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666A -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 Google Patents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666A
KR20100113666A KR1020090032063A KR20090032063A KR20100113666A KR 20100113666 A KR20100113666 A KR 20100113666A KR 1020090032063 A KR1020090032063 A KR 1020090032063A KR 20090032063 A KR20090032063 A KR 20090032063A KR 20100113666 A KR20100113666 A KR 20100113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installation
fire door
safet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재
Original Assignee
한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재 filed Critical 한명재
Priority to KR102009003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3666A/ko
Publication of KR2010011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양 도어용 방화문에 적용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작용(미는 힘)에 의한 도어 닫힘부위의 유격(틈새)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되게 하여, 불법도구에 의한 방화문용 양 도어의 해체작업을 불가되도록 하고, 아울러, 공지의 단문용 안전브라켓과 상호 연계 되는 사용관계로서, 견고한 이중 마감구조를 취하도록 하여, 안적적인 방범기능과 함께, 제품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내측면 테두리에 밀착패킹이 결합된 소정길이의 보강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보강판의 상,하부면에 직각 절곡구조를 취하는 한쌍의 대칭구성으로, 체결공이 구비된 설치편을 일체로 형성되게 하며;
재차, 상기, 설치편이 형성된 보강판 일측면에 설치간섭 방지홈을 더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safty structure of door}
본 발명은 출입문에 적용되는 안전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틈새 보강기능에 의해 내구성을 증대되도록 하여, 출입문을 통한 외부 침입자의 불법적인 침투를 미연에 방지되게 함으로서, 보안성 및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방화문이라 함은, 선택적 개폐기능에 의해 각종 건물의 출입을 단속하고, 화재 발생시 불길이 번지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통상의 철재 출입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화문은 그 설치형태에 따라 단일 혹은 양 도어 개폐방식을 갖게 된다.
이에, 일반적으로 널리 설치, 이용되고 있는 종래 강화문의 일예를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서;
출입구를 형성하는 문틀(10)과, 상기, 출입구의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본체(20)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도어본체(20)의 일측면에 열쇠에 의한 괘,해정 기능과 손잡이 기능을 병행하는 도어핸들(30)을 창작되게 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방화문에 있어, 도어본체(20)의 외측 일면 모서리 부위로는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로 돌출된 마감편(40)이 일체화 구조로 더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감편(40)은 도어본체(20)의 닫힘 또는 잠금시, 문틀(10)과 도어본체(2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마감처리되게 하여, 상기 틈새로 불법 해정도구(철사 또는 얇은 판체)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도어본체로 구비된 마감편의 구성이 매우 얇은 판상체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이에 철사 또는 얇은 판체로 이루어진 불법도구의 유입은 어느 정도 차단되게 할 수 있으나,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불법도구, 다시 말해 노루발 장도리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마감편에 강제적인 충격 내지 외력을 가할 경우, 마감편이 휨 변형 되거나 파손되며, 문틀과 도어본체가 접하고 있는 틈새를 쉽게 벌어지게 하는 등, 견고성 저하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아울러, 이와같은, 마감편의 견고성 저하에 따라 외부 침입자가 도어핸들의 잠금상태를 쉽게 해체시키며 불법적인 침투행위를 행하게 되는 등, 상당한 안정성결함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방화문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한 것으로서,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과 도어본체의 틈새를 보강되도록 한 "강화문용 안전브라켓(100)"(실용신안등록 제0397197호)이 선출원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로서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은, 단지, 단일 도어용 방화문에 한정적으로 적용할 수 밖에 없는 매우 제한적인 구조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양 도어형 방화문은, 출입구의 좌,우 양측면에 상호 대칭되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복수개의 도어가 서로 맞물림 상태를 취하며, 출입구의 개폐를 단속되게 하는 것임을 알수 있는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양 도어용 방화문은 좌,우 양 도어가 닫힘되고, 그 닫힘부위에 전술한 선원기술로서의 안전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라 할지라도, 좌,우 양측면이 모두 자유 회동구조로 개폐되는 구조적 특성상, 외부로 부터 일정한 외력(미는 힘) 이 작용될 경우, 그 양도어 닫힘 부위에 소정의 유격(틈새)을 필연적으로 발생시키며, 그 틈새를 통해 불법도구를 쉽게 유입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으로, 이에, 전술한 선원기술로서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은, 그 사용관계에 있어, 매우 제한적인고, 한정적이 구조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단문 도어용(강화문) 안전브라켓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양측면을 통해 개폐가 단속되는 방화문, 즉, 양 도어용 방화문에 적용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작용(미는 힘)에 의한 도어 닫힘부위의 유격(틈새)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되게 하여, 불법도구에 의한 방화문용 양 도어의 해체작업을 불가되도록 하고, 아울러, 공지의 단문용 안전브라켓과 상호 연계 되는 사용관계로서, 견고한 이중 마감구조를 취하도록 하여, 안적적인 방범기능과 함께, 제품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출입관계를 위해, 좌,우 양측 도어의 개방상태를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할 경우, 설치된 안전브라켓을 선택적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하여, 그 안전브라켓에 의한 출입자의 신체의 걸림, 또는, 물품운반 과정 등에 있어서의, 걸림현상 등을 예방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취급 및 사용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한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내측면 테두리에 밀착패킹이 결합된 소정길이의 보강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보강판의 상,하부면에 직각 절곡구조를 취하는 한쌍의 대칭구성으로, 체결공이 구비된 설치편을 일체로 형성되게 하며;
재차, 상기, 설치편이 형성된 보강판 일측면에 설치간섭 방지홈을 더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 브라켓은, 보강판에 의한 밀착지지 기능에 의해, 양 도어 방화문을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도어 닫힘부위의 유격(틈새)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되도록 한 것이며, 아울러, 이러한, 틈새발생 예방기능에 따라 불법도구에 의한 방화문용 양 도어의 해체작업을 불가되게 하여, 견고한 방범기능과 함께 제품의 사용 신뢰도를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또 다르게, 보강편에 선택적인 접철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자 출입을 위한 양도어 개방시, 불필요한 신체 및 물품 걸림현상 등을 예방되게 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관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측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정면 설치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설치상태 사시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보강판(1)과, 설치편(2), 그리고, 설치간섭 방지홈(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보강판(1)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체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이에, 이와 같은 보강판(1)은, 도 2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면 테두리가 직각 절곡된 형상을 취하며, 그 절곡부위 전면에 걸쳐, 탄력적 완충작용을 행하는 밀착패킹(11)을 더 결합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보강판(1)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적으로 설계변경하여, 설치범위(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설치편(2)은, 전술한 보강판(1)의 상,하부면에 상호 대칭되는 한쌍의 구조로 일체화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이러한, 설치편(2)은,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체 구조를 취하며, 그 설치편(2) 중앙부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구조의 체결공(21)을 더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치편(2)의 내측면 테두리는, 직각절곡된 형태을 취하며, 전술한 보강판(1)에 있어, 밀착패킹(11)이 연장 결합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간섭 방지홈(3)은 설치편(2)이 형성된 상기 보강판(1)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체화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설치간섭 방지홈(3)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은 "ㄷ"자 형상의 요홈구조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갖는 방화문용 양도어 브라켓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프레스 가공 내지 판금 가공공정 등을 통해 단일화된 몸체구성으로, 일체화 형성되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가공과정을 통해, 보강판(1)의 상,하부면에 직각 절곡 구조로서, 대칭되는 한쌍의 설치편(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설치편(2)이 형성된 보강판(1)의 일측면에 "ㄷ"자 요홈구조를 취하는 설치간섭 방지홈(3)을 일체로 더 성형 구성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 브라켓은, 도 4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면에 한쌍의 도어가 설치된 출입문, 즉, 양 도어용 방화문에 설치, 이용되는 것으로, 그 일련의 설치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지의 선원기술인 강화문용 안전브라켓(100)과 연계 사용관계를 갖는 구조로서, 먼저, 공지물품인 강화문용 안전브라켓(100)을, 양 도어용 방화문(200)에 있어, 잠금로드와 계폐걸쇄가 내설된(도시생략) 일측 방화문(201)의 측면부에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설치되게 한다.
이때, 이러한, 설치관계는 선원기술로서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과 상이함이 없는 동일한 설치관계를 갖는 것이다.
이에, 이와 같은 상태하에, 상기 공지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100) 설치부위 상,하부면에, 도 5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설치편(2)을 밀착시켜, 볼트 또는 너트(도시생략)에 의한 체결관계를 갖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브라켓을 장착,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 설치간섭 방지홈(3)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100)을, 도 4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판(1)에 걸림되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유도, 수용하며, 용이한 설치관계를 갖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설치관계로서, 일측 방화문(201)을 타측 방화문(202)에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있어, 보강판(1)은 타측 방화문(202)을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보강판(1)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밀착패킹(11)에 의해, 보강판(1)과 타측 방화문(202)의 밀착, 고정력을 증대되게 하여, 방화문 닫힘 부위의 이격 발생을 방지되게 함으로서, 불법도구에 의한 해제작업 등을 불가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또 따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보강판(1)의 상,하부면에 상호 대칭되는 한쌍의 설치편(2)을 직각 절곡구조로 형성하되, 그 직각절곡 부위에 힌지연결구(H)를 더 구비시켜, 상기 보강판(1)을 도 6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 회동작용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출입관계를 위해, 방화문의 좌,우측 도어의 개방상태를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할 경우, 설치된 보강판(1)을 선택적으로 접철되게 하여, 그 보강판(1)에 출입자의 신체 걸림, 또는, 물품운반 과정 등에 있어서의, 걸림현상 등을 예방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또 다른 설치사용상태도로서, 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 도어용 방화문에 있어, 공지의 강화문용 안전브라켓(100)은 일측 방화문에,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양도어 안전브라켓은 타측 방화문에, 상호 분리 설치되게 하여, 그 사용관계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설치부위에 변경에 불과 할 뿐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방화문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정면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브라켓의 또 다른 설치상태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강판 2 : 설치편 3 : 설치간섭 방지홈
11 : 밀폐패킹 21 : 체결공 H : 힌지연결구

Claims (2)

  1. 내측면 테두리에 밀착패킹이 결합된 보강판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의 상,하부면에 직각 절곡구조를 취하는 한쌍의 대칭구성으로, 체결공이 구비된 설치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설치편이 형성된 보강판 일측면에 설치간섭 방지홈을 더 구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편은, 힌지조립구를 연결수단으로 하여, 보강판의 상,하부면에 회동 접철구조로 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용 양 도어 안전브라켓.
KR1020090032063A 2009-04-14 2009-04-14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KR20100113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63A KR20100113666A (ko) 2009-04-14 2009-04-14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063A KR20100113666A (ko) 2009-04-14 2009-04-14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666A true KR20100113666A (ko) 2010-10-22

Family

ID=4313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063A KR20100113666A (ko) 2009-04-14 2009-04-14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36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46B1 (ko) * 2022-05-18 2022-07-13 (주)동방파스텍 쌍여닫이 방화문용 도어록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46B1 (ko) * 2022-05-18 2022-07-13 (주)동방파스텍 쌍여닫이 방화문용 도어록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6878B1 (en) Safe construction for swing and slide door
US3888530A (en) Bolt guards for door
US9127505B2 (en) Plate for protecting door edge adjacent hardware
US6357509B1 (en) Security closure for dwelling openings
US8407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door jambs
WO2007104704A3 (en) Security lock hook-shape latch reinforcement pins
US6418669B1 (en) Doorjamb reinforcement plates
US4530531A (en) Device for securing sliding closures
KR200397197Y1 (ko) 강화문용 안전브라켓
KR20100113666A (ko) 방화문용 양도어 안전 브라켓
US10260255B2 (en) Double latch high security striker box
US10227794B1 (en) Safe and secure door plate
US20070029823A1 (en) Retrofittable reinforced door jamb plate
US1601482A (en) Window-sash lock
US20080202034A1 (en) Door jamb locking plate assembly
US20140346787A1 (en) Safe and Secure Door Plate
AU2008258144B2 (en) Improvements in Locks
KR200345893Y1 (ko) 출입문용 보조 잠금장치
KR101322930B1 (ko) 출입문용 방범부재
CN217760734U (zh) 一种具有加固防盗机构的防盗安全门
GB2409233A (en) Lock device
JP2005273172A (ja) こじ開け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ドア
JP2005097866A (ja) ハンドル操作による施錠装置
JP2652360B2 (ja) 対地震用ドア
KR20230087921A (ko) 방화문 문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