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965A -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965A
KR20100103965A KR1020090022060A KR20090022060A KR20100103965A KR 20100103965 A KR20100103965 A KR 20100103965A KR 1020090022060 A KR1020090022060 A KR 1020090022060A KR 20090022060 A KR20090022060 A KR 20090022060A KR 20100103965 A KR20100103965 A KR 2010010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sliding
fram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륜
채명일
Original Assignee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965A/ko
Priority to PCT/KR2010/001612 priority patent/WO2010107222A2/ko
Publication of KR2010010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스트로크 길이에 비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부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슬라이딩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는, 휴대용 기기의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에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용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각 지지레일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인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레일과 인출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레일과 인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레일;을 포함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슬라이드, 스트로크, 레일

Description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SLIDING APPARATUS FOR POTABL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스트로크(Slide stroke) 길이 대비 슬라이드 가이드 길이가 짧은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는 자체 전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일종으로, 휴대폰,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MP3플레이어, MP4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이 있다.
대표적인 휴대용 기기인 휴대폰은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폴더형과 슬라이드형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몸체에 정보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설치하고 다른 몸체에 디스플레이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넓은 화면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폴더형과 슬라이드형 중에서 슬라이드형은 두 개의 몸체를 180도 가까지 젖혀야 하는 폴더형에 비해 조작이 편리하고,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서 정보 인식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슬라이드형은 휴대폰뿐만이 아니라,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 MP3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 다른 여러 가지 휴대용 기기에 채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형 휴대용 기기는 키패드가 설치된 제 1 몸체 및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제 2 몸체가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된다.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사이에는 이들 몸체를 상호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장치가 설치된다. 제 1 몸체의 전면에 구비된 키패드는 제 2 몸체에 의해 덮혀 있다가 제 2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열릴 때 외부로 드러난다.
따라서 제 2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드 스트로크(Slide stroke) 길이가 길수록 제 1 몸체의 전면이 많이 노출되어, 더 크고, 더 많은 키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스트로크 길이가 길수록 제 2 몸체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제 2 몸체의 개방 초기에 서랍 효과(drawer effect)에 의해서 동작이 잘 이루어 지지 않고, 개방 후에도 흔들림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서랍 효과란 서랍이 많이 열린 상태에서 서랍을 닫을 때 서랍과 책상의 레일이 서로 평행을 이루지 못해서 서랍이 쉽게 닫히지 않고, 걸리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 스트로크 길이에 비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부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슬라이딩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는, 휴대용 기기의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에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용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각 지지레일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인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레일과 인출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레일과 인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레일;을 포함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는, 슬라이드 스트로크 길이에 비해서 슬라이드 가이드 부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슬라이딩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따라서 제 2 몸체의 개방시 제 1 몸체의 전면이 더 많이 노출되므로, 제 1 몸체의 전면에 더 많은 키패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 길이가 길고 슬라이드 가이드 부분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와 형상 등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닫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열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기기(200)는, 키패드를 갖는 제 1 몸체(210),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 2 몸체(220)를 포함한다. 제 1 몸체(210)와 제 2 몸체(220)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1 몸체(210)와 제 2 몸체(220) 사이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가 설치되어 제 2 몸체(220)와 제 1 몸체(210)를 서로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3 내지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0), 슬라이드 부재(20) 및 한 쌍의 탄성수단(30, 40)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0)는 제 1 몸체(210)의 일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체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쪽 측면에는 지지레일(12)이 형성된다. 지지레일(12) 상부에는 레일커버(14)가 결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레일(12)은 평판부(11)와 끝 부분이 베이스 부재(10)의 밑면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13)를 포함한다. 절곡부(13)에는 절곡된 면에 의해서 둘러싸인 지지홈(14)이 형성된다. 지지레일(12)의 중심부에서 제 2 몸체(220)의 열림 방향(A)을 향해서 절곡부(13)가 형성되며, 반대방향(B)으로 평판부(11)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부재(20)는 제 2 몸체(220)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부재(20)는 베이스 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편의상 슬라이드 부재(20)가 베이스 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고 표현하나, 슬라이드 이동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베이스 부재(10)가 슬라이드 부재(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슬라이드 부재(20)의 양쪽 측단에는 인출레일(22)이 결합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인출레일(22)은 대체로 지지레일(12)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트인 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레일(12)과 반대로 평판부(21)가 제 2 몸체(220)의 열림 방향(A)으로 형성되며, 반대방향(B)으로 절곡부(23)가 형성된다. 인출레일(22)의 절곡부(23)에는 절곡된 면에 의해서 둘러싸인 인출홈(24)이 형성된다.
지지레일(12)과 인출레일(22)의 사이에는 중앙레일(5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중앙레일(50)은 지지레일(12)의 절곡부(13)에 형성된 지지홈(14)에 삽입되는 제 1 돌기부(52)와 인출레일(22)의 절곡부(23)에 형성된 인출홈(24)에 삽입되는 제 2 돌기부(54) 및 제 1 돌기부(52)와 제 2 돌기부(54)를 연결하는 연결부(56)를 포함한다. 제 1 돌기부(52)의 제 2 몸체(220) 닫힘 방향(B) 끝단에는 지지레일(12)에 걸릴 수 있는 제 1 스토퍼(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돌기부(54)의 제 2 몸체(220) 열림 방향(A) 끝단에는 인출레일(22)에 걸릴 수 있는 제 2 스토퍼(55)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시에 지지레일(12) 및 인출레일(22)과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중앙레일(50)은 자기 윤활성(Self-Lubrication)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레일(12), 인출레일(22) 및 중앙레일(50)은 베이스 부재(10)에 설치된 레일커버(14)에 의해서 감싸진다.
탄성수단(30, 40)은 베이스 부재(10)의 레일커버(14)와 슬라이드 부재(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 부재(10)와 슬라이드 부재(20)를 서로 연결한다. 탄성수단(30, 40)은 제 1 프레임(32, 42), 제 2 프레임(34, 44) 및 복수의 코일 스프링(36, 46)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32, 42)과 제 2 프레임(34, 44)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21, 341, 421, 441)를 구비한다. 스프링들(36, 46)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일단은 제 1 프레임(32, 42)의 지지부(321, 421) 타단은 제 2 프레임(34, 44)의 지지부(341, 441)에 고정된다. 제 2 프레임(34, 44)을 제 1 프레임(32, 42)에 근접 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제 1 프레임(32, 42)의 지지부(321, 421)와 제 2 프레임(34)의 지지부(341, 44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지지부(321, 341)에 고정된 스프링들(36, 46)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 2 프레임(34, 44)을 제 1 프레임(32, 4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스프링들(36, 46)은 인장되면서 제 2 프레임(34, 44)과 제 1 프레임(32, 4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 기기용 슬라이드 장치와 휴대용 기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드 장치(100)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때 이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20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몸체(220)를 열림 방향(A)으로 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탄성수단(3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 탄성수단(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탄성수단(30, 40)이 도 4에 도시된 상태까지 회전하게 되면, 제 1 프레임(32, 42)과 제 2 프레임(34, 44) 사이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스프링들(36, 46)이 인장된다. 따라서 스프링들(36, 46)은 지지부들(321, 341, 421, 441)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결과적으로 탄성력 제공기구(30, 40)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 2 몸체(220)를 열림 방향(A)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스프링들(36, 46)의 탄성력에 의해서 탄성력 제공기구(30, 40)의 길이가 길어진다.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 제공기구(30, 40)가 좀 더 회전하면서 제 2 몸체(220)가 완전히 열린 상태까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휴대용 기기는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인출레일(22)과 중앙레일(50)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 2 몸체(220)를 열림 방향(A)으로 밀게 되면 먼저 인출레일(22)이 중앙레일(50)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정도까지 이동하면 인출레일(22)이 중앙레일(50)의 제 2 돌기부(54)에 형성된 제 2 스토퍼(55)에 걸리게 되고, 인출레일(22)과 중앙레일(50)이 함께 인출된다. 중앙레일(50)의 인출 길이는, 중앙레일(50)의 제 1 스토퍼(53)가 지지레일(12)에 걸리기 전까지로 제한된다.
중앙레일(5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다. 제 1 몸체(210)의 전면이 더 많이 노출되도록 개방되면, 제 1 몸체(210)의 전면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2 몸체(220)에 부착되는 인출레일(22)이 제 1 몸체(210)에 부착되는 지지레일(12)로부터 거의 이탈하는 정도로까지 개방된다.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 2 몸체를 이 정도까지 개방하면 인출레일과 지지레일이 겹치는 부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를 닫는 과정에서는 서랍 효과에 의해서 잘 닫히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중앙레일(50)이 인출레일(22)과 지지레일(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인출레일(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2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몸체(220)를 닫힘 방향(B)으로 밀게 되면, 탄성수단(30, 40)이 회전하면서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 2 몸체(220)를 닫힘 방향(B)으로 더 밀게 되면, 스프링들(36, 46)의 탄성력에 의해서 탄성력 제공기구(30, 40)가 좀 더 회전하면서 도 3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닫히는 과정에서는 인출레일(22)이 중앙레일(50)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며, 일정한 길이만큼 닫힌 후에는 인출레일(22)과 중앙레일(50)이 함께 지지레일(12)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며 완전히 닫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하고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탄성수단(30)은 제 1 프레임(32) 및 제 2 프레임(34)의 지지부(321, 34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36)에 의해서, 제 1 프레임(32) 및 제 2 프레임(34)이 상호 멀어지도록 각 프레임(32, 34)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다양한 탄성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본 실시예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제조 및 유동 될 수도 있으며, 휴대용 기기를 제조하는 자가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권리범위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의 닫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의 열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5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지지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인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의 중앙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휴대용 기기 210: 제 1 몸체
220: 제 2 몸체 100: 슬라이딩 장치
10: 베이스 부재 12: 지지레일
14: 레일 커버 20: 슬라이드 부재
22: 인출레일 30, 40: 탄성수단
32, 42: 제 1 프레임 34, 44: 제 2 프레임
36, 46: 코일스프링 50: 중앙레일

Claims (7)

  1. 휴대용 기기의 제 1 몸체와 제 2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몸체를 상기 제 1 몸체에 열림 방향 및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용 기기의 슬라이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각 지지레일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인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레일과 인출레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레일과 인출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레일은, 그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 1 돌기부와 제 2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지지레일은, 상기 중앙레일의 제 1 돌기부를 수용하는 지지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인출레일은, 상기 중앙레일의 제 2 돌기부를 수용하는 인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레일은,
    상기 인출레일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인출레일이 걸리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지지레일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레일이 걸리는 제 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각각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양단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는 각각 그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 1 프레임의 지지부와 제 2 프레임의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딩할 때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레일은, 자기 윤활성(Self-Lubrication)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20090022060A 2009-03-16 2009-03-16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20100103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60A KR20100103965A (ko) 2009-03-16 2009-03-16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PCT/KR2010/001612 WO2010107222A2 (ko) 2009-03-16 2010-03-16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060A KR20100103965A (ko) 2009-03-16 2009-03-16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65A true KR20100103965A (ko) 2010-09-29

Family

ID=4274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060A KR20100103965A (ko) 2009-03-16 2009-03-16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03965A (ko)
WO (1) WO20101072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04B1 (ko) * 2011-03-28 2012-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케이블박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562A (ja) * 2004-01-26 2005-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スライド機構
WO2005076487A1 (en) * 2004-02-03 2005-08-18 Jong Chul Choo Slider for connecting a calling part with a receiving part of a mobile phone in sliding way
WO2006083079A1 (en) * 2005-02-02 2006-08-10 Choi, Suck You Sliding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s
CN101102652A (zh) * 2006-07-07 2008-01-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结构及应用该滑盖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7611213B2 (en) * 2007-03-13 2009-11-03 Atom International Co., Ltd. Sliding track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04B1 (ko) * 2011-03-28 2012-05-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케이블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7222A2 (ko) 2010-09-23
WO2010107222A3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7018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 mechanism thereof
KR20110092087A (ko) 휴대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장치
KR20120069167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20100103965A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2009012964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KR100812626B1 (ko) 슬라이더 스윙 힌지 장치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GB2426139A (en) Spring/cam-driven mechanical opening mechanism for a sliding radiotelephone
JP2009177343A (ja) ロータリアンドスライドタイプ携帯端末機用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100904222B1 (ko) 슬라이더 모듈 및 힌지 장치
KR101008701B1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106268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972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KR100956301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110064956A (ko)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KR20110128613A (ko) 개폐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0945481B1 (ko) 패드 팝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1051410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120045577A (ko) 슬림형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90093411A (ko) 힌지 모듈
KR20120136616A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05260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KR200454601Y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KR101008708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