형을 이용한 일률적이고 정밀한 의료기기의 개발 및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저온멸균, 즉, 가스멸균작업이 선호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저온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가스멸균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나, 100% EO 가스를 사용하는 멸균기는 135L이상 급의 대용량 멸균기에만 적용되었으며, 소용량 멸균기에서는 제작상의 문제로 대부분 이산화탄소와 EO가스로 이루어진 혼합가스를 사용하여 멸균(저온멸균)하였다.
이때, 상기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멸균시킨 후 사용된 혼합가스는 에어 진공펌프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었고, 인체에 유해한 EO가스의 경우 하중이 공기보다 무거워 다시 유입될 가능성이 있었으며, 멸균 후 환기만이 유일한 해결책이었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의 경우 지구온난화가스로 지적되면서 점차 사양되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혼합가스의 경우 -70℃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카메라가 부착된 의료용 기기의 멸균작업 후에 렌즈 부위가 뿌옇게 흐려지는 백화(白化)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가스멸균기 옆에 항상 별도의 혼합가스통을 구비해야 했으므로 미관상 또한 설치여건상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 혼합가스의 사용시 양압에서 멸균작업이 이루어졌으므로, 가스의 누출 위험성을 안고 있었으며, 이산화탄소와 EO가스 비율이 8:2로 이루어진 혼합가 스의 경우 사용횟수 규정을 위반할 경우(EO가스의 잔존량 확인 불가)에는 이산화탄소만 주입되기 때문에 멸균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100% EO가스를 사용하는 멸균기의 경우에도 멸균기 챔버 내부에 EO가스 장착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직접 허리를 숙이고 EO가스통을 상기 EO가스 장착부에 장착하여 사용해야 했고, 이때, 정확한 위치에 상기 EO가스통이 장착되지 않았을 경우 작동되지 않았으며, 상기 멸균기 챔버 내부에 인체에 유해한 EO가스의 잔존 가능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컸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던 자외선 멸균 세척수 공급장치와 스팀멸균기 및 가스멸균기를 하나로 구성한 다기능 멸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회용 EO가스통의 장착부를 도어에 설치하여 EO가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EO가스를 1차적으로 공기정화장치에 의해 정화시키며, 2차적으로 개폐도어를 자동으로 소정 폭 개방한 뒤 상기 개폐도어 일측에 설치된 환기 팬을 통해 잔류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한 다기능 멸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다기능 멸균기는, 가스와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멸균부; 세척을 위하여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공급해주는 세척부; 및 상기 멸균부와 상기 세척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멸균부는 가스 또는 스팀을 공급받아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제1멸균부; 및 스팀을 공급받아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제2멸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멸균부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는 제1공급홀;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수단;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는 제1가열수단; 상기 제1챔버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도어; 및 상기 제1개폐도어에 구비되는 제1가스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멸균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1챔버에 잔존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가스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개폐도어는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개폐도어가 일측을 중심으로 개방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텐션스프링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1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1개폐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개방제어단턱을 갖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가스배출수단은 상기 개폐도어 내부에 설치되며, 가열수단이 구비된 가스통 안착부; 상기 가스통 안착부에 안착지지된 가스통을 천공시키는 천공수단; 상기 천공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가스통 안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가스의 주입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분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통 안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오링이 구비된 가스통 지지수단; 상기 가스통 지지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가스통 삽입시 상기 가스통이 소정의 저항을 받으며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가스통의 삽입시 상기 가스 통의 삽입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멸균부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제2공급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 상기 제2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수단;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제2가열수단; 및 상기 제2챔버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개폐도어는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도어가 일측을 중심으로 개방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탄성수단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2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2개폐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개방제어단턱을 갖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수도(水道)와 연결되어 상기 수도로부터 공급된 물을 필터링시키며, 상기 필터링된 물을 자외선 살균처리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제3가열수단; 상기 제3가열수단을 통해 승온된 물이 배출되는 세척수 공급수단; 및 상기 다기능 멸균기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을 통한 물의 배출을 컨트롤하는 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100% EO가스 멸균기와 스팀멸균기 및 세척수 공급장치를 하나로 구성하고 EO가스 장착과 사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의 편리성을 높임은 물론 설치상의 공간확보 문제점도 해결하였으며, EO가스의 배출시 워터 이젝트를 사용하여 물로 배출시킴으로써 공기중으로 배출시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멸균작업이 끝난 후 이차적으로 팬을 통해 챔버 내부의 잔존가스를 배출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켰으며, 진공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가스 누출의 위험성이 매우 낮아졌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멸균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멸균기의 정면에서 본 설계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멸균기의 평면에서 본 설계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멸균부와 제2멸균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가스배출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가스배출수단의 장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멸균부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개방제어단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대한 자세한 설계도면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해 놓았으나, 주요 부분에 대한 요부 도면을 바탕으로 이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와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멸균부(100); 세척을 위하여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공급해주는 세척부(200); 및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멸균부(100)와 상기 세척부(20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멸균부(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또는 스팀을 공급받아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제1멸균부(110); 및 스팀을 공급받아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제2멸균부(1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멸균부(110)는 도 4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다기능 멸균기의 몸체 일측부에 내설되는 제1챔버(111); 상기 제1챔버(111)의 하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물을 공급해주는 제1공급홀(112); 상기 제1챔버(111)의 하부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11) 내부의 물, 스팀 또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홀(113); 상기 제1배출홀(113)과 연결되어 상기 제1챔버(1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진공수단(미도시); 상기 제1챔버(111)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설되는 제1가열수단(114); 상기 제1챔버(111)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도어(115); 및 상기 제1개폐도어(115)에 구비되는 제1가스배출수단(1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멸균부(110)에서는 EO(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멸균시킬 수 있다.
즉, 스팀을 이용한 멸균작업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 버(11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지지턱을 기준선으로 상기 제1공급홀(112)을 통해 상기 기준선을 넘지 않도록 필터링된 물이 공급된다.
이후, 상기 제1가열수단(114)을 가열하여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 유입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하여 멸균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멸균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최초 상기 제1개폐도어(115)를 폐쇄시킨 후 상기 제1배출홀(113)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111) 내부를 진공상태로 조성한다.
상기 제1배출홀(113)은,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는 워터이젝트 등과 같은 진공수단(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워터이젝트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챔버(111)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배출홀(113)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제1챔버(111) 내부가 진공상태로 조성된다.
상기 진공수단은 에어이젝트나 워터이젝트 및 기타 진공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EO가스가 물에 용해되어 독성이 사라지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한 워터이젝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멸균작업 전에 상기 제1챔버(111) 내부를 진공상태로 조성하는 것은 진공상태에서 멸균작업시 멸균 효율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의료용 호스의 경우 양압 상태에서 멸균 작업시 상기 의료용 호스 내부에 유입된 공기로 인하여 상기 의료용 호스 내부까지 스팀 또는 가스가 침투하지 못하여 완전한 멸균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상태에서 멸균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을 이용한 멸균작업이 끝나게 되면, 상기 제1배출홀(113)을 통하여 생성된 스팀과 남은 물을 배출시킨다.
이후, 상기 제1개폐도어(115)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개방되는데, 상기 제1개폐도어(115)는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개폐도어(115)가 일측을 중심으로 개방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텐션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1개폐도어(115)의 개방시 상기 제1개폐도어(115)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개방제어단턱(117)을 갖는 잠금수단(116)이 구비된다.
즉, 도 7에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개폐샤프트가 상하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개폐도어(115)의 내부에서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샤프트의 하부면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리로, 편심된 구동축을 갖는 모터(구동수단)와 연동되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최초 폐쇄시에는 상기 개폐샤프트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홀에 결합되어 있으며, 멸균 작업 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개폐도어(115)가 개방되면 최초 상기 개폐샤프트가 상부로 소정 높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개폐도어(115)의 일측에 결합된 텐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개폐도어(115)는 전면 방향으로 개방되다가 상기 개방제어단턱(117)에 접촉하면서 정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편심된 구동축을 갖는 모터가 회전하면서 상기 개폐샤프트가 완전히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개폐샤프트가 상기 개방제어단턱(117)을 이탈하여 상기 제1개폐도어(115)가 완전히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폐도어(115)의 개방을 최초 제한하는 것은 스팀멸균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가스를 이용하여 멸균작업 후 상기 제1배출홀(113)을 통하여 사용된 가스를 일차적으로 배출시키고, 이차적으로 상기 제1개폐도어(115)를 소정 폭 개방시킨 후,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제1멸균부(110)와 상기 제2멸균부(150) 사이에 형성된 제2가스배출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2가스배출수단은 상기 제1멸균부(110)와 상기 제2멸균부(150) 사이에 하부로 형성(물 침투 방지효과)된 다수 개의 홀(미도시)을 구비하고, 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사용된 스팀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스배출수단(119)은 상기 제1개폐도어(115) 내부에 설치되며, 가열수단(미도시)이 구비된 가스통 안착부(120);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에 안착지지된 가스통을 천공시키도록 상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천공수단(124); 상기 천공수단(124)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25); 및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가스의 주입시 상기 제1챔버(111)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분사수단(126);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12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 설명한 개폐샤프트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는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적어도 하나의 밀폐오링이 구비된 가스통 지지수단(121); 상기 가스통 지지수단(121)과 결합되며, 상기 가스통 삽입시 상기 가스통이 소정의 저항을 받으며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수 단(122); 및 상기 가스통의 삽입시 상기 가스통의 삽입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는 상기 EO가스통의 외경에 대응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의 내부에 결합되는 밀폐오링 등을 통해 밀폐효과를 높이게 된다.
가스를 이용한 멸균작업시에는 최초, 일회용으로 제작된 가스통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통 삽입부를 통해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에 안착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에 상기 가스통이 안착지지되면 상기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EO가스 멸균작업 모드로 전환된다.
이후, 상기 제1개폐도어(115)를 폐쇄시키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반도체 히터 등과 같은 상기 가열수단(미도시)이 작동하여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를 가열하게 되고, 상기 구동수단(125)에 의해 상기 천공수단(124)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스통의 하부를 천공시킨다.
천공 후 상기 구동수단(125)에 의해 상기 천공수단(124)은 본디 자리로 복귀되며, 최초 액상으로 주입된 EO가스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기화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통 안착부(120)와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분사수단(126)을 통해 상기 제1챔버(111) 내부로 EO가스가 분사되어 상기 제1챔버(111) 내부에 놓인 의료기기 등을 멸균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수단(126)의 분사노즐 직경은 0.7π로 했을 때, 분사효과가 가장 탁월하다.
상기 가스를 이용한 멸균작업과정은 상기 제1가스배출수단(119)을 통한 가스의 배출과정만 다르며, 다른 과정들은 상기 스팀을 이용한 멸균작업과정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멸균부(150)는 제2챔버(151); 상기 제2챔버(151)에 구비되는 제2공급홀(152); 상기 제2챔버(151)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153); 상기 제2챔버(151)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수단(미도시); 상기 제2챔버(151)에 구비되는 제2가열수단(154); 및 상기 제2챔버(151)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도어(155);로 구성되며, 상기 제2개폐도어(155)는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도어(155)가 일측을 중심으로 개방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텐션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2개폐도어(155)의 개방시 상기 제2개폐도어(155)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개방제어단턱(117)을 갖는 잠금수단(116)이 구비된다.
상기 제2멸균부(150)는 스팀을 이용한 멸균작업 용도로만 사용하며, 상기 제1멸균부(110)와 상기 제1가스배출수단(119)의 구성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작동 설명도 상술한 제1멸균부(110)의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한편, 워터이젝트 등의 진공수단과 연결된 상기 제1배출홀(113)과 상기 제2배출홀(153)을 통하여 배출된 스팀, 물 및 EO가스는 물로 배출시키며, 상기 물은 본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출원번호 20-2006-0001658(명칭 : 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에서 소개된 절수장치를 사용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부(200)는 수도(水道)와 연결되어 상기 수도로부터 공급된 물을 필터링시키며, 상기 필터링된 물을 자외선 살균처리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필터부(미도시);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제3가열수단(미도시); 상기 제3가열수단을 통해 승온된 물이 배출되는 세척수 공급수단(220); 및 상기 다기능 멸균기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을 통한 물의 배출을 컨트롤하는 제어스위치(2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부(200)에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제1멸균부(110) 및 상기 제2멸균부(150)에도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컨트롤되는 상기 제어스위치(210)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손쉽게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최초 접촉시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220)을 통하여 승온된 물이나 살균소독제가 공급되며, 재접촉시 물이나 살균소독제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이용하여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급홀(112), 상기 제1배출홀(113), 상기 제2공급홀(152), 상기 제2배출홀(153) 등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컨트롤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멸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멸균기의 정면에서 본 설계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멸균기의 평면에서 본 설계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멸균부와 제2멸균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가스배출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가스배출수단의 장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멸균부의 개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개방제어단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멸균부 110 : 제1멸균부
111 : 제1챔버 112 : 제1공급홀
113 : 제1배출홀 114 : 제1가열수단
115 : 제1개폐도어 116 : 잠금수단
118 : 개방제어단턱
119 : 제1가스배출수단 120 : 가스통 안착부
121 : 가스통 지지수단 122 : 탄성수단
124 : 천공수단 125 : 구동수단
126 : 분사수단 150 : 제2멸균부
151 : 제2챔버 152 : 제2공급홀
153 : 제2배출홀 154 : 제2가열수단
155 : 제2개폐도어
200 : 세척부 210 : 제어스위치
220 : 세척수 공급수단

Claims (10)

  1. 가스와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멸균부;
    세척을 위하여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공급해주는 세척부; 및
    상기 멸균부와 상기 세척부를 컨트롤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멸균부는,
    가스 또는 스팀을 공급받아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제1멸균부; 및
    스팀을 공급받아 의료기기를 멸균시키는 제2멸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멸균부는,
    제1챔버;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는 제1공급홀;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
    상기 제1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수단;
    상기 제1챔버에 구비되는 제1가열수단;
    상기 제1챔버를 개폐시키는 제1개폐도어; 및
    상기 제1개폐도어에 구비되는 제1가스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멸균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1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1챔버에 잔존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가스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도어는,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개폐도어가 일측을 중심으로 개방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텐션스프링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1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1개폐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개방제어단턱을 갖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배출수단은 상기 개폐도어 내부에 설치되며,
    가열수단이 구비된 가스통 안착부;
    상기 가스통 안착부에 안착지지된 가스통을 천공시키는 천공수단;
    상기 천공수단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가스통 안착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가스의 주입시 상기 제1챔버 내부로 가스를 분사시키는 분사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통 안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오링이 구비된 가스통 지지수단;
    상기 가스통 지지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가스통 삽입시 상기 가스통이 소정의 저항을 받으며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가스통의 삽입시 상기 가스통의 삽입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멸균부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제2공급홀;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
    상기 제2챔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진공수단;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제2가열수단; 및
    상기 제2챔버를 개폐시키는 제2개폐도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도어는,
    일측이 힌지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개폐도어가 일측을 중심으로 개방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텐션스프링이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제2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2개폐도어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개방제어단턱을 갖는 잠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수도(水道)와 연결되어 상기 수도로부터 공급된 물을 필터링시키며, 상기 필터링된 물을 자외선 살균처리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해 필터링되고 자외선 살균처리된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제3가열수단;
    상기 제3가열수단을 통해 승온된 물이 배출되는 세척수 공급수단; 및
    상기 다기능 멸균기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수단을 통한 물의 배출을 컨트롤하는 제어스위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멸균기.
KR1020090033150A 2009-04-16 2009-04-16 다기능 멸균기 KR20100114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50A KR20100114663A (ko) 2009-04-16 2009-04-16 다기능 멸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50A KR20100114663A (ko) 2009-04-16 2009-04-16 다기능 멸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63A true KR20100114663A (ko) 2010-10-26

Family

ID=4313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150A KR20100114663A (ko) 2009-04-16 2009-04-16 다기능 멸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6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52A (ko) * 2019-04-18 2020-10-28 지창용 에어 이젝터를 이용한 선진공방식의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52A (ko) * 2019-04-18 2020-10-28 지창용 에어 이젝터를 이용한 선진공방식의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5140B1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disinfecting/sterilizing an endoscope
CN107921162B (zh) 洗消设备和洗消在洗消设备中的装载物的方法
CN104288798A (zh) 一种蒸汽消毒器
KR20120028413A (ko) 과산화수소, 오존 및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KR101215928B1 (ko) 오존을 이용한 소독 멸균장치 및 방법
CN206295462U (zh) 医疗设备消毒系统
KR20100114663A (ko) 다기능 멸균기
KR101073160B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고압증기 의료용 소독 멸균장치
US6499495B2 (en) Waste treatment system for suction canisters
KR100480993B1 (ko) 하반신 반신욕 욕조
KR100991179B1 (ko) 소변기 및 이를 이용한 비데장치
KR200444503Y1 (ko) 싱크대를 이용한 식기 살균기
CN110974671A (zh) 泌尿外科术后熏蒸清洗器
KR100902325B1 (ko) 수증기와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진공압 의료용 소독 멸균장치
CN110141118B (zh) 一种安全饮水装置及其控制方法
CN212662281U (zh) 一种针灸治疗用消毒装置
KR100734972B1 (ko) 기구 소독 장치
KR100755296B1 (ko) 의료용 소형 증기멸균기
KR100856057B1 (ko) 소독기
CN2885232Y (zh) 一种治疗肛肠疾病的药液熏蒸器
CN210019684U (zh) 一种骨科手术多功能消毒台
CN209933568U (zh) 一种体温计消毒装置
KR102060143B1 (ko) 무세제 세척이 가능한 젖병 세척기
CN109674412B (zh) 一种洗碗机消毒方法、消毒装置及洗碗机
JP4097168B2 (ja) 洗浄殺菌装置および洗浄殺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