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3243A - 초고강도 스프링강 - Google Patents

초고강도 스프링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3243A
KR20100103243A KR1020090021771A KR20090021771A KR20100103243A KR 20100103243 A KR20100103243 A KR 20100103243A KR 1020090021771 A KR1020090021771 A KR 1020090021771A KR 20090021771 A KR20090021771 A KR 20090021771A KR 20100103243 A KR20100103243 A KR 20100103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pring steel
strength
l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3243A/ko
Publication of KR2010010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인장강도 2550MPa 이상, 피로강도 1450MPa 이상인 초고강도 스프링으로서, 중량%로, C: 0.6~0.7%, Si: 2~3%, Mn: 0.5~0.9%, Mo: 0.05~0.15%, Cr: 0.8~1.5%, Ni: 0.2~0.4%, V: 0.1~0.2%, Ti: 0.001~0.01%, Al: 0.001~0.01%, B: 0.001~0.005%, N: 0.01%이하, P: 0.015%이하, S: 0.015%이하, Nb: 0.015~0.045%,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 초고강도 스프링강이 소개된다.
스프링강, 선재, 강도, 피로강도

Description

초고강도 스프링강{ULTRA HIGH-STRENGTH SPRING STEEL}
본 발명은 초고강도 스프링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 밸브스프링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인장강도 2550MPa 이상, 피로강도 1450MPa 이상인 초고강도 스프링강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 매장량의 한계점 도달, 국제 유가의 지속적인 급등 및 급변으로 인하여 차량 연비향상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게 높아져 가고 있다.
연비 향상을 위해서는 차체 경량화나 각 시스템 링크부의 마찰저감에 의한 동력손실 최소화뿐만 아니라, 엔진자체의 연소제어 시 동특성 향상에 의한 출력효율 극대화 또한 중요한데, 이에 엔진헤드부내 동적거동 수행부품들의 경량화를 통해 동적하중을 감소시켜 연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기울여지고 있다.
동적거동 부품들 중 엔진 밸브스프링은 동적하중을 직접 제어하므로 경량화 시 연비효과가 높은 부품이다. 종래 밸브스프링 재질로는 인장강도 1900MPa급의 CrSi강, 2100MPa급의 CrSiV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의 CrSiV강에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인장강도 2300MPa급 고강도 스프링강의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요구에 기초한 것으로, 합금 설계를 통해 종래보다 우수한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를 갖는 초고강도 스프링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강도 스프링강은, 중량%로, 탄소(C): 0.6~0.7%, 실리콘(Si): 2~3%, 망간(Mn): 0.5~0.9%, 인(P): 0.015%이하, 황(S): 0.015%이하, 크롬(Cr): 0.8~1.5%, 몰리브덴(Mo): 0.05~0.15%, 니켈(Ni): 0.2~0.4%, 바나듐(V): 0.1~0.2%, 티타늄(Ti): 0.001~0.01%, 알루미늄(Al): 0.001~0.01%, 보론(B): 0.001~0.005%, 질소(N): 0.01%이하, 니오브(Nb): 0.015~0.04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강도 2550MPa 이상의 고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피로강도 1450MPa 이상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초고강도 스프링강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의 설계 및 조성한정의 이유를 살펴본다.
탄소(C)는 0.6~0.7중량% 포함된다. 강 중의 탄소 함량은 강도상승과 비례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탄소 함량이 0.6중량% 미만일 경우, 열처리 시 소입성 부족으로 강도상승이 미미하고, 0.7중량% 초과시 소입시 마르텐사이 트 조직이 형성, 피로강도가 저하되고 인성이 감소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고강도 및 연성확보가 가능하다.
실리콘(Si)은 2~3중량% 포함된다. 실리콘은 페라이트 내 고용되어 강도상승 및 소려연화 저항성을 높인다. 그 함량이 2중량%보다 적은 경우 소려연화 저항성이 낮으며, 3중량%보다 많은 경우 탈탄 현상이 열처리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망간(Mn)은 0.5~0.9중량% 포함된다. 망간은 기지내 고용되어 굽힘피로강도 향상 및 소입성을 증가시키는데, 0.5중량% 미만일 경우 소입성 확보가 난이하고, 0.9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인성 저하가 문제되므로, 망간의 함량은 상기 범위로 제한된다.
몰리브덴(Mo)은 0.05~0.15중량%는 마르텐사이트를 생성하는 원소로 석출 강화용으로 사용되며, 소입성이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는 몰리브덴 이외에 Nb, V, Ti, Al와 같은 고강도화 합금원소를 함께 첨가되는데, 이들 원소과의 관계를 고려함과 아울러 몰리브덴이 다소 고가인 점을 고려하여 그 함량은 0.05~0.15중량%로 제한한다.
크롬(Cr)은 0.8~1.5중량% 포함된다. 크롬은 인성 확보용으로 Mo와 흡사하게 석출 강화용으로 사용되는데, Nb, V, Si, BN과 같이 복합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키며 결정립 미세화, 인성 향상에 기여한다. 소려연화, 탈탄, 소입성, 내식성 측면에서 0.8중량% 이상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며 1.5중량% 초과 시 입계 탄화물이 과대 생성되고, 강도저하 및 취성문제를 초래한다.
니켈(Ni)은 0.2~0.4중량% 포함된다. 니켈은 인성 향상용 고가 합금원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0.2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목표로 하는 인성의 확보 어려우며, Nb, V, Ti, Al, Mo등의 강도 강화 원소들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그 최대 함량은 0.4중량%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바나듐(V)은 0.1~0.2중량% 포함된다. 바나듐은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강도를 상승시키고, Cr, Si, Nb, BN과 같이 복합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키며, 결정립 미세화, 인성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바나듐의 결정립 미세화로 인한 석출강화 효과는 0.1중량% 미만일 시 미미하고, 0.2중량% 초과시 그 효과가 포화된다.
티타늄(Ti)은 0.001~0.01중량% 포함된다. 티타늄은 Nb, Al등과 같이 결정립 재결정을 방지하고 성장을 억제한다. 또한 질소와 반응, TiN을 생성하여 결정립성장을 억제하고, 질소와 결합하는 보론을 방해, BN의 소입성 저하를 최소화 한다. Nb, Al과 함께 티타늄이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티타늄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 소입성 효과가 미미하며, 0.01중량% 초과시 효과가 포화된다.
알루미늄(Al)은 0.001~0.01중량% 포함된다. 알루미늄은 질소와 반응, AlN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를 미세화, 강도 및 충격인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알루미늄은 Nb, Ti, Mo와 함께 첨가되어 고가원소인 결정립 미세화용 바나듐, 인성 확보용 니켈의 첨가량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보론(B)은 0.001-0.005중량% 포함된다. 보론은 질소/산소제어, 피로수명 저하억제 및 취성방지, 미량첨가로도 소입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0.001중량%보다 많 이 함유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0.005중량%보다 많이 함유되는 경우 탄질화물의 조대화 및 표면 인장 잔류응력의 발생을 야기하여 피로수명이 저하된다.
질소(N)의 함량은 0.01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질소는 Al, Ti와 반응하여 AlN, TiN을 형성함으로써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TiN 형성으로 보론의 소입성을 극대화 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질소의 함량이 0.01중량%를 초과할 경우, 보론과의 반응으로 인해 강의 소입성이 악화된다.
인(P) 및 황(S)의 함량은 각각 0.015중량% 이하로 제한된다. 이 두 원소는 불순물로서 강의 피로수명을 저하시키고 취성발생을 유발한다. 특히, 황은 망간과 결합, 비금속개재물 MnS를 생성하여 강의 강도를 저하시키는데, 이 MnS는 또한 열팽창률이 높아 국부적인 응력을 발생시켜 피로수명을 저하시키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인 및 황의 함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고강도 고청정강 제조에 필수적이며, 본 발명에서 또한 통상적인 제강에서의 인, 황 관리 수준인 상기 범위 이내로 그 함량을 제어한다.
니오브(Nb)는 0.015~0.045중량% 포함된다. 니오브는 Ti, Al등과 같이 결정립 재결정을 방지하고 성장을 억제한다. 니오브는 Cr, Si, V, BN과 복합적으로 강도를 상승시키고, 결정립 미세화 및 인성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강에 있어, 니오브는 Mo, Ti, Al 등 타원소의 함량 및 이들과의 복합적 기능을 고려할 때, 그 함량이 0.015중량% 미만일 경우 강의 물성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하고, 0.045중량% 초과시 효과가 포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강도 스프링강을 이용한 강선 제조공정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갖도록 제강공정을 통해 제조된 선재는 항온 열처리, 신선, 소입-소려 및 납조소입을 순차적으로 거쳐 강선으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재는 940~960℃에서 3~5분간 유지된 후 640~660℃로 급냉되어 이 온도에서 2~4분간 유지된 다음, 0.5~1.5분 동안 18~22℃로 냉각된다. 이러한 항온 열처리는 후공정인 신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실시되는 것으로, 이 열처리를 통해 선재에는 펄라이트가 생성된다.
항온 열처리된 선재는 몇단계의 신선 공정을 거쳐 목표로 하는 선경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온 열처리된 선재는 2~3단계, 예를 들어 D8→(D6→)D4.5→D3mm의 3단계로 약 2분간 신선된다. 동일 조건에서 종래의 경우 D8→D6.7→D5.6→D4.7→D3mm의 5단계로 약3분간 신선됨에 비해, 공정의 축소 및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신선된 선재는 다시 가열(6~12분간)되어 상기 항온 열처리 온도에서 3~5분간 유지된 후, 45~55℃로 급냉(소입)되어 0.5~1.5분간 소려된다. 이후 선재는 540~560℃로 가열되어 2~4분간 유지 후 급냉시키는 납조소입 처리된다. 소입소려를 통해 선재에는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강도가 확보되며, 납조소입을 통해 표면에는 템퍼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강도 및 인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강도 스프링강의 물성 확인을 위한 시험예를 살펴본다.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조성을 갖는 스프링강으로부터 시험편들을 제작하여, 인장강도, 경도, 피로강도, 성형성 및 결정입도를 측 정하였다.
구분 C Si Mn P S Cr Mo Ni
실시예 0.65 2.5 0.7 0.006 0.007 1.25 0.11 0.32
비교예 1 0.55 1.4 0.7 0.01 0.008 0.68 - -
비교예 2 0.59 2.0 0.8 0.008 0.009 0.95 - 0.29
비교예 3 0.66 2.2 0.7 0.007 0.007 0.89 0.07 0.28
구분 V Ti Al B (ppm) N (ppm) Nb Fe
실시예 0.15 0.006 0.005 30 85 0.03 Bal.
비교예 1 - - - -  - - Bal.
비교예 2 0.09 - - -  - - Bal.
비교예 3 0.14  - - 30  - - Bal.
인장강도의 측정은 KS B0802에 따라 20Ton 시험기로 선경 4mm의 시험편들에 대하여 실시되었으며, 경도는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300gf로 측정하였고, 피로강도는 KS B ISO 1143에 따라 선경 4mm의 시험편들에 대한 회전 굽힘 피로시험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성형성은 직경/선경 6.5, 권선수 8의 밸브스프링들을 제작하되 1000개 성형시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면 정상으로 판정하였다. 일례로서, 이와 같은 측정 결과의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의 경우 인장강도는 2550Mpa이 넘고, 피로강도는 1450Mpa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경도(HV) 피로강도(MPa) 성형성
실시예 2553 2075 748 1456 정상
비교예 1 1922 1557 583 849 정상
비교예 2 2172 1781 631 1049 정상
비교예 3 2324 1861 696 1235 정상
한편, 결정입도의 측정 결과는 도 2,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시편의 미세조직 및 결정입도 관찰 사진으로서, 비교예 1 내지 3에 대응하는 도 3a 내지 도 3c의 사진에서와 비교하여, 탄화물 및 결정입자가 상당히 미세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선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강의 미세조직 및 결정입도 관찰 사진,
도 3a 내지 도 4c는 비교예에 따른 스프링강들의 미세조직 및 결정입도 관찰 사진이다.

Claims (1)

  1. 중량%로, 탄소(C): 0.6~0.7%, 실리콘(Si): 2~3%, 망간(Mn): 0.5~0.9%, 몰리브덴(Mo): 0.05~0.15%, 크롬(Cr): 0.8~1.5%, 니켈(Ni): 0.2~0.4%, 바나듐(V): 0.1~0.2%, 티타늄(Ti): 0.001~0.01%, 알루미늄(Al): 0.001~0.01%, 보론(B): 0.001~0.005%, 질소(N): 0.01%이하, 인(P): 0.015%이하, 황(S): 0.015%이하, 니오브(Nb): 0.015~0.045%, 나머지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강도 스프링강.
KR1020090021771A 2009-03-13 2009-03-13 초고강도 스프링강 KR20100103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771A KR20100103243A (ko) 2009-03-13 2009-03-13 초고강도 스프링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771A KR20100103243A (ko) 2009-03-13 2009-03-13 초고강도 스프링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43A true KR20100103243A (ko) 2010-09-27

Family

ID=43008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771A KR20100103243A (ko) 2009-03-13 2009-03-13 초고강도 스프링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324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7381B2 (en) 2016-06-21 2019-11-26 Hyundai Motor Company Ultrahigh-strength spring steel
US10494705B2 (en) 2015-12-04 2019-12-03 Hyundai Motor Company Ultra high-strength spring steel
US10689736B2 (en) 2015-12-07 2020-06-23 Hyundai Motor Company Ultra-high-strength spring steel for valve spring
US10718039B2 (en) 2016-04-15 2020-07-21 Hyundai Motor Company High strength spring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4705B2 (en) 2015-12-04 2019-12-03 Hyundai Motor Company Ultra high-strength spring steel
US10689736B2 (en) 2015-12-07 2020-06-23 Hyundai Motor Company Ultra-high-strength spring steel for valve spring
US10718039B2 (en) 2016-04-15 2020-07-21 Hyundai Motor Company High strength spring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US10487381B2 (en) 2016-06-21 2019-11-26 Hyundai Motor Company Ultrahigh-strength spring st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0124C (zh) 硬化马氏体钢、使用其制备组件的方法及由此方法获得的组件
WO2012098938A1 (ja) 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ボロン添加高強度ボルト用鋼および高強度ボルト
US20190127815A1 (en) A precipitation hardening steel and its manufacture
JP6789693B2 (ja) 耐食性に優れた高強度バネ鋼
KR101745192B1 (ko) 초고강도 스프링강
KR101745191B1 (ko) 초고강도 스프링강
KR20100103243A (ko) 초고강도 스프링강
US10745772B2 (en) Age hardening non-heat treated bainitic steel
JP2002069572A (ja) 曲げ疲労強度に優れた軟窒化用鋼
KR100999676B1 (ko)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가 우수한 밸브스프링용 선재 및 그의제조방법
KR101795278B1 (ko) 초고강도 스프링강
KR101745196B1 (ko) 초고강도 스프링강
KR101776491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강
KR101140911B1 (ko) 조질합금강급 V-Free비조질강의 제조방법
KR101795277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스프링강
KR101121749B1 (ko) 고강도 마르텐사이트계 쾌삭 스테인레스강 제조 방법
KR20080056945A (ko) 접촉피로강도가 우수한 침탄용 초고강도강
KR101795265B1 (ko) 고내구 코일스프링강
KR100913172B1 (ko) 접촉피로강도가 우수한 침탄용 초고강도강
KR20100046989A (ko) 고강도 비조질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7522A (ko) 고강도 고인성 스프링용 강선재, 그 제조방법 및 스프링의 제조방법
KR20230016889A (ko) 내식성이 우수한 스프링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프링강
KR20240002518A (ko) 냉간단조용 합금강 부품의 제조방법
KR101776462B1 (ko) 코일스프링강
KR20230061957A (ko) 내식성이 우수한 스프링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프링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