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598A -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598A
KR20100104598A KR1020090023127A KR20090023127A KR20100104598A KR 20100104598 A KR20100104598 A KR 20100104598A KR 1020090023127 A KR1020090023127 A KR 1020090023127A KR 20090023127 A KR20090023127 A KR 20090023127A KR 20100104598 A KR20100104598 A KR 20100104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jection
call
user interface
ic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168B1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2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1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04M3/42374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려는 안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호 착신 시 상기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착신거절

Description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screening}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착신거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 착신 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착신을 거절함과 동시에 착신거절과 관련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화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나 모바일 인터넷,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착신거절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들 중에서 착신거절 서비스(Call Screening Service)는 사용자가 전화를 받고 싶지 않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가 착신 호를 거절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착신거절 과정은 호 착신 시 착신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착신 거절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와,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메시지로는 일반적으로 음성 메시지가 사용된다.
음성 메시지 전송 후,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신거절에 대한 음성 메시지가 발 신 단말기로 전송된 후, 착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예를 들어, '회의 중', '운전 중', '식사 중', '영화 관람 중' 등과 같이, 착신거절 사유와 관련된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되는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항목들 중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착신거절 방법은 착신거절이나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안내로, 단지 음성 메시지나 문자 메시지만이 전송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려는 경우 별도의 조작을 요구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신거절 시, 음성 메시지나 문자 메시지 외에도 착신거절과 관련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간단한 메뉴 조작만으로도 착신을 거절함과 동시에 착신거절과 관련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려는 안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호 착신 시 상기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방법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려 는 안내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 착신 시 상기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착신거절과 관련된 안내로서, 음성 메시지나 문자 메시지 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안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착신거절 시, 간단한 메뉴 조작만으로도 착신을 거절함과 동시에 착신거절과 관련된 안내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기 및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말기는 이동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서, 호를 발신하는 발신 단말기와 호를 수신하는 착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단말기는 위치 영역(Local Area)에 대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위치 영역이란 단말기가 위치 등록을 하는 지리적인 한계를 의미한다. 위치 영역은 이동 통신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최소 단위는 서비스 영역(coverage)이다. 위치 영역은 각각의 기지국 범위일 수도 있고, 인접한 수 개의 기지국들 범위의 조합일 수도 있으며, 넓게는 하나의 이동 교환기가 관장하는 모든 기지국 범위일 수도 있다. 착신 단말기로 호 연결이 시도될 때에는 착신 단말기를 찾는 호출 신호(paging)가 위치 영역 내의 모든 기지국에서 방송된다.
착신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착신거절 장치는 착신 단말기의 일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착신 단말기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착신거절 장치는 착신 단말기로 수신된 착신 호를 거절함과 동시에 착신거절과 관련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착신거절 장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망은 회선교환망(Circuit Service, 10) 및/또는 패킷교환망(Packet Service, 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선교환망(10)은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서, 회선교환망(10)에서는 사용자 간에 통화를 위한 통신 회선이 설정되면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통화에 관련되는 사람들에게만 회선이 전용으로 할당된다. 이에 비하여, 패킷교환망(20)은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고, 패킷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로 해당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
전술한 회선교환망(10)은 기지국(110), 무선망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 120), 이동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 130),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50), 및 게이트웨이 이동 교환기(GMSC: Gateway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1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110)이 관리하는 영역(Cell) 내의 단말기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110) 안의 무선 채널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과 같은 용어로 불릴 수도 있다.
RNC(120)는 기지국(110)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NC(120)는 단말기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110)에게 지시하고, 기지국(110)의 송신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는 기지국 간을 이동하는 단말기에 대한 핸드오프(hand off)를 지원할 수도 있다.
MSC(130)는 '음성교환기'라고도 불릴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RNC(120)와 연결되어,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 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MSC(130)는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SSP)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외부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SC(130)는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 VLR)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GMSC(140)는 이동 통신망과 외부 망(예를 들면, PSTN, ISDM)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외부 망으로부터 이동 통신망으로 인입되는 호 및 트래픽, 그리고 이동 통신망에서 외부 망으로 출력되는 호 및 트래픽은 GMSC(140)에 의해 포워딩될 수 있다.
HLR(150)은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착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의 주소, MSC(130) 주소, 상태 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 정보를 요구하는 시스템에게 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HLR(150)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 등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받는데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있다 가, 필요한 경우에 MSC(130)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 Visitors Location Register)로 전달하여, 해당 가입자가 부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준다.
한편, 패킷교환망(20)은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160),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170), 패킷 데이터 스위칭 노드(PDSN: Packet Data Switching Node, 180), 및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노드(PDGN: Packet Data Gateway Node, 19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SGSN(160) 및 GGSN(170)은 비동기식 망(예를 들어, W-CDMA, UMTS, GPRS 등)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장비들이다. 그리고 PDSN(180) 및 PDGN(190)은 동기식 망(예를 들어, CDMA2000에 기초한 3GPP2 규격의 이동 통신망)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비들이다.
SGSN(160)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위하여 단말기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GGSN(170)은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패킷교환망과 인터넷 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DSN(180)은 SGSN(16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가 패킷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필요한 인증 및 허가, 패킷 라우팅(packet routing), 이동성 보장을 위한 핸드오버(handover), QoS, 계산(accounting) 등을 담당한다. PDSN은 MSC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다루며, 단말기에 IP를 할당해 주거나, 무선 인터넷 연결 작업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PDGN(190)은 GGSN(170)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거절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출력부(220), 무선 통신부(25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60), 제어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이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는 하나 이상의 버튼이나 키 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버튼이나 키 패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사용자의 요청이나 명령을 처리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신 단말기(21)로부터 호가 착신되는 경우, 벨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21)의 전화번호나 착신거절과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20)는 액정 표시 화면(Liquid Cristal Display; LCD)과 같은 영상 표시 수단 및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와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입력부(210)와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250)는 착신거절 장치(200)와 이동 통신망 간에 제어 신호 송수신 또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5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테나 및 베이스 밴드(base band)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예로는 개인용 컴퓨터나 다른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착신거절 장치(2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이나 명령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착신거절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이를 출력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0)는 착신거절 방법을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나, 호 착신 시 기 설정된 착신거절 방법에 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부(240)는 착신거절 장치(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 사용자가 설정한 각종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착신거절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착신거절 방법을 설정하려는 경우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300)를 예시한 도면이다. 착신거절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착신거절 방법들에 대한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착신거절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입력부(210)와 출력부(220)가 하드웨어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10)에 구비된 버튼이나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착신거절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입력부(210)와 출력부(220)가 터치스크린과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는 나열된 항목들 중에서 원하는 착신거절 방법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200)는 착신거절 방법으로서, 착신거절에 대한 음성 메시지(이하,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라 한다)만을 전송하는 방법,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 전송 후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 전송 후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착신거절 방법으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만을 전송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호 착신 시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기(21)의 전화번호와, 착신 거절을 실행하는 거절 아이콘(410)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4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유저 인터페이스(400)에서 거절 아이콘(410)이 선택되면,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예를 들어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라는 내용의 음성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된다. 이 때,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는 착신거절 장치(200) 내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음원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녹음한 음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착신거절 방법으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 전송 후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호 착신 시에는 마찬가지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4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예 시된 유저 인터페이스(400)에서 거절 아이콘(410)이 선택되면,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거절 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500)가 제공될 수 있다.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500)는 '새로 작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거절사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항목과, '회의 중', '운전 중', '수업 중', '출장 중' 등과 같이 착신거절 사유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500)에서 소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과 관련된 문자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회의 중'이라는 항목(510)이 선택되면, 예를 들어, '지금은 회의 중이어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라는 문자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착신거절 방법으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 전송 후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호 착신 시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4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예시된 유저 인터페이스(40)에서 거절 아이콘(410)이 선택되면,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음성 메시지 녹음을 안내하는 안내 멘트가 발신 단말기(21)로 제공될 수 있다.
착신거절 방법으로서,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라면, 호 착신 시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절 아이콘(610) 및 메뉴 아이콘(620)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6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600)에서 거절 아이콘(610)에 선택되면,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메뉴 아이콘(620)이 선택되면,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70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컨텐츠의 예로는 정지영상, 동영상, 이모티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내 컨텐츠는 착신 단말기(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것일 수도 있고, 이동 통신망과 연결된 컨텐츠 저장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일 수도 있으며, 다른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것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는 사용자가 해당 안내 컨텐츠에 대한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안내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는 해당 안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최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안내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도 있다. 만약 안내 컨텐츠가 착신 단말기(20) 자체에서 생성된 것이라면, 사용자는 생성된 안내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컨텐츠는 내용에 따라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 컨텐츠의 내용의 내용에 따라 업무, 운전, 영화 등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안내 컨텐츠들은 요약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특정 카테 고리를 직접 지정하는 경우에는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에 상관 없이 지정된 카테고리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각 카테고리 별로 안내 컨텐츠가 하나씩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들의 요약 정보 항목이 그대로 나열된 유저 인터페이스(700)가 제공되지만, 하나의 카테고리에 안내 컨텐츠가 다수개 존재할 때에는 도 8과 같이, 다수의 안내 컨텐츠들이 속한 카테고리의 이름이 유저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카테고리의 이름 옆에는 해당 카테고리 내에 다수의 안내 컨텐츠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아이콘(840)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수의 안내 컨텐츠를 포함하는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속한 안내 컨텐츠들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850)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또는 도 8에 예시된 유저 인터페이스(700, 800)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 항목이 선택된 후 전송 아이콘(710, 810)이 선택되면, 선택된 요약 정보 항목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와 함께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유저 인터페이스(800)에서 '회의 중!!'이라는 요약 정보(850)가 선택된 후 전송 아이콘(810)이 선택되었다면,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안내 컨텐츠가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와 함께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 및 안내 컨텐츠의 전송은 요약 정보의 선택이 이루어진 후, 별도의 전송 아이콘(710, 810)이 선택되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고, 요약 정보의 선택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이나 도 8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700, 800)와는 달리,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내 컨텐츠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900)가 거절 아이콘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운전 중'이라는 요약 정보(910)를 선택함과 동시에, 선택된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착신 단말기(20)에서의 착신거절 방법으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 전송 후 안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발신 단말기(21)에서 발생된 호는 회선교환망(10)을 거쳐 착신 단말기(20)로 수신될 수 있다(S11). 여기서, 착신 단말기(20)로의 호 착신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발신 단말기(21)에서 호가 발생하면, 발신 측의 기지국(111)은 발신 단말기(21)로부터 무선 신호를 인지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발신 측의 RNC(121)로 전달한다. 발신 측의 RNC(121)는 착신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통화요청 정보를 발신 측의 MSC(131)로 전달한다. 발신 측의 MSC(131)는 MSC(131) 내의 VLR에게 발신 단말기(21)에 대한 부가 정보(예들 들어, 발신금지 여부, 인증정보 등)을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발신 단말기(21)에 대한 부가 정보를 VLR로부터 제공받는다. VLR로부터 제공받은 부가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 단말기(21)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발신 측의 MSC(131)는 발신 측의 RNC(121)에 통화를 위한 무선 채널 할당을 요청한다. 그러면, 발신 측의 RNC(121)는 통화에 사용할 무선 채널을 결정하고, 발신 측의 기지국(111)에 무선 채널 설정을 요청한다. 그러면, 발신 측의 기지국(111)은 발신 단말기(21)에 대한 통화용 무선 채널을 설정한다. 이 후, 발신 측의 MSC(131)은 착신 단말기(20)가 등록되어 있는 HLR(150)에 착신 단말기(20)의 정보를 요청한다. HLR(150)은 착신 단말기(20)가 위치하고 있는 MSC(130)의 정보를 포함하는 착신 단말기(20) 관련 정보를 발신 측의 MSC(131)에게 전달한다. 발신 측의 MSC(131)는 착신 측의 MSC(130)에 착신 단말기(20)의 전화번호를 통지하여, 호의 연결을 요구한다. 착신 측의 MSC(130)는 MSC(130) 내의 VLR에 착신 단말기(20)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착신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MSC(130) 내의 VLR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기(20)와 관련된 정보를 착신 측의 MSC(130)로 전송한다. 착신 측의 MSC(130)는 착신 단말기(2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 측의 RNC(120)로 착신 단말기(20)에 대한 호 설정을 위한 페이징(paging: 이동 단말기에 착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구역의 RNC를 통하여 단말기를 호출하는 것)을 요청한다. RNC(120)는 착신 단말기(20)와의 호 연결을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착신 측의 기지국(11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착신 측의 기지국(1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착신 단말기(20)를 호출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착신 단말기(20)로 호가 수신되면(S11), 착신 단말기(20)에는 기 설정된 착신거절 방법에 따라,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거절 아이콘(610) 및 메뉴 아이콘(620)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600)가 제공될 수 있다(S12).
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600)가 제공되면, 거절 아이콘(610) 및 메뉴 아이콘(620) 중에서 어떠한 아이콘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 상기 판단 과정은 전술한 제어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600)에서 거절 아이콘(610)이 선택되었다면,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14). 구체적으로, 거절 아이콘이 선택되면, 착신 단말기(20)는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한 후, 트래픽 채널을 연다. 그 다음, 해당 트래픽 채널을 통해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는 회선교환망(10)을 거쳐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600)에서 메뉴 아이콘(620)이 선택되면, 도 7 또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들에 대한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700, 800)가 제공될 수 있다(S15).
도 7 또는 도 8의 유저 인터페이스(700, 800)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 항목이 선택된 후(S16), 전송 아이콘(710, 810)이 선택되면(S17), 선택된 요약 정보 항목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18). 구체적으로, 요약 정보 항목이 선택되면, 착신 단말기(20)는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한 후, 트래픽 채널을 연다. 그 다음, 해당 트래픽 채널을 통해 착신 거절 음성 메시지 및 선택된 안내 컨텐츠를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는 회선교환망(10)을 거쳐 발신 단말기(21)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안내 컨텐츠는 패킷교환망(20)을 거쳐 발신 단말기(21)로 전 송될 수 있다.
한편, 도 7 또는 도 8의 유저 인터페이스(700, 800)와는 다르게, 도 10과 같이, 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들에 대한 요약 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900)가 전송 아이콘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S16) 이후에, 전송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S17)가 생략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착신거절 방법을 설정하려는 경우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착신 시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거절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착신거절 방법으로서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발신 단말기로부터 호 착신 시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안내 컨텐츠 선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안내 컨텐츠 선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신거절 시 발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안내 컨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도 6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 는, 안내 컨텐츠 선택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으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거절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선교환망
20: 패킷교환망
100: 이동 통신 시스템
200: 착신거절 장치
210: 사용자 입력부
220: 출력부
230: 제어부
240: 저장부
250: 무선 통신부
26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
300, 400, 500, 600, 700, 800, 900: 유저 이터페이스

Claims (10)

  1.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려는 안내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호 착신 시 상기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착신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거절 아이콘 및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착신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거절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안내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착신거절 장치.
  5.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려는 안내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 착신 시 상기 호의 착신거절과 관련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요약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선택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컨텐츠 및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거절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텐츠는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컨텐츠 저장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거나, 상기 호를 수신한 착신 단말기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성되는 컨텐츠인, 착신거절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컨텐츠는 정지영상, 동영상,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신거절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는 거절 아이콘 및 메뉴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신거절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거절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호의 착신거절에 대한 안내 정보로서, 상기 착신거절 음성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신거절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안내 컨텐츠의 요약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 가능한, 착신거절 방법.
KR1020090023127A 2009-03-18 2009-03-18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KR101043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127A KR101043168B1 (ko) 2009-03-18 2009-03-18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127A KR101043168B1 (ko) 2009-03-18 2009-03-18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598A true KR20100104598A (ko) 2010-09-29
KR101043168B1 KR101043168B1 (ko) 2011-06-20

Family

ID=4300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127A KR101043168B1 (ko) 2009-03-18 2009-03-18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1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341A (ko) * 2012-10-12 2014-04-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KR20190133920A (ko) * 2018-05-24 2019-12-04 씨앤디아이(주) 스마트 필기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753A (ko) 2014-09-24 2016-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285B1 (ko) * 2003-08-23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거부 방법
KR20050039448A (ko) * 2003-10-25 2005-04-29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신자 번호 표시 및 통화 거절 방법
KR100631682B1 (ko) * 2004-03-3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거부 및 그 의사 전송 방법
KR100631809B1 (ko) * 2004-07-26 2006-10-09 (주)모넥스네트워크 다양한 응답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341A (ko) * 2012-10-12 2014-04-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 단말의 통화 거절 방법 및 그 착신 단말
KR20190133920A (ko) * 2018-05-24 2019-12-04 씨앤디아이(주) 스마트 필기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168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6767B2 (en) Communication mode swapping for telecommunications devices
KR10088293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과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EP32854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s for call routing
MX2013015106A (es) Metodos y sistemas para proveer servicios de telecomunicaciones eficientes.
KR10083445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가입 방법및 시스템
KR100605623B1 (ko) 이동단말기의 영상통화 선택방법
JP2007318681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テレビ電話制御装置、携帯電話機及びテレビ電話制御方法
KR101043168B1 (ko) 착신거절 장치 및 방법
US2023022469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0336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674065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406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97373B1 (ko) 화상 통화에서의 영상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장치
KR10082719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KR101828320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CN109005569B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及路由设备
KR1011468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호 수신시 통신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1838154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CN112261698B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KR100537694B1 (ko)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KR100723701B1 (ko) 콜 개런티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KR101787656B1 (ko) 발신자 정보의 호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US777862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