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372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372A
KR20100112372A KR1020090030849A KR20090030849A KR20100112372A KR 20100112372 A KR20100112372 A KR 20100112372A KR 1020090030849 A KR1020090030849 A KR 1020090030849A KR 20090030849 A KR20090030849 A KR 20090030849A KR 20100112372 A KR20100112372 A KR 2010011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output
eardrum
module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선
김용민
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3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2372A/en
Publication of KR2010011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3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ir pressure of eardrum are provided, which can prevent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ear and outside of eardrum.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pressure of eardrum comprises: a measuring unit(110) measuring air pressur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ardrum based on an output sound outputted to eardrum and a reflection sound source reflected from the eardrum; a pressing portion(130) pressurizing the eardrum; and a controller(120) which controls the pressing portion in order to pressurize the eardrum.

Description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본 발명은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고속이면서 동시에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에서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막의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to minimize the pain of the tympanic membrane due to the rapid change in air pressure in a high speed and large pressure chang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An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고막은 두께 0.1㎜ 정도의 얇고 투명한 은백색의 막으로서, 세 겹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 겹 중 바깥쪽은 피부층, 중간은 섬유층, 안쪽은 점막층으로 되어 있다. 외이(外耳)와 중이(中耳)의 경계에 위치하며, 가로축은 9mm, 세로축은 8mm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이다. 전체적인 모양은 원추형으로서, 뾰족한 원추 끝이 중이의 안쪽으로 향해 있다. The tympanic membrane is a thin, transparent, silvery white film with a thickness of about 0.1 mm and consists of three layers. Of the three layers, the outer skin layer, the middle fiber layer, and the inner mucosa layer. It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outer and middle ear. The horizontal axis is 9mm and the vertical axis is 8mm. The overall shape is conical, with the pointed tip of the cone pointing toward the inside of the middle ear.

고막은 외이도를 통해 전달된 음파를 진동시키는 진동판 역할을 한다. 고막의 안쪽에는 청소골의 일부인 망치뼈의 망치뼈자루가 붙어 있어서 고막의 진동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고막을 통해 청소골로 전달된 음파는 내이의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The eardrum serves as a diaphragm that vibrates sound waves transmitted through the ear canal. Inside the eardrum, the hammer bones of the hammer bones, which are part of the scavenging bones, are attached to adjust the frequency of the eardrum. Sound waves transmitted to the clearing bone through the eardrum are transmitted to the cochlea of the inner ear.

평상 시 인체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막 외부 압력과 내이(內耳)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고막을 정상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As shown in FIG. 1A, the human body is controlled to maintain the eardrum in a normal state by maintaining the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and the pressure of the inner ear.

그러나, 비행기 혹은 고속 열차의 경우 운동 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고도의 변화가 심해서 외부의 기압이 급격하게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 인체 기압 조절 기능이 급격한 기압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여 고막의 이상 팽창이 발생한다. 즉,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이의 기압이 고막 외부의 기압보다 높아지게 되어 고막이 외부 방향으로 팽창된다. 그리하면, 고막과 외부의 기압차이로 인해 순간적인 고막의 변화가 발생하여 탑승자의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와 같이 조절 능력이 약한 경우 통증이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the speed of movement is very fast or the altitude changes so much that the external air pressure changes rapidly. In this case, the human body pressure regulating function fails to follow the rapid change in air pressure, causing abnormal swelling of the tympanic membrane. That is, as shown in FIG. 1B, the air pressure in the inner ear becomes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eardrum, and the eardrum expands in the outward direction. Then, there is a problem that a momentary change of the eardrum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the eardrum and the outside causing the pain of the occupant.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in persists when the control ability is weak, such as the elderly.

또한, 비행기 혹은 고속 열차의 경우 운동 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고도의 변화가 심해서 주기적인 고정잡음이 발생한다. 그리하면, 탑승객은 고정잡음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the movement speed is very fast or the altitude change is severe and periodic fixed noise occurs. Thus, the passengers have a problem in which psychological anxiety is felt due to the fixed nois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이의 기압과 고막 외부의 기압 차이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고막을 가압하여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와 고막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ear and the tympanic membrane ca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pressure and the outer pressure of the eardrum due to a sudden external air pressure chan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 tympanic membra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는, 고막으로 출력된 출력 음원과 고막에 의해 반사된 출력 음원의 반사 음원을 근거로 고막 내부 및 외부의 기압 차이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고막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측정부에서 측정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고막을 가압하도록 가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of a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ympanic membran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tympanic membrane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A measuring unit measuring a value; 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eardrum;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ressurizing unit to pressurize the eardrum at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측정부는,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으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모듈; 고막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 모듈; 및 음원 출력 모듈에서 출력된 출력 음원과 음원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근거로 압력 차이값을 산출하는 산출 모듈을 포함한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ound source output module generating an output sound sour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ound drum; 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And a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측정부는,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으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모듈; 고막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 모듈; 음원 출력 모듈에서 출력된 출력 음원과 음원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근거로 음원 반사 특성값을 산출하는 산출 모듈; 및 산출 모듈에 산출한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 값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을 포함한다.The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sound source output module generating an output sound sour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ound drum; 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A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the reflection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And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module.

측정부는,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The measurement un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module that stores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음원 출력 모듈은,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that exceeds the maximum audio frequency.

산출 모듈은, 출력 음원의 크기에 대한 반사 음원의 크기의 비율을 음원 반사 특성값으로 산출한다.The calculation module calculates the ratio of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가압부는,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가압 음원을 출력하여 고막을 가압한다.The pressurizing unit outputs a pressurized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to pressurize the eardrum.

가압부는,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가압 음원을 출력한다.The pressurizing unit outputs a pressurized sound source below the minimum audio frequ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은, (a) 측정부에 의해 고막으로 출력된 출력 음원과 고막에 의해 반사된 출력 음원의 반사 음원을 근거로 고막 내부 및 외부의 기압 차이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가압부에 의해 (a) 단계에서 측정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을 고막에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a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an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tympanic membrane by the measuring unit and a reflected sound source of the output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Measuring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inside and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And (b) pressurizing the eardrum with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in step (a) by the pressurizing unit.

(a) 단계는, (a-1) 음원 출력 모듈에 의해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으로 출력하는 단계; (a-2) 음원 수신 모듈에 의해 고막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 (a-3) 산출 모듈에 의해 (a-1) 단계에서 출력된 출력 음원과 (a-2) 단계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근거로 압력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tep (a) comprises: (a-1) generating an output sound source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outputting it to the eardrum; (a-2)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And (a-3) calculating a pressur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in step (a-1)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in step (a-2) by the calculation module.

(a) 단계는, (a-1) 음원 출력 모듈에 의해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으로 출력하는 단계; (a-2) 음원 수신 모듈에 의해 고막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 신하는 단계; (a-3) 산출 모듈에 의해 (a-1) 단계에서 출력된 출력 음원과 (a-2) 단계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근거로 음원 반사 특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a-4) 검출 모듈에 의해 (a-3) 단계에 산출한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tep (a) comprises: (a-1) generating an output sound source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outputting it to the eardrum; (a-2)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calculating a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in step (a-1)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in step (a-2) by the calculating module (a-3); And (a-4) detecting, by the detection module,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in step (a-3) from the storage unit.

(a-1) 단계에서는, 음원 출력 모듈에 의해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In step (a-1),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exceeding the maximum audio frequency.

(a-3) 단계에서는, 산출 모듈에 의해 출력 음원의 크기에 대한 반사 음원의 크기의 비율을 음원 반사 특성값으로 산출한다.In step (a-3),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to the size of the output sound source is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odule as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상 기 (b) 단계에서는, 가압부에 의해 (a) 단계에서 측정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가압 음원을 출력하여 고막을 가압한다.In step (b), the pressurizing unit outputs a pressurized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in step (a) to pressurize the eardrum.

(b) 단계에서는, 가압부에 의해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가압 음원을 출력한다.In step (b), the pressurizing unit outputs a pressurized sound source below the minimum audio frequenc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고막에서 반사되는 음원을 근거로 산출한 내이의 압력과 고막 외부의 기압 차이에 해당하는 압력을 고막에 가압함으로써,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와 고막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is caused by a sudden external air pressure change by pressurizing the tympanic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ear and the tympanic membrane, which is calculated based on the sound source reflected from the tympanic membra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또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와 고막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고속이면서 동시에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에서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 막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prevents the difference in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inner ear and the tympanic membrane due to the rapid change in the external air pressure, thereby rapidly changing the atmospheric pressure in a high speed and large air pressure change mod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ain of the tympanic membrane.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막의 통증을 최소화함으로써,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cidentally, the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eardrum minimize the pain of the eardrum caused by the rapid change in pressur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passengers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a large change in pressur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또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고막과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해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음원을 고막에 인가하고,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음원을 고막에 인가함으로써, 탑승자가 음원을 인지하지 못하여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일반적인 청각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압력차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eardrum is applied to the eardrum by applying a sound source exceeding the maximum audible frequency to the eardrum to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ardrum and the outside, and by applying a sound source below the minimum audible frequency to the eardrum to control the pressure. It is possible for the occupant to not perceive the sound source, to minimize discomfort, and to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without disturbing general hearing function.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외부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고정잡음으로 인한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cidentally,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can reproduce the external sound signal, thereby minimizing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user due to the fixed noise.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를 헤드 셋 형태로 생산하면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제작할 수 있다.Incidentally, if the air pressure regulator of the tympanic membrane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headset, it is easy to carry and use, and because of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t can be mass-produced at low cos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을 설 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business card which sets out this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bout the well-known structure or function which concerns may obscure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pressure adjusting device of a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unit of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는 측정부(110), 제어부(120), 가압부(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100 of the tympanic membrane includes a measur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pressing unit 130.

측정부(110)는 고막(20)으로 출력된 출력 음원과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근거로 고막(20) 내부 및 외부의 기압 차이값을 측정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이(10)의 압력과 고막(20)의 외부(즉, 외이(30))의 압력에 압력차가 발생하면 고막(20)의 팽창 정도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때, 고막(20)의 팽창 정도에 따라 고막(20)의 단단함 정도가 변하면서 음원 전달 특성 및 음원 반사 특성에 변화가 발생한다. 즉, 내이(10)의 압력과 고막(20) 외부(즉, 외이(30)) 압력의 차이가 '0'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고막(20)의 운동성이 가장 좋기 때문에 음원 전달 특성이 가장 높다. 두 압력차가 많이 날수록 고막(20)이 단단해지면서 음원 전달 특성이 감소한다. 고막(20)에 가해지는 음원은 일부 고막(20)을 통과해서 전달되고, 그 나머지는 손실되거나 반사된다. 따라서, 측정부(110)는 상술한 고막(20)의 특성을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음원을 고막(20)으로 출력하고,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출력 음원의 반사 음원을 이용하여 내이(10)의 압력과 고막(20) 외부(즉, 외이(30))의 압력의 압력차를 측정한다.The measuring unit 110 measures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inside and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20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tympanic membrane 20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20. In more detail, when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ressure of the inner ear 10 and the pressure of the outside of the tympanic membrane 20 (ie, the outer ear 30), a change occurs in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tympanic membrane 20. At this time, the rigidity of the tympanic membrane 20 chang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tympanic membrane 20, and a change occurs in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s. That is,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inner ear 10 and the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20 (ie, the outer ear 30) is close to zero, the mobility of the eardrum 20 is the best, so that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s the highest. As the two pressure differentials increase, the eardrum 20 becomes harder, and thus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decreases. The sound source applied to the eardrum 20 is passed through some eardrum 20, and the rest is lost or reflected. Accordingly, the measurement unit 110 outputs the output sound source to the tympanic membrane 20 as shown in FIG. 3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mpanic membrane 20 described above, and reflects the output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20.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inner ear 10 and the outside of the tympanic membrane 20 (ie, the outer ear 30) is measured using the sound source.

제어부(120)는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고막(20)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3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기압 차이값이 고막(20)의 팽창 정도를 계산한 결과 팽창이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통증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고막(20)을 가압하여 고막(20)의 팽창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가압부(13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essurizer 130 to pressurize the eardrum 20 at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r 1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presses the eardrum 20 at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because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eardrum 20 and the user may feel pain. The pressurizing unit 130 is controlled to mitigate the expansion of 20.

가압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압력으로 고막(20)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130)는 저음을 낼 수 있는 스피커가 사용된다. 스피커는 진동판의 움직임을 통해 압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특징이 있는데, 스피커가 귓구멍에 가깝게 위치하게 되면 고막(20)과의 근접한 거리와 귀의 관으로 밀폐되어 있는 특성에 의해 고막(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30)는 가압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20)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가청주파수의 최소 한계인 20㎐ 미만의 음원을 발생하여 인체가 인지하지 못하는 압력을 고막(20)으로 인가한다. 이처럼,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고막(20)에서 반사되는 음원을 근거로 산출한 내 이(10)의 압력과 고막(20) 외부의 기압 차이에 해당하는 압력을 고막(20)에 가압함으로써,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10)와 고막(20)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surizing unit 130 pressurizes the tympanic membrane 2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130 is a speaker that can produce a bass sound is used. The speaker has a feature that can generate pressur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When the speaker is located close to the ear ca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eardrum 20 due to its close proximity to the eardrum 20 and the sealing of the ear canal. Can be added. Here, the pressurizing unit 130 generates a pressurized sound source and applies pressure to the eardrum 20, thereby generating a sound source of less than 20 Hz, which is the min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and applying pressure to the eardrum 20 that the human body does not recognize. . As such,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pressurizes the tympanic membrane 20 to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ear 10 and the air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20 calculated based on the sound source reflected from the tympanic membrane 20.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erence in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inner ear 10 and the tympanic membrane 20 due to the sudden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change.

또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10)와 고막(20)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고속이면서 동시에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에서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막(20)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prevents a difference in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inner ear 10 and the tympanic membrane 20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external air pressure, so that a high pressure and a large change in air pressur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ain of the tympanic membrane 20 caused by a sudden change in air pressure in the vehicle.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막(20)의 통증을 최소화함으로써,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cidentally, the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eardrum minimize the pain of the eardrum 20 due to the rapid change in air pressur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passengers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a large change in air pressur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도 4 및 도 6은 도 2의 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of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10)는 음원 출력 모듈(111), 음원 수신 모듈(113), 산출 모듈(11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measuring unit 110 includes a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and a calculation module 115.

음원 출력 모듈(111)은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20)으로 출력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음원 출력 모듈(111)은 음원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압력차를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음원이 사용자의 일상적인 청각 작용에 방해를 주지않는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 즉, 음원 출력 모듈(111)은 고막(20)의 팽창 정도를 상시 혹은 일정 주기로 측정해야 하는데 통상적인 가청주파수 범위인 대략 20㎐ 내지 20㎑ 정도의 범위에 있는 음원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미약한 음원을 인가하더라도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음원 출력 모듈(111)은 가청주파수의 최대 한계인 20㎑를 초과하는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and outputs it to the tympanic membrane 20. In more detail,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that the sound source used to calculate the pressure difference using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r's daily auditory action. That is,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should measure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tympanic membrane 20 at regular intervals or at regular intervals. If a user uses a sound source in a range of about 20 Hz to 20 Hz, which is a typical audio frequency range, the user may recognize this. Because of this, even a weak sound source may cause discomfort. Thus,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exceeding 20 kHz, the max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음원 수신 모듈(113)은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한다. 즉, 고막(20)에 가해지는 출력 음원은 일부가 고막(20)을 통과해서 내이(10)로 전달된다. 음원 수신 모듈(113)은 내이(10)로 전달된 출원 음원을 제외한(즉,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한다. 물론, 고막(20)을 통과하거나 반사된 음원 이외에도 손실되는 음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고막(20)과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해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음원을 고막(20)에 인가하고,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음원을 고막(20)에 인가함으로써, 탑승자가 음원을 인지하지 못하여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일반적인 청각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압력차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receives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20. That is, part of the output sound source applied to the tympanic membrane 20 passes through the tympanic membrane 20 to the inner ear 10.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receives the reflected sound source except for the application sound source delivered to the inner ear 10 (i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20).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sound source that passes or reflected through the eardrum 20 may be a sound source that is lost. As such,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eardrum applies a sound source exceeding the maximum audible frequency to the eardrum 20 to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ardrum 20 and the external eardrum, and a sound source below the minimum audible frequency to adjust the pressure. By applying the to the eardrum 20, it is possible for the occupant not to perceive the sound source to minimize discomfort and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without impairing the general hearing function.

산출 모듈(115)은 음원 출력 모듈(111)에서 출력된 출력 음원과 음원 수신 모듈(113)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근거로 기압 차이값을 산출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지점은 내이(10)의 압력과 고막(20) 외부(즉, 외이(30)) 압력의 차이가 '0'에 가까운 부분으로 고막(20)의 운동성이 가장 좋기 때문에 음원 전달 특성이 가장 높다. 이때, 두 압력의 차이가 커질수록 음원 전달 특성이 B 지점 또는 C 지점 방향으로 이동하며, 두 압력차가 많이 날수록 고막(20)이 단단해지면서 음원 전달 특성이 감소한다. 고막(20)에 가해지는 음량은 일부 고막(20)을 통과해서 전달되고, 그 나머지는 손실되거나 반사된다. 이러한 고막(20)의 음원 전달 특성을 고려하면 압력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 반사 특성에 대한 그 래프를 얻을 수 있다.The calculating module 115 calculates an air pressur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point A is the por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of the inner ear 10 and the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20 (i.e., the outer ear 30) is close to '0' motility of the eardrum 20 Because this is the best,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s the highest. In this cas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essures increases,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moves in the direction of point B or point C. As the two pressure differentials increase, the eardrum 20 becomes harder and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decreases. The volume applied to the eardrum 20 is passed through some eardrum 20 and the rest is lost or reflected. Considering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tympanic membrane 20,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a graph of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산출 모듈(115)은 상술한 음원 전달 특성 및 음원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전달 특성 함수를 도출한다. 산출 모듈(115)은 출력 음원 및 반사 음원의 크기를 전달 특성 함수에 대입하여 기압 차이값을 산출한다.The calculation module 115 derives a transfer characteristic function as shown in Equation 1 using the above-described sound source transfer characteristic and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The calculating module 115 calculates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by substituting the magnitudes of the output sound source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into the transfer characteristic function.

Figure 112009021473224-PAT00001
Figure 112009021473224-PAT00001

QR : 출력 음원 크기에 대한 반사 음원 크기의 비Q R : Ratio of the reflected source size to the output source size

α : 상수α: constant

f() : 음원 전달 특성 및 음원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도출한 전달 특성 함수f ():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function derived from the sound source propagation characteristic and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PA : 고막 외부(즉, 외이) 기압P A : Atmospheric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PE : 내이의 기압P E : Barometric pressure in the inner ear

도 7은 도 2의 측정부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of FIG. 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110)는 음원 출력 모듈(111), 음원 수신 모듈(113), 산출 모듈(115), 검출 모듈(117), 저장 모듈(119)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measurement unit 110 includes a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a calculation module 115, a detection module 117, and a storage module 119.

음원 출력 모듈(111)은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20)으로 출력한다. 음원 출력 모듈(111)은 가청주파수의 최대 한계인 20㎑를 초과하는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and outputs it to the tympanic membrane 20.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exceeding 20 Hz which is the max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음원 수신 모듈(113)은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한다.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receives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20.

산출 모듈(115)은 음원 출력 모듈(111)에서 출력된 출력 음원과 음원 수신 모듈(113)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근거로 음원 반사 특성값을 산출한다. 이때, 산출 모듈(115)은 출력 음원의 크기에 대한 반사 음원의 크기의 비율을 음원 반사 특성값으로 산출한다.The calculation module 115 calculates a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and the reflection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module 115 calculates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to the size of the output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검출 모듈(117)은 산출 모듈(115)에서 산출한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 모듈(119)로부터 검출한다.The detection module 117 detects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odule 115 from the storage module 119.

저장 모듈(119)은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하고 있다. 이때, 저장 모듈(119)은 음원 전달 특성을 고려하여 내이(10) 측과 고막(20) 외부(즉, 외이(30))의 압력차에 따른 특성 그래프(도 6 참조)를 저장한다.The storage module 119 stores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In this case, the storage module 119 stores the characteristic graph (see FIG. 6) accor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ear 10 side and the outer eardrum 20 (that is, the outer ear 30) in consideration of sound sourc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는 제1발진기(210a)에서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 제1발진기(210a)에서 발생한 출력 음원은 제1증폭기(220a)에서 고막(20)의 단단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출력 음원(즉, 20 kHz를 초과하는 음원)으로 변환된다. 제1증폭기(220a)에서 변환된 음원은 제1스피커(230a)를 통해 고막(20)으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8, the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tympanic membrane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in the first oscillator 210a. The output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first oscillator 210a is converted into an output sound source (that is, a sound source exceeding 20 kHz) used by the first amplifier 220a to measure the rigidity of the tympanic membrane 20. The sound source converted by the first amplifier 220a is output to the eardrum 20 through the first speaker 230a.

마이크로폰(240)은 고막(20)에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한다. 마이크로폰(240)에서 수신된 반사 음원은 제2증폭기/필터(220b)에서 증폭 및 필터링되어 연산기(250)로 전달된다. 연산기(250)는 제2증폭기/필터(220b)로부터 수신한 반사 음 원의 크기 및 제1증폭기(220a)로부터의 출력 음원의 크기를 이용하여 기압 차이값을 산출한다. 즉, 제1발진기(210a)를 통해 생성되는 출력 음원은 고막(20)으로 발사되어 일정량이 반사되어 마이크로폰(240)으로 입력되는데, 연산기(250)는 이 두 음원을 이용하여 압력 차이값을 연산한다. 압력 차이값이 연산되면 이 결과를 제3증폭기(220c)의 이득을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이때, 믹서(260)는 외부 입력 단자(27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음원과 고막(20)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 제2발진기(210b)에서 생성한 가압 음원을 믹싱하여 제2스피커(230b)를 통해 고막(2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압력계(280)는 연산기(250)의 연산 과정에서 상시 기압 변화가 필요한 경우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The microphone 240 receives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20.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microphone 240 is amplified and filtered by the second amplifier / filter 220b and delivered to the calculator 250. The calculator 250 calculates an air pressure difference value using the siz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from the second amplifier / filter 220b and the size of the output sound source from the first amplifier 220a. That is, the output sound sourc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oscillator 210a is emitted to the eardrum 20 and is reflec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into the microphone 240. The calculator 250 calculates a pressure difference value using the two sound sources. do. Once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this result is used to determine the gain of the third amplifier 220c. In this case, the mixer 260 mixes the second speaker 230b by mixing the external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external input terminal 270 and the pressurized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econd oscillator 210b in order to apply pressure to the eardrum 20. Output to the eardrum 20 through. Here, the pressure gauge 280 may be used as an auxiliary when a change in atmospheric pressure is necessary in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calculator 250.

상술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을 기본으로 하는 헤드 셋 형태로 구성되며 배터리로 구동한다. 배터리의 수명은 비행기를 고려했을 경우 최대 20시간 정도의 동작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는 외부 전원을 통해 구동할 수도 있다. 이어폰의 단면에는 측정용 마이크로폰(240)과 가압 및 오디오 신호 재생을 위한 스피커(230)가 부착된다. 이어폰의 경우 가압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귀와 밀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헤드 셋 내부에는 배터리 및 스위치, 외부 음향 신호 입력 단자(270), 신호 처리 및 신호 생성을 위한 전자 회로 장치(예컨대, 도 8에 도시된 구성)가 위치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tympanic membran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eadset based on earphones and is driven by a battery. The battery's lifespan ensures up to 20 hours of operation, considering the plane. Of course,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tympanic membrane may be driven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A measurement microphone 240 and a speaker 230 for pressing and reproducing an audio signal are attached to a cross section of the earphone. Earphones are manufactur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to facilitate the pressing action. Inside the headset are batteries and switches, external sound signal input terminals 270, and electronic circuitry (e.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8) for signal processing and signal generation.

이처럼,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외부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고정잡음으로 인한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can reproduce the external sound signal, thereby minimizing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user due to the fixed noise.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를 헤드 셋 형태로 생산하면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제작할 수 있다.Incidentally, if the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tympanic membrane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headset, it is easy to carry and use, and because it i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t can be mass-produced at low cos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기압 조절 장치(100)를 귀에 착용한 후에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에 따라, 음원 출력 모듈(111)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출력 음원을 생성하고, 이를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고막(20)으로 출력한다(S100). 이때, 음원 출력 모듈(111)은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 가청주파수의 최대 한계인 20㎑를 초과하는 주파수의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First, after the user wears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n the ear,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eardrum. Accordingl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outputs it to the tympanum 20 of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S100).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of a frequency exceeding 20 kHz, the max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causing discomfort.

출력된 출력 음원은 고막(20)에 가해지는 음량은 일부 고막(20)을 통과해서 전달되고, 그 나머지는 손실되거나 반사된다. 음원 수신 모듈(113)은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하여 산출 모듈(115)로 전송한다(S110).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eardrum 20 is passed through some eardrum 20, the rest is lost or reflected.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receives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tympanic membrane 20 and transmits it to the calculation module 115 (S110).

산출 모듈(115)은 음원 출력 모듈(111)에서 발생한 출력 음원과 음원 수신 모듈(113)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내이(10) 및 고막(20) 외부의 기압 차이값을 산출한다(S120). 이때, 산출 모듈(115)은 상술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기압 차이값을 산출하고, 이를 제어부(120)로 전송한다.The calculating module 115 calculates an air pressure difference value of the user's inner ear 10 and the tympanic membrane 20 using the output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S120).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module 115 calculates an air pressure difference value using Equation 1 described abov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20.

제어부(120)는 산출 모듈(115)로부터 전송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사용자의 고막(20)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30)를 제어한다(S130). 그에 따라, 가 압부(130)는 저음을 낼 수 있는 스피커(230)의 진동판 움직임을 통해 압력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고막(20)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130)는 가압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20)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가청주파수의 최소 한계인 20㎐ 미만의 음원을 발생하여 탑승자가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고막(20)을 가압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essurizing unit 130 to pressurize the eardrum 20 of the user at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transmitted from the calculation module 115 (S130). Accordingly, the pressing unit 130 pressurizes the eardrum 20 of the user by generating pressure through the diaphragm movement of the speaker 230 capable of producing a bass sound. At this time, since the pressing unit 130 generates a pressurized sound source and applies pressure to the eardrum 20, the pressurizing unit 130 generates a sound source of less than 20 Hz, which is the min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so that the passenger does not recognize the sound sourc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30. Press the eardrum 20 in a state where it cannot b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기압 조절 장치(100)를 귀에 착용한 후에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에 따라, 음원 출력 모듈(111)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출력 음원을 생성하고, 이를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고막(20)으로 출력한다(S200). 이때, 음원 출력 모듈(111)은 사용자의 불쾌감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 가청주파수의 최대 한계인 20㎑를 초과하는 주파수의 출력 음원을 발생한다.First, after the user wears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n the ear, the user applies power to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eardrum. Accordingl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outputs it to the tympanum 20 of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S200).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generates an output sound source of a frequency exceeding 20 kHz, the max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causing discomfort.

출력된 출력 음원은 고막(20)에 가해지는 음량은 일부 고막(20)을 통과해서 전달되고, 그 나머지는 손실되거나 반사된다. 음원 수신 모듈(113)은 고막(20)에 의해 반사된 반사 음원을 수신하여 산출 모듈(115)로 전송한다(S210).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eardrum 20 is passed through some eardrum 20, the rest is lost or reflected.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receives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20 and transmits it to the calculating module 115 (S210).

산출 모듈(115)은 음원 출력 모듈(111)에서 발생한 출력 음원과 음원 수신 모듈(113)에서 수신한 반사 음원을 이용하여 고막(20)의 음원 반사 특성값을 산출한다(S220). 즉, 산출 모듈(115)은 출력 음원의 크기에 대한 반사 음원의 크기의 비율을 음원 반사 특성값으로 산출한다.The calculation module 115 calculates a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of the eardrum 20 using the output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1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3 (S220). That is, the calculation module 115 calculates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to the size of the output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검출 모듈(117)은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모듈(119)로부터 산출한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검출한다(S230). 검출 모듈(117)은 검출한 압력 차이값은 제어부(120)로 전송한다.The detection module 117 detects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from the storage module 119 storing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S230). The detection module 117 transmits the detected pressure difference value to the controller 120.

제어부(120)는 검출 모듈(117)로부터 전송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사용자의 고막(20)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30)를 제어한다(S240). 그에 따라, 가압부(130)는 저음을 낼 수 있는 스피커의 진동판 움직임을 통해 압력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고막(20)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130)는 가압 음원을 발생하여 고막(20)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가청주파수의 최소 한계인 20㎐ 미만의 음원을 발생하여 인체가 인지하지 못하는 압력으로 고막(20)을 가압한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ressurizing unit 130 to pressurize the eardrum 20 of the user at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module 117 (S240). Accordingly, the pressing unit 130 generates pressur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capable of producing a bass sound to press the eardrum 20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pressurizing unit 130 generates a pressurized sound source and pressurizes the eardrum 20 to pressurize the eardrum 20 to a pressure not recognized by the human body by generating a sound source of less than 20 Hz, which is the minimum limit of the audible frequency. .

상술한 바와 같이,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고막(20)에서 반사되는 음원을 근거로 산출한 내이(10)의 압력과 고막(20) 외부의 기압 차이에 해당하는 압력을 고막(20)에 가압함으로써,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10)와 고막(20)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in the inner ear 10 and the pressure outside the tympanic membrane 20 is calculated based on the sound source reflected from the tympanic membrane 20. By pressurizing t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erence in the air pressures of the inner ear 10 and the eardrum 20 due to the sudden change in the external air pressure.

또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급격한 외부 기압 변화로 인해 내이(10)와 고막(20) 외부의 기압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고속이면서 동시에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에서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막(20)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prevents a difference in the air pressure between the inner ear 10 and the tympanic membrane 20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external air pressure, so that a high pressure and a large change in air pressur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ain of the tympanic membrane 20 caused by a sudden change in air pressure in the vehicle.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급격한 기압변화에 따른 고막(20)의 통증을 최소화함으로써, 비행기나 고속 열차와 같이 기압 변화가 큰 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cidentally, the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eardrum minimize the pain of the tympanic membrane 20 due to the rapid change in air pressure,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passengers using a means of transportation with a large change in air pressure, such as an airplane or a high-speed train.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고막(20)과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하기 위해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음원을 고막(20)에 인가하고,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음원을 고막(20)에 인가함으로써, 탑승자가 음원을 인지하지 못하여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일반적인 청각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압력차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cidentally,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applies a sound source exceeding the maximum audible frequency to the tympanic membrane 20 to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ympanic membrane 20 and the external eardrum, and below the minimum audible frequency for adjusting the pressure. By applying the sound source to the eardrum 20, it is possible for the occupant to not perceive the sound source to minimize discomfort and to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without disturbing the general hearing function.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 및 방법은 외부 음향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고정잡음으로 인한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cidentally,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can reproduce the external sound signal, thereby minimizing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user due to the fixed noise.

부수적으로,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100)를 헤드 셋 형태로 생산하면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제작할 수 있다.Incidentally, if the pressure control device 100 of the tympanic membrane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headset, it is easy to carry and use, and because it i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t can be mass-produced at low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practiced.

도 1은 기압차이에 의해 고막 팽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ympanic swelling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air pressure control apparatus of the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easuring unit of FIG. 2. FIG.

도 4 및 도 6은 도 2의 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of FIG.

도 7은 도 2의 측정부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asuring unit of FIG. 2. FIG.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of the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 and 11 are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ympanic membra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내이 20: 고막10: inner ear 20: eardrum

30: 외이 100: 기압 조절 장치30: outer 100: barometer

110: 측정부 111: 음원 출력 모듈110: measuring unit 111: sound source output module

113: 음원 수신 모듈 115: 산출 모듈113: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115: output module

117: 검출 모듈 119: 저장 모듈117: detection module 119: storage module

120: 제어부 130: 가압부120: control unit 130: pressure unit

210: 발진기 220: 증폭기210: oscillator 220: amplifier

240: 마이크로폰 250: 연산기240: microphone 250: calculator

Claims (15)

고막으로 출력된 출력 음원과 상기 고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출력 음원의 반사 음원을 근거로 상기 고막 내부 및 외부의 기압 차이값을 측정하는 측정부;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eardrum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eardrum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of the output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상기 고막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A pressurizing unit for pressurizing the eardrum; And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상기 고막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izing unit to pressurize the eardrum with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측정부는,The measuring unit, 상기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상기 고막으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모듈;A sound source output module generating the output sound sour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ound source to the eardrum; 상기 고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 모듈; 및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And 상기 음원 출력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출력 음원과 상기 음원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반사 음원을 근거로 상기 압력 차이값을 산출하는 산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And a calculating module for calcul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측정부는,The measuring unit, 상기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상기 고막으로 출력하는 음원 출력 모듈;A sound source output module generating the output sound source and outputting the output sound source to the eardrum; 상기 고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 모듈;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상기 음원 출력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출력 음원과 상기 음원 수신 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반사 음원을 근거로 음원 반사 특성값을 산출하는 산출 모듈; 및A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the reflection sound source received by the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And 상기 산출 모듈에 산출한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검출하는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And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modul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측정부는,The measuring unit, 상기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And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 pressur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음원 출력 모듈은,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출력 음원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 output sound source exceeding a maximum audio frequency.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산출 모듈은,The calculation module, 상기 출력 음원의 크기에 대한 상기 반사 음원의 크기의 비율을 상기 음원 반사 특성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And a ratio of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가압부는,The pressing unit, 상기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가압 음원을 출력하여 상기 고막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The pressure regulator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to pressurize the eardrum by outputting a pressurized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상기 가압부는,The pressing unit,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가압 음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장치.Pressure regulator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pressurized sound source below the minimum audio frequency. (a) 측정부에 의해 고막으로 출력된 출력 음원과 상기 고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출력 음원의 반사 음원을 근거로 상기 고막 내부 및 외부의 기압 차이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a) measuring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inside and outside the eardrum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to the eardrum by the measuring unit and the reflected sound source of the output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drum; And (b) 가압부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상기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압력을 상기 고막에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and (b) pressurizing the eardrum with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in the step (a) by the pressurizing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a) 단계는,In step (a), (a-1) 음원 출력 모듈에 의해 상기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상기 고막으로 출력하는 단계;(a-1) generating the output sound source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outputting the output sound source to the eardrum; (a-2) 음원 수신 모듈에 의해 상기 고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 및(a-2)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 drum by 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And (a-3) 산출 모듈에 의해 상기 (a-1)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출력 음원과 상기 (a-2)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반사 음원을 근거로 상기 압력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a-3) calculating, by the calculating module,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in the step (a-1) and the reflection sound source received in the step (a-2). Air pressure control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a) 단계는,In step (a), (a-1) 음원 출력 모듈에 의해 상기 출력 음원을 발생하여 상기 고막으로 출력하는 단계;(a-1) generating the output sound source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and outputting the output sound source to the eardrum; (a-2) 음원 수신 모듈에 의해 상기 고막에 의해 반사된 상기 반사 음원을 수신하는 단계;(a-2) receiving the reflected sound source reflected by the ear drum by a sound source receiving module; (a-3) 산출 모듈에 의해 상기 (a-1)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출력 음원과 상기 (a-2)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반사 음원을 근거로 음원 반사 특성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a-3) calculating a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based on the output sound source output in the step (a-1) and the reflection sound source received in the step (a-2) by the calculating module; And (a-4) 검출 모듈에 의해 상기 (a-3) 단계에 산출한 음원 반사 특성값에 해당하는 압력 차이값을 저장부로부터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a-4) detecting the pressure differenc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calculated in the step (a-3) by the detection module from the storage unit.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상기 (a-1) 단계에서는,In the step (a-1), 상기 음원 출력 모듈에 의해 최대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출력 음원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The pressure control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output sound source exceeding the maximum audio frequency by the sound source output module.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a-3) 단계에서는, In the step (a-3), 상기 산출 모듈에 의해 상기 출력 음원의 크기에 대한 상기 반사 음원의 크기의 비율을 상기 음원 반사 특성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And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magnitude of the reflected sound source to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ound source as the sound source reflection characteristic value by the calculating module. 청구항 9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b) 단계에서는,In the step (b),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측정한 기압 차이값에 해당하는 가압 음원을 출력하여 상기 고막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The pressure control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essing the eardrum by outputting a pressurized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difference value measured in the step (a) by the pressing unit. 청구항 1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b) 단계에서는,In the step (b), 상기 가압부에 의해 최소 가청주파수 미만의 가압 음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막의 기압 조절 방법.The pressure control method of the tympanic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pressurized sound source less than the minimum audio frequency by the pressing unit.
KR1020090030849A 2009-04-09 2009-04-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KR201001123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49A KR20100112372A (en) 2009-04-09 2009-04-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49A KR20100112372A (en) 2009-04-09 2009-04-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72A true KR20100112372A (en) 2010-10-19

Family

ID=4313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849A KR20100112372A (en) 2009-04-09 2009-04-0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237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162A (en) * 2017-11-21 2019-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and air pressure adjusting method of the air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KR20220084673A (en) * 2020-12-14 2022-06-21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Hyperbaric oxygen chamber that prevents barotrauma
KR20220084676A (en) * 2020-12-14 2022-06-21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Automatic pressure control method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that detects pressure equilibrium between outer ear and middle ear
KR20220084675A (en) * 2020-12-14 2022-06-21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Automatic pressure control method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162A (en) * 2017-11-21 2019-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and air pressure adjusting method of the air pressure adjusting apparatus
WO2019103352A1 (en) * 2017-11-21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an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method of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US11425509B2 (en) 2017-11-21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and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method of atmospheric pressure adjustment apparatus
KR20220084673A (en) * 2020-12-14 2022-06-21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Hyperbaric oxygen chamber that prevents barotrauma
KR20220084676A (en) * 2020-12-14 2022-06-21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Automatic pressure control method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that detects pressure equilibrium between outer ear and middle ear
KR20220084675A (en) * 2020-12-14 2022-06-21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Automatic pressure control method of hyperbaric oxygen cha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595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fitting hearing aids
EP2640095B2 (en)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device with active occlusion control to a user
US20170171679A1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US89484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testing, fitting and verification of hearing and hearing aids
US8224016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having multi-channel diaphragm and hearing aid using the same
US20090071486A1 (en) Orifice insertion devices and methods
US8634567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fitting hearing aid
CN103026730A (en) Removable intra-oral soft-tissue conduction microphone
KR20080105813A (en) Acoustic transceiver for in-ear audio signal communication
EP2974379B1 (en) Fitting a bilateral hearing prosthesis system
KR201001123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air pressure of eardrum
EP3306949B1 (en) Bone conduction sound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US20190000392A1 (en) Electronic Blood Pressure Monitor,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and Electronic Stethoscope
US20160143563A1 (en) Measurement system
US20200374641A1 (en) Hearing system with a hearing instrument
Thoms et al. Audiometric test with a smartphone
EP2426952A1 (en) Hearing aid
JP2983017B1 (en) Earplug type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3949919A1 (en) Earplug, sound collecting device, and sound volume measurement system
Kumar et al. Hearing impaired aid and sound quality improvement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
US20230050817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audiogram of a test subject by use of a hearing instrument
Jitsukawa et al. Effects of cartilage conduction vibrator placement in the pinna on the detection threshold and the ear canal sound pressure
SIEGENTHALER et al. Additional data on bone-conduction shift when the external auditory meatuses are occluded
CN111755023A (en) Frequency shift real-time loudness compensation method based on equal loudness curve
JP6014070B2 (en) Speaker device and conversation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