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72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729A
KR20100110729A KR1020100025928A KR20100025928A KR20100110729A KR 20100110729 A KR20100110729 A KR 20100110729A KR 1020100025928 A KR1020100025928 A KR 1020100025928A KR 20100025928 A KR20100025928 A KR 20100025928A KR 20100110729 A KR20100110729 A KR 2010011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frame
frame structure
downlin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885B1 (ko
Inventor
임동국
문성호
조한규
권영현
곽진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52,550 priority Critical patent/US8509124B2/en
Priority to CN2010101594418A priority patent/CN101882954B/zh
Publication of KR2010011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단말은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충돌 및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신호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6m 시스템은 H-FDD(Half- Frequency Division Duplex) 단말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및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IEEE 802.16m 시스템은 하향링크(하향링크: DownLink) 및 상향링크(상향링크: UpLink)에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을 이용한다. 이러한 OFDMA 파라미터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이하에서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도 1은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20ms 수퍼프레임은 4개의 같은 크기의 5ms 무선 프레임으로 나누어지며, 수퍼프레임은 수퍼프레임 헤더(SFH: superframe header)로 시작된다. 5MHz, 10MHz 및 20MHz 중 어느 하나의 채널 대역폭을 가지고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한 OFDMA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경우, 각 5ms의 무선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제 1 타입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고,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본 프레임 구조는 H-FDD 단말 동작을 포함하여 FDD 방식 및 TDD 방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DD 시스템에서 각 무선 프레임에서의 전환점(switching points) 수는 2개이다. 전환점(switching points)은 하향링크로부터 상향링크로 또는 상향링크로부터 하향링크로의 방향성의 변화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H-FDD 단말은 FDD 시스템에서 포함될 수 있고, H-FDD 단말의 관점에서의 프레임 구조는 TDD 프레임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은 2개의 개별 주파수 대역에서 일어난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간의 전송 간격(transmission gaps)(또한 그 반대)은 전송 및 수신 회로를 전환하도록 요구된다.
도 2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비율이 5:3인 TDD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OFDMA 심볼 주기가(symbol duration) 102.857μs 이고 유효 심볼 길이(Tu)의 1/8에 해당하는 길이를 CP(Cyclic Prefix) 길이로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0.617ms 및 0.514ms이다. 마지막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SF4는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다.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 및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은 각각 105.714μs 및 60μs 이다. 다른 뉴머러로지(numerology)에서는 프레임 별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수는 다를 수 있다.
도 3은 FDD 방식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FDD 방식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동일한 RF 반송파로 동작하는 반-듀플렉스(half-duplex) 및 전체-듀플렉스(full-duplex) 단말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FDD 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은 H-FDD 또는 FDD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야 한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모두의 전송을 위해 모든 서브프레임이 이용 가능하다.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은 주파수 영역에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수퍼프레임은 4개의 프레임으로 나누어지고, 하나의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 4는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TDD 및 F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5MHz, 10MHz, 20MHz의 채널 대역폭에 대하여,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IEEE 802.16m 시스템의 프레임은 FDD 방식에서 5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3개의 제 2 서브프레임을 가지며, TDD 방식에서 6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2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가진다.
OFDMA 심볼 주기(symbol duration)가 97.143μs 이고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Cyclic Prefix) 길이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각각 0.583ms 및 0.680ms이다. TTG 및 RTG는 각각 82.853μs 및 60μs이다. 다른 뉴머러로지(numerology)에서는 프레임 별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 내의 심볼의 수가 다를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5MHz, 10MHz, 20MHz의 채널대역폭에 대하여 CP 길이가 1/8 Tb인 경우와 1/16 Tb인 경우에 대한 OFDMA 파라미터들과 프레임 구조만을 정의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CP 길이가 1/4 Tb에 대한 프레임 구조는 제안된 바가 없다.
또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의 경우 기존의 1/8 Tb 또는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간의 전환점(switching points)에서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상호 공존이 가능한 새로운 프레임 구조에 대하여 제안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로 이루어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7개의 OFDMA 심볼로 이루어진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이다.
상기 소정의 프레임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TTD 프레임 내 각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타입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TDD 프레임은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하향링크 구간에 후속하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는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며,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TD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2:5, 3:4, 4:3, 5:2 및 6:1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FDD 프레임은 6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1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프레임 내 각 서브프레임 중에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위치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FDD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는 유휴 시간(idle time)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프레임의 CP 길이는 유효 심볼 길이의 1/4 일 수 있고,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는 5MHz, 10MHz 및 20MHz 중 어느 하나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또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프레임 구조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로 이루어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5개의 OFDMA 심볼로 이루어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 및 상기 TD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는 FD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CP 길이를 가지는 TDD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TD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IEEE 802.16m 시스템에서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비율이 5:3인 TDD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FDD 방식에서의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유효 심볼 길이(Tu)의 1/16에 해당하는 CP 길이를 갖는 TDD 및 F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CP(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심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5MHz, 10MHz 또는 20 MHz 대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11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공존할 수 있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라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 내지 도 17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공존할 수 있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라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26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 개시되는 기술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기술은 하향링크(Downlink) 또는 상향링크(Uplink)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Base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B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AMS 또는 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등의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반송파 변조방식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기본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FDM 시스템에서 고속 전송률(high-rate)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을 낮은 전송률(slow-rate)을 갖는 많은 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나누는데, 이는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다수의 반송파 각각을 부반송파(subcarrier)라 한다. OFDM 시스템에서 다수의 반송파 간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은 상호 중첩되어도 수신단에서의 검출이 가능하다. 고속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 스트림은 직/병렬 변환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를 통해 다수의 낮은 전송률의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로 변환되고, 병렬로 변환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에 각각의 부반송파가 곱해진 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합해져서 수신단으로 전송될 수 있다.
직/병렬 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병렬 데이터 스트림은, 역 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에 의하여 다수의 부반송파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IDFT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낮은 전송률을 갖는 부반송파의 심볼 주기(symbol duration)가 증가하게 되므로 다중경로 지연확산에 의해 발생하는 시간상에서의 상대적인 신호 분산(dispersion)이 감소한다.
이러한 OFDM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서, 심볼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줄이기 위하여 심볼 사이에 채널의 지연 확산보다 긴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할 수 있다. 즉, 각 심볼이 다중경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연속된 심볼 사이에 채널의 최대 지연확산(Delay Spread)보다 긴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한다. 이때, 부반송파 간의 직교성(Orthogonality)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유효 심볼 구간의 마지막 구간(즉, 보호구간)의 신호를 복사하여 심볼의 앞 부분에 삽입한다. 이를 순환 전치부(CP: cyclic prefix, 이하 CP라고 칭한다)라 부른다.
도 5는 CP(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심볼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심볼 주기(Ts)는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유효 심볼 구간(Tb)과 보호구간(Tg)의 합이 된다. 수신단에서는 보호구간을 제거한 후 유효 심볼 구간 동안의 데이터를 취하여 복조를 수행하게 된다. 송신단 및 수신단은 순환전치 부호를 사용하여 서로 동기화를 이룰 수 있으며, 데이터 심볼간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심볼은 OFDMA 심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5MHz, 10MHz, 20 MHz의 채널 대역폭에서 유효 심볼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CP 길이(이하에서는 1/4 Tb의 CP 길이라고 칭할 수 있다)를 가지는 802.16m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TDD 프레임 및 FDD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동일한 5MHz, 10MHz, 20MHz의 채널 대역폭에 대하여 1/8 Tb의 CP 길이 또는 1/16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TDD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TDD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DD 프레임 구조와 많은 공통성을 지니는 FDD 프레임 구조도 함께 설명할 것이다.
IEEE 802.16m 시스템에는 4가지 형태의 서브프레임이 존재한다. 제 1 타입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이고,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제 4 타입 서브프레임은 9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서브프레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제 4 타입 서브프레임은 8.75MHz 채널 대역폭에서의 프레임 구조에서 이용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5MHz, 10MHz 또는 20 MHz 대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의 경우 사용 가능한 OFDMA 심볼의 수는 43개이다. 따라서 5MHz, 10MHz 또는 20 MHz 대역에서의 기본 프레임 구조에 대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심볼의 수에 따라 정의된 각 서브프레임 타입을 이용하여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도 6은 5MHz, 10MHz, 20 MHz 채널 대역폭에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을 가지고 있으며 43개의 심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43개의 심볼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3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TDD 프레임에서는 TTG/RTG의 유휴(idle) 구간으로 하나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42개의 심볼은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6개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TTG 및 RTG용 유휴 구간으로 사용한 한 심볼까지 고려하면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의 수는 3개가 되므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서브프레임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즉, TDD 프레임의 경우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6개의 심볼을 할당할 수 있는데, 여기서 TTG 및 RTG 구간을 위하여 하나의 심볼을 할당함으로써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별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기존의 다른 CP 길이(예를 들어, 1/8 Tb의 CP 길이 또는 1/16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다른 CP 길이에 대해서 설계하였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프로토콜이나 서브프레임 단위의 제어 정보를 동일한 형태로 가져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하나씩 존재하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 안에서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과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나의 프레임에서 TDD 방식을 위해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는 (2:6), (3:5), (4:4), (5:3), (6:2), (7:1)이 있다. 이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2:6), (3:5), (4:4), (5:3), (6:2), (7:1)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각각 (11:31), (16:26), (21:21), (26:16), (31:11), (36:6)이다. 여기서 수퍼프레임 헤더(SFH: superframe header)가 6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되므로 하향링크 첫 번째 서브프레임은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6가지의 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의 경우에, 하향링크/상향링크 간의 전환점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프레임 구조를 설계하기 위하여 하향링크에는 5×k+1개(여기서 k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OFDMA 심볼을, 상향링크에는 5×j+1개(여기서 j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OFDMA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와 공존할 수 있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라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각각 (3:5), (4:4), (5:3), (6:2), (7:1)일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3:5), (4:4), (5:3), (6:2), (7:1)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각각 (16:26), (21:21), (26:16), (31:11), (36:6)이다. 여기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하는 구간에 위치한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유휴 구간을 포함하여 6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에 필요한 지연을 만들기 위해서 하나의 심볼을 유휴 구간으로 남겨놓기 때문에 5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TDD 프레임에서는 TTG/RTG의 유휴(idle) 구간으로 하나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각각의 비율 모두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각각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위치시키면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하는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 에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을 할당함으로써 기존의 1/8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상호 공존할 수 있다.
도 12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6에서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위치시킨 것과 달리, 도 12에서는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쪽으로 옮겨 놓은 구조, 즉 하향링크에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영역 안에서의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때 특히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 영역 안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정의된 수퍼프레임 헤더(SFH)를 이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의 첫 번째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2:6) 인 경우,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하는 점에서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지만, 나머지 (3:5), (4:4), (5:3), (6:2) 및 (7:1) 경우에 대해서는 상기 전환점에서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2에서, 하향링크에 위치하는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영역 안에서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첫 번째 서브프레임 및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영역에는 5×k+2개(여기서 K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OFDMA 심볼을, 상향링크 영역에는 5×j개(여기서 j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OFDMA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TDD 프레임에서는 TTG/RTG의 유휴(idle) 구간으로 하나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3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에 존재하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각각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에서 각 영역이 시작되는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의 서브프레임은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상향링크 영역의 시작점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7:1), (6:2), (5:3), (4:4), (3:5), (2:6)일 때 이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할당된 총 심볼 수의 비율은 각각 (36:6), (31:11) (26:16), (21:21), (16:26), (11:31)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다른 CP 길이를 갖는 프레임 구조와 공존 가능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를 각각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및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따라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이러한 TDD 프레임 구조는 도 13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와 같이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하는 구간을 위하여 하향링크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5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영역에 할당되는 심볼의 수는 6+5×k(여기서 k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할당된 제 3 타입 서브프레임 개수를 의미한다)이며, 상향링크 영역에 할당되는 심볼의 수는 6+5×n(여기서 n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중 할당된 제 3 타입 서브프레임 개수를 의미한다)이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와 같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이 각각 (3:5), (4:4), (5:3), (6:2), (7:1)일 수 있다.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는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되는 구간에 위치한 마지막 서브프레임은 유휴 구간을 포함하여 6 개의 심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에 필요한 지연(delay)을 만들기 위해서 한 심볼을 유휴 구간으로 남겨놓기 때문에 5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TDD 프레임에서는 TTG/RTG의 유휴(idle) 구간으로 하나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이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비율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각각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위치시키면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구간에서의 간섭 야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는 기존의 1/8 Tb의 CP 길이, 1/16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와 각각 상호 공존할 수 있다.
도 18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FDD 프레임에는 43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FDD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FDD 프레임 구조에서 2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FDD 프레임 구조의 경우에는 TDD 프레임 구조와는 달리 TTG/RTG로 사용되는 구간이 없으므로 TDD 프레임 구조 보다 추가적으로 한 심볼을 더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한 심볼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도 18에서 첫 번째 경우로서(FDD case 1), 하나의 심볼을 프레임 내에 제 3 타입 서브프레임 들 중에 추가하여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심볼이 추가되는 서브프레임은 H-FDD 프레임 구조 및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경우를 고려할 때, 발생되는 유휴구간 심볼이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하기 쉬우므로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 추가적으로 한 심볼을 더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에 불과하며, FDD 프레임 구조에서 한 심볼을 추가하여 형성된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두 번째 경우로서(FDD case 2), 하나의 심볼을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한 서브프레임에 독립적으로 추가하여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프레임의 앞쪽 심볼에는 주로 심볼 단위 제어 정보(예를 들어 프리앰블, 프레임 제어 헤더(FCH: Frame Control Header)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므로, 이러한 정보를 위해서 추가된 심볼을 사용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세 번째 경우로서(FDD case 3), H-FDD나 프레임 내의 미드앰블(mid-amble)을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추가적인 한 심볼을 세 번째 서브프레임 뒤에 배치할 수 있다. 세 번째,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 뒤에 추가적인 한 심볼의 배치하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고, 추가적인 한 심볼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네 번째 경우로서(FDD case 4), 한 심볼을 프레임의 맨 끝에 할당하여 사용하여, 기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변환하지 않고 사운딩(sounding)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9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에 해당한다. FDD 프레임에는 43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도 12에 도시된 8개의 서브프레임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구조를 이용하여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 비율에 따른 FDD 프레임 구조로 도시되었다.
FDD 프레임 구조는 2개 또는 3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경우(FDD case 1)과 같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도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며 나머지 두 개의 제 1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프레임 내에서 제한 없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에 해당한다. FDD 프레임에는 43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도 18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와 같은 방법으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프레임 내에 위치시킨 FDD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었다. 첫 번째 경우로서(FDD case 1),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네 번째 서브프레임,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두 번째 내지 네 번째 경우(FDD case 2 내지 4),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첫 번째 서브프레임,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프레임 내의 임의의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기존에 정의된 6 심볼로 이루어진 수퍼프레임 헤더를 이용하기 위하여 하나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지금까지, 5MHz, 10MHz 또는 20MHz에 정의되어 있는 기본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면서 기존에 정의된 1/8 Tb의 CP 길이 또는 1/16 Tb의 CP 프레임과 하향링크/상향링크 변환구간에서의 간섭을 없애는 5/10/20MHz 에서의 1/4 Tb의 CP 길이를 가지는 TD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는 FDD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에 정의된 다른 CP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호 공존 가능하다.
도 21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8개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두 번째 경우로서, 43개의 OFDMA 심볼을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및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TDD 프레임에서 TTG/RTG 구간을 위하여 한 심볼을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 42개의 심볼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TTG/RTG의 유휴구간으로 한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은 5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2개의 심볼이 남게 된다. 이렇게 남은 2개의 심볼을 임의의 하나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에 추가하여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과 1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앞에서 전송되는 심볼 단위 제어 정보(예를 들어, 프리앰블, FCH)등을 고려하여 프레임 내 형성된 하나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프레임 구조에서 사용 가능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2:6), (3:5), (4:4), (5:3), (6:2), (7:1)과 같이 6가지 경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에 대해서 할당되는 OFDMA 심볼의 수는 5×k+2개(여기서 k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상향링크에 대해서 할당되는 OFDMA 심볼은 5×j개(여기서 j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의 전환점에서는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1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에 따른 T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여기서 나타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TDD 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하향링크 영역 안에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또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의 전환 지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내에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도 22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21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이때, FDD 프레임에는 43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FDD 프레임 구조는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FDD 프레임 구조의 경우 TDD 프레임 구조와는 달리 TTG/RTG 구간이 없으므로 추가적으로 한 심볼을 더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한 심볼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경우로서(FDD case1), 하나의 심볼을 프레임 내에서 5개의 심볼로 구성된 제 3 타입 서브프레임 들 중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추가함으로써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심볼이 추가되는 서브프레임이나 혹은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H-FDD 프레임 구조 및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는 경우를 고려할 때 발생되는 유휴 심볼이 프레임의 중간에 위치하기 쉬우므로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에 불과하며, FDD 프레임 구조에서 한 심볼을 추가하여 형성된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FDD 프레임 구조에서 한 심볼을 추가하여 형성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과 할당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프레임 내의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두 번째 경우로서(FDD case 2), 하나의 심볼을 프레임의 맨 앞에 위치한 서브프레임에 독립적으로 추가하여 프레임의 앞쪽에 위치시키는 경우이다. 프레임의 앞쪽 심볼은 주로 심볼 단위 제어 정보(예를 들어 프리앰블, FCH)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므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추가된 심볼을 사용하고, 제 2 타입 서브프레임 이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세 번째 경우로서(FDD case 3), H-FDD나 프레임 내의 미드앰블을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추가적인 한 심볼을 세 번째 서브프레임, 네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 뒤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하나의 예시이며 추가적인 한 심볼의 위치에 제한을 두지는 않기 때문에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네 번째 경우로서(FDD case 4), 기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변환하지 않고, 한 심볼은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배치하여 사운딩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에서는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이 프레임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 예일 뿐, 프레임 내에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임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23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1/4 Tb의 CP길이를 가지는 TTD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예로서,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이 (2:5), (3:4), (4:3), (5:2), (6:1)에 대한 프레임 구조가 각각 도시되었다. 여기서 TTG는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위치할 수 있고, RTG는 상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위치할 수 있다. TTG/RTG의 유휴구간으로 한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RTG용 한 심볼을 제외하면 사용 가능한 심볼의 수는 42개이다. 따라서 7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6개의 OFDMA 심볼을 가지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만을 이용하여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의 한 가지 타입만으로 프레임을 구성하여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구조를 계승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에 할당하는 심볼의 수는 6×k개(여기서 k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 상향링크에 할당되는 심볼의 수는 6×j개(여기서 j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4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23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이때, FDD 프레임에는 43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7개의 서브프레임을 가지는 FDD 프레임 구조는 TDD 프레임 구조와는 달리 TTG/RTG 지연을 위해 사용되었던 하나의 심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4에는 추가로 사용 가능한 하나의 심볼이 FDD 프레임 구조에서 위치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 위치에 대해 각각 도시하였다. 추가적 한 심볼은 첫 번째 서브프레임, 세 번째 서브프레임, 네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일곱 번째 서브프레임 뒤에 위치할 수 있다. FDD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는 유휴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4에는 7개의 서브프레임을 갖는 FDD 프레임 구조가 도시되었고, 이때 프레임 내의 임의의 한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에 한 심볼을 추가하여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즉, 하나의 추가 심볼을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 세 번째 서브프레임, 네 번째 서브프레임 또는 마지막 서브프레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FDD 프레임 내에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TDD 프레임 내 각 서브프레임 중에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위치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한 추가 심볼에 대한 위치는 일 예 일뿐 심볼의 위치에 대한 제한이 있지는 않다.
도 25는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7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제 2 타입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TDD 프레임 구조에서 사용 가능한 심볼의 수가 42개이기 때문에 심볼을 7개씩 묶어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형성할 경우 하나의 프레임은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을 단일 타입의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2:4), (3:3), (4:2) 또는 (5:1)일 수 있다. TTG/RTG의 유휴구간으로 한 심볼을 할당할 수 있다.
도 26은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FDD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도 26에 도시된 FDD 프레임 구조는 도 25에 도시된 TDD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이때, FDD 프레임에는 43개의 심볼이 할당될 수 있다.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FDD 프레임 구조에서는 TDD 프레임 구조에서 TTG/RTG로 사용된 한 심볼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4의 경우와 달리 한 심볼을 임의의 기존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에 추가하여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8개의 OFDMA 심볼로 구성된 추가적인 타입의 서브프레임이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는 기존에 정의된 서브프레임 타입의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한 심볼을 독립적(혹은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한 심볼이 독립적으로 추가될 때 추가 심볼은 상기 FDD 프레임 구조에서 설명한 각 경우와 같이 프레임 내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 놓여 심볼 단위 제어 정보(예를 들어 프리앰블, FCH)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추가로 배치되어 사운딩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H-FDD 및 프레임 내의 미드앰블을 고려하여 프레임의 중간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세 번째 서브프레임과 네 번째 서브프레임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시한 심볼의 위치는 일 예일 뿐, 프레임 내에서 한 심볼이 배치되는 위치는 제한이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1/4 Tb의 CP 길이를 갖는 TDD 프레임 구조 및 TDD 프레임 구조와 공통성을 가지는 FDD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CP(Cyclic prefix)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7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로 이루어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7개의 OFDMA 심볼로 이루어진 제 2 타입의 서브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레임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TD 프레임 내 각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타입 서브프레임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TDD 프레임은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하향링크 구간에 후속하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는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며,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TTD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2:5, 3:4, 4:3, 5:2 및 6:1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전송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은 6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1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신호 전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프레임 내 각 서브프레임 중에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위치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에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 내에서의 제 2 타입 서브프레임은 네 번째 서브프레임에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는 유휴 시간(idle time)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프레임의 CP 길이는 유효 심볼 길이의 1/4인, 신호 전송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는 5MHz, 10MHz 및 20MHz 중 어느 하나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신호 전송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CP(Cyclic prefix)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 프레임 구조에서 하나의 프레임은 8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서브프레임은 6개의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로 이루어진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또는 5개의 OFDMA 심볼로 이루어진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레임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프레임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TTD 프레임 내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TTD 프레임의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에는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TDD 프레임은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하향링크 구간에 후속하는 상향링크 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향링크 구간 및 상기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는 전송전이간격(TTG: Transmit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며, 상기 상향링크 구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 수신전이간격(RTG: Receive Transition Gaps)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개수의 비율은 3:5, 4:4, 5:3, 6:2 및 7:1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전송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은 3개의 제 1 타입 서브프레임 및 5개의 제 3 타입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신호 전송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 내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TDD 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위치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상기 FDD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서브프레임은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TDD 프레임 내 하향링크 마지막 서브프레임이 위치한 순서와 동일한 순서로 상기 FDD 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제 1 타입 서브프레임은 다섯 번째 서브프레임인, 신호 전송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FDD 프레임 내 마지막 서브프레임 뒤에는 유휴 시간(idle time)이 위치하는, 신호 전송 방법.
  2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프레임의 CP 길이는 유효 심볼 길이의 1/4인, 신호 전송 방법.
  2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프레임 구조는 5MHz, 10MHz 및 20MHz 중 어느 하나의 채널 대역폭을 갖는, 신호 전송 방법.
KR1020100025928A 2009-04-03 2010-03-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KR101635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52,550 US8509124B2 (en) 2009-04-03 2010-04-01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0101594418A CN101882954B (zh) 2009-04-03 2010-04-06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信号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25209P 2009-04-03 2009-04-03
US61/166,252 2009-04-03
US21804409P 2009-06-17 2009-06-17
US61/218,044 2009-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729A true KR20100110729A (ko) 2010-10-13
KR101635885B1 KR101635885B1 (ko) 2016-07-04

Family

ID=4313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928A KR101635885B1 (ko) 2009-04-03 2010-03-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885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and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802.16m-09/0010r1a, 2009.03.31, 인터넷<URL: http://ieee802.org/16/tgm/docs/80216m-09_0010r1a.zip> *
Nokia, "IEEE 802.16m System Description Document [Draft]", IEEE 802.16m-08/003r7, 2009.02.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885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정의 cp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US11647487B2 (en) Method of resolving overlaps in data transmission and user equipment therefor
US8369301B2 (en) OFDM/OFDMA frame structure for communication systems
US8059676B2 (en)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frame
KR101440625B1 (ko) Fdd 프레임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US86302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65907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by multiplexing subframes having different CP length
US8509124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00952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32205B2 (en) Frame transmiss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712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signals using frame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14830B2 (en)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51642B2 (ja) フレームを用いた通信方法
KR1015376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KR101792505B1 (ko) 복수의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16358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KR1014560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KR20110015775A (ko)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61289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