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770A -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770A
KR20100111770A KR1020090030139A KR20090030139A KR20100111770A KR 20100111770 A KR20100111770 A KR 20100111770A KR 1020090030139 A KR1020090030139 A KR 1020090030139A KR 20090030139 A KR20090030139 A KR 20090030139A KR 20100111770 A KR20100111770 A KR 2010011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omposition
cholestero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룡
배대준
Original Assignee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에이치바이오제닉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1770A/ko
Publication of KR2010011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은 체내의 콜레스테롤 흡수와 생합성을 억제시키는 효과와 동시에 혈장내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고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을 조절하는 혈당 강하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심혈관계 질환인 고지혈증 및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혈당, 지질, 강하, 콜레스테롤, 고지혈증, 당뇨병

Description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ypocholestero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본 발명은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콜레스테롤의 흡수와 생합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혈장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중의 포도당 농도의 상승을 조절하는 혈당 강하 가능을 가지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과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고지방 가공식품 및 육류소비가 보편화되면서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심혈관계 만성 성인병 환자가 점차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45세 이상 고령층에 특별히 많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원인으로 고혈압, 비만증, 고지혈증, 당뇨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만 보더라도 연간 90 만명이 발병하여 그 중 15 만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은 전체 사망률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는 콜레스테롤에 의한 여러 가지 성인병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혈중 높은 수준의 포도당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농도도 낮 추기 위한 물질 및 기능성 식품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는 실정이다.
한편, 고지혈증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과 중성지방(triglycerides)치가 정상보다 높은 경우의 상태를 뜻하며,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경색과 같은 혈액순환질환을 초래하므로 조기에 치료하고, 그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지혈증의 원인 물질인 콜레스테롤은 세포를 구성하는 필수성분으로 세포의 성장, 분화 및 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인의 경우 하루 콜레스테롤 요구량은 1,300mg 정도이며, 이 중 약 1,000mg이 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에서 합성되고, 약 300mg 정도의 콜레스테롤이 음식물로부터 섭취된다. 음식물로부터 과다 섭취된 콜레스테롤은 세포 필요량을 만족시키면 남게 되어 혈류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지혈증을 야기시키며, 단핵세포, 거핵세포 등과 함께 혈관내막에 흡착되어 거품세포로 전환되는 원인이 되고, 이는 결국 동맥내의 벽을 두껍게 하여 혈류를 차단시킴으로써 협심증, 동맥경화 또는 심장마비를 유발하게 된다(Johan F, Jan N, Anders H, Hans W, Hidlund M. 1990. Proc . Natl . Acad. Sci . 87:904-908). 띠라서 혈중 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경화증의 발생빈도, 심근경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고는 콜레스테롤 섭취가 많은 국가에서 관상동맥질환 또는 허혈성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높다는 보고와도 일치한다(Keys, A., Circulation, 41(Supp1), 1, 1970). 또한, 음식물로부터 섭취된 식이 콜레스테롤과 심혈관계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LRC-CPPT(The Lipid Research Clinic Program, J. Am . Med . Assoc., 251, 365, 1984) 연구결과와 헬싱키 심장연구결과(Helsinki Heart Study; Kannel WB, Dawber TR, Kagan A, Revostski N, Strokes J., Ann . Intern . Med. 55:33-50, 1961)에 의하면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1% 줄일 경우 심혈관계 질환을 2%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이에 각국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이요법과 함께 사용될 각종 기능성 식품 및 고지혈증 치료제의 합성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고지혈증 치료제를 살펴보면 LDL-콜레스테롤을 혈중에서 20∼35%까지 낮출 수 있는 콜레스티라민(cholestyramine)과 콜레스티폴(cholestipol)과 같은 콜레스테롤 유도체들과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관여하는 HMG-CoA 환원효소(HMG-CoA reductase;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의 저해제인 로바스타틴(lo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등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들 약제들은 콜레스테롤농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오심, 두통, 피로감, 불면증, 피부발진, 장기능 변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하고 있어서 이상적인 약물요법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니코틴산(nicotinic acid) 등을 사용하여 간의 LDL이나 VLDL의 생합성을 저하시킴으로서 동맥경화와 같은 심질환의 발생빈도를 낮추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이 또한 위장관에 오심, 복부불쾌감 및 설사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며, 소화성 궤양이나 과뇨산혈증, 간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가 금지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생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혈장의 혈당 및 지질 강하 작용이 우수당 새로운 혈당 및 지질 강하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혈당 및 지질 강하제를 개발하던 중,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 함하는 조성물이 혈당 강하 효과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생합성 및 지질 흡수를 억제함과 동시에 혈장의 지질농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은 체내의 콜레스테롤 흡수와 생합성을 억제시키는 효과와 동시에 혈장내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고 혈중 포도당 농도의 상승을 조절하는 혈당 강하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심혈관계 질환인 고지혈증 및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륨 8~10 중량부, 탄산칼륨 40~60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2 중량부, 젖산칼슘 1~2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3~7 중량부, 정백당 15~30 중량부 및 정제포도당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ℓ를 기준으로 염화칼륨 80~100g, 탄산칼륨 400~600g, 염화마그네슘 10~20g, 구연산나트륨 30~70g, 젖산칼슘 10~20g, 정백당 150~300g 및 정제포도당 20~50g을 첨가하고 용해하여 이온화시킴으로써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물은 물속에 존재하는 원생생물 및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취수원에서 보내진 원수를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정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과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탄 여과조 또는 초정밀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여과를 통해 이질이 제거된 정제수에 미네랄 물질들을 용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제수를 가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가열한 정제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차가운 정제수를 사용할 경우, 미네랄 성분들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채 침전물로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상기 가열은 혼합된 미네랄 성분들이 침전되지 않을 정도로 정제수를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은 물속에서 이온화되어 알칼리성을 띄는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의 미네랄 성분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된 미네랄 성분 중 칼륨은 세포내 액의 주된 양이온으로 세포 외액의 주된 양이온인 나트륨과 함께 삼투압과 수분 평형 조절에 관여하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칼륨이 결핍되면 조직분해 또는 설사나 구토 증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반면 칼륨이 체내에서 과잉 존재 시 갑상선 기능 저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체내에서 부작용이 없도록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염화칼륨을 80~10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륨은 400~60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은 칼륨과 함께 삼투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고, 세포의 물질교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적인 근육의 자극반응 및 흥분성을 유지하는데 관여 한다. 따라서 나트륨이 결핍되면 식욕부진, 소화불량, 근육위축, 장내가스 축적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나트륨이 과도하면 피로, 신경불안증, 발작, 두통 및 잇몸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 하여 구연산나트륨을 30~7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은 체내의 골격계 유지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근육의 수축과 이완, 효소 활성화 및 면역과 호르몬의 분비조절에 관여하며, 특히 뼈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슘 결핍의 경우, 성장부진, 우울증, 불면증 및 각종 통증을 유발시키고, 칼슘의 과잉은 식욕감퇴, 체중감소 및 변비 등을 유발시킨다. 한편, 이러한 칼슘은 물과 매우 격렬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알칼리성의 용액 제조에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양의 칼슘을 첨가하여 다른 미네랄 성분들과 함께 단시간에 알칼리성 용액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젖산칼슘을 10~2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슘은 세포 대사에 가장 핵심적인 성분으로써, 효소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골격과 치아를 구성한다. 이러한 마그네슘이 결핍되면 신경과민, 경련, 발작 및 동맥경화 등을 유발시키고, 부족하면 혼수, 구토 및 식욕부진 등을 유발시킨다. 또한 마그네슘은 물속에서 물과 반응하여 마그네슘이 산화됨으로써 수산화이온을 형성하게 되고 형성된 수산화이온에 의해 물은 알칼리성을 띄게 되며 동시에 형성된 수소분자에 의해 환원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그네슘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너무 많은 양으로 포함될 경우, 물속에서 쉽게 산화마그네슘으로 산화되어 마그네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알칼리성을 만드는 능력이 급속이 낮아지게 되며, 반면 너무 적은 양으로 포함될 경우 용액을 알칼리화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을 10~2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포도당 및 정백당은 이온화된 미네랄 성분들이 재결합하는 것을 방지하여 용액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수 1000ml에 대하여 정백당을 150~30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제포도당은 20~50g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은 동물 체내의 혈장 지질, 즉,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을 저하시키는 효과 및 혈당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부작용이나 급성 독성 등의 면에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적으로 유효한 고지혈증 및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질환들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음료수 및 가축사료 등에 혼합하여 고상, 액상 또는 젤리 형태의 혈장 지질 및 혈당을 강하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식용색소, 식용향료, 생약초, 과일, 올리고당, 키토산 및 구연산 등의 통상적인 성분을 적당량 가하여 좋은 맛과 향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 식품에는 필요에 따라 인체의 당흡수를 억제하여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거나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또는 흡수를 억제할 수 있는 공지의 물질들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식품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과자류, 유가공품류, 면류, 다류, 음료류, 건강보조식품류 또는 조미식품류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및 주사제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의 제조 과정 중에 첨가될 때에는 식품 첨가물의 형태로 식품에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첨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3>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정제수 1000ml을 50~60℃로 가온 유지한 후에,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구연산나트륨, 젖산칼슘, 정백당 및 정제포도당을 하기 조성 비율에 맞춰 차례로 넣고 서서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정치하여 안정화시킨 후 구멍 직경이 0.2㎛인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맑은 연한 미색의 액상 혼합액을 수득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정제수 1000ml 1000ml 1000ml
염화칼륨 100g 100g 80g
탄산칼륨 600g 540g 400g
염화마그네슘 20g 15g 20g
구연산나트륨 50g 70g 30g
젖산칼슘 20g 10g 20g
정백당 150g 180g 300g
정제포도당 30g 20g 50g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혈장 지질 강하 효과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혈장의 지질을 강하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3주령의 건강한 수컷토끼(New Zealand White(NZW) Rabbit, BW 2.7-2.9 kg)를 대한실험동물센터로(충북, 음성군)부터 구입하여 lab-chow 식이를 제공하면서 1주간 안정시킨 후 무작위로 4그룹으로 나누었다. 정상군(cholesterol-free control)은 normal Lab-chow를, 콜레스테롤 대조군(high-cholesterol(HC) control)은 0.5% 콜레스테롤 식이, 그리고 lovastatin군(high-cholesterol(HC)+lovastatin) 및 실험군(HC+실시예 2의 조성물)은 0.5% 콜레스테롤 식이에 lovastatin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조성물을 각각 0.03% 및 0.15% 첨가하여 제조한 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동물들은 항온(20℃)과 항습(50%), 그리고 7:00부터 19:00까지의 light-cycle을 유지하는 동물실험실에 설치된 개개의 스테인레스 캐이지(stainless cage) 안에서 사육하였으며, 모든 식이와 식수들은 자유식(ad libitum)으로 먹게 한다. 체중은 매주 측정하였으며 식이 섭취량은 실험식이 기간 중 매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들은 15시간 절식 후 헤파린 처리된 주사기로 heart puncture를 실시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복부를 절개하여 각 장기조직을 수집하였다. 혈액은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혈장 지질분석용으로 -20℃에 보관하였다. 본 실험에서 나온 모든 결과는 컴퓨터 통계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SPSS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각 군간의 평균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다군간의 차이는 던칸의 다중범위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0.05 이상의 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준오차(standard deviation; S.D)과 함께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각 군들의 혈장 내 총 콜레스테롤(Plasma Total Cholesterol)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혈장 중에 있는 콜레스테롤은 cholesteryl ester와 free cholesterol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두 형태를 모두 다 정량하기 위하여, cholesteryl ester를 콜레스테롤 옥시다아제(cholesterol oxidase)에 의해 지방산과 유리 콜레스테롤로 바꾸었다. 이렇게 전환된 유리형 콜레스테롤과 혈장중의 유리 콜레스테롤을 콜레스테롤 옥시다아제에 의해 Δ4-콜레스테논(cholestenon)으로 전환하여 퍼옥시다아제와 기질인 H2O2, 페놀 및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e)을 섞어서 적색으로 발색시켜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콜레스테롤 표준용액과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혈장 중 중성지방(Triglyceride)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혈장 중에 있는 중성지질을 리포프로테인 리파아제(lipoprotein lipase)를 이용하여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시킨 후 글리세롤을 글리세롤 키나아제 (glycerol kinase)와 에너지원인 ATP를 첨가하여 반응시켜 L-α-포스포글리세롤로 변형시켰다. 여기에 글리세롤-포스포-옥시다아제(glycerol- phospho-oxidase; GPO)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H2O2가 발생하는데, 이에 페록시다아제를 처리하여 발색시킨 후 550 nm에서 흡광도를 조사하여 글리세롤 표준과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제공한 토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에 미치는 효과
총 콜레스테롤(mg/dl) 중성지방(mg/dl)
식이전 식이후 식이전 식이후
cholesterol-free 68.38±7.30 75.53±4.30 74.85±4.10 75.20±2.00
high-cholesterol 62.31±3.45 390.0±32.0 71.42±3.50 85.04±5.20
HC+lovastatin 77.05±8.59 120.0±12.4 85.30±3.22 82.23±4.22
HC+ 실시예 2 조성물 70.37±6.50 130.49±5.20 84.02±6.22 85.20±6.23
그 결과, 실험식이 전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6주간 실험식이 후에는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하게 한 군이 다른 군에 비해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섭취하게 한 경우,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상승하였으나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한 군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항 콜레스테롤 성분인 로바스타틴(lovastatin)을 섭취하게 한 군과 거의 비슷한 수치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한 경우 혈장 콜레스테롤의 상승을 상당히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혈장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한 결과, 실험식이 전후 모두에서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한 중성지방 농도의 증가는 보이지 않았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혈당 강하 효과 시험
시험에 사용된 동물은 생후 3주되는 24마리의 Sprague-Dawley 수컷 쥐를 대한동물실험센터(충북 음성군)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체중이 280g에 달할 때까지 Lab. chow pellet 식이로 사육한 후 Streptozotocin 주사에 의한 당뇨유도실험을 통하여 당뇨병을 발병시켰다. 동물들은 항온 (25± 2℃)과 항습 (50±5%), 그리고 자연조명의 일정 환경하의 동물실험에서 상동 실험 식이에 의해 5주간 사육되었다. 모든 식이는 자유 식이로 먹게 하고 물은 매일 공급하여주면서 세균번식의 침입이 없도록 청결상태를 유지하였다. 사육기간이 완료된 다음날 아침 12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로 동물들을 마취시키고 마취제인 Ketamine-HCl을 복강에 투여한 후 복부 대정맥(inferior vena cava)으로부터 혈액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피는 원심분리기로 4℃에서 3,000 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 시켜 혈청을 분리하였다. 동물들의 간, 심장, 신장은 적출 후 생리식염수로 여러 번 헹구어 표면의 피를 제거한 다음 측정하고는 -20℃에서 보관하였다. 보관된 혈청은 단백질, 중성지질, 총 혈청콜레스테롤 등의 농도측정에 사용되었다.
혈당농도, 중성지방 농도, 그리고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효소법을 적용시킨 아산제약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SPSS 패키지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식이군간 비교는 student t-test를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모든 측정치의 평균,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자료 각각에 대해 비모수적 콜모고르프 스미노프 검정으로 정규분포 여부를 검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이 280g에 달할 때까지 Lab. chow pellet 식이로 사육한 후 Streptozotocin 주사에 의한 당뇨유도실험을 통하여 당뇨병을 발병시켰다. Streptozotocin 주사 후 24시간 째에 6시간 동안 굶게 한 후 이들 동물의 꼬리정맥혈을 채취하여 고혈당 증세를 확인하였으며 이때 상기 실험에 사용된 동물들은 다음과 같이 3가지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즉, 제1군은 대조군으로 기본식이를 섭취하게 하였으며, 제2군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실시예 1의 조성물)을 기본식이(basal diet, AIN-76 semipurified diet)에 첨가하여 섭취하게 하였고, 제3군은 실시예 2의 조성물을 기본식이에 첨가하여 섭취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혈당 및 혈장 지질 농도에 미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
포도당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대조군 321.30±75.56 75.66±15.98 243.23±432.23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 190.00±153.20 42.05±10.90 42.20 ±23.20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섭취한 군 211.25±131.48 43.78±20.32 50.23 ±115.32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혈당강하효과 (P<0.05), 혈장 지질(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P<0.01) 저하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2의 조성물 또한 혈당강하 효과 및 혈장 내 지질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염화칼륨, 탄산칼륨, 염화마그네슘, 젖산칼슘, 구연산나트륨, 정백당, 정제포도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50~60℃로 가열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해 염화칼륨 8~10 중량부, 탄산칼륨 40~60 중량부, 염화마그네슘 1~2 중량부, 젖산칼슘 1~2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3~7 중량부, 정백당 15~30 중량부 및 정제포도당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액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과자류, 유가공품류, 면류, 다류, 음료류, 건강보조식품류 또는 조미식품류를 만들기 위한 조성물로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식품.
KR1020090030139A 2009-04-08 2009-04-08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KR20100111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39A KR20100111770A (ko) 2009-04-08 2009-04-08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139A KR20100111770A (ko) 2009-04-08 2009-04-08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770A true KR20100111770A (ko) 2010-10-18

Family

ID=4313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139A KR20100111770A (ko) 2009-04-08 2009-04-08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1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17B1 (ko) * 2011-07-25 2012-04-02 최맹호 다기능성 미네랄 복합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617B1 (ko) * 2011-07-25 2012-04-02 최맹호 다기능성 미네랄 복합체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4836C (en) Improved method of administering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hmb)
US5211956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hytic acid or its salts
KR20070058460A (ko) 스타틴 및 오메가 3 지방산 함유 조성물
RU2201272C2 (ru) Применение ингибиторов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ой липазы
JPH01294631A (ja) 糖尿性疾患治療予防剤及び飲食、し好物
KR20020006114A (ko) 체내에 흡수되기 용이한 단백화-아연의 제조방법
US5627172A (en) Method for reduction of serum blood lipids or lipoprotein fraction
US20200030267A1 (en) Agent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yslipidemia
JP2004105157A (ja) 糖類分解酵素阻害飲食組成物
CA2870813C (en) Dietary fiber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IL272138B2 (en) The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pathologies of the device
JP2009256331A (ja) 高尿酸血症、又は痛風の予防、改善、又は治療剤
KR20160128953A (ko)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장애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111770A (ko) 혈당 및 지질 강하용 조성물
ZA200307594B (en) Method for increasing serotonin levels in a person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incorporating hydroxycitric acid and related compositions thereof
HUE025394T2 (en) Preparation for use in type 2 diabetes and complications for use in insulin-resistant pre-diabetic patients
JPH02242655A (ja) 食卓塩の副作用を減ずる物質
EP1729598A1 (en) Composition; use of a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treating obesity
CN1686160A (zh) 补充钙镁的药品制剂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JP5697337B2 (ja) 2型糖尿病の処置に有用な組成物
KR20140017979A (ko) 중장년층용 비타 하이브리드 정제 및 그 제조 방법
US11318153B2 (en) Method of using Neoandrographolide for lowering blood sugar, lowering blood lipid,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improving renal function
RU2303990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34;витаминка цветочная&#34;
TW201216975A (en) Composition for adjusting blood lipid and cardiovascular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