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672A -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672A
KR20100106672A KR1020090024745A KR20090024745A KR20100106672A KR 20100106672 A KR20100106672 A KR 20100106672A KR 1020090024745 A KR1020090024745 A KR 1020090024745A KR 20090024745 A KR20090024745 A KR 20090024745A KR 20100106672 A KR20100106672 A KR 20100106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root
waterproof layer
evaluating
waterproof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순주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6672A/ko
Publication of KR2010010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耐根性)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근성(耐根性)의 평가 대상이 되는 식물의 정량적인 내근성 평가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식물의 입력된 내근성 평가 조건에 따라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간편하게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를 반복 재현이 가능하도록 하고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옥상녹화, 방수층, 내근층, 내근성(방근성), 지그, 모의침

Description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MEASURING METHOD FOR ROOT RESISTANCE OF WATERPROOFING LAYER}
본 발명은 실제 식물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녹화한 옥상의 방수층의 내근성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옥상녹화가 보급되어 도시 건출물의 많은 곳에서 옥상녹화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보급되고 있는 옥상녹화는 누름 콘크리트층 없이 방수층 위에 직접 경량토양과 함께 식재가 시공되는 녹화방수시스템이다. 이것들은 방수층의 종류에 따라서는 식물의 지하경(地下莖: 땅속줄기) 또는 뿌리가 방수층을 뚫고 들어가는 위험이 생길 수 있다. 본래 방수층에는 지하경 및 뿌리의 침입력 즉, 근압(根壓)에 대한 저항성으로 내근성이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을 평가하는 시험 방법도 없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보호층과 같은 것이 없는 상태의 최근 시행되고 있는 옥상 녹화시스템에서는 식물의 지하경 및 뿌리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근성 평가를 위한 시험방법에 대한 평가와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관해서는 비교적 신뢰 가능한 시험방법으로 유일하게 독일에서 시험되고 있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내근성 평가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도 실제 식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평가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와 식생이 틀리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먼저 내근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식물의 지하경 또는 뿌리 등이 어느 정도의 힘으로 방수층 또는 내근시트에 침입해 가는지를 알아야 할 필요로부터 식물의 지하경 또는 뿌리 끝부분 등이 방수층 및 내근층 등에 침입할 때의 힘을 평가하기 위해 뿌리의 침입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평가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뿌리가 방수층을 뚫고 들어갈 때의 지하경 및 뿌리의 침입력 즉, 근압(根壓)에 내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 재현이 가능하며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옥상 방수층 및 내근층의 형태에 상관없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에 대한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을 포괄적으로 제공한다.
건축물 옥상의 녹화 부분중 방수층 및 내근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으로써 실제 식물의 지하경 및 뿌리의 침입력, 즉 근압을 측정하여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내근성(耐根性) 평가의 대상이 되는 식물에 대한 간편한 내근성 평가가 가능한 시험 장치(도1 내지 도3)를 제공하는 단계와;
방수층 및 내근층에는 일반부와 시공상 한 장의 시트로 시공을 할 수 없는 관계로 조인트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따른 적절한 내근성 평가 방법 및 그 장치(도4 내지 도5)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옥상녹화 방수층 및 내근층의 내근성(耐根性) 평가의 대상이 되는 식물의 내근성 평가 단계와;
이어서, 식물의 지하경 및 뿌리의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층 및 내근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므로서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은 실제 식물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평가하고자 하는 방 수층을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와;
대상 식물의 뿌리 끝부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모의침을 상기 측정장치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모의침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수층이 견딜 수 있는 대상 식물의 근압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 식물의 뿌리 성장 조건에 부합하는 모의침을 이용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반복적으로 평가 과정을 되풀이 할 수 있고 결국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대상 식물의 근압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침이 상기 방수층을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방수층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것이다. 즉, 모의침이 방수층을 통과할 때까지 모의침과 방수층 사이에는 상대적인 힘이 작용하게 되고, 방수층에 의해 모의침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고, 방수층이 뚫리면서 방수층에 의해 모의침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는 때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방수층의 내근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식물의 근압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모의침이 상기 방수층을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상기 모의침의 변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즉, 방수층에 의해 모의침에 가해지는 반력에 의해 모의침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 이를 측정함으로써 내근성을 알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에 걸리는 힘은 상기 측정장치에 구비된 로드셀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가하고자 하는 방수층을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장치에 구비된 지그에 상기 방수층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의침이 방수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수층의 위치가 변하거나 모의침이 방수층을 통과하지 않고 방수층이 측정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상기 방수층을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수층은 접합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지그에는 상기 접합부분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평면 형태인 방수층뿐만 아니라, 2겹 이상의 방수층이 서로 접합된 부분(조인트부)의 내근성도 평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모의침의 끝부분은 원추형상을 가지고, 끝단의 직경은 대상 식물의 뿌리 끝단의 직경과 동일하며, 원추형상의 높이는 8 mm 내지 12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평가에 사용되는 모의침의 끝부분 형태를 실제 식물의 뿌리 끝단의 형태와 가능한 동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수층 및 내근층은 건축물의 옥상 녹화 시공에 사용되는 내근 시트 또는 방근 시트가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르면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식물의 성장 조건을 이용하여 반복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방수층 및 내근층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층 및 내근층의 형태에 따라 별도의 측정 장치를 구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 조건 또는 성장 환경을 고려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에 따르면 이미 개발이 완료된 방수층의 상품화를 촉진할 수 있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식물의 근압 평가장치에 대해서 살펴 본다.
도 1은 본 발명 식물 뿌리의 근압 평가장치를 도시한 사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 내근성 측정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진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 내근성 측정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식물뿌리의 근압 측정 장치에 따르면, 식물의 내근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 식물을 직접 재배하면서 그 식물의 지하경 또는 뿌리가 방수층을 뚫는 정도 내지 침입력을 관찰한다.
즉, 근압 측정장치(1)는 토양(S) 및 식물(P)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10)을 구비하고, 상기 화분(10)의 일측면에 근압을 평가하는 하중 측정부(20)가 구성된다. 하중 측정부(20)는 상기 화분(10)의 일측벽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부분에 부착한다. 한편, 근압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식물의 뿌리 등이 실제 하중 측정부(20)에 하중을 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화분(10)에는 뿌리 유인부(30)가 형성된다(도2).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 따르면, 화분(10)에는 뿌리통과 구멍(12)이 형성되고, 이 구멍(12)에는 뿌리가 이 구멍(12) 쪽으로 자랄 수 있도록 안내하는 뿌리가이드(11)가 구비된다. 뿌리통과 구멍(12) 앞쪽에는 대략 원추형 모양의 구멍이 형성된 하중판(21)이 부착되고, 하중판(21)의 일측은 하중 측정부(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하중판(21)의 구멍 앞쪽에는 화분과는 별도의 토양으로 형성된 뿌리 유인부(30)가 제공된다.
이러한 식물 뿌리의 근압 측정 장치(1)는 식물의 뿌리(R)가 하중판(21)을 통과하는 때 발생하는 하중을 하중 측정부(20)로 측정함으로써 식물이 방수층을 뚫는 힘, 즉 근압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중판(21) 앞에 별도의 하중판을 구비하고 2개의 하중판 사이에 평가하고자 하는 방수층을 끼워 넣고, 식물의 뿌리(R)가 방수층을 통과할 때 방수층에 걸리는 힘을 하중 측정부(20)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내근성 측정장치(1)는 식물을 직접 키우면서 평가해야 하므로, 식물의 성장에는 약 1년 내지 2년이라는 상당히 긴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식물은 성장 조건 내지 환경에 따라 성장속도, 뿌리의 근압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결과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식의 평가방법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이 밖에도, 방수층 개발 후 내근성 시험에 1년 이상이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방수층의 상용화를 저해하는 악영향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근성 측정장치 및 방법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따라서 하기에 기술한 사항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뿐, 당업자가 설계변경을 통하여 얼마든지 개량할수 있으므로 현저한 효과가 없는 설계변경된 장치와 방법들은 본 발명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의 내근성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 시스템의 내근성 측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근성 측정 장치(100)는 작동부(110), 모의침(140)이 장착되는 척(13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120), 방수층 등 시험편이 고정되는 지그(150) 및 상기 지그(150)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 고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110)의 일측에는 평가시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평가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제어 부(18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180)는 작동부(110)와 별도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도4).
승강부(120)는 작동부(110) 상부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드스크류(11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리드스크류(112)는 작동부(110) 내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111)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리드스크류(112)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별도의 가이드로드(101)가 구비되어 승강부(120)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해 준다.
한편, 승강부(120)의 하단부에는 모의침(140) 및 척(13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135)이 부착된다.
상기 도4에 도시된 제어부(180)에는 내근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식물의 성장 조건을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즉, 주로 평가하는 식물의 뿌리 성장 속도, 뿌리의 크기 등을 평가할 때마다 상기 제어부(180)에 입력할 수도 있지만, 가능한 많은 식물에 대한 성장 조건을 데이터 베이스화 한 후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성장 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근압이 커서 옥상 녹화 시스템에서 방수층의 파손 문제를 일으키는 잔디 또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대나무인 조릿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성장 조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1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그(150)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방수층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방수층은 내근 시트 또는 방근 시트로서 평면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방수층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 의 지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평면 형태가 아닌 방수층을 고정해야 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면, 2겹 이상의 방수층을 접합한 경우, 접합부의 내근성을 평가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내근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수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 및 도 6b에 따른 방수층의 내근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방수층(170)은 2개의 시트(170')가 접합된 부분(172)을 가지고 있다. 식물 뿌리(R)는 수분이 존재하는 곳을 향하여 성장하는 특성을 가지는데, 다른 부분 보다 접합 부분(172)을 통하여 수분이 스며들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실제 옥상 녹화시스템에서는 접합부분으로 뿌리가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방수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방수층의 접합부분에 대해서도 내근성을 시험 또는 평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접합부분을 가진 방수층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지그가 필요하다.
도 7a에 도시된 지그(150)는 방수층(170)의 접합부분(172)이 모의침(140) 아래에 위치하도록 방수층(17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그(150)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몸체(151), 몸체의 일단에 부착되어 방수층을 고정하는 고정편(152) 및 몸체(151)의 사이에 형성되어 방수층(170) 또는 모의침(140)이 위치할 수 있는 투과공(1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51)의 상단은 방수층의 접합부분(172)이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대략 6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몸체(151) 상단의 각도는 테스트 조건 또는 방수층의 물성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내근성 측정 장치(100)에 장착되는 모의침(140)은 식물의 뿌리(R)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뿌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의침을 교체하여 측정 장치(10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방수층(170')은 평평한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식물 뿌리(R)가 직접 방수층(170')의 평평한 부분을 뚫고 들어갈 수도 있다.
따라서, 방수층의 일반적인 평평한 부분에 대해서도 내근성을 시험 또는 평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접합부분을 가진 방수층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지그가 필요하다.
도 7b에 도시된 지그(158)는 방수층(170')의 평평한 부분이 모의침(140) 아래에 위치하도록 방수층(17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그(158)는 상부 지그(155) 및 하부 지그(156)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지그(155,156) 사이에 방수층(170')을 위치시킨 후, 볼트(157)로 방수층(17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내근성을 시험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따른 측정 장치에 사용되는 모의침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모의침(140)은 내근성 측정 장치(100)의 척(130)에 물리는 몸통부(141) 및 실제로 방수층을 통과하는 부분인 단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서 몸통부(141)와 단부(143)는 원추부(142)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 원추부(142)의 높이는 8밀리미터 내지 12밀리미터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추부(142)의 높이는 평가된 근압 또는 내근성의 정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원추부(142)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한 직후에도 모의침(140)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힘이 근압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원추부(142)의 높이가 너무 길면 모의침(14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원추부(142) 높이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의침(140)의 단부(143)는 식물의 뿌리 중 가능하면 잔뿌리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부(143)를 무조건 뾰족하게 형성하기 보다 실제 뿌리의 형태를 상정하여 직경이 대체로 0.1에서 0.5mm가 되는 원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수층(170)은 주재료가 고분자 재료이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즉,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작은 근압 내지 힘에 의해서도 방수층이 관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제 조건을 고려하여, 내근성 측정 장치(100) 또는 방수층(170)을 고정하는 지그(150)에 히팅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80)를 이용하여 실제 조건에 부합하는 온도로 히팅장치를 가열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근성 측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본다.
도 9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 시스템을 사용한 내근성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은 크게 내근성(耐根性) 평가의 대상이 되는 식물의 내근성 평가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S100)와; 입력된 식물의 내근성 평가 조건에 따라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식물의 내근성 평가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는 대상 식물에 따른 뿌리의 성장속도, 뿌리의 온도 또는 뿌리 끝부분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실제 식물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식물의 내근성 평가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S100)는 평가시 마다 해당 식물에 따른 평가 조건을 제어부(180)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주로 평가하는 식물의 평가 조건을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만들어서 제어부(180)에 입력한 후 평가시 마다 필요로 하는 식물의 데이터를 뽑아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S200)는 평가하고자 하는 방수층(170)을 측정장치(100)에 제공하는 단계(S210), 대상 식물의 뿌리 끝부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모의침(140)을 측정장치(100)에 장착하는 단계(S220), 대상 식물에 따른 뿌리의 성장속도를 측정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입력하는 단계(S230), 모의침(140)을 하강시키는 단계(S240) 및 방수층(170)이 견딜 수 있는 대상 식물의 근압을 평가하는 단계(S2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 식물의 뿌리 성장 조 건 또는 성장 속도에 부합하는 모의침을 이용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반복적으로 평가 과정을 되풀이 할 수 있고 결국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모의침(140)을 하강시키는 단계(S240)는 대상 식물의 뿌리 성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모의침(140)을 하강시키면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식물에 있어서 근압은 뿌리에 의해 방수층에 가해지는 힘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뿌리의 성장 속도에 따라 방수층에 가해지는 힘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여기서, 대상 식물의 근압을 평가하는 단계(S250)는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하기 직전에 방수층(170)에 걸리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된다.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할 때까지 모의침(140)과 방수층(170) 사이에는 상대적인 힘이 작용하게 되고, 방수층(170)에 의해 모의침(140)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고,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하면 방수층(170)에 의해 모의침(140)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는데 이 때 또는 이 직전의 힘을 측정함으로써 방수층(170)의 내근성을 알 수 있다. 즉,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에 접촉하는 순간부터 모의침(140)에는 하중이 걸리게 되고, 이 하중은 대략 증가하게 된다.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하기 직전에 모의침(140)에 걸리는 하중은 최대가 되고, 이 최대인 하중을 이용하여 방수층(170)의 내근성을 알 수 있다.
대상 식물의 근압을 평가하는 단계(S250)는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의침(140)의 변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방수층(170)에 의해 모의침(140)에 가해지는 반력에 의해 모의침(140) 이 휘어지거나 압축되는 등 그 형태가 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모의침(140)에 걸리는 하중을 로드셀(135)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하고자 하는 방수층(170)을 측정 장치(100)에 장착하는 단계(S210)는 측정장치(100)에 구비된 지그(150)에 방수층(170)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의침(140)이 방수층(1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방수층(170)이 초기위치에서 벗어나거나 모의침(140)에 의해 방수층(170)이 밀리면서 방수층(170)이 평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방수층(170)을 측정장치(100)에 장착하는 단계(S210)에서 방수층(170)은 접합부분(172)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그(150)에는 접합부분(172)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평면 형태인 방수층뿐만 아니라, 2겹 이상의 방수층이 서로 접합된 부분의 내근성도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근성 측정장치(100) 및 도9에 따라 설명한 평가 방법은 건물의 옥상 녹화 시공에 사용되는 내근 시트 또는 방근 시트 등의 방수층의 내근성 또는 방근성을 평가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근성 평가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내근성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옥상 녹화용 방수층 의 내근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실제 식물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물옥상녹화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식물 뿌리의 근압 측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 내근성 측정 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본 발명 내근성 측정 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근성 측정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 시스템의 내근성 측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내근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내근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수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a 및 도 6b에 따른 방수층의 내근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본 발명 시스템의 내근성 측정 장치에 사용되는 모의침을 확대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한 내근성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내근성 측정 장치 110 : 작동부
120:승강부 130 : 척
140 : 모의침 150:지그
160 : 지그 고정부 170: 제어부

Claims (13)

  1. 건축물 옥상 녹화 식물의 내근성(耐根性) 평가의 대상이 되는 식물의 내근성 평가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S100)와;
    상기 입력된 식물의 내근성 평가 조건에 따라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평가하고자 하는 방수층을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210);
    대상 식물의 뿌리 끝부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모의침을 상기 측정장치에 장착하는 단계(S220);
    대상식물의 뿌리의 성장속도를 입력하는 단계(S230);
    상기 모의침을 하강시키는 단계(S240); 및
    상기 방수층이 견딜 수 있는 대상 식물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S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식물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 계(S200)는 상기 모의침이 상기 방수층을 통과하기 직전에 상기 방수층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식물의 내근성을 평가하는 단계(S200)는 상기 모의침이 상기 방수층을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상기 모의침의 변위 및 힘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고자 하는 방수층을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210)는,
    상기 측정장치에 구비된 지그에 상기 방수층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침의 끝부분은 원추형상을 가지고, 끝단의 직경은 대상 식물의 뿌리 끝단의 직경을 모의한 것으로, 모의 바늘 끝부분 직경이 0.3 mm 내지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을 측정장치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수층은 접합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지그에는 상기 접합부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 방법.
  8.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에 있어서, 작동부(110), 모의침(140)이 장착되는 척(130), 상기 척을 승강시키는 승강부(120), 방수층이 고정되는 지그(150), 상기 지그를 고정하는 지그고정부(16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옥상 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9. 제8항의 장치에 작동부(110)의 일측에 제어부(180)가 더 구비된 내근성 평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20)는 작동부(110) 상부에 수직으로 제공된 리드스크류(112)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작동부(110)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11)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특징인 내근성 평가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120)의 하단에는 모의침(140) 및 척(130)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135)이 부착된 것이 특징인 내근성 평가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침(140)은 척에 물리는 몸통부(141), 단부(143), 원추부(142)를 일체로 성형된 것이 특징인 내근성 평가장치.
  13.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침(140)의 단부(143)는 직경이 0.1~0.5mm인 것이 특징인 내근성 측정장치.
KR1020090024745A 2009-03-24 2009-03-24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KR20100106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45A KR20100106672A (ko) 2009-03-24 2009-03-24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45A KR20100106672A (ko) 2009-03-24 2009-03-24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672A true KR20100106672A (ko) 2010-10-04

Family

ID=4312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45A KR20100106672A (ko) 2009-03-24 2009-03-24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66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0981A (zh) * 2011-10-11 2012-04-11 弭明新 测定沥青类防水材料耐根穿刺的装置及方法
CN105738569A (zh) * 2016-02-04 2016-07-06 广州大学 一种快速测定防水材料耐根穿刺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0981A (zh) * 2011-10-11 2012-04-11 弭明新 测定沥青类防水材料耐根穿刺的装置及方法
CN102410981B (zh) * 2011-10-11 2012-12-26 弭明新 测定沥青类防水材料耐根穿刺的装置及方法
CN105738569A (zh) * 2016-02-04 2016-07-06 广州大学 一种快速测定防水材料耐根穿刺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5738569B (zh) * 2016-02-04 2019-04-09 广州大学 一种快速测定防水材料耐根穿刺的试验装置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schet et al. A starting guide to root ecology: strengthening ecological concepts and standardising root classification, sampling, processing and trait measurements
CN105072889B (zh) 用于测量植物生长条件的装置及方法
KR20100106672A (ko) 옥상녹화용 방수층의 내근성 평가장치
CN102253182A (zh) 炎热多雨气候影响下深部土体胀缩变形的监测方法
CN113642269B (zh) 精准灌溉方法及灌溉系统
Capobianco et al. Wetting–drying response of an unsaturated pyroclastic soil vegetated with long-root grass
CN107271638A (zh) 一种可传输并存储数据的土壤检测仪
KR20170122628A (ko) 반자동식 멀칭비닐 재식공 천공기
CN105572024A (zh) 喀斯特地区土壤环境下碳酸盐岩溶蚀速率实验装置
CN205491709U (zh) 一种烤烟移栽打孔器
CN109239027B (zh) 一种作物生理性缺水诊断方法及系统
CN104729931B (zh) 一种玉米茎杆抗倒伏力测试仪
JPWO2017002321A1 (ja) 植物育成装置
CN206380364U (zh) 一种可控制基质不同深度供水条件的沙培种植装置
CN107295957B (zh) 一种农田灌溉指示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921962U (zh) 播种用打孔装置
Fraisse et al. Evaluation of Crop Models to Simulate Site‐Specific Crop Development and Yield
CN205857254U (zh) 沉管隧道基础灌砂管底压力监测系统
CN206713646U (zh) 水分传导式精准型沙漠植苗工具
CN203642854U (zh) 一种测土壤深度的钻杆
JP2000333514A (ja) 移植機の植え付け爪
CN104330058B (zh) 一种利用植物冠层分析仪测定叶面积指数的校正方法
CN106353481A (zh) 一种种植土壤pH值多点检测方法
CN106018017A (zh) 一种砂土地基模型试验中的砂土地基模型的制备方法
CN110140645A (zh) 一种探针式土壤水分传感器的埋设辅助装置及其埋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3

Effective date: 2011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