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79A -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279A
KR20100114279A KR1020090032732A KR20090032732A KR20100114279A KR 20100114279 A KR20100114279 A KR 20100114279A KR 1020090032732 A KR1020090032732 A KR 1020090032732A KR 20090032732 A KR20090032732 A KR 20090032732A KR 20100114279 A KR20100114279 A KR 2010011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unit
lamp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277B1 (ko
Inventor
은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산전
Priority to KR1020090032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2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 변화에 따라 직류 전원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수단;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에서 공급된 구동전원으로 점등되는 조명등;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태양광 전압 검출부; 상용 AC전원을 입력받는 AC전원 입력부; 상기 AC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조명등에 인가하고 그 온/오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밝기를 제어하는 PWM 콘트롤부;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 변화에 따라 PWM 변조방식으로 제어한 직류 전원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며,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직류, 전력, 혼합, 조절, 태양광, 에너지, 조명, PWM

Description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C Power Mixing Controller}
본 발명은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 변화에 따라 직류 전원을 혼합하여 공급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래사회는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대비한 가장 확실하면서 효과적인 에너지원이 태양 에너지이다.
태양 에너지는 지구의 모든 에너지의 원천이며, 식물체의 엽록소가 태양광을 받아 광합성으로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에는 태양광을 직접 받아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이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대두되어 그 사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상태이며, 앞으로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응용 장치는 더 늘어날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광발전장치는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태양광발전장치는 통상의 태양전지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광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전지에 쪼여지면 태양광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태양전지에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한다.
이때 정공은 P형 반도체 쪽으로, 전자는 N형 반도체 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차가 발생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태양광발전장치의 장점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전력생산량이 일조량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조량이 부족할 경우 일정한 출력 전압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조량이 부족하여 태양광발전장치의 출력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떨어질 경우 AC전원으로 스위칭하여 동작하므로, 일정량 이하의 태양 에너지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 변화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방식으로 제어한 직류 전원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에너지만을 PWM 변조방식으로 보충하여 조명등에 공급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데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수단;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에서 공급된 구동전원으로 점등되는 조명등;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태양광 전압 검출부; 상용 AC전원을 입력받는 AC전원 입력부; 상기 AC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조명등에 인가하고 그 온/오 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밝기를 제어하는 PWM 콘트롤부;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과 PWM 콘트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방법은, 태양광 발전수단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정전압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조명등에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AC전원 입력부는 상용 AC전원을 입력받고, 정류부는 상기 AC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하여 상기 조명등에 공급하는 단계; PWM 콘트롤부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인가하고 온/오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조명등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 태양광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과 PWM 콘트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 변화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방식으로 제어한 직류 전원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일조량이 떨어져 발생하는 태양광 에너지의 부족한 전력을 AC전원으로부터 공급받아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에너지만을 PWM 변조방식으로 보충하여 조명등에 공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수단(10), 정전압부(20), 조명등(30), 태양광 전압 검출부(40), 제어부(50), 메모리부(60), AC전원 입력부(70), 정류부(80) 및 PWM 콘트롤부(90)를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수단(10)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잘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광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으로, 태양광발전의 장점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수단(10)은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태양전지와 축전지,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정전압부(20)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조명등(30)은 상기 정전압부(20)에서 공급된 구동전원으로 점등되며, 이를 위하여 공지의 전력제어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30)은 형광등 또는 백열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 형광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수명이 매우 길고 오염물질도 방출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할 수 있다.
태양광 전압 검출부(40)는 상기 정전압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한다.
예로서, 일조량이 부족하여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떨어질 경우 이러한 전압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AC전원 입력부(70)는 전력회사로부터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220V의 상용 AC전원을 입력받는다.
정류부(80)는 상기 AC전원 입력부(70)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한다.
PWM 콘트롤부(90)는 상기 정류부(8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류를 상기 조명등(30)에 인가하고 온/오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밝기를 제어한다.
즉, PWM 콘트롤부(90)는 펄스의 온 타임(On Time)을 1%부터 99%까지 제어하면서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40)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10)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30)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검출되는 전압과 PWM 콘트롤부(9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8)는 통상의 연산, 비교 및 판단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MICOM)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processor unit) 등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적용될 수 있다.
메모리부(60)는 본 발명의 제반기능을 수행하는 펌웨어(FIRMWARE)형태의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는 롬(ROM : Read Only Memory)과 제어부(5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동작영역으로서 활용되고 있는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모리(60)는 상기 제어부(50)에서 연산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롬(ROM)과 램(RAM) 외에도 별도의 플래시 롬(flash ROM), SD 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D1, D2는 전류를 일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이다.
상기 다이오드(D1, D2)는 각각 태양광 발전수단(10) 및 AC전원 입력부(70)로부터 조명등(30) 쪽으로 일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예로서, 일조량이 떨어져 태양광 에너지가 부족하여 상기 정전압부(20)로부터 충분한 전력을 조명등(30)에 공급하지 못할 경우,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40)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의 감소된 출력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태양광 발전수단(10)의 출력전압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감소량만큼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증가시켜 상기 조명등(30)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예로서, 태양광 에너지의 공급레벨이 100%일 경우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0로 하여 AC전원은 0%가 된다.
이때, 태양광 에너지의 공급레벨이 80%로 감소할 경우에는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증가시켜 AC전원은 20%로 공급하여 상기 조명등(30)에는 일정한 전원이 공급된다.
반대로, 일조량이 상승하여 태양광 에너지가 상기 정전압부(20)로부터 충분한 전력을 조명등(30)에 공급할 경우,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40)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의 증가된 출력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태양광 발전수단(10)의 출력전압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가량만큼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감소시켜 상기 조명등(30)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태양광 발전수단(10)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정전압부(20)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조명등(30)에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1~S102)를 수행한다.
이후, AC전원 입력부(70)는 상용 AC전원을 입력받고, 정류부(80)는 상기 AC전원 입력부(70)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하는 단 계(S103~S104)를 수행한다.
PWM 콘트롤부(90)는 상기 정류부(8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조명등(30)에 인가하고 그 온/오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조명등(30)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S105)를 수행한다.
태양광 전압 검출부(40)는 상기 정전압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6)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40)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10)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30)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07)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90)의 온 타임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108~S109).
또한,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10)에서 검출되는 전압과 PWM 콘트롤부(9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명등을 점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 변화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방식으로 제어한 직류 전원을 혼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일조량이 떨어져 발생하 는 태양광 에너지의 부족한 전력을 AC전원으로부터 공급받아 항상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에너지의 출력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에너지만을 PWM 변조방식으로 보충하여 조명등에 공급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력 혼합 조절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태양광 발전수단 20 : 정전압부
30 : 조명등 40 : 태양광 전압 검출부
50 : 제어부 60 : 메모리부
70 : AC전원 입력부 80 : 정류부
90 : PWM 콘트롤부 D1, D2 : 다이오드

Claims (6)

  1.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수단;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에서 공급된 구동전원으로 점등되는 조명등;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태양광 전압 검출부;
    상용 AC전원을 입력받는 AC전원 입력부;
    상기 AC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조명등에 인가하고 그 온/오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밝기를 제어하는 PWM 콘트롤부;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과 PWM 콘트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4. 태양광 발전수단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고, 정전압부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변환된 전기를 일정전압으로 안정시켜 조명등에 직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01~S102);
    AC전원 입력부는 상용 AC전원을 입력받고, 정류부는 상기 AC전원 입력부에서 입력된 AC전원을 직류 구동전원으로 정류 및 안정화하는 단계(S103~S104);
    PWM 콘트롤부는 상기 정류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조명등에 인가하고 그 온/오프의 타임을 조절하여 조명등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S105);
    태양광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정전압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6);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태양광 발전수단의 출력전압을 확인하고, 그 레벨의 증감에 따라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등에 일정한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낮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증가시키고,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높을수록 상기 PWM 콘트롤부의 온 타임을 감소시키는(S108~S109)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태양광 발전수단에서 검출되는 전압과 PWM 콘트롤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상호 반비례 관계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력 혼합 조절 방법.
KR1020090032732A 2009-04-15 2009-04-15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00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32A KR101002277B1 (ko) 2009-04-15 2009-04-15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32A KR101002277B1 (ko) 2009-04-15 2009-04-15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79A true KR20100114279A (ko) 2010-10-25
KR101002277B1 KR101002277B1 (ko) 2010-12-20

Family

ID=4313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32A KR101002277B1 (ko) 2009-04-15 2009-04-15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7854A (zh) * 2010-12-31 2011-06-15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电源供电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20393641A1 (en) * 2021-06-07 2022-12-08 Ndsu Research Foundation Solar energy power conver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258A (ja) * 2000-03-24 2001-10-05 Tokico Ltd 太陽電池システム
KR200209969Y1 (ko) 2000-08-02 2001-01-15 한국원자력연구소 혼합 발전형 가로등
KR100880680B1 (ko) * 2007-08-22 2009-01-30 라이텍코리아 (주) 절전형 횡단보도용 엘이디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7854A (zh) * 2010-12-31 2011-06-15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电源供电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20393641A1 (en) * 2021-06-07 2022-12-08 Ndsu Research Foundation Solar energy power conversion system
US11984846B2 (en) * 2021-06-07 2024-05-14 Ndsu Research Foundation Solar energy power conver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277B1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297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led 조명 시스템
JP5423803B2 (ja) 直流電源給電システム
EP2670016A2 (en) Apparatus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method thereof
US107349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power production in a power module
KR101135990B1 (ko) 가변 어레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0876968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CN105226800A (zh) 一种太阳能光伏发电城市照明系统
JP2009153306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794837B1 (ko) 태양광 발전기의 충·방전 제어 유닛 시스템
CN104284494A (zh) 光伏led直流供电控制系统
KR200402306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방전 조절 장치
KR101764651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연계형 전력공급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002277B1 (ko) 직류 교류 전력 혼합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491744B1 (ko) 고효율 장수명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KR101492616B1 (ko) 승압용 충전지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Sarkar et al. Smart street-lighting using green energy designing a novel stand-alone solar powered lighting system
KR100852505B1 (ko) 가로등 전원 공급장치
KR101424548B1 (ko) 태양광을 이용한 led 제어장치
BG66619B1 (bg) Метод за управление на натрупването и разхода на енергия от автономни енергийни източници и устройство, реализиращо метода
KR20150071396A (ko) 광전지 컨버터와 저전압 직류/직류 컨버터의 병렬 운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e Zoysa et al.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DC microgrid with uninterrupted power supply capability and optimizing its energy usage by smart controlling system
JP2012054142A (ja) Led照明システム
JP2011146294A (ja) 照明装置
TWI450466B (zh) Applicable to a variety of power sources of intelligent energy storage system
CN105990830B (zh) 太阳能与其他能源自动调节供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