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46A -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246A
KR20100114246A KR1020090032680A KR20090032680A KR20100114246A KR 20100114246 A KR20100114246 A KR 20100114246A KR 1020090032680 A KR1020090032680 A KR 1020090032680A KR 20090032680 A KR20090032680 A KR 20090032680A KR 20100114246 A KR20100114246 A KR 2010011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pplicator
locking tip
connecting portion
locking
co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회
Original Assignee
알엔디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엔디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알엔디 그룹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9003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246A/ko
Publication of KR2010011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46D1/055Combing; Mixing; Sorting

Landscapes

  •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화장용 도포구는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되는 도포부(12) 및 솔대(20,30)와 연결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후로킹팁(10)의 연결부(13)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하고 그 도포부(12)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또한, 상기 후로킹팁(10)과 솔대(30)가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은 후로킹팁(10) 중 그 연결부(13)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및 상기 1차 성형된 후로킹팁(10)의 연결부(13) 상에 상기 도포부(12)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중 사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로킹팁을 이중사출에 의해 그 연결부의 경도는 높이면서도 도포부의 경도는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솔대와 연결부 간의 조립강도 및 도포부의 터치감 향상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후로킹팁과 솔대 간의 일체형 이중 사출을 통해 종래와 같이 이들이 서로 분리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도포구의 제조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후로킹팁, 솔대, 이중사출, 경도

Description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입술이나 눈 또는 얼굴의 윤곽을 따라 도포하며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도포구의 후로킹팁을 이중사출에 의해 그 연결부의 경도는 높이면서도 도포부의 경도는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솔대와 연결부 간의 조립강도 및 도포부의 터치감 향상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후로킹팁과 솔대 간의 일체형 이중 사출을 통해 종래와 같이 이들이 서로 분리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도포구의 제조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얼굴을 아름답게 표현할 목적으로 액상, 분상 또는 고상의 화장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중 화장품을 입술이나 눈꺼풀 또는 얼굴의 피부 등에 도포함에 있어서는 솔대나 캡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솔대의 말단부에 형성된 후로킹팁에 화장품을 묻힌 후 이 후로킹팁을 해당 부위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며 도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일례로, 도 1은 립글로스나 아이라이너와 같은 액상 화장품용으로 적합한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 및 도포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품은 통상적으로 원통 또는 다각형의 용기(1)에 담아 제공하고, 이 용기(1)를 개폐시키는 캡(2)과, 이 캡(2)과 연결되어 캡(2)을 용기(1)에 결합시키면 그 내부로 자연스럽게 수납이 이루어지게 되는 솔대(3)와, 이 솔대(3)와 함께 상기 용기(1)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화장품을 그 표면에 묻히게 되고 상기 용기(1) 외부에서 입술이나 눈꺼풀 또는 얼굴의 피부와 접촉되어 화장품을 도포하게 되는 후로킹팁(4)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후로킹팁(4)은 화장품이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부(미도시) 및 솔대(3)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갖는 구조로 되어있고, 이 도포부에 대개의 경우 화장품이 흡수 가능하도록 하는 솔이 구비되며, 이러한 종래의 솔은 복수의 모가 상기 후로킹팁(4)의 하단에서 곧게 하향 연장된 형상(미도시)을 가지거나, 또는 복수의 후로킹파일(flocking pile)(5)이 부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후로킹파일(5)이 부착된 형태의 후로킹팁(4)을 구비한 종래의 화장용 도포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용기(1)에 적용되는 캡(2)과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후로킹파일(5)의 오염이나 손상을 줄이고, 후로킹파일(5)의 부착영역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상기 후로킹팁(4)을 상기 솔대(3)와 별도로 사출 제작하고 표면에 플로킹파일(5)을 부착시켜 제조한 후, 상기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솔대(3)에 일부를 끼워 결합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후로킹팁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경도가 낮은 재질로 제작될 경우 후로킹팁의 연결부와 솔대 간의 조립 강도가 약해서 사용 도중 서로 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될 경우에는 후로킹팁의 도포부 감촉이 딱딱해서 화장시 터치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후로킹팁과 솔대를 각각 개별적으로 사출 제조한 후 조립 과정을 통해 서로 조립하여야 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번거롭게 됨은 물론 이에 따른 노동력 및 노동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용 도포구의 후로킹팁을 이중사출에 의해 그 연결부의 경도는 높이면서도 도포부의 경도는 낮출 수 있도록 하여 솔대와 연결부 간의 조립강도 및 도포부의 터치감 향상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후로킹팁과 솔대 간의 일체형 이중 사출을 통해 종래와 같이 이들이 서로 분리될 염려가 없음은 물론 도포구의 제조가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화장용 도포구는 후로킹파일이 도포되는 도포부 및 솔대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후로킹팁을 구비한 화 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은 그 연결부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하고 그 도포부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은 솔대와 억지 끼움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분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과 솔대가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사출 성형시 소정의 심대를 더 성형하여 도포부의 2중 사출시 이 도포부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연결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의 도포부는 하단 원기둥 형상에서 상방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그 상단부가 라운드진 이중도포면을 갖는 대직경 구조로 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는 도포부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기둥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 및 연결부의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은 후로킹파일이 도포되는 도포부 및 솔대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후로킹팁을 구비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은, 그 연결부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및 상기 1차 성형된 후로킹팁의 연결부 상에 상기 도포부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은 솔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생긴 가압돌기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과 솔대가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사출 성형시 소정의 심대를 더 성형하여 도포부의 2중 사출시 이 도포부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도포부가 연결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의 도포부는 하단 원기둥 형상에서 상방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그 상단부가 라운드진 이중도포면을 갖는 대직경 구조로 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는 도포부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 및 연결부의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은 이중사출을 통해 후로킹팁의 연결부 경도는 높이면서도 도포부의 경도는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와 솔대 간의 조립강도 및 도포부의 터치감 향상에 따 른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후로킹팁의 연결부와 솔대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솔대와 후로킹팁의 별도 제작과 조립에 소모되던 시간과 인력의 소모를 줄여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솔대와 후로킹팁을 각각 사출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장비나 펀칭장비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작원가를 보다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후로킹팁의 연결부와 솔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 또는 손질 및 관리 중에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후로킹팁이 솔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는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되는 도포부(12) 및 솔대(20,30)와 연결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후로킹팁(10) 중 그 연결부(13)는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하고 그 도포부(12)는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후로킹팁(10)은 그 도포부(12)와 연결부(13)의 경도뿐만 아니라 재질이나 색상을 다르게 하여 이중 사출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는 하단 원기둥 형상에서 상방 중앙 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그 상단부가 라운드진 이중도포면(12a)을 갖는 대직경 구조로 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13)는 도포부(12)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이중도포면(12a)을 형성함으로써 화장시 도포부(12) 양측면을 다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폭이 다양하게 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면적도 넓게 형성되어 화장품을 충분히 묻힐 수 있게 되어 도포구의 빈번한 용기 투입 작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포부(12) 및 연결부(13)의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12b,13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포부(12)의 경사면(12b)을 형성함으로써, 도포부(12)의 경사면(12b)까지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된 상태로 솔대(20)가 결합되면 상기 도포부(12)의 직경과 솔대(20)의 직경이 거의 비슷하게 되어 외형이 미려하게 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의 경사면(13b)을 통해서는 솔대(20)와의 조립시 연결부(13)가 솔대(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그 삽입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로킹팁(10)은 그 연결부(13)가 관체 형상의 솔대(2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솔대(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생긴 가압돌기(22)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후로킹팁(10)과 솔대(30)가 이중 사출 방식, 즉 전체적으로 3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으 며, 이밖에,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손잡이(미도시) 등과도 2중 사출, 즉 4중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등 다중 사출을 통해 후로킹팁(10)을 포함한 다른 구성 요소들과도 그 일체형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후로킹팁(10)과 솔대(30)가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 성형되면 이들이 서로 분리될 염려 없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제조시간 및 노동력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로킹팁(10)은 연결부(13)의 사출 성형시 소정의 심대(13a)를 더 성형하여 도포부(12)의 2중 사출시에 이 도포부(12)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이 도포부(12)가 연결부(1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13)의 심대(13a)를 길다란 일자형 핀 형상으로 표현하였지만, 이밖에 도포부(12)의 결합 상태를 다양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심대들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은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되는 도포부(12) 및 솔대(20,30)와 연결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후로킹팁(10) 중 그 연결부(13)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및 이렇게 1차 성형된 후로킹팁(10)의 연결부(13) 상에 상기 도포부(12)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후로킹팁(10)은 솔대(20)와 억지 끼움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분리 구성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후로킹팁(10)과 솔대(30)가 이 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중 사출의 경우, 연결부(13)의 사출 성형시에 소정의 심대를 더 성형하여 도포부(12)를 2중 사출할 때 이 도포부(12)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도포부(12)가 연결부(1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는 하단 원기둥 형상에서 상방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그 상단부가 라운드진 이중도포면(12a)을 갖는 대직경 구조로 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13)는 도포부(12)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제조되고, 상기 도포부(12) 및 연결부(13)의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12b,13b)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중도포면(12a)을 형성함으로써, 화장시 도포부(12) 양측면을 다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폭이 다양하게 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면적도 넓게 형성되어 화장품을 충분히 묻힐 수 있게 되어 도포구의 빈번한 용기 투입 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포부(12)의 경사면(12b)까지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된 상태로 솔대(20)가 결합되면 상기 도포부(12)의 직경과 솔대(20)의 직경이 거의 비슷하게 되어 외형이 미려하게 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의 경사면(13b)을 통해서는 솔대(20)와의 조립시 연결부(13)가 솔대(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그 삽입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후로킹팁(10)의 성형을 완성하고 다시 솔대(20,30)와의 연결이 완료 되고 나면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에 후로킹파일(11)을 도포하여 최종적으로 화장용 도포구의 제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후로킹파일(11)의 도포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소정의 접착제 도포단계에서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소정의 후로킹파일 부착단계에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를 복수의 후로킹파일(11)이 위치하는 공간에 노출시켜 이와 동시에 복수의 후로킹파일(11)을 도포부(12)의 표면에 부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로킹파일(11)이 도포부(12)에 부착되는 원리는, 일례로서 상기 후로킹팁(10)에 전기장을 걸어 이 후로킹팁(10)을 대전시키는 동시에 이 후로킹팁(10)과 분리된 상태로 후로킹파일(11)들도 대전시킨 다음,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면(12)을 대전된 상기 후로킹파일(11)들이 있는 공간에 위치시키면 대전되어 있는 후로킹파일(11)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면(12)에 부착되면서 도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액상의 화장품에 적용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상 및 분상을 포함하여 립글로스, 립스틱, 아이라이너, 아이브러시, 볼터치, 컨실러를 포함한 화장품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중 후로킹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중 후로킹팁과 솔대가 가압돌기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중 후로킹팁과 솔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중 후로킹팁이 이중 사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포구 중 후로킹팁의 도포부에 후로킹파일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 2 : 캡
3 : 솔대 4 : 후로킹팁
5 : 후로킹파일 10 : 후로킹팁
11 : 후로킹파일 12 : 도포부
12a : 도포면 12b : 경사면
13 : 연결부 13a : 심대
13b : 경사면 20, 30 : 솔대
22 : 가압돌기

Claims (12)

  1.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되는 도포부(12) 및 솔대(20,30)와 연결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후로킹팁(10)을 구비한 화장용 도포구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은 그 연결부(13)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하고 그 도포부(12)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은 솔대(2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생긴 가압돌기(22)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과 솔대(30)가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의 사출 성형시 소정의 심대(13a)를 더 성형하여 도포부(12)의 2중 사출시 이 도포부(12)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연결부(1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는 하단 원기둥 형상에서 상방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그 상단부가 라운드진 이중도포면(12a)을 갖는 대직경 구조로 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13)는 도포부(12)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기둥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12) 및 연결부(13)의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12b,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7. 후로킹파일(11)이 도포되는 도포부(12) 및 솔대(20,30)와 연결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 후로킹팁(10)을 구비한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은, 그 연결부(13)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1차 성형단계; 및
    상기 1차 성형된 후로킹팁(10)의 연결부(13) 상에 상기 도포부(12)를 경도가 낮은 재질로 하여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2차 성형단계;
    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은 솔대(20)와 억지 끼움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분리 구성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과 솔대(30)가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의 사출 성형시 소정의 심대(13a)를 더 성형하여 도포부의 2중 사출시 이 도포부(12)의 중심부를 지지하여 도포부(12)가 연결부(1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로킹팁(10)의 도포부(12)는 하단 원기둥 형상에서 상방 중앙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그 상단부가 라운드진 이중도포면(12a)을 갖는 대직경 구조로 되고, 그 하측의 연결부(13)는 도포부(12)보다 직경이 작은 소직경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12) 및 연결부(13)의 하단부에 각각 경사면(12b,1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KR1020090032680A 2009-04-15 2009-04-15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4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80A KR20100114246A (ko) 2009-04-15 2009-04-15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80A KR20100114246A (ko) 2009-04-15 2009-04-15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46A true KR20100114246A (ko) 2010-10-25

Family

ID=4313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80A KR20100114246A (ko) 2009-04-15 2009-04-15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2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530A (ko) * 2015-05-20 2020-03-03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CN111050598A (zh) * 2017-08-30 2020-04-2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尖端涂抹器及具备该尖端涂抹器的化妆品涂抹装置
KR20210074354A (ko) * 2019-07-10 2021-06-21 오벡스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530A (ko) * 2015-05-20 2020-03-03 로레알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CN111050598A (zh) * 2017-08-30 2020-04-2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尖端涂抹器及具备该尖端涂抹器的化妆品涂抹装置
KR20210074354A (ko) * 2019-07-10 2021-06-21 오벡스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체 및 이 도포체를 구비하는 도포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05B1 (ko) 2 개의 조립된 부분을 포함하는 도포기 부재
KR100820076B1 (ko) 마스카라 브러시
KR200396785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CN106333471B (zh) 具有弹性狭缝部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CN104507358A (zh) 化妆品涂抹器、装置以及相关方法
CN207041183U (zh) 其上一体形成有按钮的粉盒容器
CN107580465A (zh) 用于涂抹美容产品的涂抹器
CN109892794A (zh) 用于化妆品的两部分式涂敷器
EP3462976B1 (en) Cosmetic applicator having molded brush and comb portions
CN106333472A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200393379Y1 (ko) 속눈썹 화장용 마스카라 브러쉬
KR101978867B1 (ko) 방향성을 갖는 립스틱 용기
KR20110057043A (ko) 이형(異形)의 브러시모가 양분 형성되어 있는 마스카라 브러시
KR200489381Y1 (ko) 화장품 용기
KR20100114246A (ko) 화장용 도포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0449A (ko) 히팅 어플리케이터
CN106659281A (zh) 化妆品,特别是睫毛膏用涂敷器、涂敷器和产品容器的组合件、制造涂敷器的方法和装置
KR20140003580U (ko) 몸체에 블레이드가 형성된 화장도구
EP3662781A1 (en) Cosmetic brush
KR200477178Y1 (ko) 모브러쉬와 실리콘브러쉬가 결합된 히팅 마스카라
KR101642342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마스카라 브러쉬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CN107668903B (zh) 一种使用方便的且安全的化妆用装粉装置
KR200425536Y1 (ko) 마스카라
CN218044166U (zh) 包胶金属睫毛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