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190A -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190A
KR20100111190A KR1020090029636A KR20090029636A KR20100111190A KR 20100111190 A KR20100111190 A KR 20100111190A KR 1020090029636 A KR1020090029636 A KR 1020090029636A KR 20090029636 A KR20090029636 A KR 20090029636A KR 20100111190 A KR20100111190 A KR 2010011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breast
shell
artificial
stress concentrat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668B1 (ko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유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석 filed Critical 유원석
Priority to KR102009002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68B1/ko
Priority to PCT/KR2010/001823 priority patent/WO2010117149A2/ko
Publication of KR2010011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B29L2031/7532Artificial members, pro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촉감이 우수하여 유방 보형물로써의 효율성이 우수한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인공유방 보형물은 동일한 두께의 쉘과 실리콘 막 접합부위를 구성하여 인체 삽입 후 받는 응력에 대하여 응력 집중 현상을 최소화하여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은,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10)를 실리콘 용액(20)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S100)와;
실리콘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30)를 통해 몰드에 부착된 인공유방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S200)와;
미세분무장치(40)를 통해 유기화학용액을 상기 인공유방 쉘에 분무하는 유기화학용액분무단계(S300)와;
상기 몰드에 부착되어 화학 처리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에서 인공유방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와;
상기 형성된 구멍을 막기 위하여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을 구멍 에 부착시키는 보형물형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한 인공 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을 통해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한 인공 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된다.
실리콘, 인공 유방, 응력 집중.

Description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art breast manufacture method for minimize of stress-concentration.}
본 발명은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촉감이 우수하여 유방 보형물로써의 효율성이 우수한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인공유방 보형물은 동일한 두께의 쉘과 실리콘 막 접합부위를 구성하여 인체 삽입 후 받는 응력에 대하여 응력 집중 현상을 최소화하여 피로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유방 보형물은 질병 및 사고로 인한 유방 결손에 대한 재건과 미용 및 기형으로 인한 성형을 목적으로 하며, 입체적, 해부학적으로는 기관 또는 조직의 대체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공유방 보형물들은 장기 이식이 가능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쉘 내부에 충 진물로써 식염수(Saline), 하이드로젤(Hydro-gel), 실리콘 젤(Silicone gel)이 채워진 형태의 제품, 모양에 따라서 둥근 형태(Round type)와 물방울 형태(Anatomical type) 제품, 표면 상태에 따라서 매끄러운 형태(Smooth type)와 거친 형태(Texture type)의 제품이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의 설명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Saline breast prosthesis)은 실리콘(Polydimethylsiloxane 또는 polydiphenylsiloxane과 같은 polyorganosiloxane 으로 구성됨)쉘 내부에 식염수가 주입된 형태 또는 주입할 수 있는 형태의 인공 유방 보형물로써 구조적으로 실리콘 쉘과 밸브로 구성되어있다.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은 멸균된 식염수를 충진물로 이용하므로 파열 후 충진물의 체내 누출에 대한 안전성보장과 식염수 충진량의 조절로 유방의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시술 후 감촉이 다른 인공 유방 보형물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고 쉘의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이드로젤 인공 유방 보형물(Hydrogel-filled breast prosthesis)은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과 같이 쉘 내부에 단당류와 다당류로 구성된 하이드로젤이 충진된 형태의 보형물로써, 파열로 인한 충진물의 체내 유출 시, 충진물이 인체에 흡수, 배설이 가능하다는 원리에서 개발된 제품이다.
그러나 하이드로젤 인공 유방 보형물은 장기간 사용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으며, 삽입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부피 변화가 크고 주름 발생 가능성이 크며,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에 비하여 느낌이 부자연스러운 단점이 있다.
현재, 이와 같은 하이드로젤 인공 유방 보형물은 2000년도를 기준으로 안전성의 입증 문제로 인하여 시장에서 완전히 유통되고 있지 않다.
실리콘 젤 인공 유방 보형물(Silicone gel-filled breast prosthesis)은 쉘 내부에 적당한 점도의 실리콘 젤이 충진된 형태로써, 제품의 내구성 및 감촉이 식염수 인공 유방 보형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시장에서의 인공 유방 보형물의 판매는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의 판매가 지배적인 위치에 있다.
실리콘 젤 인공 유방 보형물의 경우, 그 안전성의 입증 문제로 인하여 미국 식약청(FDA)에서는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었으나, 2006년도 다시금 공식적으로 사용을 허락하였다.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의 개발 역사는 1세대형 보형물, 2세대형 보형물, 3세대형 보형물로 개발되어 왔으며, 상세하게는 다음의 설명과 같다.
1세대형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판매된 제품으로써 1961년도에 Cronin과 Gerow에 의하여 처음 개발되었으며, 두꺼운 쉘, 매끄러운 표면 타입, 높은 점도의 실리콘 젤 사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보형물은 젤 유출(Gel bleed) 및 구형구축(Capsular contracture)을 유발시켰지만, 두꺼운 쉘의 사용으로 인하여 파열속도는 낮은 편이었다.
2세대형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은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판매된 제품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감촉을 위하여 얇은 쉘과 낮은 점도의 실리콘 젤 충진물을 사용하였다.
이 보형물은 1세대형 보형물에 비교하여 비슷한 젤 유출량, 높은 파열율, 낮은 구형구축 발생율이 특징이다.
3세대형 실리콘 인공 유방 보형물은 198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써, 젤 유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젤 유출 차단층(Barrier layer)을 사용하였으며, 2세대와 비교하여 두꺼운 쉘, 높은 점도의 실리콘 젤이 사용된 형태이다. 또한, 구형구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거친 표면의 제품(Texture type)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인공유방 보형물은 모두 쉘과 접합부위(이하 패치라 칭한다.), 그리고 충진물로 구성된다.
구성되어지는 쉘의 경우 대부분이 담금기법을 통하여 제조되어 내구력(특히, 피로에 의한 파열)에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기본적으로 담금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쉘은 중력으로 인하여 두께상의 편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두께 편차는 응력에 의한 상대적 취약 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패치의 가공은 패치층 내부에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층을 포함하여야 패치의 강도 저하를 막을 수 있기에 패치층 자체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패치 접합 부위가 매우 두꺼워지며 접합 부위의 신장 특성이 거의 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은 상기의 쉘에서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응력 집중이 발생되며 피로에 대한 취약 부위가 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그간의 임상 결과에서도 보형물의 패치 주위의 파열은 매우 발생 빈도 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한 인공 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막을 포함한 실리콘막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실리콘막 접합 부위를 최대한 얇게 함으로써 실리콘막 접합 부위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의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하여 안전성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은,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10)를 실리콘 용액(20)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S100)와;
실리콘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30)를 통해 몰드에 부착된 인공유방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S200)와;
미세분무장치(40)를 통해 유기화학용액을 상기 인공유방 쉘에 분무하는 유기화학용액분무단계(S300)와;
상기 몰드에 부착되어 화학 처리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에서 인공유방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와;
상기 형성된 구멍을 막기 위하여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을 구멍에 부착시키는 보형물형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은,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한 인공 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막을 포함한 실리콘막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실리콘막 접합 부위를 최대한 얇게 함으로써 실리콘막 접합 부위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의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하여 안전성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은,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10)를 실리콘 용액(20)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S100)와;
실리콘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30)를 통해 몰드에 부착된 인공유방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S200)와;
미세분무장치(40)를 통해 유기화학용액을 상기 인공유방 쉘에 분무하는 유기화학용액분무단계(S300)와;
상기 몰드에 부착되어 화학 처리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에서 인공유방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와;
상기 형성된 구멍을 막기 위하여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을 구멍에 부착시키는 보형물형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기화학용액은,
자일렌, 톨루엔, 벤젠, 사이클릭 방향족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세분무장치는,
건조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골고루 분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에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 형성시 경사각을 30도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형물형성단계(S500)에서,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의 두께를 10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은,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10)를 실리콘 용액(20)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S100)와;
실리콘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30)를 통해 몰드에 부착된 인공유방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S200)와;
미세분무장치(40)를 통해 유기화학용액을 상기 인공유방 쉘에 분무하는 유기화학용액분무단계(S300)와;
상기 몰드에 부착되어 화학 처리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에서 인공유방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와;
상기 형성된 구멍을 막기 위하여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을 구멍에 부착시키는 보형물형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하며,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막을 포함한 실리콘 막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접합 부위를 최대한 얇게 함으로써 접합 부위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의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하여 안전성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최초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10)를 실리콘 용액(20)에 담그게 된다(S100).
상기 실리콘 용액에 담겨진 몰드를 건조 및 경화하여 실리콘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건조장치(30)를 통해 몰드에 부착된 인공유방 쉘을 건조 및 경화(S200)시키게 된다.
상기 건조 및 경화된 인공유방 쉘에 미세분무장치(40)를 통해 유기화학용액을 분무(S300)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세분무장치는 건조 장치 하단부에 형성하거나 별도의 미세분무장치를 통해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유기화학용액을 골고루 분무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분무장치를 통해 분무되는 유기화학용액이 상측으로 분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부재(50)를 설치 구 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력에 의해 건조 및 경화시 실리콘이 흘러내리면서 굳어지게 되는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공유방 쉘(5)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하단부로 내려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므로 응력집중부위(7)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미세분무장치를 통해 하단부에 유기화학용액을 분무하게 되면 상단부와 동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흘러내리게 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유기화학용액의 농도가 해당 공간상(차단부재 하측 공간)에 증가하게 되어 하단 부위의 실리콘 피막이 상단 부위보다 두꺼운 상태에서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하단 부위의 실리콘 피막 두께가 상단 부위와 동일하게 되었을 때 미세분무장치의 분무를 차단한 후 건조시키는 것으로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미세분무장치를 건조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골고루 분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세분무장치에 의해 분무되는 유기화학용액은 자일렌, 톨루엔, 벤젠, 사이클릭 방향족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용액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분무단계를 마치게 되면 상기 몰드에 부착되어 화학 처리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에서 인공유방 쉘을 탈착(S400)하게 된다.
이때,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 형성시 경사각을 30도 이하로 형성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으로 부착할 경우에는 접착면(8a,8b)는 접착 강도가 그 부위에 위해 유지되는데, 본 발명의 방식은 다수의 접착면(150a, 150b, 150c, 150d)이 접착 강도를 동시에 유지하게 되므로 종래 방식의 단축 방향이 아닌 2축 방향에 대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2축 방향이라 함은 수평방향과 대각선(비틀림) 방향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경사각이 30도 이하일 경우의 접착면이 적합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접합면이 보이지 않음으로 인하여 미관적 수려함을 가지게 된다.
상기 구멍을 형성하여 인공유방 쉘(100)을 탈착하게 되면 해당 구멍을 막기 위하여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을 구멍에 부착(S500)시키게 된다.
상기 구멍을 실리콘막으로 부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실리콘 본딩 장치를 이용하게 되며 상기 실리콘 본딩 장치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당업자들이라면 쉽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때, 상기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의 두께를 100㎛ 이하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유출방지막의 구성요소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6)은 두께가 500 ~ 1000㎛로 인공유방 쉘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로 형성되므로 인공유방 쉘과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이 접합되는 부위에서 변형에 대한 신장이 저하되므로 인공유방 쉘과 접합 부위 경계에 매우 많은 응력이 집 중되므로 피로에 대한 취약 부위가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의 두께를 100㎛ 이하로 형성할 경우에 응력에 대한 취약 부위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실리콘막(200)의 두께가 100㎛ 이하일 경우에도 경사면에 대한 접합을 수행하므로 얇지만 접합 강도를 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에 대한 접합 강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경사각을 30도 이하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변형에 대한 인공유방 쉘과 접합 부위에 신장이 발생되므로 응력 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을 통해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한 인공 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되며, 저분자 실리콘의 유출 방지막을 포함한 실리콘막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실리콘막 접합 부위를 최대한 얇게 함으로써 실리콘막 접합 부위로 발생할 수 있는 응력의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하여 안전성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은,
인공유방 쉘의 두께 편차를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피로 파열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얇은 두께로 인하여 촉감이 우수한 인공 유방 보형물을 제공하게 되어 인공유방 보형물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 인공유방 보형물의 인공유방 쉘 및 실리콘 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유방 보형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인공유방쉘
200 : 실리콘막

Claims (5)

  1.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유방 형상의 몰드(10)를 실리콘 용액(20)에 담그는 실리콘용액담금단계(S100)와;
    실리콘 인공유방 쉘을 획득하기 위하여 건조장치(30)를 통해 몰드에 부착된 인공유방 쉘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 건조및경화단계(S200)와;
    미세분무장치(40)를 통해 유기화학용액을 상기 인공유방 쉘에 분무하는 유기화학용액분무단계(S300)와;
    상기 몰드에 부착되어 화학 처리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에서 인공유방 쉘을 탈착하는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와;
    상기 형성된 구멍을 막기 위하여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을 구멍에 부착시키는 보형물형성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학용액은,
    자일렌, 톨루엔, 벤젠, 사이클릭 방향족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분무장치는,
    건조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골고루 분무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유방쉘획득단계(S400)에서,
    인공유방 쉘의 하단부에 구멍 형성시 경사각을 30도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형성단계(S500)에서,
    유출방지막이 포함된 실리콘막(200)의 두께를 10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KR1020090029636A 2009-04-06 2009-04-06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KR10102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36A KR101021668B1 (ko) 2009-04-06 2009-04-06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PCT/KR2010/001823 WO2010117149A2 (ko) 2009-04-06 2010-03-25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636A KR101021668B1 (ko) 2009-04-06 2009-04-06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190A true KR20100111190A (ko) 2010-10-14
KR101021668B1 KR101021668B1 (ko) 2011-03-17

Family

ID=4293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636A KR101021668B1 (ko) 2009-04-06 2009-04-06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1668B1 (ko)
WO (1) WO201011714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982A3 (ko) * 2011-06-23 2013-02-14 Yu Won-Seok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82039A1 (ko) * 2021-02-25 2022-09-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844A (en) 1995-06-07 1997-05-20 Novamed Med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c. Biocompatible hydrophobic laminate with thermoplastic elastomer layer
ES2128187T3 (es) 1997-04-05 1999-05-01 Medisyn Technologies Limited Protesis de senos, sin costura.
US6605116B2 (en) 2001-04-03 2003-08-12 Mentor Corporation Reinforced radius mammary prostheses and soft tissue expander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982A3 (ko) * 2011-06-23 2013-02-14 Yu Won-Seok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5284B1 (ko) * 2011-06-23 2013-02-21 유원석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9132004B2 (en) 2011-06-23 2015-09-15 Won Seok Yu Silicon breast implant which minimizes stress concentr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2182039A1 (ko) * 2021-02-25 2022-09-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
KR20220121966A (ko) * 2021-02-25 2022-09-0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공유방 보형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7149A3 (ko) 2011-02-03
KR101021668B1 (ko) 2011-03-17
WO2010117149A2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7554A1 (en) Dual plane breast implant
AU2009282389B2 (en) Soft filled prosthesis shell with discrete fixation surfaces
US108646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 variable surface breast implant
KR101235282B1 (ko)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AU2009281945B2 (en) Soft filled prosthesis shell with discrete fixation surfaces
KR101235284B1 (ko)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50327987A1 (en) Soft filled prosthesis shell with variable texture
EP2854707B1 (en) Dual plane breast implant
US9408692B2 (en) Round or anatomical type silicone prosthesis having shell with enhanced dur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21668B1 (ko) 응력 집중을 최소화한 인공 유방 보형물 제조 방법
AU2015205876A1 (en) Soft filled prosthesis shell with discrete fixation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