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497A -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497A
KR20100101497A KR1020090020012A KR20090020012A KR20100101497A KR 20100101497 A KR20100101497 A KR 20100101497A KR 1020090020012 A KR1020090020012 A KR 1020090020012A KR 20090020012 A KR20090020012 A KR 20090020012A KR 20100101497 A KR20100101497 A KR 20100101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input
motion detection
detection data
input unit
bea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3826B1 (ko
Inventor
조영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826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상호 빔 신호를 송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둘의 원격입력부와; 상기 원격입력부로부터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호스트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동작에 기반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리모컨, 조이스틱, 게임제어

Description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REMOTE INPU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실시예는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제어대상 장치에 원거리의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된바 있다. 초창기의 원격입력 시스템은 버튼이 마련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TV의 채널을 바꾸거나 오디오의 볼륨을 조절하는 등, 단순히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였다.
현재 원격입력 시스템은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어, 가전제품, 컴퓨터, 게임기 등 근거리 통신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컨 등의 입력장치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소정 명령을 원격입력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입력 시스템은, 버튼을 선택하거나, 리모컨을 흔드는 등, 그 입력방법이 단순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작감지 형식의 리모컨의 경우 입력 가능한 데이터가 리모컨 자체의 이동 방향에 한정됨으로, 입력 가능한 명령의 수가 많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동작에 기반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의한, 원격입력 시스템은, 상호 빔 신호를 송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둘의 원격입력부와; 상기 원격입력부로부터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호스트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한,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둘의 원격입력부가 상호 빔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빔 신호를 수신한 원격입력부가, 상기 빔 신호의 수신 특성에 기초하여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입력부가 상기 산출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호스트가,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동작에 기반한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은 상호 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호 간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호스트부(350)에 송신하는 제1원격입력부(100) 및 제2원격입력부(200)와, 원격입력부(100, 200)가 송신한 동작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어대상 장치(300)의 기능을 제어하는 호스트부(350)를 포함한다.
제1원격입력부(100) 및 제2원격입력부(200)는 상호 간에 빔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대방의 위치, 거리 등의 동작 변화를 감지하여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한다. 원격입력부(100, 200)는 산출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스트부(350)에 송신한다. 또한, 원격입력부(100, 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 입력신호나, 자체적으로 감지된 가속센서(146) 감지값 등을 송신할 수 있다.
호스트부(350)는 원격입력부(100, 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제어대상 장치(3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혹은 제어대상 장치(300) 내에 내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호스트부(350)는 원격입력부(100, 200)가 송신한 동작감지 데이터를 제어대상 장치(300)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대상 장치(300)에 제공한다. 이에, 제어대상 장치(300)는 원격입력부(100, 200)의 동작감지 데이터에 따라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대상 장치(300)는 원격입력부(100, 200)의 동작감지 데이터에 따라 기능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장치, 게임기, 로봇 팔, 제품생산장비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의 원격입력부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입력부(100, 200)는 호스트부(350)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장치(120)와, 빔 신호 송수신부(130)와,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40)와, 전원부(114)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116)와,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빔 신호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생성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장치(120)를 통해 호스트부(350)로 송신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장치(120)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호스트부(350)에 동작감지 데이터를 송신한다.
빔 신호 송수신부(130)는 빔 신호 송신을 위한 발광부(132)와 수신을 위한 수광부(134)를 포함한다. 빔 신호 송수신부(130)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레이저 등의 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원부(114)는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메모리(116)에는 제어부(110)의 프로세싱 결과 데이터나 기타 원격입력부(100, 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빔 신호 송신, 혹은 기타 기능 선택입력을 위한 버튼부(142)와, 사용자의 버튼부(142) 가압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44)와, 원격입력부(100, 200)의 이동, 회전 등의 자체적인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가속센서(146) 등을 포함한다. 이에,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선택된 버튼이나, 가압 압력, 혹은 가속센서(146)의 감지값을 근거리 통신장치(120)를 통해 호스트부(35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빔 신호 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빔 신호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의 거리, 위치 등의 동작을 산출하는 동작감지 데이터 산출부(112)를 포함한다. 제어부(110)의 동작감지 데이터 산출부(112)는 수광부(134)에 수신된 빔 신호의 위치, 세기 등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의 위치변화, 거리변화 등을 포함하는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제1원격입력부(100) 및 제2원격입력부(200) 상호 간의 거리와 위치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상하좌우 동작, 원근 동작 등의 다양한 동작 데이터를 원격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동작 데이터가 입력됨으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흐름도로서, 제1원격입력부(100)가 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제2원격입력부(200)가 송신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제1원격입력부(100)와 제2원격입력부(200)를 상호 임의의 위치에 배열한 후, 제2원격입력부(200)의 버튼부(142)를 선택하여 제1원격입력부(100) 측 으로 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0).
제1원격입력부(100)는 빔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빔 신호의 위치, 세기 등의 특성 변화에 기초하여,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의 위치변화, 거리변화 등을 포함하는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S12).
제1원격입력부(100)는 산출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장치(120)를 이용하여 호스트부(350)에 송신한다(S14).
호스트부(350)는 수신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제어대상 장치(3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대상 장치(300)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어대상 장치(300)의 기능이 동작감지 데이터에 따라 제어된다(S16).
도 4는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동작감지 상태도로서, 제1원격입력부(100)가 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제2원격입력부(200)가 송신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a)는 제1원격입력부(100)와 제2원격입력부(20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한 경우이다. 동일 선상에 위치한 제2원격입력부(200)과 발광부(132)를 통해 제1원격입력부(100)에 빔 신호를 송신하면, 제1원격입력부(100)는 빔 신호를 수신한다. 제1원격입력부(100)는 수광부(134)에 수신된 빔 신호의 수신 위치에 따라 제2원격부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원격입력부(100)는 수광된 빔 신호의 신호세기에 따라 제2원격입력부(200)와의 거리도 산출할 수 있다.
(b)는 제1원격입력부(100) 보다 제2원격입력부(200)가 상위에 위치한 경우이다. 제2원격입력부(200)가 상위에 위치한 경우, 제2원격입력부(200)의 발광부(132) 를 통해 송신된 빔 신호는 제1원격입력부(100)의 수광부(134)보다 위에 도달한다. 여기서, 빔 신호는 소정 빔 폭을 가짐으로 제1원격입력부(100)는 수광부(134)보다 위에 도달한 제2원격입력부(200)의 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제1원격입력부(100)는 수광된 빔 신호에 따라 제2원격입력부(2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c)는 제1원격입력부(100) 보다 제2원격입력부(200)가 하위에 위치한 경우이다. 제2원격입력부(200)가 하위에 위치한 경우, 제2원격입력부(200)의 발광부(132)를 통해 송신된 빔 신호는 제1원격입력부(100)의 수광부(134)보다 아래에 도달한다. 제1원격입력부(100)는 수광부(134)보다 아래에 도달한 제2원격입력부(200)의 빔 신호를 감지하여 제2원격입력부(2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 상태도로서, 제1원격입력부(100) 및 제2원격입력부(200)를 이용하여 게임화면(310)을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의 (a)는 초기 게임화면(310)으로서, 과녁의 중앙을 맞추는 게임을 예시하고 있다. 게임화면(310) 상에는 조준 프레임(312)과 타점(314)이 표시된다.
수신기능을 수행하는 제1원격입력부(100)의 위치는 조준 프레임(312)의 위치로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송신기능을 수행하는 제2원격입력부(200)의 위치는 타점(314)의 위치로 반영될 수 있다.
게이머가 초기 게임화면(310)에서 제1원격입력부(100) 및 제2원격입력부(200)의 위치를 설정한 소정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위치가 기준위치로 인식되고 초기 게임 화면에는 조준 프레임(312) 및 타점(314)이 표시된다. 또는, 제1원격입 력부(100)의 가속센서(146)가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여 호스트부(350)에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게임화면(310)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게이머가 제2원격입력부(200)를 상단으로 이동한 후 빔 송신을 선택하면 제1원격입력부(100)는 제2원격입력부(2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제1원격입력부(100)가 동작감지 데이터를 호스트부(350)에 송신하면, 호스트부(350)는 동작감지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게임화면(310)에 반영한다.
이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원격입력부(200)의 위치 변화가 타점(314)의 위치에 반영되어 게임화면(310)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타점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조준 프레임(312)의 위치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원격입력부(100)의 위치를 이동한 후 빔 송신을 선택하면, 제2원격입력부(200)가 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제2원격입력부(200)가 제1원격입력부(100)의 동작을 감지하여 호스트부(350)에 송신할 수 있으며, 호스트부(350)는 제1원격입력부(100)의 위치 이동이 조준 프레임(312)의 위치에 반영되도록 게임화면(3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원격입력 시스템은 적어도 둘의 원격입력부(100, 200)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호스트부(350)에 송신함으로써 제어대상 장치(300)의 기능이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화면상의 특정 영상을 이동시키거나, 화면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격입력부(100, 200) 간 거리에 따라 화면이 줌 인/줌 아웃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게임화면이나 디스플레이장치 이외에도, 로봇 팔, 제품생산장비 등,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2는 실시예의 원격입력부의 제어블록도.
도 3은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4는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동작감지 상태도.
도 5는 실시예의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 상태도.

Claims (13)

  1. 상호 빔 신호를 송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둘의 원격입력부와;
    상기 원격입력부로부터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호스트부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입력부는,
    상기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장치와;
    상기 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빔 신호 송수신부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빔 신호 송수신부로 수신된 빔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호스트부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 신호 송수신부로 수신된 빔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와의 거리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호스트부에 송신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신호 송수신부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송수신부와, 레이저 송수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부는,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화면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대상 장치의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제어 데이터는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된 영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제어 데이터는 상기 표시화면의 줌인/줌아웃 기능을 제어하는 원격입력 시스템.
  8. 적어도 둘의 원격입력부가 상호 빔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빔 신호를 수신한 원격입력부가, 상기 빔 신호의 수신 특성에 기초하여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입력부가 상기 산출된 동작감지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호스트가,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신호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신호, 레이저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신호를 수신한 원격입력부가, 상기 빔 신호의 수신 특성에 기초하여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빔 신호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와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빔 신호를 수신한 원격입력부가, 상기 빔 신호의 수신 특성에 기초하여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빔 신호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대방 측 원격입력부와의 거리를 포함하는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호스트가,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표시 영상이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대상 장치인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호스트가,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대상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는,
    표시 영상이 상기 동작감지 데이터에 따라 줌인/줌아웃 되도록 상기 제어대 상 장치인 표시화면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입력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020012A 2009-03-09 2009-03-09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8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012A KR101583826B1 (ko) 2009-03-09 2009-03-09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012A KR101583826B1 (ko) 2009-03-09 2009-03-09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497A true KR20100101497A (ko) 2010-09-17
KR101583826B1 KR101583826B1 (ko) 2016-01-25

Family

ID=4300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012A KR101583826B1 (ko) 2009-03-09 2009-03-09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58B1 (ko) * 1994-10-27 1998-11-16 구자홍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0962A (ko) * 2005-01-06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측정 거리 표시 장치
KR20070040204A (ko) * 2005-10-1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기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90010356A (ko) * 2007-07-23 200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포인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658B1 (ko) * 1994-10-27 1998-11-16 구자홍 포인트형 무선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80962A (ko) * 2005-01-06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측정 거리 표시 장치
KR20070040204A (ko) * 2005-10-1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기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90010356A (ko) * 2007-07-23 200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포인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826B1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1530B2 (en) Pointer control method, pointing apparatus, and host apparatus therefor
US11216084B2 (en) Method for remote-controlling target apparatu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mote control system thereof
KR101978740B1 (ko) 원격조종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42566B1 (ko)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201100826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62488A1 (en) Three-dimensional air mouse and display used together therewith
US20150029402A1 (en) Remot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controller
CN105100854B (zh) 用于控制光标的方法、遥控器以及智能电视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86381B1 (ko) 원격조정 송수신장치
JP200919444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位置検出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位置検出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位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95641A1 (zh) 数据交互方法及系统、移动终端
KR101339655B1 (ko) 모션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경험 기반의 스마트tv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04860A (ko) 원격 포인팅시스템
KR20120056698A (ko) Uwb 통신 기반의 모션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101497A (ko) 원격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5852B1 (ko) 멀티데이터 양방향 송수신을 위한 무선 카메라 시스템
JP20070660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guiの切り換え方法
KR100699670B1 (ko) 원격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090010356A (ko) 발광 및 수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포인팅 시스템
KR102089469B1 (ko) Avn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603208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box apparatus, and sound box apparatus
KR102371633B1 (ko) 리모컨의 위치 탐색 방법
KR20150063998A (ko) 원격조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189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