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142A -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142A
KR20100113142A KR1020107019057A KR20107019057A KR20100113142A KR 20100113142 A KR20100113142 A KR 20100113142A KR 1020107019057 A KR1020107019057 A KR 1020107019057A KR 20107019057 A KR20107019057 A KR 20107019057A KR 20100113142 A KR20100113142 A KR 2010011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function
mov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31868B1 (en
Inventor
에이타 가츠
미치아키 고이즈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원하는 조작키의 조작만을 무효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무효조작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조그다이얼(7)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 모드로 변환되면, 표시제어부(110)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면(2)에 변환된 기능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 바(6)는, 화상이 표시된 당초,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BL)에 위치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고, 이것에 의하여, 바(6)가 경계(BL)로부터 조작영역(R2)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CPU(100)는,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CPU(100)는, 바(6)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고, 바(6)와 경계(BL) 사이에 위치하는 조작키에 대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설정을 행한다.
Provided is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that can invalidate only a desired operation key and can perform the invalid operation simply.
When the mode is switched to the predetermined function mode by operating the jog dial 7, the image of the function mode converted on the display surface 2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image signal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The bar 6 is initially located at the boundary BL between the content area R1 and the operation area R2. When the jog dial 7 is operated by the user, whereby the bar 6 moves from the boundary B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eration area R2, the CPU 100 causes the bar 6 to be moved.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has moved. Then, the CPU 100 detects the new position of the bar 6 and sets a setting to invalidate the operation on the operation key located between the bar 6 and the boundary BL.

Figure P1020107019057
Figure P1020107019057

Description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최근,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휴대 단말장치에서, 디스플레이면 상에 터치패널을 배치하고, 디스플레이면에 표시한 조작키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펜으로 누름으로써, 여러가지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 user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by arranging a touch panel on a display surface and pressing a manipulation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Doing.

그러나, 터치패널은 약한 가압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기기가 오작동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touch panel responds to weak pressurization, it is easy to receive operation not intended by the user. For this reason,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an apparatus was easy to malfunct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부(조작키)의 입력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적절하게 변환 가능한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use a configuration in which a switch unit capable of appropriately converting whether to input or invalidate an input of an input unit (operation key) is provided.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조작에 방해가 되는 조작키만을 무효로 할 수 없어, 반드시 사용상 편리성이 좋은 것은 아니었다. However, in the above configuration, only operation keys that interfere with operation cannot be invalidated, and convenience in use was not always goo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하는 조작키의 조작만을 무효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무효 조작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capable of invalidating only an operation of a desired operation key and easily performing the invalid operation.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가진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키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의 조작부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이동자의 정지위치와 상기 제 1 표시영역과의 사이에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한다.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control unit that divides a display unit and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nd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se areas.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a mover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movable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nd for moving the mover. And a first control unit and a function control unit for invalid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between the stop position of the mov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first display area.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상기 제 1 조작부에 의해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에 상기 이동자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한다.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section, an area divider for dividing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rt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a mover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movable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 first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mover, And a function control unit for invalid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displayed between the mover and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mover stops after the mover has moved by the first operation unit.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서의 컴퓨터에, 상기 제 2 표시영역에서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 정지하였을 때,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The progra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display area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on the second display area, and further includes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first display area. A computer in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a mover movable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wo display areas on the display area, when the mover stops after moving the mover in the second display area; The function of invalid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s displayed between the display areas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 4 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은,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서의 컴퓨터에, 조작키의 표시영역을 이동자가 이동한 후 정지하였을 때, 상기 이동자와 상기 표시영역의 경계 사이에 있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key located between a boundary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display area when the mobile device stops after moving the display area of the operation key to a computer in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This is to give a function to invalidate the operation.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텔레비전 모드 및 메일 모드의 양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메일 모드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에 사용하는 설정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전화 모드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에서, 텔레비전 모드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은 오로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a double-sided display of television mode and mail mode in the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ing in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 key operation invalid operation is performed in a mail mode in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other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tting table used for other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ing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 key operation invalid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telephone mode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n operation of invalidating a key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television mode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owever, the drawings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액정 표시기(60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부」에 상당하고, 콘텐츠 영역(R1), 조작영역(R2)이, 각각,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표시영역」, 「제 2 표시영역」에 상당하다. 또, 표시 제어부(11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표시 제어부」및「영역 구분부」에 상당하고, 메모리(700)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억부」에 상당하다.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능 제어부」는, 메모리(70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CPU(100)에 부여되는 기능으로서 실현되고 있다. 또한, 바(6)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이동자」에 상당하고, 조그다이얼(7)이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 1 조작부」,「제 2 조작부」 및 「제 3 조작부」에 상당하다. 또한, 조그다이얼(7)을 회전, 누름 등을 시키는 것이, 상기 제 1, 2, 3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상당하다. 또한, 송신키(K1), 문자 입력키(K2), 통신 개시키(K3), 통신 종료키(K4), 텐키(K5), 채널 피드키(channel feed key)(K6), 채널 번호키(K7) 및 볼륨키(K8)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조작키」에 상당하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shown below,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is corresponded to the "display part" described in the Claim, and the content area | region R1 and the operation area | region R2 are respectively the "first display area | region described in Claim. And "second display area".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corresponds to the "display control unit" and the "region division unit"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memory 700 corresponds to the "storage unit" described in the claims. In addition, the "function control part" described in the claims is realized as a function imparted to the CPU 100 by a control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700. In addition, the bar 6 corresponds to the "mover"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jog dial 7 corresponds to the "first operation part", "second operation part" and "third operation part" described in the claims. In addition, rotating, pushing, etc. the jog dial 7 corresponds to operation in the said 1st, 2nd, 3rd operation part.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key (K1), character input key (K2), communication communication (K3), communication end key (K4), ten key (K5), channel feed key (K6), channel number key ( K7) and volume key K8 correspond to "operation keys" described in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 도 1(c)는 각각,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1 (b), and 1 (c) are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cellular phone,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그 외곽을 구성하는 캐비닛(1)을 구비한다. 캐비닛(1)은,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캐비닛(1)의 정면에는, 대략 전면(全面)에 걸쳐 디스플레이면(2)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면(2)은, 캐비닛(1)과 마찬가지로, 세로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 the mobile telephone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cabinet 1 which comprises the outer periphery. The cabinet 1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vertically long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display surface 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1 substantially over the whole surface. The display surface 2 has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shape similar to the cabinet 1.

디스플레이면(2)은, 액정 패널(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3)의 앞쪽에는, 터치패널(4)이 배치되어 있다. 터치패널(4)은, 사용자에게 눌려진 디스플레이면(2) 상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에 따른 신호(위치신호)를 출력한다. 터치패널(4)의 앞쪽에는, 보호 패널(5)이 배치되어 있다. 보호 패널(5)은, 터치패널(4)이 상처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보호 패널(5)의 표면에는, 그 하부 영역에, 세로홈(5a) 및 가로홈(5b)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홈(5a, 5b)으로 둘러싸인 사각영역(S)에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면, 이 사각영역(S)이, 여러가지 조작을 행하기 위한 하나의 조작키(소프트 키)가 된다. 또한,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영역(R2)이 사각영역(S)이 없는 영역으로까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각영역(S)이 없는 영역에서는, 예를 들면, 기능의 문자를 네모난 선으로 둘러싸는 등, 인접하는 기능과의 경계를 알 수 있는 조작키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The display surface 2 is comprised by the liquid crystal panel 3. In front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 the touch panel 4 is arrange | positioned. The touch panel 4 detects a position on the display surface 2 pressed by the user and outputs a signal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The protective panel 5 is arrange | positioned in front of the touch panel 4. The protective panel 5 protects the touch panel 4 from being damaged.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panel 5, the longitudinal grooves 5a and the horizontal grooves 5b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in the lower region thereof. When a letter or symbol indicating a function is displayed in the rectangular area S surrounded by these grooves 5a and 5b, the rectangular area S becomes one operation key (soft key)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area | region R2 demonstrated later is set to the area | region without the rectangular area S, in the area | region without the rectangular area S, for example, the character of a function is enclosed by a square line. And the like, and display of operation keys for knowing the boundary with adjacent functions.

디스플레이면(2)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6)가 표시된다. 바(6)는 디스플레이면(2)의 표시영역을 상하 2개의 화면영역으로 구분한다. 바(6)보다 위의 영역이 콘텐츠영역(R1)이 되고, 아래 영역이 조작영역(R2)이 된다. 콘텐츠영역(R1)에는, 텔레비전 영상이나 사진, 텍스트 등의 각종 콘텐츠가 표시된다. 또, 조작영역(R2)에는, 여러가지 조작키가 표시된다. 바(6)는, 조그다이얼(7)의 조작에 의해, 표시영역 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On the display surface 2, a bar 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splayed. The bar 6 divides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surface 2 into two upper and lower screen areas. The area above the bar 6 becomes the content area R1, and the area below the bar 6 becomes the operation area R2. In the content area R1, various contents such as a television image, a photo, and text are displayed. In addition, various operation keys are displayed in the operation area R2. The bar 6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display area by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7.

조그다이얼(7)은, 캐비닛(1) 배면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조그다이얼(7)이 상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조그다이얼(7)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바(6)가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조그다이얼(7)은, 전후방향으로도 움직이고, 푸시버튼으로서도 기능한다. The jog dial 7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back surface of the cabinet 1, and rotates up and down. When the jog dial 7 rotates upward, the bar 6 moves upward, and when the jog dial 7 rotates downward, the bar 6 moves downward. The jog dial 7 also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functions as a push button.

조그다이얼(7)의 좌우에는, 각각, R 버튼(8)과 L 버튼(9)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R 버튼(8) 및 L 버튼(9)에 의하여, 일정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R buttons 8 and L buttons 9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g dial 7, respectively. By these R button 8 and L button 9, the operation for performing a fixed process can be performed.

캐비닛(1)의 내부에는, 그 상부에 카메라 모듈(1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카메라 모듈(10)의 촬상 렌즈(10a)와 플래시부(10b)가 캐비닛(1)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고 있다.Inside the cabinet 1, the camera module 1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The imaging lens 10a and the flash portion 10b of the camera module 10 face out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이 휴대 전화기에서는, 바(6)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각종 기능 모드(전화 모드, 메일 모드, 텔레비전 모드, 뮤직 모드, 인터넷 모드, 카메라 모드 등)의 화상으로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In this mobile phone, by fixing the bar 6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to various image modes (telephone mode, mail mode, television mode, music mode, internet mode, camera mode, etc.).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면(2)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고정위치(예를 들면, L1∼L6)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그다이얼(7)을 조작하여, 바(6)를 고정 위치(L5)로 이동시키고, 바(6)가 고정 위치(L5)에 있는 상태에서 조그다이얼(7)을 짧은 시간 누르면(짧게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바(6)를 고정 위치(L6)로 이동시켜 조그다이얼(7)을 짧게 누르면, 텔레비전 모드의 화상으로부터 메일 모드의 화상으로 변환된다. 이들 기능 모드의 화상에서, 변환 당초의 바(6)의 위치가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BL)가 된다.For this reason, a plurality of fixed positions (for example, L1 to L6) are set on the display surface 2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user operates the jog dial 7 to move the bar 6 to the fixed position L5, and moves the jog dial 7 while the bar 6 is at the fixed position L5. When pressed for a short time (short press), an image of the television mode is displayed. Further, when the bar 6 is moved to the fixed position L6 and the jog dial 7 is pressed shortly, the image in the television mode is converted into the image in the mail mode. In the images of these functional modes, the bar 6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ion becomes the boundary BL between the content area R1 and the operation area R2.

도 2(a)는, 텔레비전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다. 또, 도 2(b)는, 메일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다. 텔레비전 모드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콘텐츠가 콘텐츠영역(R1)에 표시되고, 영상표시에 관련되는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키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또, 메일 모드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된 문자 등이 콘텐츠영역(R1)에 표시되고, 메일의 입력이나 송수신을 위한 조작키가 조작영역(R2)에 표시된다. 2 (a) shows an example of screen display in the television mode. 2B shows an example of the screen display in the mail mode. In the television mode, as shown in Fig. 2A, video content is displayed in the content area R1, and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for operations related to video display are displayed in the operation area R2. In the mail mode, as shown in Fig. 2B, input characters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the content area R1, and operation keys for inputting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ail are displayed in the operation area R2.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도 1에 의해 설명한 구성부품 외에, CPU(100), TV 모듈(200), 마이크(300), 패널 스피커(400), 통신처리부(500), 액정 표시기(600), 메모리(700), 배터리(800), 전원부(900)를 구비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cellular phone includes a CPU 100, a TV module 200, a microphone 300, a panel speaker 400,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500, a liquid crystal display 600, and a memory 700. ), A battery 800, and a power supply unit 900.

TV 모듈(200)은, TV 튜너 등을 포함하고, 안테나(210)를 거쳐 수신한 지상 디지털 방송파, 지상 아날로그 방송파 등의 전파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CPU(100)에 보낸다.The TV module 200 includes a TV tuner and the like. The TV module 200 converts radio waves such as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 waves and terrestrial analog broadcast wave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210 into video signals and sends them to the CPU 100.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촬상 렌즈(10a) 및 플래시부(10b) 외에, 촬상 소자(10c)를 포함한다. 촬상 렌즈(10a)는,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10c) 상에 결상시킨다. 촬상 소자(10c)는, 예를 들면 CCD로 이루어지고, 도입한 화상에 따른 촬상신호를 생성하여, CPU(100)로 보낸다. The camera module 10 includes an imaging element 10c in addition to the imaging lens 10a and the flash unit 10b. The imaging lens 10a forms an image of a subject on the imaging element 10c. The imaging element 10c is, for example, made of a CCD, generates an imag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troduced image, and sends it to the CPU 100.

마이크(300)는,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 패널 스피커(4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음성으로서 재생한다. The microphone 300 converts the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sends the same to the CPU 100. The panel speaker 400 reproduces the audio signal from the CPU 100 as audio.

통신처리부(500)는, CPU(100)로부터의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을 무선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510)를 거쳐 기지국으로 송신함과 동시에, 안테나(510)를 거쳐 수신한 무선신호를 음성신호나 화상신호, 텍스트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CPU(100)로 보낸다.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500 converts an audio signal, an image signal, a text signal, and the like from the CPU 100 into a wireless signal, transmit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via the antenna 510, and receives the signal via the antenna 510. The wireless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udio signal, an image signal, a text signal, and the like, and sent to the CPU 100.

액정 표시기(600)는, 상기 액정 패널(3)과, 액정 패널(3)의 광원이 되는 백라이트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CPU(100)로부터의 구동신호에 의하여, 액정 패널(3)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includes the liquid crystal panel 3 and a backlight device (not shown) serving as a light source of the liquid crystal panel 3,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3 is driven by a driving signal from the CPU 100. Display an image on the screen.

메모리(700)는, ROM(Read Only Memory)와 RAM(Random Access Memory)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ROM에는, CPU(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당해제어 프로그램에서 참조하는 테이블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테이블정보로서, 상기 바(6)의 고정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은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ROM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 1 설정 테이블 및 제 2 설정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The memory 70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mong them, a control program for operating the CPU 100, table information referred to by the control program, and the like are stored in the ROM. For example, a table in which the fixed position of the bar 6 is associated with the function mode is stored as table information. In the ROM, the first setting table and the second setting table described later are stored.

또, RAM에는, 카메라 모듈(10)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통신처리부(500)를 거쳐 외부로부터 도입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메일 데이터) 등이 소정의 파일형식으로 보존된다. 이 밖에, RAM에는, TV 모듈(200)이나 통신처리부(50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취득한 영상 콘텐츠(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등)가 보존된다.The RAM stores image data taken by the camera module 10, image data introduced from the outside via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500, text data (mail data), and the like in a predetermined file format. In addition, the video contents (television programs, movies, etc.) acquired from the outside by the TV module 200 or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500 are stored in the RAM.

배터리(800)는, CPU(100)나 CPU(100) 이외의 휴대 전화기의 각 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2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배터리(800)는, 전원부(900)에 접속되어 있다. The battery 800 is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each part of the cellular phone other than the CPU 100 and the CPU 100, and is made of a secondary battery. The battery 8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900.

전원부(900)는, 배터리(800)의 전압을 상기 각 구성부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부에 공급한다. 또, 전원부(900)는, 외부 전원의 입력부(도시 생략)를 거쳐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800)에 공급하여, 배터리(800)를 충전한다. 전원부(900)에는, 전압 검출부(9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압 검출부(910)는, 배터리(800)의 전압을 검출하여, CPU(100)로 보낸다.The power supply unit 900 converts the voltage of the battery 800 into a voltage having a magnitude required for each of the components and supplies the voltage to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900 supplies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800 via an input unit (not shown) of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800. The power supply unit 900 is provided with a voltage detector 910. The voltage detector 910 detects a voltage of the battery 800 and sends it to the CPU 100.

CPU(100)는, 메모리(700)(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테이블 정보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100)는, 터치패널(4), 조그다이얼(7), R 버튼(8), L 버튼(9), 마이크(300), 촬상 소자(10c) 등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패널 스피커(400), 액정 표시기(600) 등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하여, 각종 기능 모드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CPU(100)는, 전압 검출부(910)로부터의 전압신호에 의거하여, 배터리(800)의 잔량을 판단한다. 또한, CPU(100)는, 각종 기능 모드에서, 액정 표시기(600)에 여러가지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The CPU 100 controls each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program and the tab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700 (ROM). For example, the CPU 100 responds to input signals from the touch panel 4, the jog dial 7, the R button 8, the L button 9, the microphone 300, the imaging element 10c, and the like. Based on this, the control signal is outputted to the panel speaker 400,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and the like, thereby executing processing in various functional modes. The CPU 100 also determin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800 based on the voltage signal from the voltage detector 910. In addition, the CPU 100 performs processing for ca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to display various images in various functional modes.

또한,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CPU(100)에 부여되는 제어 처리 기능 중, 액정 표시기(600)에 대한 처리기능(표시 처리기능)을, 특히, "표시 제어부(110)"라 부르고, 편의상, 도 3의 CPU(100) 내에 나타내기로 한다. In addition, of the control processing functions imparted to the CPU 100 by the control program, the processing function (display processing function)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is called, in particular,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It is assumed in the CPU 100 of 3.

표시 제어부(110)는, CPU(100) 내에 준비된 작업 영역이 되는 메모리(도시 생략) 내에서, 액정 표시기(600)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신호(RGB 신호)를 액정 표시기(600)에 출력한다. 또, 표시 제어부(110)는, 촬상 소자(10c)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 메모리(700) 내에 보존된 화상 데이터, TV 모듈(200)이나 통신처리부(500)를 거쳐 수신한 화상 데이터(영상 콘텐츠) 등을 도입한다. 그리고, 도입한 화상 데이터로부터 화상신호(RGB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신호를 액정 표시기(600)에 출력한다. 액정 표시기(600)의 액정 패널(3), 즉 디스플레이면(2)에는, 화상신호에 따른 화상(영상)이 표시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generates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in a memory (not shown) serving as a work area prepared in the CPU 100, and displays an image signal (RGB signal)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image. )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stores the image data sent from the imaging element 10c,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700, and the image data received via the TV module 200 or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500 (video content). ) And the like. An image signal (RGB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introduced image data, and the generated image signal is outpu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An image (video) corresponding to an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3, that is, the display surface 2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600.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이 조작된 경우에는, CPU(100) 내에서, 그 조작량이 판단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110)로부터 화상신호가 보내짐으로써, 디스플레이면(2)에 표시된 바(6)가, 그 조작량분만큼 이동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jog dial 7 is operated, the amount of operation is determined in the CPU 100. And based on this, the image signal is sent from the display control part 110, and the bar 6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2 moves by the operation amount.

또한,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주로, 조작영역(R2)에 배치된 터치패널식의 조작키에 의해, 각종 조작이 행하여진다. 터치패널(4)은, 약한 가압에도 반응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문자 입력키로 메일 문장을 입력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문자입력키에 인접하는 다른 조작키에 닿아, 다른 처리가 행하여질 염려가 있다. 또, 휴대 전화기를 포켓이나 가방에 넣고 있을 때에, 무엇인가가 조작키에 닿아, 오작동될 염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mobile telephone of this embodiment, various operations are performed mainly by the touch panel type operation keys arranged in the operation region R2. Since the touch panel 4 responds to weak pressurization, it is easy to receive operation which the user does not intend.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a mail sentence is input with a character input key, a user's finger may touch other operation keys adjacent to the character input key,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ther processing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cellular phone is placed in a pocket or a bag, something may touch the operation key and cause a malfunction.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화하는 키 조작 무효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ing for invalid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oper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device due to an operation not intended by the user.

도 4는,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5는, 메일 모드에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 key operation invalid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mail mode.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7)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기능 모드로 변환되면, 표시 제어부(110)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면(2)에 변환된 기능 모드의 화상이 표시된다(S1). 예를 들면, 메일 모드의 경우, 먼저 나타난 도 2(b)에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된다. 바(6)는, 화상이 표시된 당초,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의 경계 (BL)에 위치한다[도 2(b) 참조].Based on FIG. 4 and FIG. 5, the operation is demonstra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de is converted to the predetermined function mode by operating the jog dial 7, the image of the function mode converted on the display surface 2 is displayed based on the image signal from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 S1). For example, in the mail mode, the image shown in Fig. 2B shown earlier is displayed. The bar 6 is initially located at the boundary BL between the content area R1 and the operation area R2 (see Fig. 2 (b)).

사용자에 의해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고, 이에 의해, 바(6)가 경계(BL)로부터 조작영역(R2)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CPU(100)는,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한다(S2 : YES). 그리고, CPU(100)는, 바(6)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고, 바(6)와 경계(BL)의 사이(키 무효영역)에 위치하는 조작키에 대한 조작을 무효화하는 설정을 행한다(S3).When the jog dial 7 is operated by the user, whereby the bar 6 moves from the boundary B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eration area R2, the CPU 100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bar 6. It is determined that has moved (S2: YES). Then, the CPU 100 detects the new position of the bar 6 and sets to invalidate the operation for the operation key located between the bar 6 and the boundary BL (the key invalid area) ( S3).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송신키(K1)와 문자 입력키(K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송신키(K1) 등, 문자 입력키(K2)보다 위의 조작키는 무효가 되고, 문자 입력키(K2)는 유효가 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문자 입력키(K2)에 의해 메일 문서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문자 입력 시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あ」의 문자 입력키(K2)를 누르려고 하여, 잘못하여 그 위의 송신키(K1)에 닿더라도, 잘못하여 메일이 송신되는 일이 없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when the bar 6 is loc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key K1 and the character input key K2, the character input key K2, such as the transmission key K1, is used. ), The operation keys above are invalidated, and the character input key K2 becomes valid. Thereby, the user can input a mail document by the character input key K2. For this reason, when a character is input, for example, when a user tries to press the character input key K2 of "あ", and an accidentally touches the transmission key K1 on it, a mail is accidentally sent. There is no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까지 이동하였을 때에는, 조작영역(R2) 전체가 키 무효영역이 되어, 모든 조작키가 무효가 된다. 여기서, 바(6)가 16개인 문자 입력키(K2)의 배치영역의 도중에 위치할 때에는, 키 무효영역에 있는 문자 입력키(K2)만이 무효가 된다. 그러나, 문자 입력키(K2)의 일부를 무효로 하여도 그다지 의미가 없다. 따라서, 문자 입력키(K2)의 일부가 키 무효영역이 된 경우에는, 모든 문자 입력키(K2)가 무효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는, 모든 문자 입력키(K2)가 키 무효영역이 된 것에 따라, 모든 문자 입력키(K2)가 무효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즉, 동일한 기능의 조작키가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룹으로 무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B, when the bar 6 moves to the bottom of the operation area R2, the entire operation area R2 becomes a key invalid area, and all operation keys become invalid. Here, when the bar 6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arrangement area of the 16 character input keys K2, only the character input keys K2 in the key invalidation area become invalid. However, even if a part of the character input key K2 is invalidated, it does not have much meaning. Therefore, when a part of the character input key K2 becomes a key invalid area, all the character input keys K2 may be made invalid. Alternatively, all the character input keys K2 may be invalidated as all the character input keys K2 become the key invalid areas. In other words, when operation keys of the same function are arranged in groups, it is preferable to invalidate them in groups.

다음에, CPU(100)는,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사용자는, 예를 들면, 조그다이얼(7)을 긴 시간 누름으로써(길게 누름으로써), 이와 같은 이동금지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CPU(100)는, 바(6)의 이동금지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S4 : YES), 조그다이얼(7)의 조작에 의한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설정을 행한다(S5). 이 설정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부(110)는,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어도, 표시영역 내에서 바(6)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방이나 포켓 등에 휴대 전화기를 넣을 때, 모든 조작키를 무효로 한 상태에서,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조작을 행하면, 가방이나 포켓 등의 안에서 조그다이얼(7)이 부주의하게 움직여도 조작키의 무효 범위가 바뀌지 않아, 기기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Next,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operation to prohibit the movement of the bar 6 has been performed (S4). For example, the user can operate such a prohibition of movement by pressing the jog dial 7 for a long time (by long pressing). If it is judged that the movement prohibition operation of the bar 6 has been performed (S4: YES), the CPU 100 sets to prohibit the movement of the bar 6 by the operation of the jog dial 7 (S5). Based on this setting, the display control unit 110 prevents the bar 6 from moving in the display area even when the jog dial 7 is operated. Thus, for example, when the user inserts a mobile phone into a bag or a pocket or the like, the operation is prohibited by moving the bar 6 in a state where all operation keys are invalidated. Even if the dial 7 is inadvertently moved, the invalid range of the operation keys does not change,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apparatus.

다음에, 바(6)의 이동 금지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고(S4 : NO), 상기와 같이 조그다이얼(7)의 짧게 누름에 의한 모드 변환조작이 이루어지면(S6 : YES), CPU(100)는, 이 때의 바(6)의 위치에 따른 기능 모드로 화상을 변환하는 설정을 행한다(S7). 이에 의하여, 표시 제어부(110)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새로운 기능 모드의 화상이 디스플레이면(2)에 표시된다.Next, when the movement prohibition operation of the bar 6 is not performed (S4: NO) and the mode convers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briefly pressing the jog dial 7 as described above (S6: YES), the CPU 100 Sets the setting for converting the image to the function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r 6 at this time (S7). Thereby, the image of a new func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2 based on the image signal from the display control part 110. FIG.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영역(R1)과 조작영역(R2) 사이의 경계(BL)와, 바(6)에 의하여, 조작키의 무효영역이 규정되고, 무효영역 내의 조작키의 조작만이 무효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때의 조작에 불필요한 조작키를 무효로 하고, 필요한 조작키에 대해서는 유효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면서, 필요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valid area of the operation key is defined by the boundary BL between the content area R1 and the operation area R2 and the bar 6, and onl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in the invalid area. Is invalidated. Therefore, the user can invalidate the operation keys unnecessary for the operation at that time and make the operation keys vali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necessary operations smoothly while preventing malfunctions due to unintentional operation. .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바(6)의 이동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조작키의 무효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키의 무효화 조작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desired operation key can be invalidated only by performing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bar 6, the invalidation operation of the key can be performed easily.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6)의 이동을 금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바(6)가 이동하는 조작이 이루어져도, 바(6)가 이동하지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든 키를 무효화한 상태에서, 포켓이나 가방 내에서 원치않게 조그다이얼(7)이 조작되어도, 키가 유효한 상태로 복귀하는 일은 없어, 원치않는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원활하게 회피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vement of the bar 6 can be prohibi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bar 6 does not move even if an operation of moving the bar 6 by mistake is performed. Thus, for example, even when all keys are invalidated, even if the jog dial 7 is operated undesirably in a pocket or a bag, the keys do not return to a valid state, and smoothly avoids malfunction due to unwanted operation. can do.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동자가, 기능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표식으로서 공용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어, 기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ver is shared as a marker for changing the function mode,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oper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suitably within the range of the technical idea shown to the Claim. . For example, it can be changed as follows.

즉,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조작키가 복수 기능의 실행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그 조작키가 무효 조작되어도, 일부 기능에 대해서는 그 조작키에의한 조작이 유효가 되는(조작에 의거하는 일부 기능이 실행되는) 구성이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는, 조작키의 무효조작을 해제하지 않아도,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진다. That is, as described below, when one operation key is used for execution of a plurality of functions, even if the operation key is invalidated, the operation by the operation key becomes effective for some functions (operation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is way, the necessary functions can be executed without canceling the invalid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s,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또, 조작키의 무효조작이 행하여지면, 그 조작키에 관련지어진 기능의 설정이 변경되는 구성이 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느 키를 무효화함으로써 동시에 관련되는 기능 등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valid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is performed, the configuration may be such that the setting of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key is changed. In this way, the setting of functions and the like associated with each other can be changed by invalidating any key,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device can be further improved.

도 6은,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또, 도 7은, 다른 키 조작 무효처리에 사용하는 설정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전화 모드에서 키 조작 무효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other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tting table used for another key operation invalidation process. 8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the operation of invalidating a key operation was performed in the telephone mode.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면(2)에 소정의 기능 모드의 화상이 표시되면(S11), CPU(100)는,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바(6)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면(S12 : YES), CPU(100)는, 바(6)의 새로운 위치를 검출하여, 바(6)와 경계(BL)의 사이에 위치하는 조작키의 무효조작을, 메모리(700) 내에 저장된 제 1 설정 테이블에 따라 실행한다(S13).Based on FIGS. 6-8, the operation is demonstrated. As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an image of a predetermined function m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2 (S11), the CPU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bar 6 has moved (S1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bar 6 has been moved (S12: YES), the CPU 100 detects a new position of the bar 6, and operates an operation key located between the bar 6 and the boundary BL. The invalid operation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sett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700 (S13).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화 모드에서, 바(6)가 통화 개시키(K3)와 텐키(K5)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통화 개시키(K3)나 통화 종료키(K4) 등, 텐키(K5)보다 위의 조작키가 무효화 후보가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A, in the telephone mode, when the bar 6 is located between the open call K3 and the ten key K5, open the call K3 or call. The operation key above the ten key K5, such as the end key K4,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제 1 설정 테이블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 모드마다, 조작키가 무효화 후보가 되었을 때에, 조작키에 할당된 기능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조작키에 하나의 기능만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기능이 무효가 된다. 한편, 하나의 조작키에 2개 이상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능에 따라서는 유효로 설정되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전화 모드에서, 통화 개시키(K3)가 무효화 후보가 된 경우, 통화 개시키(K3)의 조작에 대하여, 전화를 거는 발호 기능은 무효가 되고, 전화를 받는 착호 기능은 유효가 된다. In the first setting table, as shown in Fig. 7A, when the operation key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for each function mode, a setting is made to enable or disable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If only one function is assigned to one operation key, that function becomes invalid. On the other hand, when two or more functions are assigned to one operation key, it may be set to be valid depending on the function. For example, in the telephone mode, when call initiation K3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the call function to make a call is invalid for the operation of call initiation K3, and the call in function to answer the call is invalid. do.

CPU(100)는, 또, 메모리(700)에 저장된 제 2 설정 테이블에 따라, 소정 기능의 설정을 변경한다(S14). 즉, 제 2 설정 테이블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키가 무효화 후보가 되었을 때에, 그것에 따라 소정 기능의 설정을 어떻게 변경할지가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통화 개시키(K3)가 무효화 후보가 되면, 에니 앤서(any answer) 기능을 무효로 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 통화 개시키(K3) 이외에 의한 발호 기능을 무효로 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에니 앤서키 기능이란, 상대로부터의 착신이 있었을 때에 어느 조작키를 누르더라도 통화가 개시되는 기능이다. The CPU 100 also changes the setting of the predetermined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sett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700 (S14). That is, in the second setting table, as shown in Fig. 7B, when the operation key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it is prescribed how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predetermined function accordingly.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 opener K3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a setting is made to invalidate the any answer function. Moreover, the setting which invalidates the call function by other than call opening K3 is made. The annie key function is a function in which a call is initiated even when an operation key is pressed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이와 같이 하여,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 무효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개시키(K3)를 조작하여도 전화를 걸 수 없게 된다. 한편, 전화가 걸려 왔을 때에는, 통화 개시키(K3)의 조작에 의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통화 개시키(K3)의 조작이 무효로 되어 있어도, 착신 시에, 무효 해제의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전화를 받을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key invalidation area is set as shown in Fig. 8A, the user cannot make a phone call even when the call is initiated K3. On the other hand, when a call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answer the call by operating the call opener K3. Thereby, even if operation of the telephone call opening K3 is invalid, it is possible to receive a telephone call without performing the operation of invalidation upon reception.

또, 미리 에니 앤서 기능이 설정되어 있어도, 이 기능이 무효가 되기 때문에, 통화 개시키(K3) 이외의 조작키[예를 들면, 조작이 유효한 텐키(K5)]를 조작하여도 전화를 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하여, 휴대 전화기가 가방 등에 넣어져 있어도, 착신 시에, 충격 등에 의해 부주의하게 통화 개시 조작이 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잘못하여 통화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화 개시키(K3) 이외에 의한 발호 기능도 무효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화 개시키(K3)와 다른 조작키(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기능)로도, 전화를 걸 수 없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annie answer function is set in advance, this function becomes invalid, so that a call can be answered by operating an operation key other than the call open (K3) (for example, a valid ten key (K5)). There will be no. As a result, even when the cellular phone is put in a bag or the like, it is difficult to inadvertently make a call start operation due to an impact or the like at the time of an incoming cal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ll state from being accidentally made. In addition, since the call function by other than call start K3 is also invalid, it is impossible to make a call even with a call key K3 and a different operation key (for example, a phone book function).

이밖에, 이 상태에서는, 통화 종료키(K5) 등, 키 무효영역에 있는 조작키에 대한 조작이,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조작키에 의거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state, all operations on the operation keys in the key invalidation area, such as the call termination key K5, are not accepted (the function based on the operation keys is not executed).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까지 이동되고, 조작영역(R2) 전체가 키 무효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텐키(K4)의 조작도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8B, when the bar 6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operation area R2, and the entire operation area R2 is set as a key invalid area, the operation of the ten key K4 is shown. All will not be accepted.

다음에, 이와 같이 조작키의 무효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바(6)의 이동 금지조작이 이루어지면(S15 : YES), CPU(100)는, 바(6)의 이동을 금지하는 설정을 행한다(S16). 또, 모드 변환조작이 이루어지면(S17 : YES), CPU(100)는, 바(6)의 위치에 의거하는 새로운 기능 모드의 화상으로 변환된다(S18). Next, in the state where invalid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is performed in this manner, as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movement prohibition operation of the bar 6 is performed (S15: YES), the CPU 100 moves the bar 6. Setting to prohibit the operation is made (S16). When the mode conversion operation is made (S17: YES), the CPU 100 is converted into an image of a new function mod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bar 6 (S18).

도 9는, 텔레비전 모드에서 키 조작을 무효화하는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텔레비전 모드로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영역(R1)이 작아서, 텔레비전 영상이 세로로 작게 표시되는 노멀모드와,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영역(R1)이 커서, 텔레비전 영상이 가로로 크게 표시되는 와이드 모드가 준비되어 있다.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 when an operation for invalidating a key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television mode. As the television mode, as shown in Fig. 9 (a), the normal mode in which the content area R1 is small so that the television video is vertically small and the content area R1 is shown in Fig. 9 (b). A wide mode in which a cursor and a television image are displayed large horizontally is prepared.

노멀 모드의 화상에서는, 예를 들면, 조작영역(R2)에, 채널 선택 기능을 가지는 2종류의 조작키가 표시되어 있다. 하나는, 채널 피드키(K6)이고, 번호를 크게 하여 가는 피드키와, 작게 하여 가는 피드키이다. 이 채널 피드키(K6)를 조작함으로써, 채널이 차례로 보내져 간다. 또 하나는, 채널 번호키(K7)로서, 대표적인 채널에 대응하는 6개의 번호키이다. 채널 번호키(K7)를 누름으로써, 직접, 그 번호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In the image of the normal mode, for example, two types of operation keys having a channel selection function are displayed in the operation region R2. One is a channel feed key K6, which is a feed key with a larger number and a smaller feed key. By operating this channel feed key K6, the channels are sent in sequence. The other is a channel number key K7, which is six number keys corresponding to a representative channel. By pressing the channel number key K7, the channel of the number can be selected directly.

이 노멀 모드의 화상에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6)가 채널 피드키(K6)의 밑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채널 피드키(K6)에 대한 조작이 무효가 된다. 이 때, 상기한 제 2 설정 테이블에, 채널 피드키(K6)가 무효화 후보가 되면, 채널 번호키(K7)에 의한 채널 선택 기능이 무효가 되는 설정이 이루어져 있으면, 이와 같이 바(6)가 채널 피드키(K6)의 밑으로 이동됨으로써, 채널 번호키(K7)의 조작도 무효가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채널 번호키(K7)의 아래까지 바(6)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채널 선택을 행할 수 없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와 같이, 채널 피드키(K6)와 채널 번호 키(K7)가 떨어져 배치되어 있어, 이들 조작키의 사이에 다른 조작키, 여기서는 볼륨키(K8)가 배치되어 있어도 , 이 조작키의 조작이 무효가 되지 않아도 된다. In this normal mode image, as shown in Fig. 9A, when the bar 6 is moved under the channel feed key K6, the operation on the channel feed key K6 becomes invalid. At this time, if the channel setting function invalidated by the channel number key K7 is made when the channel feed key K6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setting table, the bar 6 is thus made. By moving under the channel feed key K6, the operation of the channel number key K7 is also invalid. In this way, even if the bar 6 is not moved below the channel number key K7, it is possible to set a state in which channel selection cannot be performed. Therefore, as shown in Fig. 9A, even if the channel feed key K6 and the channel number key K7 are arranged apart, another operation key, here, the volume key K8, is arranged between these operation keys. The operation of this operation key does not have to be invalidated.

다음에, 도 9(b)에 나타내는 와이드 모드의 화상에서, 볼륨키(K8)가 키 무효영역으로 들어 간 경우, 볼륨키(K8)의 조작이 무효가 된다. 이때, 제 2 설정 테이블에, 볼륨키(K8)가 무효화 후보가 되면, 음성 출력기능이 무효가 되는, 즉 음성이 제거되는 설정이 되어 있으면, 이와 같이 바(6)를 이동시킴으로써, 음성 출력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음량은 원래의 상태로 유지한 채로,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음성을 제거할 수 있다.Next, in the wide mode image shown in Fig. 9B, when the volume key K8 enters the key invalid area, the operation of the volume key K8 becomes invalid. At this time, if the volume setting K8 becomes an invalidation candidate in the second setting table, if the audio output function is set to be invalid, that is, the audio is removed, the audio output is changed by moving the bar 6 in this manner. Is stopped. In this way, the sound can be easily removed as necessary while keeping the volume in the original state.

또한, 도 9(a)의 예에서는, 채널 피드키(K6)의 조작이 무효가 되면 채널 번호키(K7)의 조작이 무효가 되도록 하였으나, 이들 조작키가 상하 반대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널 번호키(K7)의 조작이 무효가 되면 채널 피드키(K6)의 조작이 무효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볼륨키(K8)의 조작이 무효가 되었을 때에는, 미리 정한 일정한 음량이 되도록 하여도 된다.In the example of Fig. 9A, when the operation of the channel feed key K6 becomes invalid, the operation of the channel number key K7 becomes invalid. However, when these operation keys are arranged upside down, the channel If the operation of the number key K7 is invalid, the operation of the channel feed key K6 may be invalidated.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volume key K8 becomes invalid, the predetermined volume may be set in advance.

그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6)를 조그다이얼(7)에 의해 조작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터치패널(4)의 조작에 의해 바를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바(6)의 위치에 손가락으로 대고, 그 상태에서 손가락을 상하시킴으로써, 바(6)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6)가 조작키의 위를 이동할 때에는, 조작키가 손가락으로 눌려진 상태가 된다. 그래서, 바(6)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함으로써, 조작키가 잘못하여 받아들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bar 6 is operated by the jog dial 7, it is not limited to this, You may make it move the bar by operation of the touchscreen 4. In this case, the user can move the bar 6 up and down by touching the position of the bar 6 with a finger and moving the finger up and down in the state. In addition, when the bar 6 moves above the operation key, the operation key is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a finger. Thus, when the bar 6 is move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is invalidated, whereby the operation ke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ccepted by mistake.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그다이얼(7)을 짧게 누르거나 또는 길게 누름으로써, 모드의 변환과 바(6)의 이동금지를 설정할 수 있게 하였으나, 조그다이얼(7)의 가압시간에 관계없이, 단지 바(6)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따라, 모드의 변환과 바(6)의 이동금지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바(7)의 이동이 금지되고,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위치)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모드의 변환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t the mode change and the prohibition of movement of the bar 6 by pressing the jog dial 7 shortly or long, but regardless of the pressing time of the jog dial 7, Depending on where the bar 6 is located, the mode may be changed and the bar 6 may be prohibited from moving. Specifically, if the jog dial 7 is pressed while the bar 6 is at the bottom of the operating area R2, the movement of the bar 7 is prohibited, and the bar 6 is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operating area R2 ( When the jog dial 7 is pressed while in the fixed position,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일반적으로, 바(6)의 이동이 금지되는 것은,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모든 조작키가 무효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는,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그 이동을 금지하면, 목적이 달성된다고 생각된다. 한편, 최하부는 모드를 변환하기 위한 고정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바(6)가 최하부에 있을 때는 모드의 변환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드의 변환은,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위치)에 있을 때에 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In general, the movement of the bar 6 is prohibited in many cases where a mobile telephone is not used, and in this case, all operation keys are often invalidated. Therefore, in most cases, when the bar 6 is at the bottom of the operating area R2 and the movement is prohibi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object is achiev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owermost part is not the fixed position for changing the mode, the mode cannot be changed when the bar 6 is at the lowermost part. Therefore, it is sufficient if the mode can be changed when the bar 6 is at the position (fixed position)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region R2.

이와 같이, 바(6)의 이동금지는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또, 모드 변환은,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바(6)가 조작영역(R2)의 최하부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바(7)의 이동이 금지되고, 바(6)가 조작영역(R2)의 도중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에 조그다이얼(7)을 누르면 모드의 변환이 행하여지도록 하여도, 대부분의 경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를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hibition of movement of the bar 6 is often made when the bar 6 is at the bottom of the operation area R2. In addition, mode conversion is performed by the bar 6 being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operation area R2. It is necessary when it is in (fixed position).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jog dial 7 is pressed when the bar 6 is at the bottom of the operating area R2, the movement of the bar 7 is inhibited, and the bar 6 moves to the operating area R2. Even if the jog dial 7 is pressed while the vehicle is in the middle position (fixed position), the mode can be changed. In most cases, the user's request can be met.

이와 같이 하면, 조그다이얼(7)의 가압시간에 따라 처리를 변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사용자도, 낱낱이, 조그다이얼(7)의 가압 시간을 신경쓸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s time of the jog dial 7, the processing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the pressing time of the jog dial 7 individually,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또한, 메일 모드에서, 수신 메일의 일람으로 이행하기 위한 조작키가 무효가 된 상태에서, 신규 메일이 보내져 왔을 때에는, 그 조작키를 받아들이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신규 메일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the mail mode, when a new mail is sent while the operation key for transitioning to the list of received mails is invalid, the operation key may be accepted. In this way, new mail can be confirmed quickly.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6)의 이동조작, 바(6)의 이동 금지조작, 모드 변환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모두 조그다이얼(7)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다른 조작부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R 버튼(8)을 모드 변환 조작의 조작부로 하고, L 버튼(9)을 바(6)의 이동 금지조작의 조작부로 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operation part for the movement operation | movement of the bar 6, the movement prohibition operation of the bar 6, and the mode conversion operation is all made into the jog dial 7.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fferent operation units. For example, it is conceivable to use the R button 8 as the operation unit for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and the L button 9 as the operation unit for the bar prohibition operation.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이동자를, 디스플레이면(2)의 가로 폭 전체로 연장하는 바(6)의 화상으로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가로방향 화살표의 화상 등, 다른 화상으로 하여도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mover of this invention is made into the image of the bar 6 extended to the whole width of the display surface 2,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of a horizontal arrow You may make another image, such as an imag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키 무효화 처리(도 6)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이것에 사용하는 테이블 정보(도 7)가, 휴대 전화기 내의 메모리(700)(ROM)에 프리인스톨되어 있었으나, 이들 제어 프로그램과 테이블 정보를, 통신처리부(500)를 거쳐, 웹 사이트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메모리(700)에 저장하도록 하여도 되고, 또는, 이들 제어 프로그램과 테이블 정보를 유지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를 휴대 전화기에 장착함으로써, 이들 제어 프로그램과 테이블 정보를 휴대 전화기에 도입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control program for performing a key invalidation process (FIG. 6) and the table information (FIG. 7) used for this were preinstalled in the memory 700 (ROM) in a mobile telephone, these The control program and the table information may be downloaded from a web site or the like via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500 and stored in the memory 700,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holding the control program and the table information may be used. By attaching to the cellular phone, these control programs and table informa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llular phone.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700)(ROM)에, 바(6)의 고정 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은 테이블이 기억되고, 모드 변환 조작 시에 바(6)의 고정 위치가 변경되면, 이 테이블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기능 모드의 화상으로 표시화면이 변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바(6)의 고정 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면(2)의 전체 표시영역을 2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의 비율과 기능 모드를 관련지은 테이블을 메모리(700)에 저장하고, 모드 변환 조작 시에는, 이 테이블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기능 모드의 화상으로 표시화면이 변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즉, 청구범위에 기재된 「이동자의 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이란, 이동자의 위치와 기능 모드를 직접 관련지어 기억하는 형태 외에, 이동자에 의해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의 비율과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등, 이동자의 위치에 간접적으로 관련지어 기능 모드를 기억하는 형태도 널리 포함하는 것이다. 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when the table which associated the fixed position of the bar 6 and the function mode is memorize | stored in the memory 700 (ROM), and the fixed position of the bar 6 is changed at the time of a mode conversion operation, Based on this table, the display screen is converted into an imag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mode, but, for example,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surface 2 is divided into two areas by the fixed position of the bar 6. In the memory 700, a table relating the ratios of the respective areas and the function modes at the time of storing them is stored in the memory 700. In the mode conversion operation, the display screen is converted into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mode based on this table. You may also In other words, the "remembering the location of the mover and the function mode in association with" in the claims is not only a form in which the location and function mode of the mover are directly related to each other, but also the ratio of each area when the display area is divided by the mover. It also includes a form of storing the function mode indirectly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mover, such as storing the function mod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이밖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In addition,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fo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uitably within the range of the technical idea shown in the Claim.

Claims (12)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 각 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복수의 조작키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이동자의 정지 위치와 상기 제 1 표시영역 사이에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In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With display part,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se area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A mover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movable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 first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mover,
And a function controller for invalid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between the stop position of the mov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first display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2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with the 2nd operation part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which prohibits the movement of the said mover,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prohibits the movement of the mov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기능 모드를 변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3 조작부와,
상기 이동자의 위치와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3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에 의해상기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에, 상기 이동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 모드에 따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switching the function mo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sition of the mover in association with a function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a fun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er in each area when the display area is divided by the mov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operation unit. Terminal device with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기능 모드를 변환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3 조작부와,
상기 이동자에 의해 상기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의 비율과 기능 모드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3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자에 의해 상기 표시영역을 구분하였을 때의 각 영역에,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기능 모드에 따른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switching the function mode,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ratio of each area when the display area is divided by the mover and the function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operation unit, an image according to a fun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ratio in each area when the display area is divided by the mover. Terminal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된 상태에서, 당해 조작키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의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unction control unit validates a part of the functions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while the operation key is inval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되었을 때에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상기 조작키에 대응시킨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이동자의 이동에 의해 무효가 된 상기 키에 대응 지어져 있는 기능을 상기 테이블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table in which a function for changing a setting when the operation key is invalidated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key;
And the function control unit change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valid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ver based on the table.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는 영역 구분부와,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와,
상기 이동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부와,
상기 제 1 조작부에 의해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에 상기 이동자가 정지하였을 때에는,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In a terminal apparatus having a display function,
With display part,
An area divider for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A display control unit which display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in the second display area;
A mover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movable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A first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mover,
And a function controller for invalid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key displayed between the mover and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mover stops after the mover moves by the first operation unit.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이동을 금지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제 2 조작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second operation porti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to prohibit the movement of the mov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된 상태에서, 당해 조작키에 할당된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function control unit validates some of the functions assigned to the operation key while the operation key is invali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키가 무효가 되었을 때에 설정을 변경하는 기능을 상기 조작키에 대응지은 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이동자의 이동에 의해 무효가 된 상기 키에 대응 지어져 있는 기능을 상기 테이블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tabl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key for changing a setting when the operation key is invalidated.
And the function control unit changes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valid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ver based on the table.
표시영역을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2 표시영역에 복수의 조작키를 표시시키고, 또한, 상기 제 1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영역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자를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시키는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서의 컴퓨터에,
상기 제 2 표시영역에서 상기 이동자가 이동한 후 정지하였을 때, 상기 이동자와 상기 제 1 표시영역 사이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프로그램.
A mover that divides a display area into a first display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display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on the second display area, and is movabl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second display area. In a computer in a terminal device having a display function to display in the display area,
And a function of invalidating an operation of an operation key displayed between the mover and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mover stops after moving in the second display area.
표시기능을 가진 단말장치에서의 컴퓨터에,
조작키의 표시영역을 이동자가 이동한 후 정지하였을 때, 상기 이동자와 상기 표시영역의 경계 사이에 있는 조작키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프로그램.
In a computer in a terminal device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a function of invalidating an operation of an operation key between a boundary between the mover and the display area when the mover stops after moving the display area of the operation key.
KR1020107019057A 2008-01-29 2009-01-23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318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18363 2008-01-29
JP2008018363A JP5383053B2 (en) 2008-01-29 2008-01-29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PCT/JP2009/051083 WO2009096334A1 (en) 2008-01-29 2009-01-23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142A true KR20100113142A (en) 2010-10-20
KR101131868B1 KR101131868B1 (en) 2012-04-03

Family

ID=4091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057A KR101131868B1 (en) 2008-01-29 2009-01-23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8432369B2 (en)
JP (1) JP5383053B2 (en)
KR (1) KR101131868B1 (en)
WO (1) WO200909633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3053B2 (en) 2008-01-29 2014-01-08 京セラ株式会社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JP2011030081A (en) * 2009-07-28 2011-02-10 Sony Corp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8621380B2 (en) 2010-01-06 2013-12-31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enabling or disabling soft buttons
KR101441217B1 (en) * 2010-01-06 2014-09-17 애플 인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enabling or disabling soft buttons
KR101855250B1 (en) * 2010-11-03 2018-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Touch Control Method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8547354B2 (en) 2010-11-05 2013-10-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KR101725550B1 (en) * 2010-12-16 2017-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optical touch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US8766936B2 (en) * 2011-03-25 2014-07-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stable touches
US9292195B2 (en) 2011-12-29 2016-03-2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for applications
US8812994B2 (en) * 2011-12-29 2014-08-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restricted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US9094534B2 (en) 2011-12-29 2015-07-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implementing restricted interactions with a user interface
US9213822B2 (en) 2012-01-20 2015-12-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an application in a locked device
US9733707B2 (en) 2012-03-22 2017-08-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display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mproving touch interface utility on the same employing a rules-based masking system
US9423871B2 (en) 2012-08-07 2016-08-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s of inadvertent touch on a touch screen controller
US9128580B2 (en) 2012-12-07 2015-09-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touch screen interface utilizing an intelligent stencil mask
JP6215534B2 (en) * 2013-01-07 2017-10-18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075612B2 (en) 2013-05-10 2015-07-07 Jinrong Ya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KR20160037841A (en) * 2013-05-10 2016-04-06 진롱 양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US8593427B1 (en) * 2013-05-10 2013-11-26 Jinrong Ya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splay power consumption
US10139940B2 (en) 2014-09-11 2018-11-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53405S1 (en) * 2015-11-18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078111A (en) * 2019-12-27 2020-04-28 联想(北京)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8128B2 (en) * 1987-11-11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input device
US4952932A (en) 1987-04-30 1990-08-28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input apparatus
JPH076013A (en) 1993-06-21 1995-01-10 Toshiba Corp Plant monitor device
JPH0876925A (en) 1994-09-02 1996-03-22 Kokusai Electric Co Ltd Input/output device and its controlling method
SE519537C2 (en) 2000-01-21 2003-03-11 Richard Granberg Electronic device with pressure sensitive display and sliding key lock
US7406666B2 (en) * 2002-08-26 2008-07-29 Palm, Inc.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ers with contact-sensitive displays
KR100522940B1 (en) * 2003-07-25 2005-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screen system having active area sett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318423A (en) * 2006-05-25 2007-12-06 Toshiba Corp Portable terminal
KR101144423B1 (en)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and display method of the same
JP4370535B2 (en) * 2007-06-28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imaging device,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383053B2 (en) * 2008-01-29 2014-01-08 京セラ株式会社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20416A1 (en) 2014-10-30
JP2009181244A (en) 2009-08-13
US20100315371A1 (en) 2010-12-16
US8797270B2 (en) 2014-08-05
WO2009096334A1 (en) 2009-08-06
US8432369B2 (en) 2013-04-30
US20130215062A1 (en) 2013-08-22
JP5383053B2 (en) 2014-01-08
US20150193067A1 (en) 2015-07-09
US9477338B2 (en) 2016-10-25
KR101131868B1 (en) 2012-04-03
US9013439B2 (en)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868B1 (en)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15502B2 (en) Input device
US20070285401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06311224A (en) Folding mobile phone
US20100331052A1 (en) Terminal With Display Function
KR20080079191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in sliding-type mobile phone
EP2136537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starting function of the same
KR100585776B1 (en) Mobile phone having a pluraility of screens and control method of menu list indication using same
US20100291969A1 (en) Terminal Device With Image Display Function
KR20100121550A (en) Image display device
EP2259555A1 (en)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function of commun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of program for communication device
JP200830529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full keyboard and full keyboard display method
JP595171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KR101236776B1 (en) Device with electronic mail function
JP5625133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JP5781172B2 (en)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JP5545786B2 (en) Terminal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JP558386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KR101482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for changing UI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27511A (en) Character input method for electric equipment
JP2010117785A (en) Key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20100028198A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displaying and information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