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009A -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009A
KR20100113009A KR1020090085767A KR20090085767A KR20100113009A KR 20100113009 A KR20100113009 A KR 20100113009A KR 1020090085767 A KR1020090085767 A KR 1020090085767A KR 20090085767 A KR20090085767 A KR 20090085767A KR 20100113009 A KR20100113009 A KR 2010011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588B1 (ko
Inventor
권태홍
곽광훈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0011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컨테이너 몸체와 경첩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몸체부를 갖는 본체부와, 고정부 및 몸체부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부와, 일단이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통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적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의 장치장 및 선박과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테이너, 통신, 경첩, 걸쇠, 안테나

Description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Communication Device Mounted Container}
본 발명은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container)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자형 용기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 프레이트 컨테이너(freight container), 미국규격협회(ANSI)에서는 카고 컨테이너(cargo container)라는 말을 사용한다.
수송기관은 자동차, 선박, 철도, 항공기 등을 모두 취급하며, 자동차와 철도 및 선박은 특수한 것을 만들어 운송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들어 컨테이너를 추적하거나, 봉안상태를 파악하거나, 내부상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무선장치를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한 방향에 대해서만 지향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안테나가 한 방향에 대해 지향성을 가지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일렬 또는 다층으로 적치될 경우 통신 가능한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안테나 의 성능이 저하되어 통신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통신장치는 컨테이너 환풍구 또는 컨테이너 문에 고정 설치하기 때문에, 한번 설치된 이후 재설치 및 재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통신장치를 문에 고정 설치할 경우, 통신장치가 외부에서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본체부가 설치되고, 안테나부가 다양한 방향에 대해 지향성을 갖도록 본체부에 형성되므로, 외부환경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고, 컨테이너의 적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는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컨테이너 몸체와 상기 경첩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몸체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고정부 및 몸체부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부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장치장 및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고유식별정보 및 통신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정보를 상기 장치장 및 선박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컨테이너 몸체의 옆면과 나란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와, 상 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안테나 중에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안테나 또는 상기 제3 안테나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온도계, 습도계, 가스 검출기, 방사능 검출기 및 진동 감지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의 타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몸체의 내벽 또는 상기 컨테이너 문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문에 대해서 상기 컨테이너 문의 개폐 또는 열린 정도를 감지하는 보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안모듈은 스위치, 압력 센서, 근접 센서 및 변위 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경첩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가 컨테이너 문의 개폐에 대해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되며, 상기 보안모듈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의 탈착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소재는 금속, 고무, 플라스틱, 고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첩과 밀착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자력으로 상기 경첩에 고정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통신장치의 고정부가 결합되고, 컨테이너 몸체와 경첩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몸체부가 위치하며, 고정부 및 몸체부에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해 지향성을 갖는 복수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컨테이너의 적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치장 및 주변의 선박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를 제외한 통신장치가 경첩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통신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컨테이너 문을 연 상태에서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ㄷ'자 형상을 갖는 고정부를 결합함으로써 탈, 부착이 편리하다.
또한, 센서모듈은 일단이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므로,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습도, 진동, 방사능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센서모듈로 RFID 판독기가 사용되어 RFID 태그가 부착된 적재물의 RFID 태그를 판독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테이너 문이 닫히는 경우, 본체부가 컨테이너 몸체와 접하는 위치에 보안모듈을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문의 개폐를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설치하는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가 설치된 도 1의 A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위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장치장 및 주변의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부(10), 안테나부, 센서모듈(30) 및 보안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테이너는 적재물을 수납하는 컨테이너 몸체(50)와 컨테이너 몸체(50)를 개폐하는 컨테이너 문(60)으로 구성된다. 컨 테이너 몸체(50)와 컨테이너 문(60)은 경첩(7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체부(10)는 경첩(70)에 결합되는 고정부(11)와 컨테이너 몸체(50)와 경첩(70)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몸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3)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통신장치 설치공간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정부(11)와 몸체부(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부(11)는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경첩(70)의 상단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경첩(7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의 소재로는 금속, 고무, 플라스틱, 고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부(11)의 하단에 체결부가 포함되어 고정부(11)를 경첩(70)에 결합한 후 하단에서 체결하여 고정부(11)를 경첩(7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경첩(70)은 자석에 붙는 금속 소재이기 때문에, 경첩(70)에 밀착되는 몸체부(13)에 자석을 설치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통신장치(100)를 경첩(70)에 부착할 때에는 컨테이너 문(60)이 열린 상태에서 고정부(11)를 경첩(70)의 상단에 삽입하면, 컨테이너 문(60)이 닫힐 때 고정부(11)와 연결된 몸체부(13)가 컨테이너 몸체(50)와 경첩(70) 사이의 공간인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체부(10)는 장치장 및 외부의 선박과의 통신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 송수신부(17) 및 저장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17)는 안테나부를 통해 장치장 및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고, 저장 부(19)는 컨테이너의 고유식별정보 및 통신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9)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5)는 송수신부(17)를 통해 컨테이너 내부(51)의 정보를 외부의 장치장 및 선박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5)는 장치장 및 외부의 선박으로부터 정보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컨테이너 내부(51)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정보전송 요청 신호의 수신 없이 컨테이너 내부(51)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는 본체부(10)의 고정부(11) 및 몸체부(13)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예컨대 제1 내지 제3 안테나(21, 23, 25)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안테나(21, 23, 25)는 컨테이너의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에 대해 모두 지향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21)는 컨테이너 몸체(50)의 옆면과 나란한 몸체부(13)의 외주면에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21)는 컨테이너 몸체(50)의 옆면에 대한 지향성을 갖는다. 이때, 제1 안테나(21)는 컨테이너 몸체(5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진동,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안테나(21)는 육송을 위해 출력을 최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안테나(23)는 경첩(70)에 삽입되는 고정부(11)의 상부면에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2 안테나(23)는 컨테이너 몸체(50)의 윗면에 대한 지향성을 갖는다.
제3 안테나(25)는 컨테이너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부(11)의 외측면에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3 안테나(25)는 컨테이너 몸체(50)의 앞면에 대한 지향성을 갖는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1)가 경첩(70)에 대해 돌출되어 있으나, 고정부(11)가 경첩(70)에 결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11)가 경첩(70)에 삽입되어도 제3 안테나(25)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경첩(70)의 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진동, 충격에 의한 제3 안테나(25)의 파손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안테나(21, 23, 25)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내지 제3 안테나(21, 23, 25)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와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가능하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안테나부는 제1 내지 제3 안테나부(21, 23, 25)를 포함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1 내지 제3 안테나(21, 23, 25) 중에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부는 제1 안테나(21)를 포함하여 제2 또는 제3 안테나(23,25) 중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안테나(21, 23, 25)가 형성되는 위치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테이너의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에 대해 모두 지향성을 가질 수 있는 통신장치(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항만 또는 선박에 근접하여 일렬로 배치되거나 다층으로 적층되어도 다양한 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이 가능한 범위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센서모듈(30)은 일단이 본체부(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컨테이너 내부(51)에 위치한다. 센서모듈(30)은 온도계, 습도계, 가스 검출기, 방사능 검출기, 진동 감지기 등이 사용되어, 컨테이너 내부(51)의 온도, 습도, 가스, 방사능, 진동 등을 감지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갖는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모듈(30)의 타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컨테이너 몸체(50)의 내벽 또는 컨테이너 문(60)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자석, 접착테이프,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자석, 접착테이프, 볼트 외에도 센서모듈(30)의 타단을 컨테이너 몸체(50) 및 컨테이너 문(60)의 내벽에 부착할 수 있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센서모듈(30)은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컨테이너 내부(51)에 적재된 적재물(8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적재물(80)에 RFID 태그(81)를 부착하고, 센서모듈(30)이 적재물(80)에 부착된 RFID 태그(81)를 판독하는 RFI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 내부(50)의 적재물(80)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센서모듈(30)이 컨테이너 문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컨테이너 문(60)에 이웃하는 컨테이너 몸체(5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장치(100)를 구비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고유식별정보 및 컨테이너 내부의 환경 정보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내부(50)에 적재된 적재물의 종류 및 특성을 감지하여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30)은 온도계, 습도계, 가스 검출기, 방사능 검출기, 진동 감지기, 통신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외에도 컨테이너 내부(51)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보안모듈(40)은 본체부(10)에 형성되어 컨테이너 문(60)의 개폐 또는 열린 정도를 감지한다. 보안모듈(40)은 컨테이너 문(60)이 닫히는 경우에 컨테이너 몸체(50)와 접하는 본체부(10)에 형성되는 스위치, 압력 센서, 변위 센서 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며, 컨테이너 몸체(50)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변위 센서와 근접 센서의 경우, 컨테이너의 몸체 부분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3)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는 보안모듈(40)로부터 컨테이너 문(60)의 허가되지 않은 개폐 정보를 수신하여 컨테이너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 열린 상태로 컨테이너가 이송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몸체부(13)와 고정부(11)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3)에 대해서 고정부(1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200)는 본체부(110), 안테나부 및 센서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테나부는 제1 내지 제3 안테나(121,123,12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30)은 몸체부(113)의 하부면에서 인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체부(110)는 고정부(111), 힌지부(112) 및 몸체부(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몸체부(113)의 일측에 힌지부(112)를 매개로 고정부(1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부(113)에 대해서 고정부(111)를 회전시킴으로써, 컨테이너 문과 컨테이너 본체를 연결하는 양쪽의 경첩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2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보안모듈(40)이 컨테이너 문(60)이 닫힌 상태일 때, 컨테이너 몸체(50)의 외측면에 인접한 내측면에 이웃하는 몸체부(13)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몸체(250)의 외측면에 인접한 내측면 안쪽에 이웃하는 몸체부(213)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는 보안모듈(240)을 통하여 컨테이너 문(260)의 개폐 및 열린정도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30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 안테나부, 센서모듈(230) 및 보안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안모듈(240)을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도 4의 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보안모듈(240)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안모듈(240)은 본체부(210)에 형성되어 컨테이너 문의 개폐를 감지한다. 보안모듈(240)은 컨테이너 문(250)이 닫히는 경우에 컨테이너 몸체(250)와 접하는 본체부(210)에 설치되며, 제3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문의 열린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스위치가 사용된 예를 개시하였다. 즉 컨테이너 몸체(250)의 외측면에 이웃하는 측면과 마주보는 경첩(270)의 면은 컨테이너 문(260)이 열릴수록 거리가 멀어지 고, 닫힐수록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문(260)이 열린 정도에 따라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보안모듈(240)을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 문(260)의 닫힘 뿐만 아니라 열린 정도로 감지할 수 있다. 보안모듈(240)은 컨테이너 몸체(250)의 측면에 밀려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부드럽게 신축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몸체(250)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분은 볼록한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보안모듈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테이너 문(260)이 닫힌 상태에서 컨테이너 문(260)의 개방을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문(260)이 컨테이너 몸체(250)에 닫힌 상태일 때, 보안모듈(240)은 컨테이너 몸체(250)의 측면에 밀착되어 최소 길이로 축소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문(260)이 반시계방향으로 열리기 시작하면, 보안모듈(240)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그 변위가 제어부(15)로 전송한다. 제어부(15)는 수신한 변위가 증가하면, 컨테이너 문(260)이 열리고 있는 상태로 판단한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문(260)이 반시계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이동하여 보안모듈(240)이 늘어날 수 있는 임계길이를 벗어나면, 제어부(15)는 컨테이너 문(260)이 개방되었다고 판단한다. 보안모듈(240)의 돌출된 길이가 임계길이에 도달한 이후에 반시계방향으로 컨테이너 문(260)이 더 회전하게 되면, 컨테이너 몸체(250)의 측면에서 이탈한다. 보안모듈(240)은 임계길이에 도달할 때까지는 컨테이너 몸체(250)의 측면에 대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설계한 이유는 컨테이너 문(260)의 회전에 따라 보안모듈(240)이 자연스럽게 컨테이너 몸체(25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밀려 들어가거나 밀려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컨테이너 문(260)이 열린 상태에서 컨테이너 문(260)의 닫힘을 인지하는 과정은 전술된 과정의 반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100,200)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통신장치의 몸체부가 경첩이 설치된 공간에 고정 설치되고, 경첩에 결합된 고정부가 컨테이너 문의 개폐에 대해 몸체부에서 탈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몸체부와 고정부의 탈착되는 부분에 보안모듈을 설치하여, 몸체부에 대해서 고정부의 탈착 여부로 컨테이너 문(6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의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설치하는 컨테이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가 설치된 도 1의 A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위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Claims (15)

  1. 컨테이너 몸체와 컨테이너 문을 연결하는 경첩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컨테이너 몸체와 상기 경첩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위치하는 몸체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고정부 및 몸체부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부와;
    일단이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해 장치장 및 선박과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고유식별정보 및 통신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정보를 상기 장치장 및 선박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컨테이너 몸체의 옆면과 나란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
    상기 고정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2 안테나;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제3 안테나; 중에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제1 안테나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안테나 또는 상기 제3 안테나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온도계, 습도계, 가스 검출기, 방사능 검출기 및 진동 감지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적재물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의 타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몸체의 내벽 또는 상기 컨테이너 문의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 몸체에 대해서 상기 컨테이너 문의 개폐 또는 열린 정도를 감지하는 보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모듈은 스위치, 압력 센서, 변위 센서 및 근접 센서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경첩 사이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설치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가 컨테이너 문의 개폐에 대해 상기 몸체부에서 탈착되 며,
    상기 보안모듈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의 탈착되는 부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ㄷ'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소재는 금속, 고무, 플라스틱, 고무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경첩과 밀착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자력으로 상기 경첩에 고정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상기 고정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KR1020090085767A 2009-04-10 2009-09-11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KR101028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505 2009-04-10
KR20090031505 200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09A true KR20100113009A (ko) 2010-10-20
KR101028588B1 KR101028588B1 (ko) 2011-04-12

Family

ID=4313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767A KR101028588B1 (ko) 2009-04-10 2009-09-11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42A2 (ko) * 2010-12-02 2012-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봉인 기능을 포함한 컨테이너 통신 장치 및 시스템
KR101515913B1 (ko) * 2013-08-28 2015-04-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20160004277U (ko) * 2015-06-04 2016-12-14 배문준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769B1 (ko) * 2006-05-02 2008-03-12 주식회사 이피아테크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1357352B1 (ko) * 2006-12-15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242A2 (ko) * 2010-12-02 2012-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봉인 기능을 포함한 컨테이너 통신 장치 및 시스템
WO2012074242A3 (ko) * 2010-12-02 2012-09-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봉인 기능을 포함한 컨테이너 통신 장치 및 시스템
KR101515913B1 (ko) * 2013-08-28 2015-04-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20160004277U (ko) * 2015-06-04 2016-12-14 배문준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588B1 (ko) 201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366B2 (en) Placement of tracking devices on pallets
US7436298B2 (en) Container security and monitoring
US8622298B2 (en)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cargo hold of an aircraft
US8390528B2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s, shipment container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a shipment in a container
AU2006214802B2 (en) A reusable container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eal
US20100194579A1 (en) Container security device, container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anagement method
JP2007531107A (ja) コンテナを監視して、そのセキュリティを維持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関連出願のクロスレファレンス)本特許出願は、2004年3月24日出願された同時係属中の暫定特許出願第60/556,106号の全体の開示から優先権を主張するとともに、目的の如何に依らず参照することによってその開示を組み込む。また本特許出願は、参照することにより2003年9月17日出願の米国特許出願第10/667,282号を組み込む。
KR101028588B1 (ko) 컨테이너에 구비되는 통신장치
US73173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container security
KR101003497B1 (ko)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 장치
MA32823B1 (fr) Quai de chargement
JP3141971U (ja) Rfidタグ
KR100587735B1 (ko) 컨테이너 개방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275764B1 (ko)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EP2372677B1 (en) A sealing system for sealing of doors of transport vehicles with door specific seals
KR101257406B1 (ko)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CN108171310B (zh) 一种复合型rfid标签
US11524839B2 (en) Door for smart shipping containers
KR200484160Y1 (ko)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20160061573A (ko) 자이로센서와 충격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한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KR101660423B1 (ko)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KR101515913B1 (ko) 컨테이너 보안용 컨테이너 도어 개폐 감지장치
JP2023143529A (ja) 開封検知システム
KR20170014930A (ko) 전자식 개폐 장치
KR20140087240A (ko) 컨테이너 외부 벽면의 침입감지 및 보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