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275A -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 Google Patents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275A
KR20100101275A KR1020090019675A KR20090019675A KR20100101275A KR 20100101275 A KR20100101275 A KR 20100101275A KR 1020090019675 A KR1020090019675 A KR 1020090019675A KR 20090019675 A KR20090019675 A KR 20090019675A KR 20100101275 A KR20100101275 A KR 20100101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display board
modul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준석
최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1275A/en
Publication of KR20100101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2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n adjustment apparatus for a support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installation angle of electric sing board at one time. CONSTITUTION: A vertical support device(41) is extended from a point of the upper part of a module support downward. A horizontal support device(42) is extended from a point of the lower part of the module support backward. A motor(43) is contacted with a part of the vertical support device and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and controls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device and the horizontal support device.

Description

전광판의 받침대 및 그 받침대의 조절장치{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본 발명은 전광판에 이용되는 받침대 및 그 받침대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used for an electric sign and an adjusting device of the pedestal.

전광판은 대개 실외에 놓여서 대형화면을 구현하게 사용되는 장치이다. 전광판의 사용처로는 건물의 외벽이나 건물의 옥상 등이 있다. 실생활에 접하는 또 다른 예로서는 운동장의 펜스가 놓이는 위치 등에 마련되어, 광고 이미지를 띄우는 에이보드(A-board)가 있다. 물론, 그 외에도 전광판의 사용양태로는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도 있다. An electronic signboard is usually a device that is used outdoors to realize a large screen. The use of electric signboard i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he roof of the building. Another example of contacting the real life is an A-board provided in a position where a fence of a playground is placed and displaying an advertisement image. Of course, there may be various ways of using the electronic sign.

상기되는 전광판 중에서도 본원은, 에이보드와 같이 비스듬히 놓여서 사용되는 전광판의 받침대 및 그 받침대의 조절장치를 주된 대상으로 한다. 이후에 전광판이라고 하면서 특별한 지적이 없는 경우에는 비스듬히 놓여서 사용되는 에이보드와 같은 전광판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Among the above-described display boards, the present application mainly uses the bases of the display boards used at an angle like the A-board and the adjusting device of the bases. If there is no special designation later, the signboard refers to an electronic signboard, such as an A-board, which is used at an angle.

기존의 전광판의 받침대에는, 전광판을 이루는 각 모듈이 비스듬히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모듈 받침대와, 상기 모듈 받침대의 후방에서 상기 모듈 받침대를 지 지하는 받침대 지지구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 지지구에는, 모듈 받침대의 하측에서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구와, 상기 수평지지구와 상기 모듈 받침대의 상측에 연결되는 수직지지구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 받침대, 수평지지구 및 수직지지구의 측면이 이루는 형상이 대략 'A'형상이므로, 이를 에이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The base of the existing display board is provided with a module support provided so that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display board is installed obliquely,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dule support behind the module support. The pedestal suppor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suppo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module pedestal to the rear, and a vertical suppo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upper side of the module pedestal. Here, since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module support,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is approximately 'A' shape, it is also referred to as a-board.

이러한 구조의 전광판은, 일반적으로, 한번 설치된 위치 및 각도에서 전혀 에이보드의 뉘움각을 조절할 수가 없다. 상기 모듈 받침대의 비스듬한 뉘움각을 조금이라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수평지지구 또는 수직지지구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수평지지구와 수직지지구 간의 연결위치를 나사끼움위치 등을 바꾸는 것으로서 변동시키는 방법뿐이다. 그러나, 이는 작업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따르고, 설치와 해체 등과 같은 작업도 어렵다. In general, the electronic signboard of this structure cannot adjust the angle of retraction of the aboard at all once installed position and angle. In order to adjust the slanted angle of the module pedestal even a little, the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or vertical support, or change the connection position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by changing the screwing position, etc. It is only. However, this brings a lot of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and work such as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are also difficult.

본 발명은, 받침대의 각도가 편리하게 조절되어 작업자의 편리함이 증진되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전광판의 받침대 및 그 받침대의 조절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edestal of an electric signboard and an adjusting device of the pedestal, in which the angle of the pedestal is conveniently adjusted so that the operator's convenience is enhanced and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is convenient.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받침대는, 적어도 발광소자가 배열되는 모듈이 전방에 설치되는 모듈받침대; 및 상기 모듈받침대의 후방에 마련되는 받침대 지지구가 포함되고, 상기 받침대 지지구에는, 상기 모듈받침대 상부의 일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구; 상기 모듈받침대의 하부의 일 지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구; 및 상기 수직지지구와 상기 수평지지구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되어, 상기 수직지지구의 길이 및/또는 상기 수평지지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가 포함된다. The pedestal of the displa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module support tha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modul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arranged; And a pedestal support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odule support, the pedestal supporter comprising: a vertical support extending downward from one point above the module support; A horizontal support extending backward from one point of the lower part of the module support; And a motor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and / or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전광판의 받침대의 조절장치는, 전광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전광판 받침대 중에서 각도가 조절되어야 하는 전광판 받침대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전광판 받침대에 공급되어야 하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측으로 조작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가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apparatus of the display board pedest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display board pedestal angle should be adjusted from the at least two display board pedestals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board, the display board pedestal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A control unit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be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signal of an operator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전광판의 받침대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설치 및 해체 등과 같은 조작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djust the base of th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such as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is conveni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받침대의 사시도로서, 받침대에 전광판이 설치된 모습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광판(1)에는, 모듈(3)이 설치되는 모듈 받침대(2)와, 상기 모듈 받침대(2)의 설치각을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 지지구(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듈(3)은 적어도 발광소자가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광판에서 요구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대 지지구(4)의 위치 또는 자세가 조절되어 모듈 받침대(3)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gn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a signboard is installed on the stand.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board 1 is provided with a module pedestal 2 on which the module 3 is installed, and a pedestal supporter 4 for maintain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module pedestal 2. The module 3 has at least a light emitting device arranged there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number required by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In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pedestal support 4 is adjust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dule pedestal (3).

도 2는 받침대 지지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 지지구(4)에는, 모듈 받침대(2)의 하측부에서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구(42)와, 상기 수평지지구(42)의 일 지점에서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모듈 받침대(2)의 상측부에 연결되는 수직지지구(41)가 포함된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supporter. Referring to FIG. 2, the pedestal support 4 has a horizontal support 4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module pedestal 2 to the rear, and one side at one point of the horizontal support 42. This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vertical support 4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pedestal (2).

상기 수직지지구(41)는, 상측부는 제 1 수직지지대(411)로, 하측부는 제 2 수직지지대(4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수직지지대(411)와 모듈 받침대(2)의 연결지점은 제 1 힌지(44)에 의해서 힌지 회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2 수직지지대(411)(412)의 연결지점은 핀(413)에 의해서 고정이 위치 가변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어서, 핀(413)의 결합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 제 1, 2 수직지지대(411)(412)로 제공되는 수직지지대의 전체 길이는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핀(413)이 함께 끼워지는 다수의 홀이 제 1, 2 수직지지대(411)(412)에 제공되는 것도 물론이다. 제 2 수직지지대(412)의 하단부는 수평지지구(42)의 후단에 제 2 힌지(45)로 힌지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vertical support 41,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support 411,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412,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first vertical support 411 and the module support (2) The hinge can be rotated by the first hinge 44.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s 411 and 412 are fixedly fixed by the pin 413, and the position variable is freely coupled, thereby changing the engagement positions of the pins 413 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s. The overall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provided by 411 and 412 can be easily adjusted. Of course, a plurality of holes in which the pins 413 are fitted together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s 411 and 412.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support 412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42 by a second hinge 45 so that hinge rotation is possible.

상기 수평지지구(42)는, 모듈 받침대(2) 또는 제 1 수평지지대(421)에 고정되는 구동모터(43)에 의해서 적어도 일 구성요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이다. The horizontal support 42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component can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the driving motor 43 fixed to the module support 2 or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도 3은 도 2에서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는 것에 의해서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볼 수 있다. 수평지지구(42)에는, 상기 모듈 받침대(2)에 대하여 제 3 힌지(46)에 의해서 힌지 회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 1 수평지지대(421)와, 상기 제 1 수평지지대(421)에 대하여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 2 힌지(45)에 의해서 수직지지구(41)와 힌지연결되는 제 2 수평지지대(422)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2 수평지지대(422)가 제 1 수평지지대(421)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서 수평지지구(420의 전체 길이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2, an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tructure and operation thereof may be viewed in detail. The horizontal support 42 has a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provided to be hinged by the third hinge 46 with respect to the module support 2, an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A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that is longitudinally movable and hinged to the vertical support 41 by the second hinge 45 is included. Therefore, by moving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the entir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42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상기 제 1 수평지지대(421)에 의해서 제 2 수평지지대(422)의 운동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수평지지대(421)의 양단부는 절곡되어 수평가이드부(432)를 이루고 있다. 구동모터(43)의 구동축은 제 2 수평지지대(422)의 상면의 일부와 치합되어 치차부(424)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구동모터(43)의 운동에 따라서 제 2 수평지지대(422)는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서 수평지지구(42)는 전체 길이가 신장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지지대(422)가 전방으로 밀려 갔을 때에는 모듈 받침대(2)의 하단부를 지나서 모듈받침대(2)의 앞쪽으로 밀려나갈 수도 있다. In order for the mo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to be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both end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are bent to form a horizontal guide part 432. have.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43 is engaged wit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to form a gear 424. Therefore,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is moved back and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motor 43,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42 can be extended or shortened the entire length. When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is pushed forwar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may be pushed forward of the module support 2 past the lower end of the module support 2.

상기되는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설치 및 받침대 조절작용을 설명한다. It describes the installation and pedestal adjust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받침대의 설치각을 세우고자 할 때에는, 제 2 수평지지대(422)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43)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 2 수평지지대(422)는 제 1 수평지지대(421)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 2 힌지(45)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수평지지대(422)는 모듈받침대(2)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나올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모듈받침대(2)의 설치각은 점진적으로 세워진다. 이때, 수평지지구(42), 수직지지구(41), 및 모듈받침대(2)를 연결하는 각 지점은 힌지(44)(45)(46)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링크구조들은 모듈받침대(2)의 이동에 방해로 되지 않는다.When setting the mounting angle of the pedestal, the drive motor 43 is rotated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moves forward. Then,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moves forward along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421, and the second hinge 45 also moves forward. In this case,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may pass out through the module support 2.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odule support 2 is gradually raised. At this time, since each point connecting the horizontal support 42, the vertical support 41, and the module support 2 is connected by the hinges 44, 45, 46, each link structure is a module support We do not interfere with movement of (2).

모듈받침대의 설치각을 눕히고자 할 때에는, 제 2 수평지지대(4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에 의해서, 상기 세우는 운동과 반대되는 운동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이로써 일정한 범위까지 모듈받침대가 뉘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lay dow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odule support, by the action of moving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to the rear, the movement opposite to the upright movement is performed sequentially, whereby the module support can be divided to a certain range. hav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받침대의 각도를 더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핀(413)의 연결지점을 바꾸어서, 수직지지대의 전체 길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도 더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further adjusting the angle of the pedestal, it is possible to further adjust by changing the connection point of the pin 413, chang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한편, 전광판 받침대를 전체적으로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제 2 수평지지대(422)를 최고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받침대 지지구(4)의 전체 부피가 가장 작아지므로, 이동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dismantling the display board stand as a whole, i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422 is moved forward to the maximum, since the total volume of the support stand 4 is the smallest, it can be easily moved.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광판 받침대의 설치각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설치 및 해체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veniently adjuste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ignboard bas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peration is convenient.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구동모터는 수평지지구의 유효길이를 줄이거나 늘리는 역할을 구동모터가 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수직지지구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하는 역할을 구동모터가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의 경우에는 수직지지구의 구성과 수평지지구의 구성이 서로 교환되기만 하면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지지구와 수평지지구 전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그 길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motor is proposed as the drive motor to reduce or increase the effectiv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but may also allow the drive motor to serv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may only be interchanged. In some cases, a driving motor may be installed at both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to adjust its length.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받침대를 측면을 개념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설명이 없는 부분은 기 설명된 원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그 구조적인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특징적인 부분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지지구(41)와 수평지지구(42)의 연결지점에는 제 2 힌지(45)와 함께 롤러(52)가 마련된다. 그리고, 구동모터(43)의 구동축(50)과 상기 제 2 힌지(45)의 사이에는 로프(51)가 연결되어 있다. 4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ide surface of a display board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s, parts that are not described in detail are the same as the origina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or the structural modifications thereof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4, the roller 52 is provided with the second hinge 45 a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41 and the horizontal support 42. A rope 51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e shaft 50 of the drive motor 43 and the second hinge 45.

상기 구동축(50)이 정회전하면 로프(51)는 제 2 힌지(45)를 당기고, 그 당기는 힘은, 롤러(52)를 회전시키면서 수직지지구(41)의 하단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모듈받침대(2)의 설치각은 높아질 수 있다. 그와 반대로 구동축(50)이 역회전하면 로프(51)는 구동축(50)에서 풀린다. 이때, 모듈받침대(2)가 뉘어지려고 하는 힘은 수직지지구(41)를 거쳐서 제 2 힌지(45)를 후방(도 4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우측) 으로 밀려나는 힘에 의해서 작용된다. 그러므로, 구동축(50)이 역회전하면 롤러(52)는 후방으로 풀려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모듈받침대(2)의 설치각은 작아져서 모듈받침대(2)는 뉘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When the drive shaft 50 rotates forward, the rope 51 pulls the second hinge 45, and the pulling force pulls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41 while rotating the roller 52. The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odule support 2 can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when the drive shaft 50 is reversely rotated, the rope 51 is released from the drive shaft 50. At this time, the force that the module support 2 is intended to be acted upon is pushed by the force that pushes the second hinge 45 to the rear (right side when referring to FIG. 4) via the vertical support 41. Therefore, when the drive shaft 50 is rotated in reverse, the roller 52 can be released to the rear. The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module support (2) is small so that the module support (2)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to lie down.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광판 받침대의 설치 및 해체시에 받침대 지지구가 완전하게 모듈받침대의 후면에 포개질 수 있게 되므로, 전광판 받침대의 전체 구조가 더욱 축소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원 실시예에 제시되었던 전체 효과는 본 다른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작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destal supporter can be completely superimposed on the rear of the module support when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display board st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display board stand can be further reduced. Of course, the overall effects presented in the original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other embodiments as well.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전광판 받침대를 조절하거나, 전광판 받침대를 더욱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광판 받침대의 조절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경기장에는 다수의 전광판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에 더욱 편리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시예가 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djustment device of an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 or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support more conveniently will be described.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lly has a plurality of display board pedestals installed in one stadium, it may be an embodiment that can more conveniently correspond to thi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받침대의 조절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광판 받침대(62)는 적어도 두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전광판 받침대(62)는 제어부(61)에 의해서 병렬 또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5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djusting apparatus of a display 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t least two display board pedestals 62 are provided, and the display board pedestal 62 is connected in parallel or in series by the control unit 61. 5 is shown connected in series.

상기 제어부(61)에는, 특정의 전광판 받침대(62)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부(63)와, 전광판 받침대(62)의 각도를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는 전류의 세기, 인가시간 등을 정하여 상기 구동모터(43)로 전달하는 구동부(64)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어부(61)를 지시하여 원하는 전광판 받침대를 선택하거나 조정되는 받침대의 조절각도를 조작자의 입력신호를 받는 조작부(60)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서, 전체 전광판 받침대(62)를 일률적으로 조절하는 지시를 할 수도 있고, 태양광의 조사각에 맞추어서 일괄적으로 전광판 받침대의 영역별로 전광판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61 determines the selection unit 63 for selecting a specific display board pedestal 62, and determines the strength of the current, the application time, and the like, which can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board pedestal 62 to a desired level, and the drive motor. A driver 64 for transferring to 43 is provid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1 includes an operation unit 60 which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an operator to select a desired display board stand or adjust an angle of the stand to be adjusted. In some cases, an instruction may be made to uniformly adjust the entire display board pedestal 62, and a series of program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board pedestal for each area of the display board pedestal in accordance with the irradiation angle of sunlight may be set. It may be.

상기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경기장의 각 위치별로 다수 개가 마련되는 전광판을, 시청자가 항상 가장 바람직한 위치에서 볼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viewer can always see the display boar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ach position of a single stadium at the most desirable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광판의 설치각을 자동으로 조절가능하므로 작업자의 편의가 개선되고, 전광판 받침대의 설치 및 해체 시에 부피가 작아질 수 있어서 작업자의 편의가 더 개선된다. 아울러서, 경기장에 전체로서 마련되는 전광판 받침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어서, 설치자의 편의성은 더욱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display boar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e operator's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volume of the display board pedestal can be reduced during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thereby improving the operator's convenience. In addition, the display board pedestal provided as a whole in the stadium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convenience of the installer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받침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받침대 지지구의 후방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support;

도 3은 도 2에서 Ⅰ-Ⅰ'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받침대.4 is a display board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받침대의 조절장치.5 is a control device of the display board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적어도 발광소자가 배열되는 모듈이 전방에 설치되는 모듈받침대; 및A module support having at least a module in which light emitting elements are arranged in front; And 상기 모듈받침대의 후방에 마련되는 받침대 지지구가 포함되고, A pedestal supporter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odule support, 상기 받침대 지지구에는, The pedestal support, 상기 모듈받침대 상부의 일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구; A vertical support extending downward from one point above the module support; 상기 모듈받침대의 하부의 일 지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구; 및A horizontal support extending backward from one point of the lower part of the module support; And 상기 수직지지구와 상기 수평지지구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되어, 상기 수직지지구의 길이 및/또는 상기 수평지지구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가 포함되는 전광판의 받침대.And a motor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vertical support and / or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지지구 및 상기 수직지지구 중에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지지구에는, Among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vertical support in the support that can adjust the length,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의 제 1 지지대; 및A first support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상기 제 1 지지대를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대의 연장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 2 지지대가 포함되는 전광판의 받침대.And a second support movable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along the first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지지구에는, In the horizontal support, 상기 모터의 구동축 쪽과, 상기 수직지지구의 하단부 쪽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a drive shaft side of the motor and a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supporter; And 상기 수직지지구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이동부재가 포함되는 전광판의 받침대. Pedestal of the display board including a moving member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수평지지구, 상기 수직지지구, 및 상기 모듈받침대의 연결부는 힌지로 연결되는 전광판의 받침대.The horizontal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odule support is a pedestal of the display board connected by a hinge. 전광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전광판 받침대 중에서 각도가 조절되어야 하는 전광판 받침대를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 의해서 선택된 상기 전광판 받침대에 공급되어야 하는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구동부가 포함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including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 electric display board pedestal whose angle is to be adjusted among at least two display board pedestals for which the angle of the electric sign is adjustable, and a driving unit which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be supplied to the electric display board pedestal selected by the selection unit; And 상기 제어부 측으로 조작자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가 포함되는 전광판 받침대의 조절장치.Adjusting apparatus of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including an operation unit for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the operator to the control uni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광판 받침대는 에이보드인 전광판 받침대의 조절장치.The display board pedestal is the adjustment of the display board pedestal aboard.
KR1020090019675A 2009-03-09 2009-03-09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KR201001012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75A KR20100101275A (en) 2009-03-09 2009-03-09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675A KR20100101275A (en) 2009-03-09 2009-03-09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275A true KR20100101275A (en) 2010-09-17

Family

ID=4300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675A KR20100101275A (en) 2009-03-09 2009-03-09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127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87B1 (en) * 2020-02-24 2020-08-21 대원항업 주식회사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drawing image information
KR20230089055A (en) *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케이시스 LED display unit tha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87B1 (en) * 2020-02-24 2020-08-21 대원항업 주식회사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drawing image information
KR20230089055A (en) *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케이시스 LED display unit tha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966B1 (en) A wall-hanging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unit
JP6403384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2355836A (en) Display stands
KR20100101275A (en) Support for electric sign board and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support
KR20100030231A (en) Horizon apparatus
KR20050080139A (en) A remote automatic of a tv mount support control device
KR20210101022A (en) Shape changing device of display panel and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1005056B1 (en) Rotating type banner supporting apparatus
CN105575261B (en) The rear shell of display, the backlight module of display and display
KR20140090052A (en)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KR101062981B1 (en) Sliding elevation device with flat panel display
CN114170862A (en) Light simulation platform for exhibition hall
KR102616671B1 (en) LED display unit that is easy to adjust the angle.
KR100798612B1 (en) A wall-hanging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unit
CN205640114U (en) Mounting bracket of TV set
KR20100066223A (en) Partition having display panel
CN219515624U (en) Lifting teacher's desk wiring structure and lifting teacher's desk
KR20060129553A (en) Led electric bulletin boardequipped with outer infrared receiver
KR200358014Y1 (en)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angle of tv body, and the tv mounted with the same
CN211625109U (en) Stage lighting mobile device
KR20080104507A (en) Display apparatus
KR200459324Y1 (en) Angle controller of monitor
KR200410624Y1 (en) Supporter for display
CN210629403U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oard supporting mechanism capable of conveniently adjusting light receiving angle
CN209229278U (en) A kind of computer of display/panel bracket adjustable ang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