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8921A - A fire engine - Google Patents
A fire eng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8921A KR20100108921A KR1020090027253A KR20090027253A KR20100108921A KR 20100108921 A KR20100108921 A KR 20100108921A KR 1020090027253 A KR1020090027253 A KR 1020090027253A KR 20090027253 A KR20090027253 A KR 20090027253A KR 20100108921 A KR20100108921 A KR 201001089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ig
- fire
- camera
- rotated
- rotation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회동되는 턴테이블(11)이 설치된 차량몸체(10); 턴테이블(11)에 설치되어 360ㅀ도 회동하는 것으로서 연장되는 다수의 붐을 가지는 붐구조체(20); 붐구조체(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동구동부(30); 회동구동부(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드부(40); 소방노즐(N)이 고정되는 지그(50); 로드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그(5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입체회동구동부(60);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70);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80); 제1카메라(70)와 제2카메라(8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을 조명하는 조명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fire truck, comprising: a vehicle body (10) having a turntable (11) rota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oom structure 20 installed on the turntable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booms extending as being rotated 360 degrees; A rotation driving unit 30 installed at an end of the boom structure 20; A rod part 40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tation driving part 30; Jig 50 to which the fire nozzle (N) is fixed; A three-dimensional rotation driving part 60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d part 40 to rotate the jig 5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 first camera 70 installed on the jig 50 to capture an infrared image of a front fire scene; A second camera 80 installed in the jig 50 for capturing a general image of the front fire scene; A display (not shown) displaying images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70 and the second camera 80; And an illumination unit 90 installed on the jig 50 to illuminate the front fire si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면서 화재진압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fire tr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fire truck that can perform fire suppression while shooting the fire site in real time.
통상적으로 화재진압을 위하여 물을 분사하는 소방차는, 이동을 위한 차량몸체와, 차량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회동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방수가 탑재하는 버킷을 승강시키는 붐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위하여, 버킷에 탑승한 소방수는 다단붐이 인출됨에 따라 발화지점으로 근접하고, 이후 소방노즐을 손으로 잡고 발화지점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화재진압을 수행하였다. Typically, a fire truck for spraying water for extinguishing a fire includes a vehicle body for movement, a turntabl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boom structure for elevating a bucket on which a firefighter is mounted as installed on a rotation frame. For this structure, the firefighter in the bucket approached the ignition point as the multi-stage boom was pulled out, and then held the fire nozzle by hand and sprayed water on the ignition point to perform fire suppression.
그런데 상기한 다기능 소방차의 경우, 버킷에 탑승한 소방수가 발화지점으로 접근함에 따라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었고, 소방수가 버킷에서 떨어져 사망하거나 크게 다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화염이 보이지 않거나 구조물의 후방에서 화염이 발생을 경우, 소방수가 화염을 인지하지 못하여 그 화염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화염에 의하여 심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multi-function fire truck, a dangerous situation was produced as the fireman in the bucket approached the ignition point, and the fireman died or was seriously injured from the bucket. In addition, if the flame is not visible or a flame is generated in the rear of the structure, the firefighter may not recognize the flame and approach the flame, in which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severe burn may be caused by the flame.
또한 야간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진압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조명장치로 화재현장을 조명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조명장치는 발화지점에 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명할 수 밖에 없어 정확한 화재현장의 조명이 어려웠다. 따라서 야간에 화재진압은 더더욱 어려웠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extinguish a fire when a fire occurs at night. For this purpose, there was a case where the lighting was fired by a separate lighting device, but the lighting device had to be illuminated at a far place from the ignition point.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ire suppression was more difficult at nigh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소방수가 탑승하지 않고도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소방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ire truck that can perform an effective fire suppression without a firefighter board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도 발화지점을 조명할 수 있어 정확한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기능 소방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ire truck capable of illuminating the ignition point even at night to enable accurate fire suppress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소방차는, 상부에 회동되는 턴테이블(11)이 설치된 차량몸체(10); 상기 턴테이블(11)에 설치되어 360°회동하는 것으로서 연장되는 다수의 붐을 가지는 붐구조체(20); 상기 붐구조체(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동구동부(30); 상기 회동구동부(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드부(40); 소방노즐(N)이 고정되는 지그(50); 상기 로드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그(5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입체회동구동부(60); 상기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70); 상기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일반 영성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80); 상기 제1카메라(70)와 제2카메라(8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을 조명하는 조명부(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function fire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체회동구동부(60)는, 상기 로드부(40)의 단부(40a)에 설치되는 브라켓(61)과, 상기 브라켓(61)의 전방에 축지지되는 축부(62)와, 상기 지그(50)의 상부와 브라켓(61)을 연결되는 상부유압구동부(63)와, 상기 지그(50)의 측부와 브라켓(62)을 연결하는 측부유압구동부(64)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70)의 렌즈와 상기 제2카메라(80)의 렌즈에 착탈되는 제1,2보호필터(71)(81)를 더 포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소방차에 따르면, 붐구조체의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드부와, 로드부의 단부에 소방노즐이 설치되는 지그와, 지그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회동시키는 입체회동구동부를 채용함으로써, 물을 발화지점으로 정확하게 분사하여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fire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d portion pivoted up and down at the end of the boom structure, a jig in which a fire nozzl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od portion, and a three-dimensional rotation driving portion for rotating the jig three-dimensionall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employed. As a result, water can be accurately injected to the point of ignition to enable effective fire suppression.
또한 지그에 화재현장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와 화재현재의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가 설치되고 또한 화재현장을 조명하는 조명부가 설치됨으로써, 눈에 보이는 발화지점 및 눈에 보이지 않는 발화지점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다. 특히, 야간에도 발화지점을 조명할 수 있어 정확한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jig is equipped with a first camera for shooting an infrared image of the fire scene and a second camera for shooting a general image of the fire current, and an illumination unit for illuminating the fire scene is installed, so that a visible point of ignition and invisibility can be seen. The point of ignitio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which enables more effective fire suppressio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ignition point at night to enable accurate fire extinguishing.
그리고, 제1,2카메라가 설치된 지그가 소방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염의 열기에 의하여 제1,2카메라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jig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re installed is kept cold by the water sprayed from the fire nozzle,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by the heat of fla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소방차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ultifunctional fire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소방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소방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입체회동구동부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회동되는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ulti-function fire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fire truck of Figure 1, Figure 3 illustrates a jig rotated three-dimensionally by the three-dimensional drive unit of FIG. It is a figure for followin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소방차는, 상부에 회동되는 턴테이블(11)이 설치된 차량몸체(10)와; 턴테이블(11)에 설치되어 360°회동하는 것으로서 연장되는 다수의 붐을 가지는 붐구조체(20)와; 붐구조체(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동구동부(30)와; 회동구동부(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드부(40)와; 소방노즐(N)이 고정되는 지그(50)와; 로드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그(5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입체회동구동부(60)와;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70)와;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80)와; 제1카메라(70)와 제2카메라(8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을 조명하는 조명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the multi-function fire tru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붐구조체(20)는, 그 하단이 턴테이블(11)의 소정부에 힌지(h)를 축으로 결합된다. 붐구조체(20)와 턴테이블(11) 사이에 데릭실린더(21)가 설치되고, 데릭실린더(21)에서 돌출되는 실린더로드에 의하여 붐구조체(20)는 힌지(h)를 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붐구조체(20)는, 턴테이블(11)에 힌지결합되는 메인붐 과, 그 메인붐으로부터 인출되는 다단붐을 포함한다. The lower end of the
로드부(40)는 붐구조체(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동구동부(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로드부(4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부(30)는 크레인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붐구조체(20)는 톤 단위의 무게를 가지며 수십미터의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소방노즐(N)을 연소지점까지 정확하게 이동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붐구조체(20)의 단부에 회동구동부(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드부(40)를 채용함으로써, 소방노즐(N)을 발화지점까지 근접시킬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지그(50)는, 소방노즐(N), 제1,2카메라(70)(80) 및 조명부(90)가 일체화되게 설치되는 곳으로서, 후술할 입체회동구동부(60)에 의하여 상하좌우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회동된다. 지그(50)가 입체적으로 회동되므로, 지그(50)에 결합되는 소방노즐(N)은 물을 입체적으로 분사할 수 있고, 또한 제1,2카메라(70)(80) 및 조명부(90)에 의하여 화재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즉, 지그(50)에 노즐(N)과 제1,2카메라(70)(80)와 조명부(90)가 일체화되게 설치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없이 제1,2카메라(70)(80) 및 조명부(90)는 노즐(N)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Jig 50 is a fire nozzle (N), the first and
한편, 지그(50)에는 차가운 물이 분사되는 소방노즐(N)이 설치되었으므로, 항상 차가운 냉각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그(50)에 설치된 제1,2카메라(70)(80) 역시 차가운 냉각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2카메라(70)(80)가 화염의 열에 의하여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2카메라(70)(80)는 항상 화재 현상의 발화지점에 근접된 상태이므로 화염에 의하여 많은 열을 받게 되지만, 제1,2카메라(70)(80)가 노즐(N)에 의하여 차가운 상태를 유지하는 지그(50)에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 제1,2카메라(70)(8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e nozzle N to which cold water is injected is provided in the
입체회동구동부(60)는, 로드부(40)의 단부에 설치되며, 소방노즐(N)과 제1,2카메라(70)(80)와 조명부(90)가 설치되는 지그(50)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입체적으로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소방노즐(N)로부터 물을 입체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회동구동부(60)는, 로드부(40)의 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61)과, 브라켓(61)의 전방에 축지지되는 축부(62)와, 지그(50)의 상부와 브라켓(61)을 연결되는 상부유압구동부(63)와, 지그(50)의 측부와 브라켓(62)을 연결하는 측부유압구동부(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유압구동부(63)나 측부유압구동부(64)는 유압실린더로 구현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부유압구동부(63)에서 출몰되는 실린더로드(63a)가 지그(5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측부유압구동부(64)에서 출몰되는 실린더로드(64a)가 지그(5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지그(5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입체적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The three-dimensional
제1카메라(70)는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한다. 만약 구조물의 후방에서 화염이 발생할 경우, 구조물의 외부에서는 화염을 관찰할 수 없다. 그러나 제1카메라(70)가 구조물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적외선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후방에 위치되는 화염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어 정확한 화재진압이 가능해진다. The
제2카메라(80)는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의 화재현장의 일반 영상을 촬영한다. 즉 제2카메라(80)는 눈에 보이는 화재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함으로써 정확한 화재진압이 가능해진다. The
이러한 제1,2카메라(70)(8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에서는 제1카메라(70)가 촬영한 적외선 영상과, 제2카메라(80)에서 촬영된 일반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며, 이러한 적외선 영상과 일반 영상을 비교하면서 효과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한 것이다. The video signals photographed by the first and
그리고, 제1카메라(70)의 렌즈와 상기 제2카메라(80)의 렌즈 각각에는 제1,2보호필터(71)(81)가 착탈된다. 제1,2카메라(70)(80)는 화재 현장에 근접하기 때문에, 많은 화재현장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많은 파편들에 노출되며, 이러한 파편들에 의하여 제1,2카메라(70)(80)의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카메라(70)(80)의 렌즈부분에 착탈되는 제1,2보호필터(71)(81)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보호필터(71)(81)는 파편들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강화투명유리(71a)(81a)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조명부(90)는 야간에 화재현장을 밝게 조명함으로써, 야간에도 제2카메라(80)에 의한 화재현장 촬영을 가능하게 하여 정확한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조명부(90)가 지그(50)에 설치되어 발화지점을 가장 근접하여 조명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화재진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소방차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fire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소방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fire truck of FIG.
도 3은 도 2의 입체회동구동부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회동되는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 jig rotated three-dimensionally by the three-dimensional rotation drive unit of FIG.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차량몸체 15 ... 턴테이블10 ... vehicle body 15 ... turntable
20 ... 붐구조체 25 ... 데릭실린더20 ... Boom Structure 25 ... Derek Cylinder
30 ... 회동구동부 40 ... 로드부30 ... Rotating
50 ... 지그 60 ... 입체회동구동부50 ...
61 ... 브라켓 62 ... 축부61 ...
63 ... 상부유압구동부 64 ... 측부유압구동부63 ... upper
70 ... 제1카메라 71 ... 제1보호필터70 ...
80 ... 제2카메라 81 ... 제2보호필터80 ...
90 ... 조명부 N ... 노즐90 ... Lighting part N ... Nozzl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253A KR20100108921A (en) | 2009-03-31 | 2009-03-31 | A fire eng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7253A KR20100108921A (en) | 2009-03-31 | 2009-03-31 | A fire eng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8921A true KR20100108921A (en) | 2010-10-08 |
Family
ID=4313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253A KR20100108921A (en) | 2009-03-31 | 2009-03-31 | A fire eng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0892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819B1 (en) * | 2011-07-11 | 2013-03-11 | 김서광 | High altitude remot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posture |
CN103599611A (en) * | 2013-10-17 | 2014-02-26 | 江苏振翔车辆装备股份有限公司 | Telescopic rotary smoke evacuation mechanism |
GB2535817A (en) * | 2014-10-22 | 2016-08-31 | Q-Bot Ltd | Spray nozzle arm |
CN109432660A (en) * | 2018-12-20 | 2019-03-08 | 山东新来电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ountainous region fire fighting truck with light angle regulatory function |
-
2009
- 2009-03-31 KR KR1020090027253A patent/KR2010010892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0819B1 (en) * | 2011-07-11 | 2013-03-11 | 김서광 | High altitude remote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posture |
CN103599611A (en) * | 2013-10-17 | 2014-02-26 | 江苏振翔车辆装备股份有限公司 | Telescopic rotary smoke evacuation mechanism |
GB2535817A (en) * | 2014-10-22 | 2016-08-31 | Q-Bot Ltd | Spray nozzle arm |
GB2535817B (en) * | 2014-10-22 | 2018-03-21 | Q Bot Ltd | Spray nozzle arm |
US10675648B2 (en) | 2014-10-22 | 2020-06-09 | Q-Bot Limited | Remotely operated device |
AU2016293309B2 (en) * | 2014-10-22 | 2021-02-25 | Q-Bot Limited | Remotely operated device |
CN109432660A (en) * | 2018-12-20 | 2019-03-08 | 山东新来电能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ountainous region fire fighting truck with light angle regulatory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0570B1 (en) | Unmanned Fire Truck | |
CN104584540A (en) |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for operating machinery | |
CA2675974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roops | |
JP5888956B2 (en) | Excavator and surrounding image display method of the excavator | |
KR20100108921A (en) | A fire engine | |
JP2010121270A (en) | Monitoring equipment of working machine | |
JP2015174705A (en) | Forklift work aiding device | |
CN102431499A (en) | External rearview mirror system for eliminating visual obstacles of automobile driver | |
KR20100108925A (en) | A fire engine | |
CN206060931U (en) | A kind of binocular thermal imaging monopod video camera | |
KR20100108920A (en) | A fire engine | |
CN102833529B (en) | A kind of multispectral supervisory control system with range finding steady picture function | |
CN207351299U (en) | Warning and self-defence integrative protection device | |
CN206606121U (en) | High scape visual field recorder | |
CN205647698U (en) | Two camera surveillance camera equipment | |
KR20100108923A (en) | A fire engine | |
CN201198485Y (en) | Blast furnace tuyere camera shooting device | |
KR20100108922A (en) | A fire engine | |
CN208675368U (en) | A kind of vehicle-mounted high-definition wired camera | |
US20200191526A1 (en) | S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associated vehicle | |
JP7357526B2 (en) | Operation support device for spraying machine and spraying work method using the same | |
RU109459U1 (en) | TELESCOPIC OPERATOR LIFT FOR MOVING CINEMA AND TELEPAPER EQUIPMENT | |
JP2022082684A (en) | Work vehicle | |
JP2003310780A (en) | Fire-extinguishing system | |
CN207579781U (en) | The centre camera structure of building waste classification processing engineering tru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4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