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854A - Disposer - Google Patents

Dispo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854A
KR20100107854A KR1020090026172A KR20090026172A KR20100107854A KR 20100107854 A KR20100107854 A KR 20100107854A KR 1020090026172 A KR1020090026172 A KR 1020090026172A KR 20090026172 A KR20090026172 A KR 20090026172A KR 20100107854 A KR20100107854 A KR 20100107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food waste
connector
hous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9980B1 (en
Inventor
여인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이티아이
Priority to KR102009002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980B1/en
Publication of KR20100107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8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PURPOSE: A dirt grinding device having a rotating grind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ncatenation outlet of a shape is provided to grind the fixed concatenation outlet and the state where the food waste is pressurized between the rotating grinding body and effectively grind food waste. CONSTITUTION: A dirt grinding device includes a housing(10) forming a body, a connector(2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of the housing, is combined in the number part of sink, and flows in the food waste to the housing. A guide unit is formed in order to be corresponded to connector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food waste. A fixed concatenation unit(30) including the enlargement which is enlarged and formed to slope in the lower of the guide portion to the predetermined slope. A rotating grinding body(40) shatters to pieces the food waste flowing in into interval with enlargement while the power being transmitted from the power generator.

Description

오물분쇄장치{disposer}Dirt grinding devic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 및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작동 편의성이 향상된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ation apparatus for fine grinding of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ushing apparatus for fine grinding of food, which can be effectively crushed and processed of food waste, and improved operation convenience.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서는 음식을 준비하거나 식사 후 사람들이 먹고 남는 음식물 찌꺼기가 발생하게 되는바, 현대에 있어서 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이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In general, in each household, food leftovers that people eat after eating or after meals are generated, and the method of disposing of this food waste has become a big problem in modern times.

종래에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주로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음식물 전용 수거용기에 넣어 폐기되었다.Conventionally, food waste generated at home or a restaurant is mainly stored in a separate container and then disposed of in a food-only collection contain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개수부에서 음식물이 들어 있는 용기를 일일이 손으로 꺼내야 함으로서 불결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보관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음식물을 수거해가는 날에 밖에 내놓아야 함으로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심할 경우 파리나 모기 등 각종 해충이 발생하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 method is dirty by having to take ou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by hand one by one, and it is not only cumbersome because the food waste should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and put out on the day when the food is collected. Odor is generated indoors, or if the severe insects such as flies or mosquitoes occurred, there was an unsanitary problem.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싱크대의 개수부에 구비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곧 바로 분쇄하기 위한 음식물 찌꺼기 분쇄장치도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food waste crushing device is provided to the sink portion of the sink to immediately crush the food waste.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찌꺼기 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ood waste grinding devic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모터(12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커터(13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forming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utter 130 is connected to the motor 120 to rotate.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상측이 싱크대(90)의 개수부(91)에 결합되어 지며, 이에 따라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하우징(110)으로 유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10 is coupled to the number 91 of the sink 90, whereby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그리고,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는 낙하하여 상기 커터(130)의 상측에 쌓이게 되는데, 상기 커터(130)가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 찌꺼기는 분쇄되어 배출관(115)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Then, the introduced food waste falls and accumulates on the upper side of the cutter 130. As the cutter 130 rotates, the food waste is pulveriz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15.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찌꺼기 분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ood waste grinding devic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커터의 상측 공간이 개방됨으로써, 유입되어 커터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찌꺼기에는 단지 중력만이 적용된다.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커터에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여 뼈와 같은 단단한 음식물 찌꺼기가 효과적으로 분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only the gravity is applied to food waste that is introduced and placed above the cutter by opening the upper space of the cutt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ood waste is not sufficiently pressurized to the cutter and hard food waste such as bone is not effectively crushed.

둘째, 종래의 음식물 찌꺼기 분쇄장치는 그 상부가 싱크대의 개수부에 결합되어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두께가 얇은 개수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the conventional food waste crush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the upper portion is coupled to the hanging portion of the sink hanging,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thin portion is deformed or broken.

셋째, 음식물 찌꺼기가 모두 유입된 후에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마개로 막고, 커터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켜는 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전원 스위치가 주로 싱크대 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해서는 자주 허리를 굽혀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Third, after all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power switch for operating the cutter and closing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with a plug is not only takes a long time, but also the power switch is mainly used in the sink Since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the user has to bend back frequently to switch pow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 및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작동 편의성이 향상된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the food can be effectively crushed and processed food waste, improved operation convenien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연결되고, 싱크대의 개수부에 결합되어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음식물 찌꺼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하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확대 형성되는 확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분쇄구, 그리고 상기 확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분쇄구의 하측에 상기 확대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확대부와의 사이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회전분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물분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forming a body,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h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number of the sink to allow food waste to enter the housing,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or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food waste, and a fixed crushing sphere comprising an enlarg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portion and provid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enlarged portion in the lower side of the fixed grinding sphere, so that the food waste flowing into the enlarged portion while being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Providing a dirt grinding device comprising a rotary grinding hole to The.

여기서, 상기 오물분쇄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하단부는 상기 확대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단부에는 고정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분쇄구가 고정되도록 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분쇄구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rt grinding device is provided through the housing,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is coupled to the fixed grinding sphere, and the rod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od It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portion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the fixed grinding sphere.

그리고, 상기 확대부의 저면에는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제1분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분쇄구의 상면에는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제2분쇄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enlarged part may include a first grinding protrusion for fine grinding of food, and a second grinding protrusion for fine grinding of foo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grinding hole.

또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고정분쇄구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xed grinding sphere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의 상부를 막음과 동시에 통전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분쇄구가 작동되도록 하고, 분쇄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상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ay be coupled to a stopper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to be energized at the same time to operate the rotary grinding sphere, and to prevent the food waste to be ejected to the top.

또한, 상기 커넥터의 상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의 원주면에는 제1접점부가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마개의 상측 외주연에는 상기 제1접점부에 대응되도록 제2접점부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접점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circumferentially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plug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Can be contacted.

그리고, 상기 오물분쇄장치는 상기 마개가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회전시에 상기 결합홈에 존재하는 물기가 닦이도록 상기 제2접점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와이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rt grin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iper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to wipe off water present in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stopper rotates inside the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오물분쇄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받치는 설치판과, 하단부는 상기 설치판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갖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t grin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device having a moun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housing,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그리고, 상기 오물분쇄장치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일측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미생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부를 갖는 미생물 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device is a storage unit for storing microorganisms for decomposing food wast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so that the microorganism of the storage uni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may further comprise a microbial supply having.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dirt grind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음식물 찌꺼기가 고정분쇄구와 회전분쇄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각 분쇄구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분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First, the food waste can be pulverized more effectively by being located between the fixed pulverizer and the rotary pulverizer and being pulverized in a pressurized state by the respective pulverizers.

둘째, 고정분쇄구가 삿갓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분쇄구는 상기 고정분쇄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분쇄구와 회전분쇄구의 사이에서 음식물 찌꺼기가 머무는 시간이 증가되어 분쇄시간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쇄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Second, the fixed grinding spher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at, the rotary grinding spher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ed grinding sphere, so that the food waste stays between the fixed grinding sphere and the rotary grinding sphere can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grinding time Through this, the grinding efficiency can also be improved.

셋째, 고정분쇄구의 저면과 회전분쇄구의 상면에 각각 분쇄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에 보다 강력한 분쇄력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강도가 큰 음식물 찌꺼기도 용이하게 분쇄될 수 있다.Third, by forming a grinding protrusion on the bottom of the fixed grinding spher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grinding sphere, respectively, more powerful grind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food dregs, and through this, the food dregs with high strength can be easily milled.

넷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장치가 싱크대의 개수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고 강한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하중에 의한 상기 개수부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리라,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싱크대의 높이 조절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urth, the support device provided to support the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is thicker and stronger than the number of sinks, the number by the load of the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Not only the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part can be prevented, but also the height of the sink can be easily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food is combined.

다섯째, 분쇄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외부로 분출되지 않도록 커넥터에 마개를 막음과 동시에 전원이 스위칭되어 회전분쇄구의 회전이 시작되어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신속한 동작이 가능하고 작동의 편의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Fifth, the plug is plugged into the connector so that the food waste is not eject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is switched to start the rotation of the rotary grinder,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pulverized. Can b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고정분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xing of the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nding hole.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는 하우징(10), 커넥터(20), 고정분쇄구(30) 그리고 회전분쇄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기 커넥터(20)는 싱크대(90)의 개수부(91)에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커넥터(2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is preferably made of a housing 10, a connector 20, a fixed crusher 30 and a rotary crusher (40). . Here, the connector 20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forming the body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number 91 of the sink 90,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is the connector 20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분쇄구(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분쇄구(30)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확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분쇄구(40)는 상기 고정분쇄구(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분쇄구(30)의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이 바람직하다.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is preferably formed to be enlarg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addition, the rotary grinding sphere 4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is preferably provid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side of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receiving power Rotation is preferred.

상기 고정분쇄구(30)의 저면에는 제1분쇄돌기(3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상면에는 제2분쇄돌기(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고정분쇄구(30)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사이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분쇄돌기(35)와 상기 제2분쇄돌기(45)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grinding hole 30, and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grinding hole 40. Through this, the introduced food waste may be more effectively crushed by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and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while being moved between the fixed grinding hole 30 and the rotary grinding hole 40. It becomes possible.

상세히,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상측에는 커넥터(2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0)의 상부는 싱크대(90)의 개수부(91)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connector 20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forming the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2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number 91 of the sink 90.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20)는, 상기 커넥터(20)의 상단부가 상기 개수부(91)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커넥터(20)의 하측에서 결합(예를 들면, 나사결합 등)되는 잠금링(29)이 상기 개수부(91)의 하면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개수부(91)에 고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or 20,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le portion 91, the locking is coupled (for example, screwed, etc.) i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20 As the ring 29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91, the ring 29 may be fixed to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91.

이때, 상기 커넥터(20)와 상기 개수부(91)의 결합 방법은 전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thod of the connector 20 and the male part 91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method.

여기서, 상기 싱크대(90)는 조리할 재료를 다듬거나 씻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주방에 설치되는 통상의 주방기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개수부(91)는 상기 싱크대(9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을 받거나 흘려보내며 그릇이나 음식물을 씻고 닦을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Here, the sink 90 refers to a general kitchen utensil installed in the kitchen to trim, wash or cook the material to be cooked. In addition, the water receptacle 91 means a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90 to receive or shed water and to wash and wipe dishes or food.

이를 통해,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커넥터(2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 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food waste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connector 20.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유입된 음식물 찌꺼기를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하여 고정분쇄구(30)와 회전분쇄구(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ed grinding sphere 30 and the rotary grinding sphere 40 in order to finely crush the introduced food waste.

먼저, 상기 고정분쇄구(30)는 안내부(31)와 확대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ortion 31 and the enlarged portion (34).

여기서, 상기 안내부(31)는 상기 커넥터(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20)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는 하측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Here, the guide portion 31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20,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connector 20 can be guided to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안내부(31)의 하측에는 상기 확대부(34)가 연장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확대부(34)는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확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larged portion 34 is preferably extended below the guide portion 31. At this time, the enlarged portion 34 is preferably enlar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이에 따라, 상기 확대부(34)는 삿갓형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고정분쇄구(30)는 전체적으로 깔때기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Accordingly, the enlarged portion 34 has a hatshade shape, and the fixed crushing tool 30 has a shape of a funnel as a whole.

그리고, 상기 확대부(34)의 저면에는 제1분쇄돌기(3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nlarged portion 34.

여기서, 상기 제1분쇄돌기(35)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산(36)과, 상기 산(36)에 의해 형성되는 골(3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may include a hill 36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nd a valley 37 formed by the hill 36.

또한, 상기 제1분쇄돌기(35)는 상기 산(36)과 골(37)이 일정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상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반복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has the peak 36 and the valley 37 formed in a constant shape, and this shape may be repeatedly form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not limited to.

한편, 상기 고정분쇄구(30)의 수직 방향으로 하측에는 회전분쇄구(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회전분쇄구(40)는 상기 고정분쇄구(30)와 소정의 간격(D)을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tary grinding sphere 40, wherein, the rotary grinding sphere 40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 D) is preferably provided to achieve.

그리고, 상기 회전분쇄구(40)는 상기 확대부(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grinder 4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portion (34).

또한,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중앙에는 중앙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41)에는 동력발생부(11)의 회전축(12)이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동력발생부(11)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entral hole 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ry grinding hole 40, and the rotation shaft 12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11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entral hole 41. 11 may be provided at an inner lower side of the housing 10.

여기서, 상기 동력발생부(11)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통상의 전동기일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or 11 may be a conventional electric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power as the rotating body rotates by receiving power.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11)에 구비되는 전력선(미도시)은 상기 커넥터(2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는 후술할 제1접점부(도 5의 25)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line (not shown) provided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1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of FIG. 5) which will be provided later on the connector 20.

이때, 상기 제1접점부(25)는 서로 떨어져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상기 동력발생부(11)에 통전(通電)이 되지않아 상기 동력발생부(11)는 작동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is preferably provided away from each other, through which, usually, the power generating unit 11 does not operate because the power generating unit (11) is not energized. This is preferred.

한편, 상기 커넥터(20)에는 마개(60)가 삽입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마개(60)에는 상기 제1접점부(25)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하는 후술할 제2접점부(도 6의 6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g 6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20, the plug 6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nergized (Fig. 6, 64) is preferably provided.

따라서, 분쇄하고자 하는 음식물 찌꺼기가 모두 상기 하우징(10)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마개(60)가 상기 커넥터(20)에 삽입되어 닫히면, 상기 제1접점부(25)와 상기 제2접점부(64)가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동력발생부(11)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all of the food waste to be crushed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and the stopper 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0 and closed,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 May be connected to flow electricity, thereby enabling the power generator 11 to operate.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11)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1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분쇄구(40)는 상기 회전축(12)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When the rotary shaft 12 is rotated by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or 11, the rotary grinder 4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ry shaft 12.

또한, 상기 마개(60)가 상기 커넥터(20)로부터 분리되게 되면, 상기 제2접점부(64)와 상기 제1접점부(25)의 연결이 단절되어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상기 동력발생부(11)는 작동이 정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lug 60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20,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is disconnected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flow, so that the power generator 11.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이와 같이, 상기 마개(60)에 의해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작동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싱크대(90)의 내부에 위치되는 스위치(미도시)를 작동하기 위하여 허리를 굽히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이 불필요하고, 분쇄 작업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마개(60)는 분쇄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As such, the operation of the rotary grinder 40 is controlled by the stopper 60, so that a user does not need to bend his or her back to operate a switch (not shown) located inside the sink 90. Operation is unnecessary, and at the same time the grind operation is started, the stopper 60 can prevent the food waste to be eject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그리고,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상면에는 제2분쇄돌기(4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grinding hole 40.

여기서, 상기 제2분쇄돌기(45)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산(미도시)과 상기 산에 의해 형성되는 골(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is preferably made of a mountain (not show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and a valley (not shown) formed by the acid.

그리고, 상기 산과 골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형태가 아닌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제2분쇄돌기(45)는 회전방향으로 라운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ills and valleys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grinding hole 40. Particularly,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s 45 are preferably roun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

여기서, 상기 제2분쇄돌기(45)가 회전방향으로 라운드 형성된다는 말은 상기 산과 골의 원주방향에 대한 중앙부분이 상기 제2분쇄돌기(45)의 회전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됨을 의미한다.Here,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is form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means th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eak and valley is formed so as to be convex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이를 통해, 상기 커넥터(20)로 유입되어 상기 안내부(31)를 통해 낙하되는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회전분쇄구(40)가 상기 확대부(34)와 소정의 간격(D)을 이룸에 따라 상기 고정분쇄구(30)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food dregs flowing into the connector 20 and falling through the guide part 31 may be formed as the rotary grinder 40 forms a predetermined distance D from the enlarged part 34. It is moved between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and the rotary grinding sphere 40.

그리고, 상기 확대부(34)와 상기 회전분쇄구(40)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확대부(34)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사이에서 넓게 퍼져 이동하게 된다.As the enlarged portion 34 and the rotary grinder 40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ood waste is spread and moved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34 and the rotary grinder 40.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는 회전하는 상기 제2분쇄돌기(45)와 상기 제1분쇄돌기(35)에 의해 분쇄되게 되는데, 각각 산과 골로 이루어진 상기 제1분쇄돌기(35)와 제2분쇄돌기(45)가 양측에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 찌꺼기의 강도가 크더라도(예를 들면, 뼈나 가시 등) 용이하게 분쇄될 수 있다.Therefore,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and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which rotates, respectively,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and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made of acid and valley, respectively. As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even if the food dregs have a high strength (for example, bones or thorns), they can be easily crushed.

그리고, 분쇄되는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제1분쇄돌기(35)와 상기 제2분쇄돌기(45)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안내되게 된다.Then, the ground food waste is guided to be smooth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 35 and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더욱이, 상기 제2분쇄돌기(45)가 회전방향으로 라운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분쇄돌기(45)는 음식물 찌꺼기를 중앙쪽으로 당기듯이 커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분쇄돌기(45)는 음식물 찌꺼기기를 베듯이 잘라낼 수 있다.Furthermore, as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is rou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can cut the food waste as if it is pulling toward the center. That is,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may cut the food waste as if it were cut.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시에 상기 산(46)에 적용되는 저항이 감소될 수 있어 상기 제2분쇄돌기(45)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찌 꺼기의 분쇄도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resistance applied to the acid 46 at the time of crushing the food waste may be reduc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may not only be improved, but also the food waste may be more easily crushed. Can be.

또한, 상기 제2분쇄돌기(45)의 회전 저항이 감소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동력발생부(11)에 발생되는 부하도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45 may be reduced, the load generated in the power generating unit 11 may also be reduced.

한편, 상기 고정분쇄구(30)에는 가변부(50)가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가변부(50)는 로드(51)와 탄성부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portion 50 is coupled to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wherein the variable portion 50 may include a rod 51 and an elastic member 52.

먼저, 상기 로드(51)는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로드(51)는 상기 하우징(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2개 이상이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로드(51)는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rod 51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ousing 10, two or more rod 5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is predetermined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at angular intervals. At this time, each of the rods 51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housing (10).

그리고, 상기 각 로드(51)의 하단부는 상기 확대부(34)의 상측에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상기 로드(51)가 연결되는 상기 확대부(34)의 상측에는 단(39)이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s of the rods 5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larged part 34, respectively. In this case, a stage 39 may be further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enlarged portion 34 to which each of the rods 51 is connected.

또한, 상기 각 로드(51)의 상단부에는 고정블록(53)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block 53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rods 51.

그리고, 상기 각 로드의 외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2)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2)는 코일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5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each rod, wherein the elastic member 52 may be a coil-shaped spring.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2)는,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접하고, 하단부는 상기 확대부(34)의 상면에 접하게 되어 상기 고정분쇄구(30)를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52,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nlarged portion 34 is to support the fixed pulverization 30 to the lower side. .

그리고, 상기 각 고정블록(53)의 하측면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접하게 되면서 상기 탄성부재(52)에 의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상기 고정분쇄구(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xing block 5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52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0 It can be fixed to the inside.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2)에 의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의 상기 고정분쇄구(30)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사이 간격(D)보다 크기가 큰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고정분쇄구(30)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사이로 유입되게 되면, 상기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확대부(34)를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2)가 수축되면서 상기 고정분쇄구(30)는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the food wast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xed grinding hole 30 and the rotary grinding hole 40 in a state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and fixed downward by the elastic member 52 is the fixed grinding. When the inflow between the sphere 30 and the rotary grinding sphere 40, the food waste is contracted by the elastic member 52 by the force pushing up the enlarged portion 34 and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Will move upward.

그리고, 음식물 찌꺼기가 분쇄되어 크기가 작아져서 상기 확대부(34)를 밀어올리는 힘이 없어지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2)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고정분쇄구(30)는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고정블록(53)이 상기 하우징(10)에 접하게 됨에 따라 이동이 정지되게 된다.Then, when the food waste is crushed and the size is reduced so that the force to push up the enlarged portion 34 is no long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2 the fixed crushing sphere 30 to move downward again As the fixing block 5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10, the movement is stopped.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분쇄구(30)는 상기 가변부(50)에 의해 상기 고정분쇄구(30)와 상기 회전분쇄구(40)의 사이로 이동하는 음식물 찌꺼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음식물 찌꺼기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분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ood waste moving between the fixed grinding sphere 30 and the rotary grinding sphere 40 by the variable portion (50)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grind without restricting the size of food waste.

그리고, 상기 커넥터(2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분쇄구(3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8)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onnector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58 for guid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xed grinding hole 30.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58)는 상부가 상기 커넥터(20)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되고, 하면은 축관되어 상기 안내부(3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guide portion 58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20, the lower surface is concentric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31.

이에 따라, 상기 안내부(31)는 상기 가이드부(58)와 상기 커넥터(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안내될 수 있어 상기 고정분쇄구(30)가 덜컹거림 등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the guide part 31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part 58 and the connector 20 so that th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guided, so that the fixed grinding hole 30 is not rattled. It becomes possible to move more stably.

그리고, 상기 회전분쇄구(40)의 하측에는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가 모일 수 있도록 받침플레이트(1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5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grinder 40 so that the ground food waste may be collected.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15)에 쌓이는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출구(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16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food waste accumulated on the support plate 15 is discharged.

그리고, 상기 배출구(16)는 하수관로(미도시)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는 상기 하수관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16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ewer pipe (not shown), the ground food waste may be discharged along the sewer pipe.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미생물 공급장치(7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미생물 공급장치(70)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71)와, 상기 미생물을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housing 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where the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is a storage unit 71 for storing microorganisms for decomposing food waste, and It may include a supply unit 75 for supplying the microorganism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이를 위해, 상기 공급부(75)에는 공급 튜브(76)와, 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pply unit 75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tube 76 and a pump (not shown).

그리고, 상기 공급튜브(76)는 일단부는 상기 저장부(7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커넥터(2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저장부(71)에 저장된 상기 미생물은 상기 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20)의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ly tube 76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71,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0. The microorganis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71 may have a pumping force of the pump. It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20 by.

또한, 상기 커넥터(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미생물은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와 함께 섞이게 되어 상기 배출구(16)를 통해 배출되게 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icroorganism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20 is preferably mixed with the incoming food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6).

상기 미생물이 분사된 음식물 찌꺼기는 분해가 시작되어 중앙하수처리장에 도달하기 전에 완전히 분해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중앙하수처리장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고, 수질 오염도 줄일 수 있게 된다.Food microorganisms are sprayed food waste is preferably completely decomposed before it starts to reach the central sewage treatment pla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without overloading the central sewage treatment plant.

또한, 상기 배출구(16)는 상기 미생물 공급장치(70)에 연결된 후에 상기 하수관로에 연결되거나, 상기 미생물 공급장치(70)에 연결되지 않고 바로 상기 하수관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어떤 특정한 방법으로 연결되도록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outlet 16 may be connected to the sewer pip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wer pipe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and limited to be connected in any particular way. It doesn't work.

한편, 상기 개수부(91)에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미생물 공급장치(70)는 지지장치(80)에 의해 더욱 지지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0 and the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coupled to the water receptacle 91 are further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80.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장치(80)는 설치판(81)과 지지프레임(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support device 80 preferably comprises an installation plate 81 and a support frame 83.

먼저, 상기 설치판(81)에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미생물 공급장치(70)가 놓임이 바람직한데, 상기 설치판(81)은 사각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housing plate 10 and the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are preferably placed on the installation plate 81, and the installation plate 81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a circle.

그리고, 상기 설치판(81)은 상기 지지프레임(83)에 의해 상기 싱크대(9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83)은 상기 설치판(81)의 외측에 두 개 이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81 may be connected to the sink 90 by the support frame 83. To this end, two or more support frames 8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mounting plate 81.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또한, 상기 설치판(81)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지지프레임(83)은 상단부가 상기 개수부(91)가 아니라 상기 싱크대(90)의 상면(93)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frame 83 having the lower end connected to the mounting plate 81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93 of the sink 90 instead of the number 91.

여기서, 상기 상면(93)이라 함은, 상기 싱크대(90)의 상부를 이루며 상기 개수부(91)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개수부(91)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Here, the upper surface 93 refers to a portion that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sink 90 and is connected to the number portion 91 and is formed to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number portion 91.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83)의 상단부는 상기 상면(93)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86)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86)의 크기가 상기 상면(93)의 두께보다 작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면(93)을 관통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8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93 by a fastening member 86 such as a bolt, and the size of the fastening member 86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93. It is possible to be coupled so as not to protrude through the upper surface (93).

따라서, 상기 싱크대(90)의 외관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미생물 공급장치(70)가 상기 개수부(91)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장치(80)에 의해 분산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수부(91)의 휨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진다.Therefore, not only may not affect the appearance of the sink 90, the housing 10 and the microorganism supply device 70 is not supported only by the water supply unit 91, the support device Since it can be distributedly supported by the 80, the bending or breakage of the number 91 can be prevented, more stable support is possible.

더욱이, 상기 지지프레임(83)이 상기 싱크대(90)의 상면(93)에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상기 싱크대(9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더라도 상기 지지장치(80)에 의한 상기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지지는 계속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frame 83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93 of the sink 90, the support device 80 by the support device 80 even if the user freely adjusts the height of the sink 90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The support of the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fine grinding of food can be continu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커넥터가 개수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of a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male por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pper of a dirt grind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의 상부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결합홈(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4 to 6,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groove 21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connector 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결합홈(21)의 상측 일부에는 절개부(22)가 대향되도록 형성됨 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홈(21)의 일부는 상기 절개부(2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21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incision 22 is opposed. Through this, a part of the coupling groove 21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utout 22.

또한, 상기 결합홈(21)의 내측 원주면에는 상기 제1접점부(25)가 대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제1접점부(25)는 상기 절개부(22)의 중앙부와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1 is preferably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is oppos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has a central portion of the cutout 22. It is preferably provided to achieve an angle of 90 °.

그리고, 상기 커넥터(20)에 삽입되는 마개(60)의 상부에는 상기 커넥터(20)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커버부(6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ver 61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ug 6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0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20.

또한, 상기 커버부(61)의 외주연에는 상기 절개부(22)에 대응되도록 결합부(62)가 대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portion 61 is preferably formed to face the coupling portion 62 to correspond to the cutout (22).

따라서, 상기 마개(60)는 상기 각 결합부(62)가 상기 각 절개부(22)로 삽입된 후에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홈(21)에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마개(60)는 상기 커넥터(20)를 막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topper 60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 as the respective coupling parts 62 are rotated in any one direction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utouts 22, thereby. The stopper 60 may block the connector 20.

그리고, 상기 각 결합부(62)에는 상기 제1접점부(25)와 밀착되도록 상기 제2접점부(6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coupling parts 62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contact part 6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art 25.

여기서, 상기 제2접점부(64)는 상기 결합부(62)의 중앙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접점부(64)는 상기 결합부(62)와 상기 커버부(61)를 관통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62,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passes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62 and the cover portion 61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접점부(25)와 상기 제2접점부(64)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따라서, 상기 제2접점부(64)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접점부(25)에 연결됨에 따라 전기는 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electricity, so, both end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respectively, the first contact point As it is connected to the section 25, electricity can pass through.

여기서, 상기 제2접점부(64)와 상기 제1접점부(25)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62)의 상측에는 걸림홈(6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locking groove 65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62 so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64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25 can be easi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결합홈(21)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65)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65)에 결합되도록 걸림돌기(2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1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groove 65, the locking projection 27 is preferably formed to be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65).

이때, 상기 걸림홈(65)의 위치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7)의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groove 65, the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27 is a matter of course.

또한, 상기 커버부(61)에는 사용자가 상기 마개(60)를 회전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67)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손잡이(67)의 형상은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61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handle 67 to facilitate the user to rotate the stopper 60, the shape of the handle 67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그리고, 상기 커버부(61)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입수공(68)이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inlet hole 68 is formed in the cover part 61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입수공(68)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분쇄되는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배출구(도 2의 16) 및 기타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inlet 68 prevents the outlet (16 of FIG. 2) and other drain pipes from being blocked by the food waste being crushed.

또한, 상기 결합부(62)의 양측에는 와이퍼(66)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부(62)가 상기 결합홈(21)에 결합되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결합홈(21)에 묻어 있을 수 있는 물기는 상기 와이퍼(66)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per 66 is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62. Through this, even when the coupling part 62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 and rotates in any direction, water that may be buried in the coupling groove 21 may be removed by the wiper 66.

여기서, 상기 와이퍼(66)의 재질은 물기의 흡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예를 들면, 부직포 또는 발포 흡수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material of the wiper 66 may be a material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or a foam absorber, etc.)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well,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찌꺼기 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ood waste grind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rt grind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고정분쇄구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grinding hole of the crushing device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커넥터가 개수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상태도.Figure 4 is a coupling state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of the crushing device for crushing the foo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number portion.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오물분쇄장치의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opper of the dirt grinding apparatus for fine grinding of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1: 동력발생부10: housing 11: power generating portion

16: 배출구 20: 커넥터16: outlet 20: connector

21: 결합홈 22: 절개부21: engaging groove 22: incision

25: 제1접점부 27: 걸림돌기25: first contact portion 27: the locking projection

30: 고정분쇄구 31: 안내부30: fixed grinding wheel 31: guide

32: 확대부 35: 제1분쇄돌기32: enlarged portion 35: first grinding protrusion

40: 회전분쇄구 45: 제2분쇄돌기40: rotary grinding wheel 45: second grinding protrusion

50: 가변부 51: 로드50: variable part 51: rod

52: 탄성부재 53: 고정블록52: elastic member 53: fixed block

58: 가이드부 60: 마개58: guide portion 60: stopper

61: 커버부 62: 결합부61: cover portion 62: coupling portion

64: 제2접점부 65: 걸림홈64: second contact portion 65: locking groove

66: 와이퍼 68: 입수공66: wiper 68: obtainer

70: 미생물 공급장치 80: 지지장치70: microbial supply device 80: support device

81: 설치판 83: 지지프레임81: mounting plate 83: support frame

90: 싱크대 91: 개수부90: sink 91: water part

93: 상면93: top

Claims (9)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A space formed inside and forming a body;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연결되고, 싱크대의 개수부에 결합되어 음식물 찌꺼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커넥터;A connector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sink of the sink to allow food waste to flow into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음식물 찌꺼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하측에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확대 형성되는 확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고정분쇄구; 그리고A fixed crushing tool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he guide grind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nector and guiding the movement of food waste, and an enlarg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t a lower side of the guide portion; And 상기 확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분쇄구의 하측에 상기 확대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되, 동력발생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확대부와의 사이로 유입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회전분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물분쇄장치.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larged portion and provid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enlarged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fixed grinding hole,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between the enlarged portion while being rotated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ng portion crushing A crushing device comprising a rotary pulveriz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단부는 상기 확대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단부에는 고정블록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분쇄구가 고정되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분쇄구를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갖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오물분쇄장치.The lower portion further includes a variable portion having a rod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enlarged portion and a fixed block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o fix the fixed grinding tool,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od to support the fixed grinding tool. Dirt crush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대부의 저면에는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제1분쇄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분쇄구의 상면에는 음식물의 미세분쇄를 위한 제2분쇄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분쇄장치.The bottom surface of the enlarg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grinding protrusion for fine grinding of foo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grinding sphere is provided with a second grinding protrusion for fine grinding of fo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고정분쇄구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분쇄장치.And th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xed grinding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의 상부를 막음과 동시에 통전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분쇄구가 작동되도록 하고, 분쇄되는 음식물 찌꺼기가 상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분쇄장치.The connector is plugged with a stopper to prevent the top of the connector and energized at the same time to enable the rotary grinding sphere to operate, and prevent the food waste to be ejected to the upper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plug.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커넥터의 상부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의 원주면에는 제1접점부가 대향되게 구비되고, 상기 마개의 상측 외주연에는 상기 제1접점부에 대응되도록 제2접점부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분쇄장치.A first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circumferentially formed i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connector,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g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Soil grin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마개가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서 회전시에 상기 결합홈에 존재하는 물기 가 닦이도록 상기 제2접점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와이퍼를 더 포함하는 오물분쇄장치.And a wiper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to wipe off water present in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stopper rotates inside the coupl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을 받치는 설치판과, 하단부는 상기 설치판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갖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오물분쇄장치.And a support device having a mounting plate supporting the housing, and a lower end portion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nd an upper end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ink.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일측은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의 미생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부를 갖는 미생물 공급장치가 더 포함하는 오물분쇄장치.Further comprising a microorganism supply device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microorganisms for decomposing food wast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so that the microorganism of the storage uni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Dirt crushing device.
KR1020090026172A 2009-03-27 2009-03-27 disposer KR1010299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72A KR101029980B1 (en) 2009-03-27 2009-03-27 disp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72A KR101029980B1 (en) 2009-03-27 2009-03-27 dispo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854A true KR20100107854A (en) 2010-10-06
KR101029980B1 KR101029980B1 (en) 2011-04-21

Family

ID=4312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72A KR101029980B1 (en) 2009-03-27 2009-03-27 dispo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9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33B1 (en) 2011-04-19 2011-08-04 상우기업(주) Crusher for burned lime including impurities
KR101664437B1 (en) * 2014-08-14 2016-10-10 김관배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688953B1 (en) * 2016-06-10 2016-12-22 고성완 Apparatus for drying food waste with superheating under oxygen free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91A (en) * 1991-07-03 1993-01-19 Kubota Corp Kitchen garbage disposal device
KR200384273Y1 (en) 2005-02-28 2005-05-12 김현식 Envelope crushing device of a waste food
KR100684523B1 (en) 2005-12-21 2007-02-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980B1 (en)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121B1 (en) An Equipment For Garbage
CN211270558U (en) Dish washing machine
KR20100048207A (en)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in the sink
KR101509156B1 (en) The pulverizer for a food waste
KR101029980B1 (en) disposer
AU2008201876A1 (en) Food waste disposal unit
KR101317851B1 (en)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KR20180112233A (en) foodwaste shredder for sink
CN107246052A (en) A kind of Domestic refuse pulverizer
KR101021616B1 (en) Food waste processor
KR200440415Y1 (en) An apparatus for grinding garbage of sink
KR101379906B1 (en) Crushing device for food trash
KR20100070454A (en) A pulverizer for the disposal of food trash
KR200456182Y1 (en) Pulverize structure of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KR101601809B1 (en) Pulverization apparatus for eatables trash
CN205435911U (en) Food rubbish processor
CN201442003U (en) Household kitchen waste processing system
KR101074349B1 (en)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KR20100133772A (en) 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KR19980046647A (en) Juicer juicer (Juicer)
CN103041899A (en) Stainless steel household garbage treating device
CN2396890Y (en) Domestic sink wastes crushing machine
CN213268160U (en) Handle kitchen garbage&#39;s breaker
CN101139848A (en) Toilet cleaning equipment
CN210529853U (en) Novel kitchen garbage disposer and grind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