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495A -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 Google Patents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495A
KR20100110495A KR1020090028853A KR20090028853A KR20100110495A KR 20100110495 A KR20100110495 A KR 20100110495A KR 1020090028853 A KR1020090028853 A KR 1020090028853A KR 20090028853 A KR20090028853 A KR 20090028853A KR 20100110495 A KR20100110495 A KR 20100110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rganic
substituted
layer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218B1 (ko
Inventor
김동하
김원삼
최대혁
박정환
홍철광
Original Assignee
덕산하이메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하이메탈(주) filed Critical 덕산하이메탈(주)
Priority to KR102009002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21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71/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s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87/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44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two nitrogen atoms as hetero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을 제공한다.
유기전기소자, 퀴녹살린

Description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Quinoxaline DERIVATIVES AND ORGANIC ELECTRORIC ELEMENT USING THE SAME, TERMINAL THEREROF}
본 발명은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현상이란 유기 물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 발광 현상을 이용하는 유기전기소자는 통상 양극과 음극 및 이 사이에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유기물층은 유기전기소자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기 다른 물질로 구성된 다층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으며, 예컨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전기소자에서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기능에 따라, 발광 재료와 전하 수송 재료, 예컨대 정공주입 재료, 정공수송 재료, 전자수송 재료, 전자주입 재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재료는 분자량에 따라 고분자형과 저분자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발광 메커니즘에 따라 전자의 일중항 여기상태로부터 유래되는 형광 재료와 전자의 삼중항 여기상태로부터 유래되는 인광 재료로 분 류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재료는 발광색에 따라 청색, 녹색, 적색 발광 재료와 보다 나은 천연색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란색 및 주황색 발광 재료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발광 재료로서 하나의 물질만 사용하는 경우 분자간 상호 작용에 의하여 최대 발광 파장이 장파장으로 이동하고 색순도가 떨어지거나 발광 감쇄 효과로 소자의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색순도의 증가와 에너지 전이를 통한 발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광 재료로서 호스트/도판트 계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원리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호스트 보다 에너지 대역 간극이 작은 도판트를 발광층에 소량 혼합하면, 발광층에서 발생한 엑시톤이 도판트로 수송되어 효율이 높은 빛을 내는 것이다. 이 때 호스트의 파장이 도판트의 파장대로 이동하므로, 이용하는 도판트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파장의 빛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유기전기소자가 갖는 우수한 특징들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자내 유기물층을 이루는 물질, 예컨대 정공주입 물질, 정공수송 물질, 발광 물질, 전자수송 물질, 전자주입 물질 등이 안정하고 효율적인 재료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나, 아직까지 안정하고 효율적인 유기전기소자용 유기물층 재료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구조를 갖는 퀴녹살린린 유도체를 밝혀내었으며, 또한 이 화합물을 유기전기소자에 적용시 소자의 발광효율, 안정성 및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신규한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아래 화학식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1
본 발명은 오원자 헤테로 고리가 축합된 퀴녹살린 유도체를 가진 화합물로서 유기 전자 소자에서 정공 주입, 정공수송, 전자 주입, 전자 수송 및 발광 물질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단독으로 발광물질 및 호스트/도판트에서 호스트 또는 도판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의 효율 상승, 구동전압 하강, 수명 상승 및 안정성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원자 헤테로 고리가 축합된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와 이 유기 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기전기소자 및 단말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유기전기소자 및 단말에 적용시 소자의 구동전압을 낮추고, 광 효율 및 수명,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2
위 화학식 1에 있어서,
(1) X1~X4는 각각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CH나 N 이며, X1~X4에서 X가 N일 경우, 각각 독립적으로 1개에서 4개까지 N원자가 올 수 있다. X가 CH일 경우 R7-R10은 각각 치환기가 올 수 있으며, (2) R1~R10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 ~ C20의 알킬기, C1 ~ C20의 알콕시기, C1 ~ C20의 알킬아민기, C1~ C20의 알킬 티오펜기, C6 ~ C20의 아릴 티오펜기, C2 ~ C20의 알케닐기, C2 ~ C20의 알키닐기, C3 ~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기, 중수소로 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 C8 ~ C20의 아릴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란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게르마늄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 C20의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 할로겐, CN, NO2, C1 ~ C20의 알킬기, C1 ~ C20의 알콕시기, C1 ~C20의 알킬아민기, C1 ~ C20의 알킬티오기, C2 ~ C20의 알케닐기, C2 ~C20의 알키닐기, C3 ~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기, 중수소로 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란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게르마늄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 C20의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C20의 헤테로고리기; 또는 C6 ~ C20의 방향족 고리와 C4 ~ C20의 지방족 고리의 축합 고리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및 비환된 헤테로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기이되, 단 X1~X4가 CH일 경우 반드시 Y1과 Y2는 탄소 이외의 원자여야 한다. (3)Y1~Y2는 CH또는 N원소이며, Y1과 Y2는 서로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으며, Y1과 Y2가 CH일 경우 각각의 R1~R6은 이웃끼리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아래 화학식 2 내지 4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아래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 내지 R10은 화학식 1에서 정의한 R1 내지 R10과 동일할 수 있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3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4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5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 내지 R10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6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7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8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09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0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1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2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3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4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5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위 화학식으로 되는 무리로부터 선택 되어지는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에 있어서, 각각의 복소환중의 원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6~60의 아릴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60의 헤테로 아릴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20의 알콕시기로 되는 결합기가 결합하고 있어도 좋고 그 결합기가 많은 경우는 서로 동일하고 달라도 좋다. 상기 화학식으로부터 오원자 헤테로 고리가 축합된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를 기에 기재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로써, 화학식2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로써 아래 화학식 5의 화합물들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로써, 화학식 3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로써 아래 화학식 6의 화합물들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7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로써, 화학식 4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의 구체적 예로써 아래 화학식 7의 화합물들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8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들이 유기물층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유기전자소자들이 존재한다.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들이 사용될 수 있는 유기전자소자는 예를 들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OPC) 드럼, 유기트랜지스트(유기 TFT),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유기레이저(organic laser),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등 유기반도체 물질을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들이 적용될 수 있는 유기전기소자 중 일예로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에 대하여 아래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유기전기소자에 위에서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이들 전극 사이에 배치된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 중 1층 이상이 상기 화학식 1 내지 7의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 중 1층 이상을 상기 화학식 1 내지 7의 화합물들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제조 방법 및 재료를 이용하여 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조는 도 1 내지 5에 예시되어 있으나, 이들 구조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때, 도면번호 101은 기판, 102는 양극, 103는 정 공주입층, 104는 정공전달층, 105는 발광층, 106은 전자주입층, 107은 음극을 나타낸다.
이때,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는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는 아래에서 설명한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 중 하나 이상을 대신하여 사용되거나 이들과 함께 층을 형성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유기물층 중 한층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두층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는 발광층에서 단독으로 발광물질 및 호스트/도판트에서 호스트 또는 도판트로 사용되거나, 기존의 물질들과 함께 해당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스퍼터링(sputtering)이나 전자빔 증발(e-beam evaporation)과 같은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금속 또는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시켜 양극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증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외에도, 기판 상에 음극 물질부터 유기물층, 양극 물질을 차례로 증착시켜 유기전기소자를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 등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 되지 않고 단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물층은 다양한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여 증착법이 아닌 솔벤트 프로세스(solvent process), 예컨대 스핀 코팅, 딥 코팅, 닥터 블레이딩,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 전사법 등의 방법에 의하여 더 적은 수의 층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위에서 설명한 비스벤조이미다졸 화합물을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에 의해 유기물층, 예를 들어 발광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기판은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지지체이며, 실리콘 웨이퍼, 석영 또는 유리판, 금속판,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 위에는 양극이 위치된다. 이러한 양극은 그 위에 위치되는 정공주입층으로 정공을 주입한다. 양극 물질로는 통상 유기물층으로 정공주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일함수가 큰 물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극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바나듐, 크롬, 구리, 아연, 금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아연산화물, 인듐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산화물(IZO)과 같은 금속 산화물; ZnO:Al 또는 SnO2:Sb와 같은 금속과 산화물의 조합; 폴리(3-메틸티오펜), 폴리[3,4-(에틸렌-1,2-디옥시)티오펜](PEDT), 폴리피롤 및 폴리아닐린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극 위에는 정공주입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정공주입층의 물질로 요구되는 조건은 양극으로부터의 정공주입 효율이 높으며, 주입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온화 포텐셜이 작고 가시광선에 대한 투명성이 높으며, 정공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해야 한다.
정공주입 물질로는 낮은 전압에서 양극으로부터 정공을 잘 주입받을 수 있는 물질로서, 정공주입 물질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가 양극 물질의 일함수와 주변 유기물층의 HOMO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공주입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는 금속 포피린(porphyrine), 올리고티오펜, 아릴아민 계열의 유기물, 헥사니트릴 헥사아자트리페닐렌, 퀴나크리돈(quinacridone) 계열의 유기물, 페릴렌(perylene) 계열의 유기물, 안트라퀴논 및 폴리아닐린과 폴리티오펜 계열의 전도성 고분자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공주입층 위에는 정공수송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정공수송층은 정공주입층으로부터 정공을 전달받아 그 위에 위치되는 유기발광층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며, 높은 정공 이동도와 정공에 대한 안정성 및 전자를 막아주는 역할를 한다. 이러한 일반적 요구 이외에 차체 표시용으로 응용할 경우 소자에 대한 내열성이 요구되며, 유리 전이 온도(Tg)가 70 ℃ 이상의 값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들로는 NPD(혹은 NPB라 함), 스피로-아릴아민계화합물, 페릴렌-아릴아민계화합물, 아자시클로헵타트리엔화합물, 비스(디페닐비닐페닐)안트라센, 실리콘게르마늄옥사이드화합물, 실리콘계아릴아민화합물 등이 있다.
정공수송층 위에는 유기발광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유기발광층는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각각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여 발광을 하는 층이며, 양자효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발광 물질로는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으로부터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물질 또는 화합물로는 녹색의 경우 Alq3가, 청색의 경우 Balq(8-hydroxyquinoline beryllium salt), DPVBi(4,4'-bis(2,2-diphenylethenyl)-1,1'-biphenyl) 계열, 스피로(Spiro) 물질, 스피로-DPVBi(Spiro-4,4'-bis(2,2-diphenylethenyl)-1,1'-biphenyl), LiPBO(2-(2-benzoxazoyl)-phenol lithium salt), 비스(디페닐비닐페닐비닐)벤젠, 알루미늄-퀴놀린 금속착체, 이미다졸, 티아졸 및 옥사졸의 금속착체 등이 있으며, 청색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페릴렌, 및 BczVBi(3,3'[(1,1'-biphenyl)-4,4'-diyldi-2,1-ethenediyl]bis(9-ethyl)-9H-carbazole; DSA(distrylamine)류)를 소량 도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색의 경우는 녹색 발광 물질에 DCJTB([2-(1,1-dimethylethyl)-6-[2-(2,3,6,7-tetrahydro-1,1,7,7-tetramethyl-1H,5H-benzo(ij)quinolizin-9-yl)ethenyl]-4H-pyran-4-ylidene]-propanedinitrile)와 같은 물질을 소량 도핑하여 사용한다. 잉크젯프린팅, 롤코팅, 스핀코팅 등의 공정을 사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할 경우에, 폴리페닐렌비닐렌(PPV) 계통의 고분자나 폴리 플로렌(poly fluorene) 등의 고분자를 유기발광층에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학식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한 퀴녹살린 유도체는 발광층에서 단독으로 발광물질 및 호스트/도판트에서 호스트 또는 도판트로 사용되거나, 기존의 물질들과 함께 해당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층 위에는 전자수송층이 위치된다. 이러한 전자수송층은 그 위에 위 치되는 음극으로부터 전자주입 효율이 높고 주입된 전자를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 친화력과 전자 이동속도가 크고 전자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전자수송 물질로는 구체적인 예로 8-히드록시퀴놀린의 Al 착물; Alq3를 포함한 착물; 유기 라디칼 화합물; 히드록시플라본-금속 착물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수송층 위에는 음극이 위치된다. 이러한 음극은 전자수송층에 전자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음극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양극에 사용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전자주입을 위해서는 일 함수가 낮은 금속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주석, 마그네슘, 인듐, 칼슘, 나트륨, 리튬, 알루미늄, 은 등의 적당한 금속, 또는 그들의 적절한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100 ㎛ 이하 두께의 리튬플루오라이드와 알루미늄, 산화리튬과 알루미늄, 스트론튬산화물과 알루미늄 등의 2 층 구조의 전극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전면 발광형, 후면 발광형 또는 양면 발광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유기전기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이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이 단말은 현재 또는 장래의 유무선 통신단말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휴대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PDA, 전자사전, PMP, 리모콘, 네 비게이션, 게임기, 각종 TV, 각종 컴퓨터 등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그러나, 이하의 제조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체 합성방법
Figure 112009020221314-PAT00019
제조예
이하, 화학식 5 내지 7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들에 대한 제조예 또는 합성예를 설명한다. 다만, 화학식 5 내지 7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들의 수가 많기 때문에 화학식 5 내지 7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들 중 하나 또는 둘씩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즉 당업자라면 아래에서 설명한 제조예들를 통해 예시하지 않은 본 발명에 속하는 퀴녹살린 유도체들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1 (화학식 2의 그룹에 속하는 화합물 A-2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0
의 제조)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1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2,11-dibromodiimidazo[1,2-a:2',1'-c]quinoxaline 3.66 g (10 mmol), pyridin-2-ylboronic acid 3.05 g (25 mmol), 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 (0) 0.01 g (1 mmol), NaOH 2.0 g (50 mmol)을 THF 200 ml, 물 100 ml를 넣고 가열 환류한다. 수득된 고체를 물 및 메탄 올로 세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로 분리하여 2,11-di(pyridin-2-yl)diimidazo[1,2-a:2',1'-c]quinoxaline을 수득하였다.
MS: m/z = 362.13 [M+]
제조예 2 (화학식 2의 그룹에 속하는 화합물 A-6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2
의 제조)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3
위 제조예 1에서 pyridine-2-ylboronic acid 대신에 6-(quinolin-3-yl)pyridin-2-ylboronic acid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화합물 A-6을 제조하였다.
MS: m/z = 617.98 [M+]
제조예 3 (화학식 3의 그룹에 속하는 화합물 B-6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4
의 제조)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5
위 제조예 1에서 2,11-dibromodiimidazo[1,2-a:2',1'-c]quinoxaline 대신에 3,10-dibromodiimidazo[1,2-a:2',1'-c]pyrido[2,3-e]pyrazin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화합물 B-6을 제조하였다.
MS: m/z = 620.63 [M+]
제조예 4 (화학식 4의 그룹에 속하는 화합물 C-6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6
의 제조)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7
위 제조예 1에서 2,11-dibromodiimidazo[1,2-a:2',1'-c]quinoxaline 대신에 6,11-dibromodiimidazo[3,2-e]dipyrrilo[1,2-a:2',1'-c]pyrazi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화합물 C-6을 제조하였다.
MS: m/z = 618.77 [M+]
비교실험예1
25 mm 길이 x 75 mm 너비 x 1.1 mm 두께의 ITO 투명전극을 가진 유기 기판을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서 5분간 초음파 세정을 처리한 후, UV 오존세정을 30분간 실시하였다. ETL측정시 이 전극에 2-TNATA (600Å) / NPB (300Å) / ADN (300Å ): BD025x (7 %) / 화합물 A-6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8
(200Å)/ LiF / Al로 소자를 구성하였다.
비교예는 전자전달물질로 화합물 A-6
Figure 112009020221314-PAT00029
(200 Å)대신에 Alq3 (200 Å)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실시예1과 동일하다.
비교 실험예 1에서의 화합물 A-6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0
의 대신에, 표 1에 기술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사한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작하고, 유사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가 표 1에 기술되어 있다. 표1에서 화학물 B-6 및 C-6는 위 제조예3 및 4에서 제조한 화합물들을 의미한다.
하기 표 1 에서는 구동전압, 전류 밀도도, 효율, 그리고 색좌표를 나타내었다. 소자 평가 결과 ETL재료에서는 효율 상승, 구동전압 하강, 색순도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1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다른 유기물층들, 예를 들어 발광층, 전자/정공 주입층, 전달층에 사용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적용할 수 있는 유기전기소자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퀴녹살린 유도체.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2
    (1) X1~X4는 각각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CH나 N 이며,
    (2) R1~R10은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C1 ~ C20의 알킬기, C1 ~ C20의 알콕시기, C1 ~ C20의 알킬아민기, C1~ C20의 알킬 티오펜기, C6 ~ C20의 아릴 티오펜기, C2 ~ C20의 알케닐기, C2 ~ C20의 알키닐기, C3 ~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기, 중수소로 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 C8 ~ C20의 아릴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란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게르마늄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 C20의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 할로겐, CN, NO2, C1 ~ C20의 알킬기, C1 ~ C20의 알콕시기, C1 ~C20의 알킬아민기, C1 ~ C20의 알킬티오기, C2 ~ C20의 알케닐기, C2 ~C20의 알키닐기, C3 ~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 C20의 아릴기, 중수소로 치환된 C6 ~ C2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란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붕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게르마늄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 C20의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C20의 헤테로고리기; 또는 C6 ~ C20의 방향족 고리와 C4 ~ C20의 지방족 고리의 축합 고리기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탄화 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및 비환된 헤테로 아릴기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기이며,
    (3)Y1~Y2는 각각 서로 같거나 상이하고 CH 또는 N원소이며, X1~X4가 CH일 경우 Y1과 Y2는 탄소 이외의 원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X4가 CH인 경우 상기 Y1과 Y2는 탄소 이외의 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녹살린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X4가 CH인 경우 각각의 상기 R1~R6은 이웃끼리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녹살린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은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3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4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5
    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녹살린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내지 R10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6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7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8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39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40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41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42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43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44
    ,
    Figure 112009020221314-PAT00045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퀴녹살린 유도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1층 이상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을 용액 공정(soluble process)에 의해 상기 유기물층을 형성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소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제1 전극, 상기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제2 전극을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로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주입/수송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전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은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전달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자소자.
  10. 제6항의 유기전기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전기소자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또는 유기태양전지, 유기감광체(OPC), 유기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90028853A 2009-04-03 2009-04-03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9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53A KR101197218B1 (ko) 2009-04-03 2009-04-03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53A KR101197218B1 (ko) 2009-04-03 2009-04-03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495A true KR20100110495A (ko) 2010-10-13
KR101197218B1 KR101197218B1 (ko) 2012-11-02

Family

ID=4313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53A KR101197218B1 (ko) 2009-04-03 2009-04-03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2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694A (ja) * 2010-02-10 2011-08-25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化合物
CN105418617A (zh) * 2015-12-25 2016-03-2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化合物及其有机光电装置
CN109180690A (zh) * 2018-10-15 2019-01-11 烟台显华化工科技有限公司 一类用作蓝色荧光材料的氮杂芳香化合物及其应用
WO2020119326A1 (zh) * 2018-12-13 2020-06-18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在光电器件中的应用
DE102016115859B4 (de) * 2015-12-25 2020-12-10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erbindung und organische photoelektrische Einrichtung dara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039B1 (ko) 2014-05-22 2018-09-10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073B1 (ko) 2006-11-22 2009-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퀴녹살린 고리 함유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694A (ja) * 2010-02-10 2011-08-25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化合物
CN105418617A (zh) * 2015-12-25 2016-03-23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化合物及其有机光电装置
US9859506B2 (en) 2015-12-25 2018-01-02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organic photoelectric apparatus thereof
DE102016115859B4 (de) * 2015-12-25 2020-12-10 Shanghai Tianma AM-OLED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erbindung und organische photoelektrische Einrichtung daraus
CN109180690A (zh) * 2018-10-15 2019-01-11 烟台显华化工科技有限公司 一类用作蓝色荧光材料的氮杂芳香化合物及其应用
WO2020119326A1 (zh) * 2018-12-13 2020-06-18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在光电器件中的应用
CN111320980A (zh) * 2018-12-13 2020-06-23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在光电器件中的应用
JP2022506647A (ja) * 2018-12-13 2022-01-17 広東阿格蕾雅光電材料有限公司 有機電界発光材料及びその光電素子への使用
CN111320980B (zh) * 2018-12-13 2023-04-07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在光电器件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218B1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666B1 (ko) 비스카바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219492B1 (ko) 오원자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08512B1 (ko) 오원자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219481B1 (ko) 아릴 고리가 축합된 복소환 5원자고리 유도체를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53910B1 (ko) 인돌 유도체를 핵심으로 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15036B1 (ko) 티안트렌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245243B1 (ko) 스피로 카바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81266B1 (ko) 카바졸유도체를 포함하는 비스다이아릴아민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20100079458A (ko) 비스-카바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20110066763A (ko) 인돌로아크리딘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72052B1 (ko)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20100099459A (ko) 비스벤조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단말
KR101094701B1 (ko) 방향족 다환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20110103141A (ko) 인돌로아크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72053B1 (ko) 두개의 3차 아민이 치환된 인돌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094691B1 (ko) 카바졸에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81267B1 (ko) 나프틸카바졸유도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44357B1 (ko) 다이벤조카바졸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197218B1 (ko) 퀴녹살린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20110092262A (ko) 카바졸 골격에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219485B1 (ko) 다이벤조카바졸을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그 단말
KR101147318B1 (ko) 카바졸 골격에 헤테로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098789B1 (ko) 안트라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KR101077839B1 (ko) 유기전기소자 및 그 화합물, 단말
KR101077841B1 (ko) 방향족 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그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