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662A -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 Google Patents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662A
KR20100112662A KR1020090031042A KR20090031042A KR20100112662A KR 20100112662 A KR20100112662 A KR 20100112662A KR 1020090031042 A KR1020090031042 A KR 1020090031042A KR 20090031042 A KR20090031042 A KR 20090031042A KR 20100112662 A KR20100112662 A KR 2010011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electrolyte
cyclodextrin
electrolyte layer
multi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성윤
진혜승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662A/en
Publication of KR2010011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6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orga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Abstract

PURPOSE: A polyele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nsure high cell adsorption and wetting property and to measure specific material content. CONSTITUTION: A polyelectrolyte multilayer comprises a cyclodextrin or derivative thereof in a laminated structure of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The anionic polyelectrolyte multilayer contains polymethacrylic acid, polyacrylic acid or hyaluronic acid. The cyclodextin is alpha-cyclodextrin or beta-cyclodextrin. A biosensor contains polyelectrolytic multimer.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 및 생체감응장치{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 및 생체감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 and a biosensing device.

최근 바이오엔지니어링(bioengineering) 분야가 대두되고 있다. 바이오엔지니어링이라 함은 세포의 기능을 연구하거나 유도함에 있어서, 세포 배양액에 포함되는 호르몬이나 성장 인자, 혈청을 조절하는 전통적인 방법과 달리 세포가 부착되어 자라는 지지체와 세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세포의 특성인 부착(attachment), 증식(proliferation), 분화(differentiation)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분비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ility)을 가지는 물질의 개발과 표면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기술(chemical surface modification)의 개발이 필요하다.Recently, bioengineering has emerged. Bioengineering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cell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ells where cells are attached and grow, unlike conventional methods of controlling hormones, growth factors, and serum contained in cell culture in studying or inducing cell functions. It refers to the regulation of phosphorus attachment,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secretion. Thi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with biocompati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chemical surface modification.

따라서 생체적합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세포의 부착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층막 및 특정 물질에 대한 포집능과 세포 부착능을 함께 가지는 다층막을 포함한 다양한 다층막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biosensor)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a variety of multilayer membranes including a multilayer membrane having not only biocompatibility but also improving cell adhesion, and a multilayer membrane having both capturing ability and cell adhesion ability to a specific material and biosensors including the same Development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친화력이 뛰어나고, 물질에 대한 선택적인 포집능력을 갖는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 및 상기 다층막을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meet the above demand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film having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having a selective capturing ability to a material, and a biosensing device including the multilayer fil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의 교대 적층구조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층막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layer membrane including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in an alternating stacked structure of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의 교대 적층구조을 포함하고, 상기 교대 적층구조의 최외각층의 어느 한 층 또는 양 층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다층막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ternating layered structure of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wherein one or both layers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alternating layered structure is made of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A multilayer film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층막을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sensing device comprising the multi-layer film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자들은 면역성 및 독성의 면에서도 가장 안전하고, 항균성 및 항박테리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layer-by-layer(LBL) 증착기술로 다층막을 제조하고, 상기 다층막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 또는 흡착시키거나, 상기 다층막의 최외각층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중합체로 형성된 막을 더욱 적층시키는 경우, 세포 생장에 적합하고 흡습성이 우수하며, 응용 조건에 따라 특정 물질을 포집하거나 특정 물질의 광학적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 a multilayer film using a layer-by-layer (LBL) deposition technique using a polymer electrolyte that is safest in terms of immunity and toxicity, and can secure antimicrobi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the cyclodextrin or When including or adsorbing derivatives thereof, or further laminating a film formed of a polymer made of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on the outermost layer of the multilayer membrane, it is suitable for cell growth and hygroscopicity, and a specific material is collected according to application condi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at it can induce optical activity of certain materials.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 전해질은 용매에 녹아 해리할 수 있는 고분자를 의미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에는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과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electrolyte refers to a polymer capable of dissociating in a solvent, and the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and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수용액상태에서 고분자사슬의 화학적 작용기가 음이온을 잃거나 수소이온을 얻어서 양전하를 띌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을 의미할 수 있고, 주위환경의 산도 또는 염기도의 영향을 받아 이온화의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약전해질 양이온성 고분자 뿐만 아니라, 중성 수용성 고분자 중 일반적인 물의 pH 범위에서는 이온화가 잘 되지 않고, 주변의 산도가 매우 높아진 경우에 양전하를 띠는 폴리아크릴 아미드와 같은 중성 수용성고분자도 포함된다.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may mean a polymer electrolyte in which the chemical functional group of the polymer chain loses an anion or obtains hydrogen ions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us may be positively charged. The degree of ionization may be affected by the acidity or basic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e various weakly electrolytic cationic polymers, neutral water-soluble polymers include neutral water-soluble polymers such as polyacrylamide, which are not ionized well in the general pH range of water and have a positive charge when the acidity of the surroundings is very high.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사슬의 화학적 작용기가 양이온을 잃거나 수소이온을 잃어서 음전하를 띌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을 의미할 수 있고, 주위환경의 산도 또는 염기도의 영향을 받아 이온화의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약전해질 음이온성 고분자가 포함된다.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may mean a polymer electrolyte in which a polymer functional group of the polymer chain loses a cation or loses hydrogen ions, and thus may be negatively charged. The degree of ioniz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cidity or basic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ak electrolyte anionic polymers are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서, 1bilayer는 종류가 상이한 두 고분자 전해질층 각 1층이 적층된 다층막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1 bilayer means a multilayer film in which one layer of each of two polymer electrolyte layers having different kinds is stacked.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층막에 관한 것이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film.

상기 다층막은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일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의 교대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다층막 또는 상기 교대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교대 적층구조의 최외각층의 어느 한 층 또는 양 층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다층막인 것일 수 있다.The multilayer film may be 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film, and more specifically, a multilayer film including an alternating stack structure of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or the alternating stack structure,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alternating stack structure. Either layer or both layers may be a multilayer film made of a polymer of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타아크릴 산(poly methacrylic acid, PMA), 폴리아크릴 산(poly acrylacid, PAA),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 styrene sulfonate, PSS)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 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allylamine hydrochloride), PAH), 폴리 아크릴아미드(poly acrylamide, PAAm) 및 폴리 4-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poly(4-vinylbenzlytri-methyl ammonium chloride, PVTA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preferably poly methacrylic acid (PMA), poly acrylacid (PAA), polystyrene sulfonate (PSS) and hyaluronic acid (HA) It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preferably 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poly (allylamine hydrochloride) (PAH), poly acrylamide (PAAm) and poly 4 It may be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benzyltrimethylammonium chloride (poly (4-vinylbenzlytri-methyl ammonium chloride, PVTAC).

상기 다층막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이 각 1층 이상인 다층막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다층막은 1bilayer이거나 그 이상일 수 있으며, 각각 2층 이상일 수 있다.The multilayer membrane may be a multilayer membrane having at least on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on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For example, the multilayer film may be 1 bilayer or more, and may be two or more layer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서, Layer-by-Layer(LBL)이란 상대전하를 띠는 고분자 전해질이 기질표면에 흡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만큼 반복을 함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 또는 필름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er-by-layer (LBL) refers to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film or the film by repeating as many times as desired so that the polymer electrolyte having a relative charge is adsorbed on the substrate surface. .

또한,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이 2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해질층은 각각 동일한 고분자 전해질층 또는 상이한 고분자 전해질층이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이 2층 이상인 경우, 특정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층이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층과 교대로 적층되거나, 종류가 상이한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층이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층과 교대로 적층될 수 있다.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or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two or more,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laminated with the same polymer electrolyte layer or different polymer electrolyte layers, respectively. Specifically, when 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two or more layers, specific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s may be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or different types of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s may be alternately stacked with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Can be.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may be the same as above.

상기 최외각층이란 다층막의 최외각 즉, 제일 바깥에 위치한 층 즉, 최외각에 위치한 고분자 전해질층을 의미한다.The outermost layer refers to the outermost layer of the multilayer film, that is, the outermost layer, that is,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located at the outermost layer.

상기 폴리메타아크릴산은 폴리메타아크릴산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것의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폴리메타아크릴산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메타아크릴산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 내지 200,000 또는 50,000 내지 150,000일 수 있다.The polymethacrylic acid may include not only polymethacrylic acid itself but also salts thereof.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polymethacrylic acid and polymethacrylic acid salt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thacryl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000 to 200,000 or 50,000 to 150,000.

상기 폴리 아크릴산은 폴리 아크릴산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것의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 아크릴산 및 폴리 아크릴산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 아크릴산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 내지 100,000 또는 30,000 내지 90,000일 수 있다.The polyacrylic acid may include not only polyacrylic acid itself but also a salt thereof. Specifically,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polyacrylic acid and polyacrylic acid salt.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cryl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000 to 100,000 or 30,000 to 90,000.

상기 히알루론산은 D-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로코사민이 β(1→3)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이당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글루코사미드글리칸의 일종으로, 상기 히알루론산은 그 화학적, 물리적 구조에 종 차이가 없고, 인간도 대사계를 가 지고 있으며, 면역성 및 독성의 면에서도 가장 안전한 생체 재료이다.The hyaluronic acid is a kind of glucosamide glycan consisting of a disaccharide unit in which D-glucuronic acid and N-acetylglucosamine are connected by β (1 → 3) glycosidic bonds, and the hyaluronic acid has a chemical and physical structure. There are no species differences, humans have a metabolic system and are the safest biomaterials in terms of immunity and toxicity.

상기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그 자체뿐만 아니라 그것의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 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등과 같은 무기염과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암모늄 등과 같은 유기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0 내지 10,000,000일 수 있다.The hyaluronic acid may include not only hyaluronic acid itself but also all salts thereof. Specifically, the hyaluronic aci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aluronic acid and hyaluronic acid salts. The hyaluronic acid salt includes both inorganic salts such as sodium hyaluronate, magnesium hyaluronate, zinc hyaluronate, cobalt hyaluronic acid and the like and organic salts such as tetrabutylammonium hyaluronic aci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hyaluronic ac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0,000 to 10,000,000.

상기 폴리 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히알루론산이나 폴리아크릴 산과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 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 내지 100,000 또는 30,000 내지 80,000일 수 있다.The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may be chemically bonded with hyaluronic acid or polyacrylic acid,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000 to 100,000 or 30,000 to 80,000.

상기 폴리 아크릴아미드는 히알루론산이나 폴리아크릴 산과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 아크릴아미드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0 내지 10,000,000일 수 있다.The poly acrylamide may be chemically bonded with hyaluronic acid or polyacrylic acid,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 acrylam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100,000 to 10,000,000.

상기 다층막은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이 폴리 아크릴아미드인 경우에는, 생체적 환경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분자 전해질 간에 가교반응을 수행하여 가교결합(cross-linking)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교반응은 일 예로 EDAC을 통한 화학반응 또는 열처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cationic polyelectrolyte is polyacrylamide, the multi-layered film may have cross-linking formed by performing a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polymer electrolytes in order to impart stability to the biological environment. The crosslinking reaction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a chemical reaction or heat treatment through EDAC.

본 발명의 다층막은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의 교대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다층 막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가지고 있거나 상기 교대 적층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교대 적층구조의 최외각층의 어느 한 층 또는 양 층이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다층막인 것일 수 있다.The multilay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in the multilayer film including the alternating stack structure of the polymer electrolyte layer or includes the alternating stack structure, and any one or both layers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alternating stack structure It may be a multilayer film made of a polymer of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글루코피라노우즈(glucopyranose) 단위들이 α-(1,4) 결합을 하고 있는 고리형 올리고사카라이드(oligosaccharide)로, 대표적으로 6개 단위의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α-사이클로덱스트린), 7개 단위의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β-사이클로덱스트린), 8개 단위의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γ-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각 탄소에 결합해 있는 하이드록실기(hydroxyl)가 다른 기능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글루코피라노우즈 단위의 2번, 3번 및 6번 탄소에 결합된 하이드록실기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이상의 하이드록실기가 아민기를 포함하는 기능기 또는 다른 기능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The cyclodextrin is a cyclic oligosaccharide in which glucopyranose units bind α- (1,4), and typically 6 units of alpha-cyclodextrin (α-cyclodextrin). Dextrin), 7 units of beta-cyclodextrin (β-cyclodextrin), 8 units of gamma-cyclodextrin (γ-cyclodextri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yclodextrin derivative may be a hydroxyl group (hydroxyl) bonded to each carbon may be substituted with another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carbon 2, 3 and 6 of the glucopyranose unit as shown in the following formula (1) The at least one hydroxyl group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l groups bonded to may be substituted with a functional group or another functional group including an amine group.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09021592080-PAT00001
Figure 112009021592080-PAT00001

상기 다층막은 생체감응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고분자 다층막이 요구되는 장치 또는 기구에 응용될 수 있다.The multilayer film may be applied to a device or a device requiring various polymer multilayer films including a biosensing device.

일 예로, 본 발명은 상기 다층막을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sensing device including the multilayer film.

또한, 상기 다층막의 경우는 세포의 선택적 흡착 등과 같은 목적 또는 생체감응장치의 응용을 위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 또는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중합체를 패터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ultilayer membrane, the polymer electrolyte or the cyclodextrin polymer may be patterned for purposes such as selective adsorption of cells or for application of a biosensing device.

상기 패터닝을 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다층막 패턴층에는 생체물질 고정용 물질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생체물질은 일예로 세포,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사카라이드, 지방산,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및 폴리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원핵세포 및 진핵세포를 포함한 모든 세포일 수 있고, 일 예로 섬유세포, 간세포(hepatocyte), 신경세포(neurons), 암세포(cancer cell, 예를 들면 HeLa cell), B cell, 백혈구세포(white blood cell, 예를 들면 Raw264.7) 등을 포함한 면역세포 및 배아세포 등일 수 있다.A biomaterial fixing material may be combined with the multilayer pattern layer formed through the patterning. For example, the biomaterial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s,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oligosaccharides, fatty acids, polypeptides, proteins, and polynucleotides, and preferably cells. The cell may be any cell including prokaryotic and eukaryotic cells, for example fibroblasts, hepatocytes, neurons, cancer cells (eg HeLa cells), B cells, leukocyte cells ( white blood cells such as Raw264.7), and the like, including immune cells and embryonic cells.

상기 생체물질 고정용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생체물질 고정용 생체물질일 수 있다. 상기 생체물질 고정용 생체물질은 아미노산 서열이 RGD인 올리고펩타이드 서열을 포함한 모든 올리고펩타이드 및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과 기타 수용체 펩타이드를 가진 단백질일 수 있으며, 상기 올리고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단백질은 피브로넥틴(fibronectin) 또는 피브린(fibrin) 등일 수 있고, 상기 수용체 펩타이드를 가진 단백질은 라미닌(lamin) 또는 콜라겐(collagen) 등일 수 있다.The biomaterial-fixing material may be a biomaterial-fixing biomaterial. The biomaterial for fixing the biomaterial may be any oligopeptide including an oligopeptide sequenc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RGD and a protein including the oligopeptide and other receptor peptides, and the protein including the oligopeptide may be fibronectin ( fibronectin), fibrin, or the like, and the protein having the receptor peptide may be laminin, collagen, or the like.

또한, 상기 다층막은 상기 패턴층 위에 박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박막은 상기 생체물질, 바람직하게는 세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 기 생체물질은 상기 생체물질 고정용 생체물질,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산 서열이 RGD인 올리고펩타이드 서열을 포함한 폴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박막은 고분자 전해질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나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패턴층에 부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막에 포함된 세포가 세포정용 생체물질이 결합된 고분자 전해질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이나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패턴층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layer film may further include a thin film on the pattern layer, the thin film may include the biomaterial, preferably cells, the biomaterial is the biomaterial for fixing the biomaterial, Preferably, the polypeptide may include an oligopeptide sequenc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RGD. The thin film may be attached to a pattern layer including a polymer of a polymer electrolyte or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Preferably, the cells included in the thin film are a polymer electrolyte or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in which a cell biomaterial is bound. It may be attached to a pattern layer containing a polymer of.

상기 다층막이 DNA 칩(DNA chip), 단백질 칩(Protein chip) 또는 세포계 바이오센서(cell-based biosensor) 등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지 아니한 최외곽층은 기판에 접합하는 기판 접착층일 수 있고, 상기 다층막이 유도 조직 재생술에 사용되거나, 피부 또는 점막 조직의 드레싱 소재 등으로 사용되는 등 조직 재생 유도 기능을 위해 손상 조직과 마주하는 면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지 아니한 최외각층은 생체 조직에 접합하는 조직 접착층일 수 있다.When the multilayer film is used in a DNA chip, protein chip, or cell-based biosensor, the outermost layer not including the pattern layer may be a substrate adhesive layer bonded to a substrate. In addition, when the multilayer film is used as a surface facing the damaged tissue for tissue regeneration inducing function, such as used for induced tissue regeneration, or as a dressing material for skin or mucosal tissue, the outermost layer not including the pattern layer May be a tissue adhesion layer that bonds to living tissu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생체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bioreactor.

상기 생체반응장치는 상기 다층막을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링 수 있다.The bioreactor may be a biosensing device including the multilayer membrane.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반응장치는Specifically, the bioreactor is

기판; 최외각층에 고분자 전해질층 또는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이나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이 최상층으로 되게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다층막을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일 수 있다.Board; The outermost layer may be a biosensing device including the multi-layered film formed on the substrate such that a polymer electrolyte layer or a layer made of a polymer of the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is a top layer.

상기 생체감응장치는 세포고정용 생체물질이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양전하성 고분자 전해질과 결합되어 있어서,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세포 배양에 적합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세포계 생체감응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생체감응장치는 일 예로 biosensor일 수 있다.The biosensing device is combined with a positively charged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an amide group in a cell-fixing biomaterial, and thus can be applied to a cell-based biosensing device because it has excellent chemical stability and can provide conditions suitable for cell culture. . The biosens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 biosensor.

상기 기판은 생체감응장치에 응용될 수 있는 기판으로,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로 제조된 것(glass slide) 또는 실리콘(silicon)이나 금(gold) 등의 금속기판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은 mica와 같이 양전하 경향을 띄는 기판일 수 있고, 유리(glass), 실리콘(silicon), 금(gold), 철(steel) 등의 금속기판과 같이 음전하 경향을 띄는 기판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류(폴리스티렌, 아크릴, 테프론 등)와 같은 전하를 띄지 않는 유기질 기판일 수 있다.The substrate is a substrate that can be applied to the biosensing device, th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made of glass (glass slide) or metal substrate such as silicon (silicon) or gold (gold) It may have been. Specifically, the substrate may be a substrate that tends to be positively charged, such as mica, and may be a substrate that tends to be negatively charged, such as metal substrates such as glass, silicon, gold, and steel. It may be an organic substrate having no charge such as plastics (polystyrene, acrylic, Teflon, etc.).

상기 전하를 띄는 기판의 경우, 반대전하의 고분자 전해질을 이용하여 다층막을 코팅할 수 있고, 상기 전하를 띄지 않는 유기질 기판의 경우, 고분자 물질간의 소수성(hydrophobic) 흡착성을 이용하여 다층막을 코팅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harged substrate, the multilayer film may be coated using a polymer electrolyte of opposite charge, and in the case of the organic substrate in the absence of the charge, the multilayer film may be coated using hydrophobic adsorption between polymer materials. .

상기 다층막은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이 layer-by-layer(LBL) 증착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고,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가 포함되거나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의 중합체가 최외각층인 것일 수 있다.The multilayer membrane may be one in which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re manufactured by using a layer-by-layer (LBL) deposition technique, and include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or a polymer of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It may be the outermost layer.

본 발명의 생체감응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고분자를 이용하므로 세포의 흡착성을 향상시키고, 다층막 내부의 특정 물질을 흡착할 수 있으며, 특정 물질의 광학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생체감응장치(Biosensor)를 포함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조직과 결합하여 실험 또는 진단용, 의료용이나 질병 치료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 그 산업적 효과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Since the bios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e a polym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sorption of cells, to adsorb a specific material inside the multilayer film, and to improve the optical activity of the specific material. Not only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but also combined with biological tissues can be used for experiments or diagnostics, medical or disease treatment, the industrial effect will be very lar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example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 :

실시예Example 1-1. 시약 1-1. reagent

Poly(methacrylic acid)(PMA, Mw=100,000) 및 Poly(allyamine hydrochloride)(PAH, Mw=60,000)은 Polysciences사의 시약을 사용하였고, Carboxlyated beta-cyclodextrin은 SUPELCO사의 시약을 사용하였다. Methylene blue Hydtrate는 Fluka사의 제품을 이용였다. 모든 고분자 전해질과 시약은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세포실험에 이용한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 0.25% Tripsinf-EDTA,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은 gibco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DMEM을 만들기 위해서 Gibco 제품의 fetal bovine serum(FBS)와 Antibioic-Antimycotic을 사용하였다.Poly (methacrylic acid) (PMA, Mw = 100,000) and Poly (allyamine hydrochloride) (PAH, Mw = 60,000) were used as reagents of Polysciences, and Carboxlyated beta-cyclodextrin was used as reagents of SUPELCO. Methylene blue Hydtrate was used by Fluka. All polymer electrolytes and reagents were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 0.25% Tripsinf-EDTA, and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were used for cell experiments. In addition, Gibco fetal bovine serum (FBS) and Antibioic-Antimycotic were used to make DMEM.

알파-Cyclodextrin 시약은 TCI사 제품을 사용하였고, 베타-Cyclodextrin 시약은 Aldrich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Epichlorohydrin(EP), choline chloride (CC)는 Aldrich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Dialysis는 Spectrum사의 분자량 cut-off 1000 membrane을 이용하였다. dialysis 및 실험의 전 과정은 탈이온수(Deionized water; >18MΩcm Millipore Milli-Q)를 이용하여 수용액을 만들었다.Alpha-Cyclodextrin reagent was used by TCI, and beta-Cyclodextrin reagent was used by Aldrich. Epichlorohydrin (EP) and choline chloride (CC) were used from Aldrich. Dialysis was performed using Spectrum's molecular weight cut-off 1000 membrane. The whole process of dialysis and experiment was made with deionized water (> 18MΩcm Millipore Milli-Q).

실시예Example 1-2: 고분자  1-2: polymer 다층막의Multilayer 제조 Produce

고분자 전해질 수용액을 만드는 과정과 세척과정은 Millipore 사의 Milli-Q 정수기를 이용하여 생산한 탈이온수(Deionized water; > 18 MΩ)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The process of making and washing the polyelectrolyte aqueous solution was performed using deionized water (> 18 MΩ) produced using Millipore's Milli-Q water purifier.

상기 고분자 전해질 중, PAH 와 PMA수용액은 0.01M의 농도로 만들어 0.45㎛의 기공을 가진 필터로 여과해서 먼지나 미생물을 제거하여 사용하였고 0.1M의 HCl이나 NaOH 수용액으로 pH를 조정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은 고분자 전해질의 양전하와 음전하를 이용한 이온결합을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을 형성하였고, PAH와 PMA를 교대로 흡착시켜 얻었다. 본 실험에서 다층막의 물성측정을 위하여 사용한 기판(기질)은 실리콘 기판(silicon glass 또는 silicon wafer)을 세척병에 희석한 세제와 함께 넣고, 초음파처리(ultrasonication)을 15분 이용한 다음 다시 탈이온수로 헹구어준다. 2-3번의 헹구어주는 과정이 거친 후 질소 가스로 건조를 시켜준다. PAH 양이온성 수용액에 20분간 담근 다음 2번의 헹굼과정을 거친 다음 15분간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 수용액 PAA에 기질을 담근 후 탈이온수에 2분동안 2번 헹굼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1 bilayer라 하고 원하는 두께 만큼 bilayer수를 늘린다. 필름 제조가 끝난 후에는 다시 질소 가스를 이용해 신속히 건조 시켜 준다.PAH and PMA aqueous solution of the polymer electrolyte was made to a concentration of 0.01M and filtered through a filter having a pore of 0.45㎛ used to remove dust and microorganisms, and pH was adjusted with 0.1M HCl or NaOH aqueous solu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 was formed by ionic bonding using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of the polymer electrolyte to form 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 and PAH and PMA were alternately adsorbed. In this experiment, the substrate (substrat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properties of the multilayered film was placed with a detergent diluted with silicon glass (silicon glass or silicon wafer) in a washing bottle, followed by ultrasonication for 15 minutes, and then rinsed again with deionized water. give. After 2-3 rinsing cycles, dry with nitrogen gas. After soaking in PAH cationic aqueous solution for 20 minutes, and then rinsing twice, immersing the substrate in PAA solution for 15 minutes and rinsing twice with deionized water for 2 minutes. Call this process 1 bilayer and increase the number of bilayers to the desired thickness. After the film is finished, it is quickly dried with nitrogen gas.

실시예Example 1-3: 다층박막에  1-3: multilayer thin film 사이클로덱스트린을Cyclodextrin 포함(흡착)시키는Including (adsorption) 실험 Experiment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흡착)시키는 실험은 도 1에 나타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The experiment of including (adsorbing) the cyclodextrin was perform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1.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2의 다층 박막을 형성한 필름을 Carboxylate beta cyclodextrin에 15분간 담그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film on which the multilayer thin film of Example 1-2 was formed was immersed in Carboxylate beta cyclodextrin for 15 minutes.

실시예 2: 고분자 다층막의 특성 확인Example 2: Checking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 multilayer

실시예 2-1: 접촉각의 측정을 통한 젖음성의 측정Example 2-1: Measurement of Wetting through Measurement of Contact Angle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다층막의 젖음성(습윤성, wettability)을 측정하기 위하여, Face사의 CA-A Contact angle analyzer를 이용하여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상기 접촉각 측정에 의해 확인된 접촉각인 advancing contact angle과 receding contact angle은 필름의 수분에 대한 변화 경향을 측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수이다. 일반적으로, 젖음성이 좋은 필름은 static contact angle만 낮은 것이 아니라 상기 advancing contact angle과 receding contact angle도 낮은 것으로 보고되어있다.In order to measure the wettability (wetability, wettability) of the multilayer film prepared in Example 1-3, the contact angle of water was measured using a CA-A Contact angle analyzer of Face. Advancing contact angle and receding contact angle, which are the contact angles identified by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are indices that help to measure the change tendency of the film with respect to moisture. In general, the wettable film is not only low in static contact angle but also reported in low advancing contact angle and receding contact angle.

상기 접촉각 측정에 사용한 물은 정제수를 필터를 한 후에 사용하였으며, 주사기를 이용하여 10 ul의 방울을 형성한 후 필름이 올려진 측정판을 서서히 올려 물방울에 접촉하도록 하여 접촉각 측정에 중력의 영향이 없도록 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static contact angle를 측정하고, advancing contact angle의 측정은 상기 static contact angle를 측정한 상태에서 10 ul의 물을 더 첨가하여, 다시 접촉각을 측정하여 수행하였고, 상기 receding contact angle의 측정은 상기 advancing contact angle을 측정한 20 ul의 물방울에서 10 ul의 물을 빨아드려서 다시 접촉각을 측정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The water used for measuring the contact angle was used after filtering the purified water, using a syringe to form a drop of 10 ul and then slowly raise the measuring plate on which the film is placed so as to contact the water drop so that the influence of gravity on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It wa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static contact angle is measured, and the advancing contact angle is measured by further adding 10 ul of water in the state of measuring the static contact angle, and measuring the contact angle again. The receding contact angle was measured by sucking 10 ul of water from 20 ul of water droplets for measuring the advancing contact angle and measuring the contact angle again.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상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의 경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 경우에 접촉간이 약 반으로 감소되어 막의 두께가 다른 경우 모두 젖음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 prepar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eta-cyclodextrin is included, the contact interval is reduced by about half,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wettability is remarkably improved when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is different. .

실시예Example 2-2:  2-2: UVUV 측정방법 How to measure

UV-vis 분광광도계는 자외선광원이 시료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 내부의 전자 전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분자 내의 전자구조, 즉, 분자의 화학 결합상태 및 기하학적 구조 등의 특징에 따라 흡수되는 빛 에너지의 크기 (frequency) 및 세기(Intensity) 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빛의 파장(nm) 또는 진동수 (Hz) 에 따라 물질의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여 데이타를 나타나게 된다. 용액상에서 측정할 수도 있으며, Film이 얼마나 잘 형성되었는지 결과를 보기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Scinco S-3100 모델을 대상으로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프로그램 사용 20분 전에 UV-vis spectrophotometer의 전원을 켜둔 뒤, 20분 뒤에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기본사항(y축, 반복측정횟수 등)을 Setting 해준 뒤 Sample을 찍기 전 Base line을 잡아주어야 한다. Base line은 sample의 기질분비와 마찬가지로 Ultrasonication을 이용하여 세척되어진 Slide glass로 사용한다. Base line은 Measure 메뉴의 run blank ( 또는 도구상자의 회색 비커모형 ) 를 클릭하게 되면 10번의 스캔을 거쳐 Base line을 측정하게 된다. 그 다음 sample을 측정하게 되는데 Sample을 홀더에 장착한 뒤, measure 메뉴의 run sample 을 클릭하여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는 화면에 즉각적으로 그래프로 표시가 된다. 측정한 데이터의 저장은 File-Save-sample spectrum, CSV format file을 선택한 뒤 ok를 누르면 된다. 데이터는 표의 형태로 얻어지는데 저장한 파일을 excel에서 열어서 챠트화 시키면 그래프형태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In the UV-vis spectrophotometer, when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passes through the sample, an electron transition occurs inside the sampl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appear differently. Here, the absorbance of the material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wavelength (nm) or the frequency (Hz) of the light and the data is displayed. It can also be measured in solution and used to see how well the film is formed. To explain how to use the Scinco S-3100 model used in the laboratory, first turn on the UV-vis spectrophotometer 20 minutes before using the program, and then run the program after 20 minutes. After executing the program, set up the basics (y-axis, number of repetitive measurements, etc.) and grab the base line before taking the sample. The base line is used as the slide glass cleaned by ultrasonication as well as the substrate secretion of the sample. For the base line, click the run blank (or the gray beacon in the toolbox) on the Measure menu to measure the base line after 10 scans. The sample is then measured. The sample is placed in the holder and can be measured by clicking run sample on the measure menu. Data is immediately graphed on the screen. To save the measured data, select File-Save-sample spectrum, CSV format file and press ok. Data is obtained in the form of a table. If you save the saved file in Excel and chart it, you can get the data in graph form.

2-2- 3원자3atoms 힘 현미경( Force microscope AFMAFM )을 이용한 표면형태학적 특성의 측정Surfac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상기 실시예 1-2 및 1-3에서 제조된 다층막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면형태학적 성질을 AF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상기 표면형태학적 성질에 의하여 확인한 결과, 세포의 비선택적 흡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인 표면들은 전체적으로 측정된 표면에 미세한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것 같은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In order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the multilayer films prepared in Examples 1-2 and 1-3, surface morphological properties were confirmed using AFM. In general, as confirmed by the surface morphological properties, it is reported that the surfaces exhibit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non-selective adsorption of the cells exhibits a shape as if the fine particles are distributed on the measured surface as a whole.

구체적으로, 본 실험에서 이용한 현미경은 Digital Instrument사의 Dimension 3100 AFM을 이용하였고, 상기 표면형태학적 성질의 확인은 상기 AFM을 이용하여 tapping mode에서 AFM의 높이(height) 이미지를 촬영하여 각각의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 표면의 위상차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Specifically, the microscop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using Digital Instrument's Dimension 3100 AFM, and the surface morphological properties were confirmed by taking a height image of AFM in a tapping mode using the AFM. It carried out by the method of checking the phase difference of a surface.

실시예2Example 2 -4: 고분자 전해질 -4: polymer electrolyte 다층막Multilayer film 필름의 세포 흡착성 실험 Cell Adsorption Experiment of Film

다층막을 이용하여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 필름의 세포 흡착성 실험을 수행하였다.Cell adsorption experiment of the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 film was performed using the multilayer membrane.

상기 다층막과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장세포(HEK 293 kidney cell)를 포함한 여러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In order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ultilayered membrane and the cells,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several cells including kidney cells (HEK 293 kidney cells),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실시예Example 3:  3: 다층막의Multilayer 효과 확인 Check the effect

PAH(8.5)/PMA(4.0)의 필름은 약 40°정도를 유지하였으나, carboxylated beta cyclodextrin 에 한 번 담근 후에는 약 20°정도를 친수성 표면 을 갖게 되었다.The film of PAH (8.5) / PMA (4.0) maintained about 40 °, but carboxylated beta After soaking in cyclodextrin once, it has a hydrophilic surface of about 20 ° .

필름에 On film 흡착되어진Adsorbed carboxylatedcarboxylated betabeta cyclodextrincyclodextrin silver MethyleneMethylene blueblue ( ( MeBMeB ) 0.001M와 ) With 0.001M complexationcomplexation 을 형성할 수 있다.Can be formed.

PAH/PMA 필름은 MeB와 거의 반응이 없지만, Carboxylated beta cyclodextrin이 흡착 된 필름은 MeB와 반응 을 하여 UV흡수도가 증가 하였다.이는 아래 그림과 같이 Beta cyclodextrin의 기공에 MeB가 들어가 Host-Guest interaction이 일어나 흡수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AH / PMA film hardly reacted with MeB, but the film absorbed with Carboxylated beta cyclodextrin reacted with MeB to increase the UV absorption. It was found that the absorbance increased.

다양한 pH condition에서 형성된 다층박막이 Carboxylated β-CyD와 Methyleneblue (MeB)의 Host-Guest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PAH, PMA는 약고분자 전해질이기 때문에 pH에 따라 전하밀도가 달라지고 이는 사슬 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사슬 구조의 변화는 필름의 모폴로지, 젖음성등 다양한 성질을 갖게 한다.The effect of multi-layer thin films formed on various pH conditions on the host-guest interaction between carboxylated β-CyD and Methyleneblue (MeB) was investigated. Since PAH and PMA are weak polymer electrolytes, the charge density varies with pH, resulting in a change in the chain structure. Changes in the chain structure have various properties such as morphology and wettability of the film.

우리는 PAH(4.0)/PMA(4.0), PAH(8.5)/PMA(4.0), PAH(8.5)/PMA(8.5)의 조건으로 다양한 필름을 형성하였다. 또한 필름 형성 후 낮은 pH (2.0)의 di - water 에 2 min 간 처리해줌으로써 필름 내부의 공간을 확보해주는 실험 도 하였다.We formed various films under the conditions of PAH (4.0) / PMA (4.0), PAH (8.5) / PMA (4.0), PAH (8.5) / PMA (8.5). In additi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ecure the space inside the film by treating with di - water of low pH (2.0) for 2 min after film formation .

MeB이 외에도 Salicylic acid(SCA)를 guest 분자로 이용하여 Carboxylated β-CyD와 Host-Guest 상호작용을 실험해 보았다.In addition to MeB, Salicylic acid (SCA) was used as a guest molecule to test the interaction between Carboxylated β-CyD and Host-Guest.

Carboxylated β-CyD이 존재하지 않아도 Salicylic acid의 영향으로 필름이 친수성으로 변하였으나, Carboxylated β-CyD와 Salicylic acid의 Host-Guest 상호작용으로 접촉각은 조금 감소하였다..Although the film became hydrophilic under the influence of Salicylic acid even without Carboxylated β-CyD, the contact angle decreased slightly due to the Host-Guest interaction of Carboxylated β-CyD with Salicylic acid.

세포 흡착 실험Cell adsorption experiment

신장 세포 (HEK 293 cell)은 증식이 빠르고 배양이 용이하기 때문에 의학 분야와 생체재료 분야에서 유용한 세포의 종이다. 세포 흡착 실험을 위한 기질은 지름 60mm의 세포배양용 폴리스타이렌 디쉬(TCPSTissue Culture Grade Polystyrene Dish)의 2/3만큼을 다층박막 필름으로 코팅하여 코팅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Bare)을 비교 관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세포배양용 media을 세포에 가장 적당한 온도로 맞추어 주기 위하여 항온조에 넣어 37℃로 만들어 주고 CO2 Incubator에서 배양되어 온 세포들을 시편에 나누어 넣기 위해서 세포가 자라고 있는 TCPS의 media를 제거해 주고 DPBS ( Dulbecco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TCPS의 세포를 2번 세척하여 주고 Tripsinf-EDTA 700Чl을 TCPS에 넣어 최왹각 쪽부터 수평으로 2~3회 정도 기울여 적신 후 Micro-Pipet을 이용하여 Trypsin-EDTA를 완전히 제거하여 주었다. 세포의 안정화를 위하여 5 분간 Incubator에서 배양시켜 주고 다시 꺼내어 새 media 4ml을 세포에 분산시켜 준다. 세포가 분산되 4 ml의 media 중 1/10을 70% 에탄올로 소독된 sample 위에 4 ml의 media와 함께 넣어 주었다. 그리고 다시 CO2 Incubator에 넣고 배양하고 실험 후 1, 3, 5일 후에 세포들의 흡착과정을 관찰하였다. Carboxylated β-CyD 존재 유무에 따른 세포실험을 하였다.Renal cells (HEK 293 cells) are a species of cells that are useful in medicine and biomaterials because of their rapid proliferation and ease of culture. Substrate for cell adsorption experiment was coated with a multilayer thin film of two-thirds of 60mm diameter TCPSTissue Culture Grade Polystyrene Dish to compare the coated and unbarred areas (bare) It was. For the experiment cells give made of 37 ℃ put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to give a match to the culture media for the temperature suitable for the CO 2 cells To divide the cells cultured in the incubator into the specimen, remove the media of TCPS growing, wash the cells of TCPS twice with DPBS (Dulbecco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insert Tripsinf-EDTA 700Чl into TCPS. After wetting about 2 ~ 3 times horizontally, we tried to completely remove Trypsin-EDTA using Micro-Pipet. For stabilization of the cells, incubate for 5 minutes in the incubator and take out again to disperse 4ml of new media in the cells. Cells were dispersed with 1 ml of 4 ml of media and 4 ml of media was put on 70% ethanol sterilized sample. And again CO 2 After incubation in the incubator and observed the adsorption process of the cells 1, 3, 5 days after the experiment. Ce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rboxylated β-CyD.

2-2 Cationic β-CyD polymer 합성2-2 Cationic β-CyD polymer synthesis

1) 실험1) Experiment

1-1) 시약1-1) Reagent

β-CyD, Epichlorohydrin(EP), choline chloride (CC)는 Aldrich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Dialysis는 Spectrum사의 분자량 cut-off 1000 membrane을 이용하였다.dialysis 및 실험의 전 과정은 탈이온수(Deionized water; >18MΩcm Millipore Milli-Q)를 이용하여 수용액을 만들었다.β-CyD, Epichlorohydrin (EP) and choline chloride (CC) were used by Aldrich. Dialysis was performed using Spectrum's molecular weight cut-off 1000 membrane. The entire process of dialysis and experiment was made with deionized water (> 18MΩcm Millipore Milli-Q).

1-2) Cationic β-CyD polymer [P(βCyD)]합성1-2) Cationic β-CyD polymer [P (βCyD)] synthesis

β-CyD/EP/CC=1/15/1의 몰비로 합성은 진행되었다. NaOH 1g을 20ml 탈이온수에 녹 인다. NaOH 수용액에 1.135g의 β-CyD을 넣어준다. β-CyD가 들어간 NaOH 수용액은 25℃에서 24시간 교반시켜준다. 수용액에 CC 0.140g 넣어주고 EP 1.388g을 약 0.1ml/min 속도로 첨가하여준다. EP을 다 넣어준 후, 60℃로 열을 가해준다. 중합이 진행되는 동안 60℃와 600rpm을 유지시켜준다. 두 시간후 중합은 3N의 염산 수용액을 첨가해줌으로써 중성 수용액에 의해 종료되어진다. Solution은 분자량 cut-off 1000 membrane을 이용하여 24시간동안 dialisis한다. Dialysis를 통해 얻어진 solution은 동결건조를 통해 순수한 파우더를 얻을 수 있다. Synthesis proceeded at a molar ratio of β-CyD / EP / CC = 1/15/1. Dissolve 1 g NaOH in 20 ml deionized water. 1.135g β-CyD is added to an aqueous NaOH solution. NaOH aqueous solution containing β-CyD is stirred at 25 ° C for 24 hours. Add 0.140 g of CC to the aqueous solution and add 1.388 g of EP at a rate of about 0.1 ml / min. After all the EP is added, heat it to 60 ℃. Maintain 60 ℃ and 600rpm during the polymerization. After two hours, the polymerization was terminated by neutral aqueous solution by adding 3N aqueous hydrochloric acid solution. The solution is dialisis for 24 hours using a molecular weight cut-off 1000 membrane. The solution obtained through dialysis can obtain pure powder through lyophilization.

2) 결과2) results

2-1) GPC2-1) GPC

합성 된 Cationic β-CyD polymer의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해 GPC를 이용하였다. GPC smaple은 3mg/1ml의 농도로 준비하였고 GPC standard는 PEG를 이용한 결과이다. Mn은 2211.5g/mol, Mw는 2306.4 g/mol D:1.0429의 결과를 얻었다.GPC was used to measur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ynthesized Cationic β-CyD polymer. GPC smaple was prepared at the concentration of 3mg / 1ml and GPC standard was the result using PEG. Mn was 2211.5 g / mol and Mw was 2306.4 g / mol D: 1.0429.

2-2) NMR2-2) NMR

합성 된 cationic β-CyD polymer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NMR을 측정하였다. JNM-AL400의 NMR에서 시행되어졌고, 400MHz 공명주파수를 가진다. NMR solvent는 Aldrich사의 D2O를 사용하였다.NMR was measured to analyze the synthesized cationic β-CyD polymer structure. Implemented on the NMR of JNM-AL400, it has a 400MHz resonance frequency. NMR solvent was used Al Drich's D 2 O.

2-3) P(βCyD)를 이용한 다층박막 형성2-3) Multilayer Thin Film Formation Using P (βCyD)

1.실험1. Experiment

1-1) 시약1-1) Reagent

Poly (Acrylic acid)(Mw=90.000)은 Polyscience사의 시약을 사용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은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세포실험에 이용한 Dulbecco Phosphate Buffered Saline(DPBS), 0.25% Tripsinf-EDTA,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DMEM)은 gibco 제품을 사용하였다. 또한 DMEM을 만들기 위해서 Gibco 제품의 fetal bovine serum(FBS)와 Antibioic-Antimycotic을 사용하였다Poly (Acrylic acid) (Mw = 90.000) was used as a reagent of Polyscience. The polymer electrolyte was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Dulbecco 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 0.25% Tripsinf-EDTA, and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DMEM) were used for cell experiments. In addition, Gibco fetal bovine serum (FBS) and Antibioic-Antimycotic were used to make DMEM.

2. 결과2. Results

P(βCyD)의 pH를 7.0으로 고정 시킨 후, PAA pH를 각각 3.0 , 5.0, 7.0으로 조정한 뒤 LBL 형식으로 After fixing the pH of P (βCyD) to 7.0, adjust the PAA pH to 3.0, 5.0, and 7.0, respectively.

필름을 형성한 뒤 MeB로 염색한 후 UV를 측정하였다.After the film was formed and dyed with MeB, UV was measured.

접촉각이란 액체가 고체 표면 위에서 열역학 적으로 평형을 이룰 때 고체 표면과 액체 표면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이 때 고체 표면의 상태와 액체의 종류에 따라 그 각이 달라지기 때문에, 접촉각으로 표면 에너지와 표면의 균일성, 친수성 정도를 알 수 있다. 필름이 적층됨에 따라 젖음성(Wettability)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접촉각을 측정했다. 젖음성 실험은 Face회사의 CA-A Contact angle analyzer를 이용하여 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접촉각 측정에 사용한 물은 탈이온수를 사용하였으며 주사기를 이용하여 15Чl의 방울을 형성한 후 필름이 올려진 측정판을 서서히 올려 물방울에 접촉하도록 하여 접촉각 측정에 중력의 영향이 없도로 하였다. 먼저 정적 접촉각(Statcic contact angle)을 측정하였고, 그 상태에서 15Чl를 더 첨가하여 Advancing contact angle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30Чl의 방울에서 15 Чl를 다시 빨아드려서 Receding contact angle을 측정하였다. 결과 값은 필름의 표면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5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구했다.Contact angle is the angle between the solid surface and the liquid surface when the liquid is thermodynamically balanced on the solid surface. At this time, since the angle varies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olid surface and the type of liquid, the contact angle shows the surface energy, the uniformity of the surface, and the degree of hydrophilicity.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change in wettability as the film was laminated. In the wettability test, the contact angle of water was measured by using CA-A Contact angle analyzer of Face Company. Deionized water was used for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and a drop of 15 Чl was formed using a syringe, and then the measurement plate on which the film was lifted was slowly raised to contact the water drop, thereby preventing the influence of gravity on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First, the static contact angle was measured, and in that state, 15 ll was further added to measure the advancing contact angle. Finally, 15 Чl was sucked again from the droplet of 30 Чl to measure the Receding contact angle. The result value calculated | required the average value of the value measured 5 times by dropping a water droplet on the surface of a film.

Charge density를 충분히 하기 위해서 낮은 pH로 P(βCyD)의 pH를 조절하였다. pH3.0으로 조정 된 P(βCyD)는 앞에 실험과 같이 PAA pH3.0, 5.0 7.0 과 LBL 방법으로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 필름은 MeB에 담겨 P(βCyD)와 complexation을 형성한다. UV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PAH/PAA, PAH/PAA/P(βCyD)/PAA의 필름과 비교하였다.In order to sufficiently charge density, the pH of P (βCyD) was adjusted to low pH. P (βCyD) adjusted to pH3.0 formed a film by PAA pH3.0, 5.0 7.0 and LBL method as in the previous experiment. This film is complexed with P (βCyD) in MeB. Observation was made using UV. Also compared with films of PAH / PAA, PAH / PAA / P (βCyD) / PAA.

광학적으로 비활성을 가진 guest 분자가 Cyclodextrin complexation 형성하면, 활성을 가지는 특징 을 가지게 된다. Cyclodextrin과 Guest 분자의 상호작용으로 광학 활성은 유도 되어진다 Circular dichrorism spectra에 의해 complexation을 확인할 수 있고 구조 정보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MeB와 complexation 형성 시 CD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f the guest molecules of the optically inactive form Cyclodextrin complexation with, is to have a characteristic which is active. Optical activity is induced by the interaction of cyclodextrin and guest molecules. Complexation can be confirmed by circular dichrorism spectra and structur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When complexation with MeB was found to have a CD valu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된 고분자 전해질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film including cyclodextrin in 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 다중막의 젖음성을 나타내는 접촉각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contact angle experiment showing the wettabil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막의 접촉각, UV를 통하여 측정한 값 및 세포 접착력을 나타낸 그래프 또는 사진이다.3 to 18 are graphs or photographs showing contact angles, values measured through UV, and cell adhesion of the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의 교대 적층구조에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다층막.A polymer electrolyte multilayer membrane comprising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in an alternating stacked structure of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메타아크릴 산, 폴리아크릴 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 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폴리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인 다층막.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acrylic acid, polyacrylic acid and hyaluronic acid, and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an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and polyacrylamide. Multilayered film that consists of o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이 각각 2층 이상인 다층막.A multilayer membrane having at least two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s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같거나 다른 고분자로 이루어지고,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같거나 다른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다층막.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polymers,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polymer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인 다층막.Wherein said cyclodextrin is alpha-cyclodextrin or beta-cyclodextrin.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과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의 교대 적층구조를 포함하고,An alternating stack structure of an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and a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상기 교대 적층구조의 최외각층의 어느 한 층 또는 양 층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것인 다층막.One or both layers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alternating layered structure is composed of a cyclodextrin or a derivative thereof.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음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메타아크릴 산, 폴리아크릴 산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 전해질층은 폴리 알릴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폴리 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인 다층막.The an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acrylic acid, polyacrylic acid and hyaluronic acid, and the cationic polymer electrolyte layer is an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llylamine hydrochloride and polyacrylamide. Multilayered film that consists of on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인 다층막.Wherein said cyclodextrin is alpha-cyclodextrin or beta-cyclodextrin. 제1항 또는 제6항의 다층막을 포함하는 생체감응장치.A biosensing device comprising the multilayer film of claim 1.
KR1020090031042A 2009-04-10 2009-04-10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KR201001126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42A KR20100112662A (en) 2009-04-10 2009-04-10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042A KR20100112662A (en) 2009-04-10 2009-04-10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662A true KR20100112662A (en) 2010-10-20

Family

ID=43132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042A KR20100112662A (en) 2009-04-10 2009-04-10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266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879A (en) * 2009-05-13 2010-11-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KR20170101805A (en) * 2016-02-29 2017-09-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 Nanoporous Membrane,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Microfluidic Device Using Thereof
WO2024019605A1 (en) * 2022-07-21 2024-01-25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can body for implants, comprising coating layer which reduces surface reflectance and increases biocompatibil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879A (en) * 2009-05-13 2010-11-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KR20170101805A (en) * 2016-02-29 2017-09-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 Nanoporous Membrane, Preparing Method Thereof And Microfluidic Device Using Thereof
WO2024019605A1 (en) * 2022-07-21 2024-01-25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can body for implants, comprising coating layer which reduces surface reflectance and increases biocompati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New class of ultrathin, highly cell-adhesion-resistant polyelectrolyte multilayers with micropatterning capabilities
Richert et al. pH dependent growth of poly (L-lysine)/poly (L-glutamic) acid multilayer films and their cell adhesion properties
Krishnamoorthy et al. Surface-initiated polymer brushes in the biomedical field: applications in membrane science, biosensing, cell culture, regenerative medicine and antibacterial coatings
Zhou et al. Multistimulus responsive biointerfaces with switchable bioadhesion and surface functions
Payne et al. Chitosan: a soft interconnect for hierarchical assembly of nano-scale components
Fery et al. Nanoporous thin films formed by salt-induced structural changes in multilayers of poly (acrylic acid) and poly (allylamine)
Mendelsohn et al. Rational design of cytophilic and cytophobic polyelectrolyte multilayer thin films
Mingyu et al. Surface mod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 film blended with poly-L-lysine
Lehaf et al. Correlating the compliance and permeability of photo-cross-linked polyelectrolyte multilayers
EP2064375B1 (en) Assay supports comprising a peg support, said support attached from a peg solution in cloud point (theta solvent) conditions
Kalaskar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adsorbed fibronectin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s
Grohmann et al. Colloidal force spectroscopy and cell biological investigations on biomimetic polyelectrolyte multilayer coatings composed of chondroitin sulfate and heparin
Lin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hitosan biocompatible electronic skin
Perez-Madrigal et al. Polypyrrole-supported membrane proteins for bio-inspired ion channels
Kaneko et al. Dynamic substrate based on photocleavable poly (ethylene glycol): zeta potential determines the capability of geometrical cell confinement
Che et al. Chitosan-modified poly (acrylonitrile-co-acrylic acid) nanofibrous membranes for the immobilization of concanavalin A
Meyer et al. Chitosan-coated wires: conferring electrical properties to chitosan fibers
Castilla-Casadiego et al. Methods for the assembly and characterization of polyelectrolyte multilayers as microenvironments to modulate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 response
KR101195533B1 (en) A alpha-cyclodextrin derivative and polyelectrolyte multilayer comprising alpha-cyclodextrin derivative layer
Iwasaki et al. Selective biorecognition and preservation of cell function on carbohydrate-immobilized phosphorylcholine polymers
KR20100112662A (en) Polyelectrolyte multilayer and biosensor
Sobolčiak et al. Photoimmobilization of zwitterionic polymers on surfaces to reduce cell adhesion
Schmidt et al. Selective adhesion and switchable release of breast cancer cells via hyaluronic acid functionalized dual stimuli-responsive microgel films
Ivanov et al. Evaluation of boronate-containing polymer brushes and gels as substrates for carbohydrate-mediated adhesion and cultivation of animal cells
KR101190267B1 (en) A beta-cyclodextrin derivative and polyelectrolyte multilayer comprising beta-cyclodextrin derivative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