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7663A -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7663A
KR20100107663A KR1020090025855A KR20090025855A KR20100107663A KR 20100107663 A KR20100107663 A KR 20100107663A KR 1020090025855 A KR1020090025855 A KR 1020090025855A KR 20090025855 A KR20090025855 A KR 20090025855A KR 20100107663 A KR20100107663 A KR 20100107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igital door
unlock
input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45103B1 (en
Inventor
배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Priority to KR102009002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103B1/en
Publication of KR2010010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4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a proximity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PURPOSE: A digital door-lock with the enhanced security and a method for relea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digital door-lock due to external intrusion by complicating releasing conditions for the digital door-lock. CONSTITUTION: A driving motor(308) drives a dead bolt. A controller(218) controls the driving motor. The controller determines a releasing condition u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releasing inputs. If the releas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controller drives the driving motor and release a digital door-lock.

Description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이 있어야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침입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보안 기능을 향상시킨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device. In particular, the digital door lock is unlocked by at least two unlocking inputs, thereby preventing the digital door lock from being released by external intrusion, and thus improving the security function. It is about a method.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각종 건축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는데, 문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조립체, 문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조립체, 및 모티스(mortise)를 구비한다. 외측 조립체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며, 이러한 키패드는 슬라이딩 덮개에 의해 덮여 있다. 슬라이딩 덮개는 통상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딩 덮개가 위쪽 방향으로 미끄러지면 키패드가 외부에 노출된다. 모티스는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데드볼트,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모티스는 문의 안쪽 면에 또는 문 속의 벽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내측 조립체에는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해 모티스를 가동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한다. In general,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in the doors of various buildings, and includes an outer assembly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 inner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door, and a mortise. The outer assembly has a keypad for keying the user, which is covered by a sliding cover. The sliding cover generally has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keypad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liding cover slides upward. Mortis has a dead bolt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dead bolt. Mortis can be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or on a part adjacent to the wall in the door. The inner assembly is provided with buttons for moving the mortis to lock and unlock the door.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는 기존의 기계식 도어록에 비해 엄격한 출입통제 기능을 제공하며,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나, 지문인식기, 카드리더 등과 같은 출입인증수단을 구비하여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반면에,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디지털 도어록에 접촉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The digital door lock device provides a strict access control func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 and provides a high security by having access authentication means such as a keypad for inputting a password, a fingerprint reader, a card reader,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easily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by pressing a button or touching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to the digital door lock,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털 도어록의 편의성을 악용하는 범죄가 최근 증가한다. 특히, 철제 도어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서 구멍을 통해 가는 철사를 삽입하고, 삽입된 철사를 이용하여 도어 내측의 디지털 도어록 본체에 위치한 해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용이하게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범죄가 증가한다. 이러한 범죄를 방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 쉽지 않다. 우선, 드릴로 철제 도어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매우 짧은 순간에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개인용 공구의 성능이 발달하고 많이 보급되면서 누구나 손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두 번째는 가느다란 철사를 삽입시킬 정도의 작은 구멍만 뚫으면 범죄가 가능하기 때문에, 범죄를 저지른 이후에도 스티커 등으로 구멍을 은폐하기가 쉽기 때문에 침입 사실을 알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된 디지털 도어록의 장점을 악용하는 범죄에 대해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은 거의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However, crimes that exploit the convenience of such digital door locks have recently increased. In particular, by inserting a wire going through the hole by drilling a hole in the iron door, using the inserted wire to increase the crime of easily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by pressing the unlock button located on the digital door lock body inside the door. Preventing these crimes is not easy for two reasons. First of all, the drilling of the steel door with a drill is made in a very short time. In particular, as the performance of the personal tool is developed and widely distributed, anyone can drill holes easily. The second is that it is not easy to know the intrusion because it is easy to cover the hole with a sticker even after committing a crime, because a small hole enough to insert a thin wire can be used for a crime.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is almost defenselessly exposed to crime which exploits the advantages of the digital door lock develop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그러므로, 외부에서 철제 문을 강제로 파괴하거나 철제 문에 구멍을 뚫고서내측의 디지털 도어록 본체의 해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범죄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door lock that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crime of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by forcibly destroying the iron door from the outside or by drilling a hole in the iron door and pressing the release button of the inner digital door lock body.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강제로 철제 문에 구멍을 뚫고 가느다란 공구를 삽입하더라도, 이러한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해정되지 않는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door lock which is not easily unlocked by using such a tool even if a small tool is drilled out of the steel door by forc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이 동시에 존재하여야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도록 해정 조건을 까다롭게 설정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의 강제 해정을 방지함은 물론, 소중한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the unlocking conditions so that the digital door lock is unlocked only when at least two unlocking inputs exist at the same time, thereby preventing the forced unlocking of the digital door lock, as well as protecting the valuable life and property.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데드 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의 조합으로서 해정 조건을 결정하고, 해정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은 인체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해정 조건은 센서의 센서 입력 및 스위치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은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해정 조건은 스위치들의 스위치 입력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은, 저주파(LF) 신호를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 송신하기 위한 저주파 안테나,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부터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안테나 및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에 따라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인증하며, 해정 조건은 인증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 입력 및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이 내장된 하드웨어 스마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digital door lock including a drive motor for driving a dead bol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i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unlocking input conditions unlock conditions; Determining and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by driving the drive motor when all the unlocking conditions are satisfied. In particular,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human body approach and a switch switched by the user, and the unlocking condition may be a combination of a sensor input of the sensor and a switch input of the switch. Alternatively,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two switches, and the unlocking condition may be a combination of switch inputs of the switches. Alternatively,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 frequency antenna for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LF) signal to a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a radio frequency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from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and a user. And a switch switched by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chanism when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and the unlock condition is the input of the radio frequency signal input and the user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ed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It can be a combination of switch inputs. Preferably,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ware smart key is embedded wit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chanism.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의 조합으로서 해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해정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해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해정 입력의 수신이 감지되면, 나머지 해정 입력들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해정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디지털 도어록의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구동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해정 조건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및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해정 조건은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들의 스위치 입력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해정 조건은 인증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및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이며,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이 내장된 하드웨어 스마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determining a unlocking condition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unlocking input, receiving at least one unlocking input of the unlocking condition, receiving at least one unlocking input If it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remaining unlocking inputs are received, and if the unlocking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igital door lock unlocking comprising the step of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by driving the moto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ead bolt of the digital door lock It is about a method. In particular, the unlock cond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sensor input and the user's switch input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Preferably, the unlock condition is a combination of switch inputs of at least two switches. Alternatively, the unlock condition is a combination of a sensor input for detecting the access of the authenticated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and a switch input of the user, wherein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is a hardware smart key in whic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chanism is embedded.

본 발명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이 동시에 존재하여야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느다란 철사와 같은 조악한 기구로는 더 이상 디지털 도어록을 쉽게 해정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소중한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unlocked only when at least two unlocking inputs exist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door lock can no longer be easily unlocked by a coarse device such as a thin wire as in the related 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tect valuable life and property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효과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implemen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은, 적어도 두 가지 해정 입력이 한꺼번에 수신될 경우에만 해정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하나의 버튼 입력만 있으면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이 향상된다. The digital door lock unloc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unlock condition is satisfied only when at least two unlock inputs are received at once. Therefore, since only one button input can prevent the digital door lock from being unlocked as in the related art, the security of the digital door lock is improved.

우선,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으로 구성되는 해정 조건을 결정한다(S110). 본 명세서에서 해정 입력이란 디지털 도어록의 해정을 위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해정 입력에는 해정 버튼이 눌린 경우의 버튼 입력, 사람이 디지털 도어록에 근접하였음을 나타내는 근접 센서의 센서 입력, 인체가 접촉함에 따라서 변경되는 임피던스를 가지는 터치 센서의 센서 입력, 및 스마트 키와 같은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이 디지털 도어록에 접근되는 것을 나타내는 센서 입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해정 조건이란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키기 위한 조건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해정 조건은 터치 센서의 센서 입력 및 해정 버튼의 버튼 입력이 모두 수신될 경우일 수 있다. 또는, 해정 조건은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가 근접하였음을 나타내는 센서 입력 및 해정 버튼의 버튼 입력이 모두 수신될 경우일 수 있다. 다양 한 해정 조건에 대해서는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First, a unlocking condition consisting of at least two unlocking inputs is determined (S11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lock input indicates an input signal input for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For example, the unlock input includes a button input when the unlock button is pressed, a sensor input of a proximity sensor indicating that a person is close to the digital door lock, a sensor input of a touch sensor having an impedance that changes according to human contact, and a smart key. Sensor input indicating that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such as an access to the digital door lock,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lock condition is a condition for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and includes at least two unlock inputs. For example, the unlock condition may be a case where both a sensor input of a touch sensor and a button input of a unlock button are received. Alternatively, the unlock condition may be when both a sensor input indicating that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is in proximity and a button input of the unlock button are received. Various unlocking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해정 조건이 결정되면 해정 입력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S120). 해정 입력 중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해정 입력이 사전 결정된 해정 조건 중 하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만일 해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된다면, 해정 조건의 나머지 해정 입력을 수신한다(S140). 반면에, 수신된 해정 입력이 사전 결정된 해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다시 다른 해정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복귀한다. 다른 해정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해정 입력이 나머지 해정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판단 결과 모든 해정 조건이 동시에 만족된다면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된다(S160). 반면에, 모든 해정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다면, 다시 처음으로 복귀하여 해정 입력을 수신한다. When the unlock condition is determined, the device waits until the unlock input is received (S120). When one of the unlock inputs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unlock inputs satisfy one of the predetermined unlock conditions (S130). If one of the unlock conditions is satisfied, the other unlock input of the unlock condition is received (S140). On the other hand, if the received unlock input does not satisfy the predetermined unlock condition, it returns to receiving another unlock input again. When another unlock input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unlock input satisfies all remaining unlock conditions (S150). If it is determined that all unlock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door lock is released (S160). On the other hand, if all of the unlock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the process returns to the beginning and receives the unlock inpu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은 적어도 두 가지 해정 입력이 동시에 만족되는 경우에만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철제 도어를 파손하고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기가 힘들다. 그 이유는, 드릴을 이용하여 뚫은 좁은 구멍을 통하여 얇은 철사를 진입시키더라도, 하나의 버튼 입력만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 동시에 여러 개의 해정 입력을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을 이용하면 디지털 도어록이 범죄자에 의해 강제로 해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향상된다. As shown in Fig. 1, the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gital door lock to be released only when at least two unlock inputs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orcibly break the iron door from outside and release the digital door lock. The reason is that even if a thin wire enters through a narrow hole drilled using a drill, only one button input can be generated, and several unlock inputs cannot be genera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by using the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door lock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forcibly released by a criminal, thereby improving security.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은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의 일 예로서 스마트 키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은 전방 유닛(10), 메인 유닛(20) 및 모터(308)를 포함한다. 전방 유닛(10)은 문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조립체에 구비되며, 메인 유닛(20)은 문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조립체에 구비된다.The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2 can be used with a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2 shows a smart key as an example of a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The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2 includes a front unit 10, a main unit 20, and a motor 308. The front unit 10 is provided in an outer assembly installed outside the door, and the main unit 20 is provided in an inner assembly installed inside the door.

프론트 유닛(10)은 저주파 안테나(102), 리셋 스위치(104), 발광다이오드(LED) 부(106), 동작 모드 설정부(108),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110), 및 무선 주파수(RF) 안테나(112)를 구비한다. 저주파 안테나(102)는 저주파수의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이용되며, 저주파 안테나 구동부(204)에 의하여 구동된다. LED 부(106)는 동작 모드 설정부(108) 또는 키패드(110) 상의 키가 눌러지면 LED들(미도시)을 점등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설정부(108)는 디지털 도어록의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도어록이 수동 모드에서 동작한다면,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터치할 때 디지털 도어록이 스마트 키의 검색 동작을 시작한다. The front unit 10 includes a low frequency antenna 102, a reset switch 104, a light emitting diode (LED) unit 106, an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08, a keypad 110 for key input, and a radio frequency (RF). ) An antenna 112. The low frequency antenna 102 is used to generate a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 signal and is driven by the low frequency antenna driver 204. The LED unit 106 may light LEDs (not shown) when a key on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08 or the keypad 110 is pressed. The operation mode setting unit 108 is selectively provided to selectively activate various functions of the digital door lock. For example, if the digital door lock operates in the manual mode, when the user touches the keypad 110, the digital door lock starts a search operation of the smart key.

저주파 안테나(102)는 외측 조립체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덮개의 안쪽 표면에 고정된다. 저주파 안테나(102)는, 페라이트(ferrite) 안테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34.2kHz의 저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안테나(102)는 0.7m 내지 1m의 유효 발신거리를 가진다. The low frequency antenna 102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ing cover which constitutes the outer assembly. The low frequency antenna 102 may be implemented by a ferrite antenna and may generate a low frequency signal of 134.2 kHz, for example. In general, the low frequency antenna 102 has an effective transmission distance of 0.7 m to 1 m.

무선 주파수(RF) 안테나(112)는 헬리컬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안테나(112)는 약 315 MHz의 주파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유닛(10)은 9V의 비상전원을 위한 단자들(116)도 구비한다. 비상전원 단자들(116)은,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배터리가 완전 방전 등에 의해 장치 동작 전력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도어록을 임시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 외부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단자들이다.The radio frequency (RF) antenna 112 may be a helical antenna. For example, the radio frequency antenna 112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a frequency of about 315 MHz. The front unit 10 also has terminals 116 for emergency power of 9V. The emergency power terminals 116 are terminals for enabling the external battery to be used to temporarily operate the digital door lock in a situation where the internal battery of the digital door lock cannot supply the device operating power by a complete discharge or the like.

메인 유닛(20)은 전력관리부(202), 저주파 안테나 구동부(204), RF 수신기(206), 터치 센서(SENSOR), 푸시 버튼(PUSH),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 내부 강제 잠금 스위치(212), 버저(buzzer, 214), 모터 구동부(216), 및 제어부(218)를 구비한다. 직류 6V의 배터리(220)가 연결되는 전력관리부(202)는 디지털 도어록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제공한다. 또는, 전력 관리부(202)는 외부로부터 직접 DC 전원을 수신하여 동작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220V의 상용 전원이 수신되면, 전력 관리부(202)는 이를 6V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구성 요소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unit 20 includes a power management unit 202, a low frequency antenna driver 204, an RF receiver 206, a touch sensor SENSOR, a push button PUSH,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and SW2, and an internal unit. A forced lock switch 212, a buzzer 214, a motor driver 216, and a controller 218 are provided. The power management unit 202 to which the DC 6V battery 220 is connected provides power required by the digital door lock. Alternatively, the power manager 202 may receive DC power directly from the outside to provide operating power. For example, when 220V commercial power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power manager 202 may convert this into a 6V operating power and provide the same to the components of the digital door lock.

저주파 안테나 구동부(204)는 프론트 유닛(10)의 저주파 안테나(102)를 구동하기 위해 이용된다. RF 수신기(206)는 프론트 유닛(10)의 헬리컬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18)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버저(214)는 디지털 도어록의 동작 상태를 소리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모터 구동부(216)는 모터(308)를 구동하여 문을 잠그거나 열기 위한 것이다. 메인 유닛(20)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제어부(218)에 연결되며 제어부(218)의 제어 하에 자신의 기능들을 수행한다.The low frequency antenna driver 204 is used to drive the low frequency antenna 102 of the front unit 10. The RF receiver 206 processes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helical antenna 112 of the front unit 10 and converts the RF signal into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18. The buzzer 214 is used to soundly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gital door lock. The motor driver 216 drives the motor 308 to lock or open the do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mai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18 and performs its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8.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은 터치 센서(SENSOR), 푸시 버튼(PUSH), 및 제 1 및 제2 스위치(SW1, SW2)를 포함하며, 사용자들은 이들을 이용하여 해정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 푸시 버튼 및 스위치들은 반드시 서로 분리되도록 생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하나의 버튼이 터치 센서 및 푸시 버튼으로서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The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2 includes a touch sensor SENSOR, a push button PUSH, and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and SW2, and users may use them to generate unlock inputs. The touch sensors, push buttons and switches shown in FIG. 2 are not necessarily creat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Rather, one button can perform both the functions as a touch sensor and a push butt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A.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18)는 터치 센서, 푸시 버튼, 제1 및 제2 버튼들, 및 스마트 키로부터 수신된 해정 입력들 중 적어도 두 개가 존재하여야만 모터 구동부(216)를 구동시킨다. 외부로부터 강제로 삽입된 공구가 해정 입력들을 동시에 발생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들은 상호 어느 정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218 shown in FIG. 2 drives the motor driver 216 only when there are at least two of the unlock sensors received from the touch sensor, the push button, the first and second buttons, and the smart key. In order that the tool forcibly inserted from the outside cannot simultaneously generate unlocking inputs,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and SW2 shown in FIG. 2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ome extent.

도 2에서, 스마트 키(40)가 디지털 도어록에 근접하면, LF 안테나(102)로부터 송신되는 LF 챌린지 신호가 스마트 키(40)의 MCU(미도시)에 수신된다. 그러면, MCU는 LF 챌린지 신호를 인식하고 RF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한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KEY ID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MCU는 수신된 KEY ID 요청 신호에 포함된 KEY ID가 내부 저장된 KEY ID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동일하다면, MCU는 자신의 KEY ID를 암호화하여 KEY ID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면, MCU는 KEY ID 응답 신호를 디지털 도어록으로 송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스마트 키(40)가 인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된 스마트 키(40)가 디지털 도어록 근처에 존재하면, 이것은 디지털 도어록 근처에 사용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터치 센서(SENSOR), 푸시 버튼(PUSH), 및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 중 어느 하나의 해정 입력만 있더라도 침입자 또는 범죄자에 의해 해정 입력이 생성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키(40)가 디지털 도어록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것을 알리는 센서 입력도 해정 입력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키(40)로부터 수신된 KEY ID 응답 신호가 해정 입력으로서 취급될 수 있다. In FIG. 2, when the smart key 40 is close to the digital door lock, the LF challen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F antenna 102 is received by the MCU (not shown) of the smart key 40. The MCU then recognizes the LF challenge signal, generates an RF confirmation signal, and sends it to the digital door lock. In addition, when the KEY ID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door lock, the MCU determines whether the KEY ID included in the received KEY ID request signal is the same as the internally stored KEY ID. If the same, the MCU encrypts its KEY ID to generate a KEY ID response signal. The MCU then sends a KEY ID response signal to the digital door lock. Through this process, the smart key 40 can be authenticated. If the smart key 40 thus authenticated is present near the digital door lock, this means that the user is present near the digital door lock. Therefore, in this case, even if only the unlock inputs of the touch sensor SENSOR, the push button PUSH, and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SW1 and SW2, the unlock input is not generated by the intruder or criminal. Able to know. Therefore, a sensor input indicating that the smart key 40 exists adjacent to the digital door lock can also be treated as a unlock input. For example, the KEY ID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key 40 can be treated as a unlock input.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에 포함되는 인체 감지 기능이 있는 푸시 버튼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3A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ush button with a human body sensing function included in the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2.

도 3의 푸시 버튼(310)은 스위치(350) 및 센서(370)에 연결된다. 푸시 버튼(310)과 스위치(350) 사이에는 스프링(330)이 존재하여 푸시 버튼(310)이 눌린 후에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Push button 310 of FIG. 3 is connected to switch 350 and sensor 370. A spring 330 is present between the push button 310 and the switch 350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push button 310 is pressed.

인체가 푸시 버튼(310)에 접촉하면, 푸시 버튼(310)이 눌림으로써 푸시 버튼(310)이 스위치(350)와 접촉한다. 그러므로, 스위치(350)로부터 해정 입력 중 하나인 푸시 신호(PUSH)가 발생된다. 또한, 푸시 버튼(310)에 인체가 접촉하면 인체의 임피던스가 스프링(330)을 통해 터치 센서(370)로 전달된다. 따라서, 터치 센서(370)가 인체의 접촉을 나타내는 터치 신호(SENSOR)를 발생한다. When the human body contacts the push button 310, the push button 310 contacts the switch 350 by pressing the push button 310. Therefore, the push signal PUSH, which is one of the unlock inputs, is generated from the switch 350. In addition, when the human body contacts the push button 310, the impedance of the human body is transmitted to the touch sensor 370 through the spring 330. Accordingly, the touch sensor 370 generates a touch signal SENSOR indicating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해정 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푸시 버튼은, 터치 센서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철사 등을 이용하여 푸시 버튼을 누르더라도, 인체가 직접 닿은 것이 아니므로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3, the push button for generating a release input for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grated with a touch sensor. In this case, even if the push button is pressed using a wire or the like from the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is not released because the human body does not directly touch.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푸시 버튼의 동작 조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푸시 신호(PUSH) 및 터치 신호(SENSOR) 중 하나 만이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모터 출력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오직, 푸시 신호(PUSH) 및 터치 신호(SENSOR) 모두가 동시에 활성화되어야만,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것은, 도어 내부에서 사람이 직접 푸시 버튼을 누른 경우에만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기 위해서는 철사 등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으로는 부족하고, 적어도 사람의 손이 직접 철제 문을 관통하도록 충분한 크기로 해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철제 문에 구멍을 내는 작업이 오래 걸리게 되고, 그 과정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죄 시도를 조기에 무산시킬 수 있다.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push button shown in FIG. 3A. Referring to FIG. 3B, it can be seen that the motor output does not occur when only one of the push signal PUSH and the touch signal SENSOR is activated. Only when both the push signal PUSH and the touch signal SENSOR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the motor can be driven. This means that the digital door lock is released only when a person presses the push button directly inside the door. Therefore, in order to unlock the digital door lock, a hole having a size into which a wire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s insufficient, and at least a human hand must be unlocked to a size sufficient to directly penetrate the steel door. Therefore, it takes a long time to make a hole in the iron door, and a lot of nois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so that criminal attempts can be made early.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키기 위한 해정 조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locking condition for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SENSOR는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를 나타내고, PUSH는 푸시 버튼의 센서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SW1 및 SW2는 제1 및 제2 스위치들의 신호를 나타내며, FOB는 스마트 키와 같은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가 디지털 도어록에 근접하였음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나타낸다. SENSOR illustrated in FIG. 4 represents a touch signal of a touch sensor, and PUSH represents a sensor signal of a push button. In addition, SW1 and SW2 represen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nd FOB represent sensor signals indicating that a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such as a smart key is close to the digital door lock.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록이 해정되는 조건은, (SENSOR, PUSH), (PUSH, SENSOR), (SW1, SW2), (FOB, SENSOR), (FOB, PUSH), (FOB, SW1) 및 (FOB, SW2)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돕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해정 조건은 (SENSOR, PUSH, SW1) 이거나, (FOB, SW1, SW2)일 수 있다. 첫 번째 해정 조건은 터치 센서, 푸시 버튼 및 제1 스위치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두 번째 해정 조건은 FOB가 디지털 도어록에 근접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가 모두 활성화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도 4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된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해정 조건이 여러 개의 해정 입력을 포함할수록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 수준이 향상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igital door lock is released include (SENSOR, PUSH), (PUSH, SENSOR), (SW1, SW2), (FOB, SENSOR), (FOB, PUSH), (FOB, SW1) and It can be seen that (FOB, SW2). However, this is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unlocking condition may be (SENSOR, PUSH, SW1) or (FOB, SW1, SW2). The first unlock condition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touch sensor, the push button, and the first switch are activated simultaneously, and the second unlock condition refers to the case where both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are activated while the FOB is close to the digital door lock. .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IG. 4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rovided by way of example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more the unlock condition includes multiple unlock inputs, the more secure the digital door lock i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됨으로써, 디지털 도어록이 외부 침입에 의해 해정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인명은 물론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수준이 향상된 디지털 도어록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igital door lock, thereby preventing the digital door lock from being released by external intrusion, and thus can be applied to the digital door lock with improved security level, which can protect not only life but also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도어록에 포함되는 인체 감지 기능이 있는 푸시 버튼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3A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ush button with a human body sensing function included in the digital door lock shown in FIG. 2.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푸시 버튼의 동작 조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push button shown in FIG. 3A.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키기 위한 해정 조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nlocking condition for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의 조합으로서 해정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unlock condition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unlock inputs; 상기 해정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해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at least one unlock input of the unlock conditions;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해정 입력의 수신이 감지되면, 나머지 해정 입력들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If reception of at least one unlock input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remaining unlock inputs are received; And 상기 해정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 And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by driving a motor driving unit driving the dead bolt of the digital door lock when all of the unlocking conditions are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조건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ease condition is,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및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sensor input and the user's switch input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조건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ease condition is,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들의 스위치 입력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switch inputs of at least two switch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조건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lease condition is, 인증된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및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 A digital door lock relea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sensor input and the user's switch input for detecting the access of the authenticated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of claim 4, wherein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이 내장된 하드웨어 스마트 키이고, Is a hardware smart key with a built-in authentication mechanism,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상기 인증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하드웨어 스마트 키를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해정 방법. And the digital door lock authenticates the hardware smart key using the authentication mechanism.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In the digital door lock, 데드 볼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 및 A drive motor for driving dead bolts and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적어도 두 개의 해정 입력의 조합으로서 해정 조건을 결정하고, Determine a unlock condition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unlock inputs, 상기 해정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And unlocking the digital door lock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when all of the unlocking conditions are satisfi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인체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해정 조건은, It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human body approach and the switch switched by the user, the unlocking condition, 상기 센서의 센서 입력 및 상기 스위치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And a sensor input of the sensor and a switch input of the switch.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The digital door lock comprises at least two switches, 상기 해정 조건은 상기 스위치들의 스위치 입력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And said unlock condition is a combination of switch inputs of said switch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gital door lock, 저주파(LF) 신호를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 송신하기 위한 저주파 안테나; A low frequency antenna for transmitting a low frequency (LF) signal to a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상기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부터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안테나; 및 A radio frequency antenna for receiving radio frequency (RF) signals from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And 사용자에 의하여 절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Includes a switch that is switched by the us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을 인증하며, 상기 해정 조건은, 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chanism when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인증된 상기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입력 및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And a user's switch input and the radio frequency signal input received from the authenticated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개인 식별 유닛은, The portable personal identification unit of claim 9, wherein 소정의 인증 메커니즘이 내장된 하드웨어 스마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ware smart key with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mechanism.
KR1020090025855A 2009-03-26 2009-03-26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KR101045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855A KR101045103B1 (en) 2009-03-26 2009-03-26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855A KR101045103B1 (en) 2009-03-26 2009-03-26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663A true KR20100107663A (en) 2010-10-06
KR101045103B1 KR101045103B1 (en) 2011-06-29

Family

ID=4312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855A KR101045103B1 (en) 2009-03-26 2009-03-26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10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53B1 (en) * 2009-11-06 2013-07-0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Doo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in digital door system
KR101417840B1 (en) * 2013-01-23 2014-07-09 주식회사 아이레보 Secured do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838A (en) * 1993-09-30 1995-04-18 Alpha Corp Operation control device
KR20070114552A (en) * 2006-05-29 2007-12-04 주식회사 젤컴 Digital door lock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653B1 (en) * 2009-11-06 2013-07-08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Doo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in digital door system
KR101417840B1 (en) * 2013-01-23 2014-07-09 주식회사 아이레보 Secured door lock
WO2014116006A1 (en) *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아이레보 Door lock device for preventing unlocking operation by us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103B1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4617A (en) Operator intent based passive keyless vehicle control system
US6144293A (en) Procedure for operating a security system
EP1367200B1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CN101174352A (en) Passive disarming transceiver for security systems
CN106555539A (en) Intelligent anti-theft door based on face recognition technology
KR101952522B1 (en) Auto Door-lock Switchgear and the method
JP2007112341A (en) Vehicle owner authentication device
JP3481835B2 (en) Non-contact type lock control device
KR101045103B1 (en) Digital door lock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of releasing the same
KR100742263B1 (en) A key with detachable rfid,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using thereof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899446B1 (en) Electronic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39701B2 (en) VEHICLE LOCK CONTROL DEVICE AND LOCK CONTROL METHOD
KR20060035951A (en) Registration and deletion method of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to digital door-lock
KR101449437B1 (en) Digital Door Lock having Additional Inter Locking Apparatus
KR101037788B1 (en) Smart key for digital door lock with forceful alarming and locking functions
CN201269027Y (en) Anti-theft door with prizing alarm function
JP2007162310A (en) Electronic key system for house
CN101270630A (en) Anti-theft door with prizing alarm function
JP5107659B2 (en) Electric lock system
JP4560326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device and entrance / exit management method
KR19990086587A (en) Door lock using the remote control
KR101103044B1 (en) Digital door lock with object sens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5849B1 (en) Doorlock having function of radio frequency authentification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authentification of the doorlock
KR20100049991A (en) Digital door lock system with smart key low battery state notification function
US20070179682A1 (en) Sensitive lock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