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286A -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286A
KR20100112286A KR1020090030722A KR20090030722A KR20100112286A KR 20100112286 A KR20100112286 A KR 20100112286A KR 1020090030722 A KR1020090030722 A KR 1020090030722A KR 20090030722 A KR20090030722 A KR 20090030722A KR 20100112286 A KR20100112286 A KR 2010011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ignal
phich
band
ma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205B1 (ko
Inventor
이상민
이주미
김영수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20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자원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제1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 제2 대역의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제1 피드백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채널 신호가 매핑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갖는다.
Figure P1020090030722
업링크(Up-Link), 다운링크(Down-Link), 자원, 할당

Description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BANDWIDTH AGGREGATION AND METHOD FOR ALLOCATING FEEDBACK RESOURCE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본 대역폭을 복수 개 결합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상향 링크 전송 데이터에 대한 하향 링크의 ACK/NACK 전송을 위한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MT-Advanced의 높은 전송률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20MHz 이상의 넓은 대역폭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정된 주파수 스펙트럼 자원에서 20MHz 이상의 넓은 대역폭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주파수 상에서 떨어져 있는 대역폭을 모아서 하나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 대역폭에서 호환성을 제공하며 기존 대역폭을 포함한 넓은 대역폭에서 새로운 광대역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 대역폭을 모아서 하나의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bandwidth aggregation 기술이 IEEE 802.16m 및 LTE Advanced 시스템에서 적극 고려되고 있다.
특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 LTE Advanced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지원해야 한다. 첫 번째, LTE Advanced 기지국은 기존 LTE 단말기를 동일 대역에서 동시에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LTE Advanced 단말기는 기존 LTE 기지국에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 세 번째, LTE Advanced 기지국은 기존의 LTE 대역폭이 두 개 이상 결합된 LTE Advanced 단말기의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네 번째,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질 수도 있다. 즉 LTE Advanced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하면서도, 두 개 이상의 대역을 결합하여 서비스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의 LTE 시스템은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가 1:1로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상향 또는 하향 링크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디코딩이 성공했는지를 알리기 위한 ACK/NACK 피드백 신호 및 전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채널 상태 정보(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피드백 신호는 1:1로 대응된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각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피드백 자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거나, 미리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정해진 규칙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1:1 로 대응되는 상향 링크 대역과 하향 링크 대역에 매핑된 피드백 자원에 대한 위치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대역 결합을 지원할 수 있는 LTE Advanced 시스템의 경우에는 대응되는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 대역이 하나 밖에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좀 더 상세하게 복수 개의 대역 결합을 지원하는 LTE Advanced 시스템은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대역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도 1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TE Advanced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상향 링크 대역(100a, 100b; Up Link band)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 링크 대역(150: Down Link ban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LTE Advanced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상향 링크 대역(100a, 100b; Up Link band)와 적어도 두 개의 하향 링크 대역(150a, 150b; Down Link band)으로 구성된다.
대역폭 결합으로 인한 하향 링크 또는 상향 링크가 복수 개의 링크와 결합된다 하더라도, 도 1의 (a) 및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상향 링크 또는 하향 링크에 ACK/NACK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대역이 하나 밖에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일 하향 링크 대역에서 각 상향 링크 대역에 대응되는 ACK/NACK 피드백 전송용 제어 채널을 예약하는 방법으로 복수 개의 상향 링크 대역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피드백을 위한 제어 채널을 예약하는 방법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향 링크에서 ACK/NACK 피드백(feedback)이 할당되는 제어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 구조를 기본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각 기지국에 할당되는 대역폭에 다수 개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이 존재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서브 프레임 및 하나의 밴드 내에 포함되는 자원들을 의미한다. 하나의 밴드는 12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 영역(이하에서는 채널이라고 칭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축을 기준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위를, 밴드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1개의 서브 프레임(200a, 200b)은 제어 영역(210a, 210b)과 데이터 영역(220a, 220b)으로 구분된다. 제어 영역(210a, 210b)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적어도 하나의 채널로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채널은 복수 개의 단말기에 할당되는 자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230a, 230b) 및 상향 링크에 전송되는 서브 프레임의 디코딩 성공 여부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 NACK을 전송하기 위한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240a, 240b, 250a, 250b) 등과 같은 채널들로 구성된다. 특히 상향 링크가 2개인 경우, 제어 영역(210a, 210b)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상향 링크에서 전송될 첫 번째 ACK/NACK를 위한 제1 PHICH 채널(240a, 240b), 두 번째 상향 링크에서 전송될 두 번째 ACK/NACK를 위한 제2 PHICH 채널(250a, 250b)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2 PHICH 채널(250a, 250b)에 해당하는 자원들 중에서 일부분의 자원만 ACK/NACK 피드백 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제2 PHICH 채널(250a, 250b)의 자원 중에서 ACK/NACK 피드백 용으로 선택된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들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 영역(210a, 210b)에서의 제2 PHICH 채널(250a, 250b)을 구성하는 자원인 1 내지 10까지 중에서 2, 4와 8만이 PHICH 전송에 이용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 영역(210a, 210b)에 위치한 제2 PHICH 채널(250a, 250b)의 자원 2, 4 및 8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들은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향 링크로 전송된다. 또한 제2 PHICH 채널(250a, 250b)이l 제어 영역(210a, 210b)에 위치함으로써, 데이터 영역(220a, 220b)에 할당된 채널의 수가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2 PHICH 채널(250a, 250b)의 자원들 중 제어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나머지 자원들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없어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은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제1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 제2 대역의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제1 피드백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피드백 채널 신호가 매핑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자원 할당 통신 시스템은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제1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 제2 대역의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매핑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지국; 수신되는 서브 프레임이 제1 대역을 통해 전송된 서브 프레임이면,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어 영역에 매핑된 제1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서브 프레임이 제2 대역을 통해 전송된 서브 프레임이면, 상기 서브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에 매핑된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또는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통해 확인된 채널로 피드백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말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향 링크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ACK/NACK 피드백 자원이 단일 하향 링크 대역에서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하향 링크 대역에서 자원이 효과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ACK/NACK 피드백 자원의 위치에 대한 별도의 정보 없이 각 전송 데이터 채널에 대응되는 ACK/NACK 피드백 자원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어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피드백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LTE Advanced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310)는 심볼 생성기(320)를 제어하여 하향 링크 물리 채널들의 신호들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기(310)는 매퍼(330)를 제어하여 심볼 생성기(320)에서 생성된 신호들을 매핑한다.
심볼 생성기(320)는 제1 PHICH 심볼 생성기(323), 제2 PHICH 심볼 생성기(325), PDCCH 심볼 생성기(327), PDSCH 심볼 생성기(329)를 포함한다.
제1 PHICH 심볼 생성기(323)는 제1 상향 링크 대역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디코딩 성공 여부를 알리는 피드백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제1 피드백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1 PHICH 신호를 생성한다. 제2 PHICH 심볼 생성기(325)는 제2 상향 링크 대역에서 전송될 피드백 신호를 위해 할당되는 제2 피드백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2 PHICH 신호를 생성한다. PDCCH 심볼 생성기(327)는 하향 링크 제어 채널(Pysical Down 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라 칭함)를 통해 전송되는 PDCCH 신호를 생성한다. PDSCH 심볼 생성기(329)는 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Down Link Shared Channel, 이하 PDSCH라 칭함)을 통해 전송되는 PDSCH 신호를 생성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심볼 생성기(320)는 BCH 심볼 생성기 및 SCH 심볼 생성기를 더 구비한다. BCH 심볼 생성기는 BCH(Broad casting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의 신호를 생성한다. SCH(Synchronization Channel) 심볼 생성기는 동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동기 신호의 신호를 생성한다.
매퍼(330)는 제어기(310)의 제어 하에 심볼 생성기(32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매핑한다. 여기서 신호 중에서 PHICH 신호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통해 각각의 자원에 매핑될 수 있다.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2
는 PHICH group을 의미한다. 그리고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3
는 PHICH의 시퀀 스를 의미한다.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4
는 상향 링크 패킷이 점유하고 있는 자원의 가장 낮은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5
는 DCI(Down link Channel) 포맷 0에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필드를 위해 매핑된 사이클 쉬프트를 의미한다.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6
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설정된 PHICH 그룹들의 넘버를 의미한다.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7
는 PHICH 변조(modulation)을 위해 사용되는 확산 계수(spreading factor)를 의미한다.
Figure 112009021374213-PAT00008
는 TDD(Time Division Duplex) 상향 링크/하향 링크 구성(configuration)이 0이면 1을 다른 경우에는 0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각 단말이 전송한 신호가 점유하는 상향 링크 자원의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ACK/NACK 피드백을 위한 PHICH 신호를 매핑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향 링크 자원의 인텍스 값에 대응되는 위치의 매핑된 PHICH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해당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과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별도의 ACK/NACK 전송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지 않고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이 수신될 자원의 위치와 전송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식을 통해 매퍼(330)는 각 단말기가 전송한 패킷이 점유하는 상향 링크 자원의 인덱스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PHICH 신호를 매핑시킨다. 좀 더 상세히 도 4a와 4b를 참조하여 PHICH 신호가 매핑되는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PHICH 부반송파 심볼이 할당 된 자원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제1 PHICH 신호(430a)는 제어 영역(410a) 내에 매핑된다. 그리고 제2 PHICH 신호(450a)는 데이터 영역(420b) 내에 매핑된다. 이때 데이터 영역(420b)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영역은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미리 약속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영역(420b)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영역은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미리 약속하지 않고, 기지국이 데이터 영역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영역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이 단말기로 전송되는 방송 채널 또는 제어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수신된 방송 채널 또는 제어 영역에 포함된 매핑 정보를 통해 데이터 영역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영역은 여러 개의PHICH group으로 나누어지며 각 PHICH group은 다시 여러 개의 PHICH sequence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한 개의 PHICH group을 한 개의 서브 프레임 시간 동안의 N개의 부반송파에 해당하는 자원으로 정하고, 제2 PHICH가 총 M 개의 PHICH group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되는 자원의 영역은 한 개의 서브 프레임 시간 동안의 N*M개의 부반송파가 된다. 그리고 각 PHICH group 내의 자원들은 직교하는 코드들로 다중화되어 L개의 PHICH sequence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 최대 N*M*L 개의 단말을 위한 제2 PHICH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PHICH의 전송 자원 내에서 각 단말의 제2 PHICH 신호를 매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단말을 위한 PHICH group과 PHICH sequence를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자원의 인덱스 값으로부터 정해진 계산 방법에 의해 구한다. 이 때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PHICH의 전송 자원 내에서 각 단말의 PHICH group과 PHICH sequence에 해당하는 전송 자원으로 그 단말의 제2 PHICH 신호를 매핑한다.
데이터 영역(420a, 420b)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될 수 없는 영역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며,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될 수 있는 영역이라도 실제로 매핑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원(460a, 460b)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제2 PHICH 매핑을 수행하므로 기지국은 제2 PHICH가 매핑되지 않은 자원을 파악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항상 지정받게 되어 있으므로 기지국이 지정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이 제1 PHICH 신호는 제어 영역(410a) 내에 매핑된다. 그리고 제2 PHICH 신호(450a)는 데이터 영역(420b) 내에 매핑된다. 그러나 도 4a와는 달리 각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2 PHICH 신호의 자원을 제어 영역(410a)에서 별도의 제어 정보(430a)를 이용하여 알려 준다. 따라서 단말기는 제1 PHICH 신호를 제어 영역(410a)에서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제어 영역(410a)에서 제2 PHICH 신호가 할당된 자원 위치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제2 PHICH 할당 정보에 해당하는 자원에서 제2 PHICH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영역(410a)에서 전송되는 제2 PHICH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인 PDCCH와 같은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PHICH 할당 정보에 사용되는 User ID는 spectrum aggregation이 적용되는 단말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er ID는 단말기내에서 미리 정해진 값을 사용하거나,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상향 링크에 대한 ACK/NACK 자원 할당 메시지의 길이는 기존 시스템의 자원할당 메시지의 길이 중 단말기의 MIMO 모드와 관계없이 항상 디코딩해야하는 길이로 정해진다. 예를 들어 길이는 3GPP LTE- Advanced의 경우 common search space에 대응되는 DCI 길이 또는 format 0/1A 길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ACK/NACK 자원 할당 메시지에는 데이터 영역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 정보(bitmap), 총 ACK/NACK 부채널(PHICH group) 수에 대한 정보, 또는 하나의 부채널을 공유하는 ACK/NACK 수(PHICH sequence 수)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PHICH 신호가 매핑되는 채널 중 ACK/NACK이 어느 부채널을 사용하여 ACK/NACK이 전송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해당 상향 링크 데이터에 대한 채널 할당 시 지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지국의 송신기는 복수개의 상향 링크 대역에 대응되는 PHICH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신호가 매핑될 때, 송신기는 제어 영역에 위치한 채널에 제1 PHICH 신호를 매핑시킨다. 또한 송신기는 데이터 영역에 위치한 채널의 자원에 제2 PHICH 신호를 매핑시킨다. 송신기는 제어 영역의 나머지 채널의 자원에 PDCCH 신호를 매핑한다. 그리고 송신기는 데이터 영역에서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들에 PDSCH 신호를 매핑한다.
기지국은 신호가 매핑된 서브 프레임을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단 말기는 수신된 서브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서브 프레임에 매핑된 신호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신호별로 디코딩 성공 여부를 알리는 ACK/NACK인 피드백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자원 확인 방법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간의 자원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매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510단계에서 단말기로 전송할 서브 프레임의 각 자원에 매핑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520단계에서 생성된 신호를 서브 프레임의 각 자원에 매핑한다. 서브 프레임에 신호를 매핑하는 방법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610단계에서 제1 대역의 제1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1 PHICH 신호를 서브 프레임의 제어 영역에 위치한 자원에 매핑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제2 대역의 제2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2 PHICH 신호를 서브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에 위치한 자원에 매핑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 신호는 제어 영역에, 데이터를 포함하는 PDSCH 신호는 데이터 영역에 매핑된다.
다시 도 5로 돌아와 기지국은 신호가 매핑된 서브 프레임을 패킷으로 코딩하고, 530단계에서 코딩된 서브 프레임을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540단계에서 수신된 서브 프레임에 매핑된 신호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디코딩된 신호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단말기는 550단계에서 확인된 신호에 따른 ACK/NACK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단말기에서 서브 프레임의 자원을 확인한 후 그에 따른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단말기에서 PHICH 신호를 확인하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710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면, 720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된 대역을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730단계에서 확인된 대역에 따라 제어 영역 또는 데이터 영역에서 PHICH 신호를 확인한다. PHICH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단말기는 740단계에서 확인된 PHICH 신호를 통해 확인된 채널을 이용하여 ACK/NACK 피드백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확인된 대역에 따라 PHICH 신호를 확인하는 방법은 간접적 확인 방법 및 직접적 확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간접적 확인 방법은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미리 약속된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직접적인 확인 방법은 단말기가 제어 영역에 위치한 PCCCH 신호를 확인하여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과정들은 도 8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ICH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810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서브 프레임이 제1 상향 링크(UL)의 대역을 통해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1 상향 링크에서 전송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었다면, 단말기는 820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제1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을 확인한다. 반면에 확인된 서브 프레임이 제1 상향 링크가 아닌 다른 링크의 대역에서 전송된 서브 프레임이라면, 단말기는 830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을 확인한다. 이렇게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 자원의 위치가 확인되면, 단말기는 확인된 PHICH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 ACK/NACK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HICH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910단계에서 제1 상향 링크(UL)의 대역에서 전송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1 상향 링크의 대역의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었다면, 단말기는 920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의 제어 영역에서 제1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을 확인한다. 반면에 제1 상향 링크 대역이 아닌 제2 상향 링크 대역에서 전송된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었다면, 단말기는 930단계에서 서브 프레임에서 제어 영역의 할당 정보인 PDCCH를 통해 데이터 영역에서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을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940단계에서 확인된 자원에서 제2 PHICH 신호를 확인한다. 이렇게 PHICH 자원의 위치가 확인되면, 단말기는 확인된 PHICH 에 따라 기지국으로 ACK/NACK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두 개의 상향 링크 대역과 하나의 하향 링크 대역에서 ACK/NACK 전송을 위한 PHICH 신호를 매핑하거나, 매핑된 PHICH 신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외에도 두 개의 상향 링크 대역과 하나의 하향 링크 대역에서 ACK/NACK 전송을 위한 PHICH 신호를 매핑하거나, 매핑된 PHICH 신호를 확인하는 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대역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자원이 1:1로 대응될 수 있도록 기지국 또는 단말기에서 제1 대역에 대응되는 제1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1 PHICH 신호를 제어 영역에, 제2 대역에 대응되는 제2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2 PHICH 신호를 데이터 영역에 위치한 자원에 매핑한다. 제1 및 제2 피드백 채널 신호인 제1 또는 제2 PHICH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는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미리 약속된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서브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때, 제어 영역에 매핑된 PDDCH를 통해 데이터 영역에서 제2 피드백 채널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된 자원에 매핑된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여 기지국 또는 단말기로 ACK/NACK 피드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대역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향 링크에서 피드백(feedback)이 할당되는 제어 채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피드백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LTE Advanced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ICH 신호가 할당된 자원을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간의 자원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매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ICH를 확인하는 방법.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HICH를 확인하는 방법.

Claims (7)

  1. 복수개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매핑하는 과정;
    상기 제1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 및 상기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가 매핑된 상기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는
    제1 및 제2 대역의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3. 복수 개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자원 확인 방법에 있어서,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에서 확인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서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피드백 자원 확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어 영역에 매핑된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자원 확인 방법.
  5.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제1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의 자원에 매핑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 제2 대역의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매핑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지국;
    상기 서브 프레임에서 제1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상기 제어 영역에서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자원에서 제2 대역의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하는 단말기로 구성되는 피드백 자원 할당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어 영역에 매핑된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서 제2 피드백 채널 신호가 매핑된 자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 상기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자원 할당 통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드백 채널 신호는
    제1 및 제2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자원 할당 통신 시스템.
KR1020090030722A 2009-04-09 2009-04-09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KR10156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722A KR101568205B1 (ko) 2009-04-09 2009-04-09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722A KR101568205B1 (ko) 2009-04-09 2009-04-09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286A true KR20100112286A (ko) 2010-10-19
KR101568205B1 KR101568205B1 (ko) 2015-11-11

Family

ID=4313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722A KR101568205B1 (ko) 2009-04-09 2009-04-09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070A1 (ko) *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681726B2 (en) 2011-02-17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allocating uplink feedback channel for feeding back data corresponding to an 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726B2 (en) 2011-02-17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allocating uplink feedback channel for feeding back data corresponding to an 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US10383094B2 (en) 2011-02-17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allocating uplink feedback channel for feeding data corresponding to an enhanced-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WO2013048070A1 (ko) * 2011-09-26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628242B2 (en) 2011-09-26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205B1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8308B2 (en) Enhanced PDCCH overlapping with the PDCCH region
US10420091B2 (en) Mapping of control information to control channel elements
CN113692059B (zh) 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和设备
AU2016264077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6106275B2 (ja) 拡張物理下りリンク制御チャネル(epdcch)に対してtddpucchharq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1094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06101B2 (en) Downlink control channel decoding method and device for low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67614B1 (en) Search space for epdcch control information in a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74247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102522174B1 (ko)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과 단말기
US2014036929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1677529B2 (en) Data signal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duced end-to-end latency
US20170006525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EP2562954A1 (en) Search space reconfiguration for enhanced-PDCCH
US10630447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30009776A (ko) 제어 채널 간섭의 완화
US10433322B2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39203A (ko)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KR20170093590A (ko) NB-IoT를 위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251635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方法以及集成电路
KR101568205B1 (ko) 복수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자원 할당 방법
CN109792307B (zh) 从一个ofdm模式到另一ofdm模式的切换
RU2776435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связи
JP2014072583A (ja) 制御情報送信装置および制御情報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