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072A -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072A
KR20100111072A KR1020090029451A KR20090029451A KR20100111072A KR 20100111072 A KR20100111072 A KR 20100111072A KR 1020090029451 A KR1020090029451 A KR 1020090029451A KR 20090029451 A KR20090029451 A KR 20090029451A KR 20100111072 A KR20100111072 A KR 20100111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pace
speaker
housing
vibrat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4867B1 (en
Inventor
이정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2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867B1/en
Publication of KR2010011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a speaker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easily design a speaker by determining resonant frequency through the rigidity of a fixing member and a holding unit. CONSTITUTION: A speaker is installed on a housing(20). The housing has a space in rear of the speaker. A vibration element has at least part which is installed in the space. The vibration element(30) is vibrated by a low frequency which is generated from the speaker. The vibration element includes a fixing unit fixed to the housing.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휴대 가능한 AV시스템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거나 소리와 함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 sound or outputting an image together with a sound,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portable AV system, and the like.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휴대 가능한 AV시스템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거나 소리와 함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에는 스피커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Speakers are indispensable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outputting sound or outputting images together with sounds, such as mobile phones, MP3 players, and portable AV systems.

그런데, 이러한 휴대 전자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speaker provided in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로, 스피커의 크기 및 스피커가 설치되는 공간이 작아서 저주파수 음 및 중주파수 음의 재생이 어려우며, 둘째로, 이퀄라이저(equalizer) 등과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저주파수 음을 무리하게 증폭하는 경우에는 왜율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세째로, 한 쌍의 스피커에서 음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각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이 스피커의 후방 공간에서 상호 간섭을 일으켜 음의 왜곡 뿐만 아니라 감쇠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low frequency and mid frequency sound because of the size of the speaker and the space where the speaker is installed. Second, when the low frequency sound is excessively amplified by using an equalizer or the like, the distortion is large. Third, in the case where sound is generated from a pair of speakers, the sound generated from each speaker causes mutual interference in the rear space of the speaker, so that not only the sound distortion but also attenuation occur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휴대 가능한 AV시스템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거나 소리와 함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전자회로나 알고리즘에 의하지 않고 간단한 기계적인 공진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저주파수 음을 효과적으로 증폭하여 소리를 실감나게 출력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소리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ircui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 sound or outputting an image with sound,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AV system. It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amplify low frequency sound effectively and output the sound realistically by adopting a simple mechanical resonance structure without the algorith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음을 출력하거나 음 및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스피커;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의 후방에 배후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후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저주파수 음이 증폭되도록 상기 저주파수 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outputs sound or outputs a sound and an image together, the speaker; A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is installed and a rear space is formed behind the speak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vibration member installed in the rear space and vibrating by the low frequency sound so that the low frequency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is amplified.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스피커의 후방에 설치된 기계적 공진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First, the structure of the mechanical resonat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peaker is very simple.

둘째, 진동부재의 공진 주파수는 진동부재의 질량과 진동부재가 지지되는 부분, 예를 들어 고정부나 위치고정부재의 강성에 의해 결정되므로, 설계가 용이하다. Second,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vibrating member is determined by the mass of the vibrating member and the portion on which the vibrating member is supported, for example, the rigidity of the fixing part or the position fixing member, so that the design is easy.

세째, 공진 주파수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과 진폭은 감쇄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Third, the frequency bandwidth and the amplitude at the resonance frequency can be adjusted by the attenuation rate.

네째, 단일 스피커의 채용시 보다 더 낮은 범위의 저주파수 소리를 크게 증폭시킨다. Fourthly, the low frequency sound of the lower range is greatly amplified than the use of a single speaker.

다섯째, 한 쌍의 스피커의 후방에서 나오는 소리가 분리됨으로써, 소리의 간섭에 따른 주파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Fifth, by separating the sound coming from the rear of the pair of speaker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requency distortion caus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ound.

여섯째, 더욱 풍부한 저음 성분, 저주파수 응답 진폭의 증가, 저주파수 범위 확장에 따른 재생성 등에 의해, 인간의 저주파수 대역 청감을 잘 표현할 수 있게 된다.Sixth, a richer bass component, an increase in the low frequency response amplitude, and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low frequency range make it possible to express human low frequency band hearing we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I-III line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휴대 가능한 AV시스템 등과 같이 소리를 출력하거나 소리와 함께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상관이 없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장치(100)가 휴대폰으로 구성되며, 휴대폰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 구조, 즉 저주파수 음을 증폭하기 위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1 to 3,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as long as it outputs a sound or outputs an image along with the sound,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a portable AV system.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figured as a mobile phone, an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phone is already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a feature structure for amplifying low frequency s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explanation will be centered.

휴대용 전자장치(100)는 한 쌍의 스피커(10)와, 하우징(20)과, 진동부재(30) 를 구비한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ncludes a pair of speakers 10, a housing 20, and a vibration member 30.

스피커(10)는 사람이 청취 가능한 소리를 출력한다. 스피커(10)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peaker 10 outputs sound that can be heard by a pers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peaker 10 is already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하우징(20)은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며, 하우징(20)에는 스피커(10)가 설치된다. 하우징(20)의 전면에는 한 쌍의 스피커(10)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쌍의 노출공(21)이 형성된다. 각 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노출공(21)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전달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이 형성된다.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은 각각 한 쌍의 스피커(10)가 설치되는 공간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은 격벽(24)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여기서, 격리라 함은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이 서로 인접하나 격벽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통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격벽(24)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다만, 격벽(24)은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using 20 forms an external shap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speaker 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20. A pair of exposure holes 21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0 so that the pair of speakers 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respectively. Sound output from each speaker 10 is transmitt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exposure hole (21). In addition,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are formed in the housing 10.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pace in which the pair of speakers 10 are installed.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artition wall 24. Here, the isolation means that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are adjacent to each other but do not pas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2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24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by an adhesive or welding. However, the partition wall 24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0.

진동부재(30)는 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수 음을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피커(10)에서 저주파수 음이 출력되는 경우에 진동부재(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출력되는 저주파수 음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저주파수 음을 증폭한다. 진동부재(30)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31) 및 한 쌍의 진동부(32)를 포함한다. The vibrating member 30 performs a function of amplifying low frequency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10. That is, when the low frequency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vibrating member 30 amplifies the low frequency sound by vibrating by the low frequency sound output. The vibrating member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ncludes a fixing part 31 and a pair of vibrating parts 32.

고정부(31)는 접착제나 용접 등에 의해 격벽(24)에 고정된다. The fixing part 31 is fixed to the partition 24 by an adhesive agent, welding, or the like.

한 쌍의 진동부(32)는 고정부(3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고정부(31)와 연결된다. 한 쌍의 진동부(32)는 각각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에 배치되며,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을 막는다. 한 쌍의 진동부(32)는 저주파수 음의 출력시에 고정부(31)를 중심으로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31)를 중심으로 스피커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힌지운동을 함으로써 진동을 한다. 특히, 특정 주파수에서는 진동부(32)가 공진을 한다. 각 진동부(32)의 가장자리와 하우징(20)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각 진동부(32)가 효과적으로 진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은 각각 스피커(10)의 후방쪽으로 최대한 막히게 된다. 다만, 가요성 다이어프램(diaphram)(미도시)을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진동부(32) 및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접착시키면, 진동부(32)의 가장자리 및 하우징(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막을 수 있다. The pair of vibration parts 3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31 and ar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31. The pair of vibration units 32 are disposed in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respectively, and close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The pair of vibration parts 32 are hi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peaker approaches and is spaced around the fixing part 31 as shown by an arrow in FIG. 2 around the fixing part 31 when the low frequency sound is output. Vibrate by exercising. In particular, the vibration unit 32 resonates at a specific frequency.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of each vibrating portion 3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is preferably reduced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for each vibrating portion 32 to vibrate effectively, and accordingly,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urface. The spaces 23 are each blocked to the rear of the speaker 10 as much as possible. However, when the flexible diaphragm (not shown) is adhered to the inner side of the vibrator 32 and the housing 10 similarly to the embodiment described later using an adhesive material, the edge of the vibrator 32 And a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그리고, 진동부(32)의 진동시에, 진동부(32) 중 고정부(31)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 즉 하우징(20)의 내측면과 가장 근접한 부분이 가장 큰 진폭으로 진동하며, 그 부분으로부터 고정부쪽으로 갈수록 진폭이 줄어들게 된다. When the vibrator 32 vibrates, the part of the vibrator 32 farthest from the fixed part 31, that is, the part closes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vibrates with the largest amplitude. The amplitude decreases from the part toward the fixing part.

한편, 진동부(32)의 힌지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진동부(32)에 홈부(3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부(321)는 진동부(32)의 표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되, 홈부(321)의 중심축은 진동부(32)가 스피커(1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과 평행하다. 그리고, 홈부(321)는 각 진동부(32)의 양 표면, 즉 진동부(32)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표면 상에 각각 형성되며, 각 홈부(321) 의 중심축은 서로 일치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the hinge movement of the vibrating portion 32 more smoothly,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portion 321 is formed in the vibrating portion 32. The groove 321 is formed concav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vibrator 32, the central axis of the groove 321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brator 32 approaches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10. The grooves 321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each vibrating portion 32, that is, surfaces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vibrating portion 32, and the central axes of the grooves 321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진동부(32)에는 다수의 구멍(322)이 관통 형성된다. 다수의 구멍(322)은 증폭된 저주파수 음이 하우징(20)의 후방쪽으로 출력되는 통로이다. In addition, the vibrator 32 has a plurality of holes 322 formed there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22 are passages through which the amplified low frequency sound is output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20.

그리고, 하우징(20)의 배면에는 커버(40)가 결합된다. 커버(40)에는, 저주파수 음이 커버(40)를 통해 출력되도록 다수의 구멍(41)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커버(40)가 직조된 천이나 혹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The cover 4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20. A plurality of holes 41 are formed in the cover 40 so that low frequency sound is output through the cover 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40 is made of a woven cloth or a porous material,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plurality of hol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있어서는, 스피커(10)의 후방에 진동부재(30)가 배치되며 스피커(10)에서 저주파수 음이 출력되는 때에 진동부재의 진동부(32)가 진동하게 됨으로써 저주파수 음을 용이하게 증폭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주파수 음은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에서 증폭될 뿐만 아니라 진동부재의 진동부(32)의 진동에 의해도 또한 크게 증폭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회로나 알고리즘에 의하지 않고 매우 간단한 기계적인 진동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저주파수 음을 증폭할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보다 잘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주파수 응답을 인간의 청각응답 곡선에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brating member 30 is disposed behind the speaker 10 and the vibrating unit 32 of the vibrating member is output when low frequency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10. By vibrating the low frequency sound can be easily amplified. That is, the low frequency sound is amplified not only in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but also greatly amplified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ing portion 32 of the vibrat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low frequency sound can be amplified by using a very simple mechanical vibration structure without using an electronic circuit or an algorith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sound of the low frequency band better,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and in particular, the frequency response can be similar to the human auditory response curve.

또한, 한 쌍의 스피커(10) 후방에 배치된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은 격벽(24)에 의해 격리되게 형성되므로, 각 스피커(1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수 음의 간섭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arranged behind the pair of speakers 10 are formed to b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24, the low frequency sound output from each speaker 10. The interference phenomen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그리고,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기존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서도 진동 부재의 진동부(32)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우징(2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vibrator 32 of the vibrating member may be installed without greatly chang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weight incre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minimiz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20 may be efficiently It can be used as.

또한, 한 쌍의 스피커(10)가 구비된 경우에 공진 주파수에 있어서의 공진 크기와 진폭을 감쇄율에 의해 조정하면, 하나의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에 비해 더 낮은 대역의 저주파수 음도 크게 증폭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pair of speakers 10 are provided, if the resonance magnitude and amplitude at the resonance frequency are adjusted by the attenuation rate, the low frequency sound of the lower band can be amplifi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e speaker is provided. .

그리고, 내부 감쇠를 적절하게 선택하며,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증폭량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증폭량은 진동부재의 재료, 두께, 질량, 강성 및 감쇄율 등의 변수에 의해 조절 가능하며, 이러한 변수를 잘 조절하게 되면, 인간의 청감 특성과 비교적 잘 맞출 수 있어서 저음역 손실(bass loss)을 상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lect the internal attenuation and to improve the amount of amplification in a wide frequency band. Here, the amount of amplification can be controlled by variables such as material, thickness, mass, stiffness, and attenuation rate of the vibration member. If the parameters are well controlled, the amplification amount can be relatively well matched with the human hearing characteristics, thereby reducing bass loss. Can be offse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재에 한 쌍의 진동부가 형성되고 각 진동부가 고정부를 중심으로 힌지운동을 함으로써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동부재가 한 쌍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vibrating parts are formed in the vibrating member, and each vibrating part is configured to vibrate by hinged movement around the fixing part. However, as shown in FIGS. 4 and 5, a pair of vibrating members is provid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장치(100a)에 있어서, 한 쌍의 진동부재(30a)는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에 각각 배치된다. 각 진동부재(30a)는 위치고정부재(50)에 의해 하우징(20)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a of this embodiment, the pair of vibration members 30a are disposed in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respectively. Each vibrating member 30a is fixed to the housing 20 by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위치고정부재(50)는 판 형상, 특히 진동부재(30a)의 진동이 원활하기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고정부재(5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이며 내부에는 사각 형상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다. 위치고정부재(50)는 하우징(20) 및 진동부재(30a)에 각각 결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고정부재(50)의 배면에 접착물질(미도시)이 도포되어 있어서, 위치고정부재(50)의 배면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측면 및 진동부재(30a)에 각각 접촉시키고 접착물질을 경화시키면 진동부재(30a)는 하우징(20)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여기서, 접착물질은 양면테이프 등 다양한 형태가 채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물질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위치고정부재(50)는 진동부재(30a)와 하우징(2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막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은 각각 위치고정부재(50), 진동부재(30a) 및 격벽(24)에 의해 후방쪽으로 막히게 된다. 물론, 제1배후공간(22) 및 제2배후공간(23)은 진동부재(30a)의 구멍(322)을 통해서 서로 통한다. 한편, 위치고정부재(50)는 진동부재(30a)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요성 다이어프램(diaphragm)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이어프램은 한지나 부드러운 플라스틱 또는 얇은 고무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Position fixing member 5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 order to smooth the vibration of the plate shape, in particular the vibration member (30a).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a through hole of a rectangular shape is penetrated therein.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 and the vibrating member 30a, respectively.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material (not shown) is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sitioning member 50, the rear surface of the positioning member 50 as shown in Figure 5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the vibrating member 30a contacts the vibrating member 30a and hardens the adhesive material, respectively, and the vibrating member 30a is fixed to the housing 20. Here,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adop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double-sided tape, and this adhesive material is already well know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is disposed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30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erefore,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are blocked by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the vibration member 30a and the partition wall 24, respectively. Of course, the first rear space 22 and the second rear space 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hole 322 of the vibration member 30a.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flexible diaphragm (diaphragm) in order to improv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member (30a). Here, the diaphragm may be made of Hanji or soft plastic or a thin rubber material.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전자장치(100a)에 있어서, 스피커(10)에서 저주파수 음이 출력되면, 각 진동부재(30)도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피커(1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다만, 진동부재(30a)의 가장자리가 모두 위치고정부재(50)에 의해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위치 고정되므로, 진동부재(30a)의 중앙 부분이 가장 큰 진폭으로 진동하고 진동부재(30a)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위치고정부재(50)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진폭이 줄어들게 된다.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low-frequency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10, each vibrating member 30 also vibrat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10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Done. However, since both edges of the vibrating member 30a are position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 by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the central portion of the vibrating member 30a vibrates with the largest amplitude and the vibrating member 30a. Amplitude is reduc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fixing member 50.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재(30a)의 공진 주파수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진동부재의 재료나 두께,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의 크기 및 다이어프램의 강 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댐핑(damping)을 함께 고려하여 공진시의 피크 및 이에 따른 음향 방사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In particular, in setting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vibrating member 30a in this embodiment,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vibrating member, the size of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the rigidity of the diaphragm, and the like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amping (damping) together, the peak during resonance and the resulting acoustic radi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자장치가 한 쌍의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휴대용 전자장치가 하나의 스피커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격벽이 생략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speakers, bu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ly one speaker. In this case, the partition wall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스피커 20...하우징10 ... speaker 20 ... housing

21...노출공 22...제1배후공간21 ... Exposure 22 ... First Space

23...제2배후공간 24...격벽23 ... 2nd rear space 24 ... bulkhead

30,30a...진동부재 31...고정부30,30a ... Vibration member 31 ... Fixed

32...진동부 40...커버32 Vibration part 40 Cover

41,322...구멍 50...위치고정부재41,322 hole 50 position fixing member

100...휴대용 전자장치 321...홈부100 ... Portable Electronics 321 ... Home

Claims (10)

음(音)을 출력하거나 음 및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outputs sound or outputs sound and video together, 스피커;speaker;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의 후방에 배후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A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is installed and a rear space is formed behind the speaker; And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후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저주파수 음이 증폭되도록 상기 저주파수 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And at least a part of the vibration member installed in the rear space and vibrating by the low frequency sound to amplify the low frequency sound generated by the speak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The vibration member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part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fixed part is disposed in the rear space and vibrat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제 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진동부재의 진동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The vibrating portion of the vibrating member is made of a plate shape, 상기 진동부에는 상기 진동부의 표면에 대해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며, The vibrat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vibrating portion, 상기 홈부의 중심축은 상기 스피커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And a center axis of the groove part is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speaker approach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진동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The vibration member is made of a plate shape, 상기 진동부재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위치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며,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housing so that the vibration member is fixed in position.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스피커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And the vibration member vibrat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made of a plate shape, 상기 위치고정부재 중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접착물질이 도포되며,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a surface of the position fix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vibrating member and the housing so as to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ibrating member and the housing.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막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formed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는 한 쌍 구비되며, The speaker is provided with a pair, 상기 배후공간은 상기 스피커 각각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The rear space includes a first rear space and a second rear space respectively disposed behind each of the speakers.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을 격리하기 위한 격벽이 배치되며, Between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partition wall is arranged to isolate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격벽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각각 진동하는 한 쌍의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The vibration member may include a fixing part fixed to the partition wall; And a pair of vibration part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s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respectively and vibrating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by.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을 격리하기 위한 격벽이 배치되며, Between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partition wall is arranged to isolate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제1배후공간 및 제2배후공간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쌍 구비되며,The vibration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to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first rear space and the second rear space, 상기 각 진동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Each vibration member is made of a plate shape, 상기 각 진동부재가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각 진동부재 및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위치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며,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coupled to each of the vibration members and the housing so that the vibration members are fixed in position. 상기 각 진동부재는 상기 스피커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And each vibrating member vibrat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peaker.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The position fixing member is made of a plate shape, 상기 각 위치고정부재 중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표면에는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착되도록 접착물질이 도포되며,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surfaces of the respective position fixing members that contact the inner surfaces of the vibrating member and the housing so as to adhere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vibrating member and the housing. 상기 각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진동부재 및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막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And each position fixing member is formed to block a gap between the vibration me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진동부재에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And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e the vibrating member.
KR1020090029451A 2009-04-06 2009-04-06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KR101094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51A KR101094867B1 (en) 2009-04-06 2009-04-06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51A KR101094867B1 (en) 2009-04-06 2009-04-06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072A true KR20100111072A (en) 2010-10-14
KR101094867B1 KR101094867B1 (en) 2011-12-15

Family

ID=4313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451A KR101094867B1 (en) 2009-04-06 2009-04-06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8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483A (en) 2019-01-09 2020-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panel 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1540A (en) 2006-11-24 2008-06-05 Yamaha Corp Speaker system
JP2008131541A (en) 2006-11-24 2008-06-05 Yamaha Corp Speaker system
JP2008205895A (en) * 2007-02-21 2008-09-04 Yamaha Corp Speak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867B1 (en)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66036B (en) Audio apparatus
EP2991376B1 (en) Acoustic reproduction apparatus and sound-collecting acoustic reproduction apparatus
US8929578B2 (en) Loudspeaker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CN110603816B (en) Speaker unit having electromagnetic speaker and micro speaker
KR101176827B1 (en) Audio apparatus
CN108551639B (en)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US11166100B2 (en) Bass optimization for audio systems and devices
WO2006062120A1 (en) Microphone device
EP1401237A3 (en) Asymmetrical loudspeaker enclosures with enhanced low frequency response
CN112437379B (en) In-ear earphone
EP1955573A1 (en) Speakerbox
JP5588752B2 (en) Transparent acoustic wall
KR20170142571A (en) nonflammables speaker of piezoelectricity type
KR101094867B1 (en) Portable electrical device having speaker
KR20140136184A (en) Micro speaker
EP3788795B1 (en) An electroacoustic earcup for open-back headphones
CN101483796B (en) Head phone
US20100232629A1 (en) Sound vibrator having tuning fork
KR20160095601A (en) PZT ceramic speaker
US10129638B2 (en) Microphone for a hearing aid
EP3494709B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KR101413965B1 (en) System speaker
KR20150085673A (en) The sound type case for cellular phone in which the speaker
CN113923288B (en) Electronic equipment
US20210037310A1 (en) Microphone units with multiple open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