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57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571A
KR20100100571A KR1020090107951A KR20090107951A KR20100100571A KR 20100100571 A KR20100100571 A KR 20100100571A KR 1020090107951 A KR1020090107951 A KR 1020090107951A KR 20090107951 A KR20090107951 A KR 20090107951A KR 20100100571 A KR20100100571 A KR 2010010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recoding matrix
information
base stations
matrix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824B1 (ko
Inventor
구자호
고현수
임빈철
이욱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0/0003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101352A2/ko
Priority to US13/254,611 priority patent/US8688105B2/en
Publication of KR2010010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42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transmission using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77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2025/03802Signalling on the reverse channel
    • H04L2025/03808Transmission of equaliser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39Frequency-contiguous, i.e. with no allocation of frequencies for one user or terminal between the frequencies allocated to another

Abstract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의 CoMP 세트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서빙 셀은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인접 기지국들과 단말들 간의 제 1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인접 기지국들 중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을 CoMP 세트로 선택한다. 또한 서빙 셀은 단말들로부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하며, 이러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CoMP, PMI, CoMP set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CoMP s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시 서빙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의 과부하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으로 셀 간섭을 줄일 수 있는 CoMP 세트 설정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광대역 무선이동통신 기술로서 다중 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MIMO 시스템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통신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을 말한다. MIMO 시스템은 동일 데이터 송신 여부에 따라 공간 다중화 기법과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 다중화 기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함으로써 시스템의 대역폭을 증가하지 않고서도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은 다수의 송신 안테나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여 송신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의 일 예로 시공간 채널 코딩(Space Time Channel coding)이 있다.
또한, MIMO 기술은 수신 측에서 송신 측으로의 채널 정보의 피드백 여부에 따라 개루프 방식 및 폐루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루프 방식에는 송신단에서 정보를 병렬로 송신하며 수신단에서는 ZF(Zero Forcing),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방식을 반복 사용하여 신호를 검출하고 송신 안테나 수만큼 정보량을 늘릴 수 있는 블라스트(BLAST) 및 공간 영역을 이용하여 송신 다이버시티와 부호화 이득을 얻을 수 있는 STTC(Space-Time Trellis Code) 방식 등이 있다. 그리고 폐루프 방식에는 TxAA(Transmit Antenna Array) 방식 등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인트라 기지국(Intra eNB)과 인터 기지국(Inter eNB)의 CoMP(Coordinated Multi-Point) 기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중 셀(Multi Cell) 환경에서 인트라 기지국(110, 120) 및 인터 기지국(130)이 존재한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인트라 기지국은 몇 개의 셀(혹은 섹터)로 이루어져 있다. 특정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 속한 셀 들은 상기 특정 단말과 인트라 기지국(110, 120) 관계에 있다. 즉, 단말이 속한 자신의 셀과 같은 기지국에 속하는 셀 들은 인트라 기지국(110, 120)에 해당하는 셀 들이며 다른 기지국들에 속한 셀 들은 인터 기지국(130)에 해당하는 셀들이 된다.
이와 같이, 특정 단말과 동일한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셀 들은 x2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상태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주고 받지만, 다른 기지국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셀 들은 백홀(140) 등을 통해서 셀 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셀 내에 있는 단일 셀 MIMO 사용자(150)는 한 셀(섹터)에서 하나의 서빙 기지 국과 통신하고, 셀 경계에 위치한 다중 셀 MIMO 사용자(160)는 다중 셀(섹터)에서 다수의 서빙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조정 멀티 포인트(Coordinated Multi-Point: CoMP) 기법 (이하 CoMP 기법이라 한다.)은 다중 셀 환경에서 개선된 MIMO 송신을 적용함으로써 셀 경계에 있는 사용자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CoMP 기법을 적용하면 다중 셀 환경에서 셀 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CoMP 기법을 이용하면, 단말은 다중-셀 기지국(Multi-cell base-station)으로부터 공동으로 데이터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은 동일한 무선 주파수 자원(Same Radio Frequency Resource)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단말(MS1, MS2, … MSK)에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상태정보에 기초하여 공간 분할 다중접속(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CoMP 기법의 동작 모드는 데이터 공유를 통한 협력적 MIMO 형태의 연합 프로세싱 (joint processing) 모드와 협동 스케줄링/빔포밍 (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CS/CB) 모드로 나눌 수 있다.
CoMP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들은 백본망(Backbone Network)을 통해 스케줄러(scheduler)에 연결된다. 스케줄러는 백본망을 통하여 각 기지국(BS1, BS2, … BSM)이 측정한 각 단말(MS1, MS2, … MSK) 및 협력 기지국 간의 채널 상태에 관한 채널 정보를 피드백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는 서빙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협력 기지국에 대하여 협력적 MIMO 동작을 위한 정보를 스케줄링 한다. 즉 스케줄러에서 각 기지국으로 협력적 MIMO 동작에 대한 지시를 직접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서는 CoMP 기법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서빙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을 설정할 것인지. 어떠한 정보를 교환할 것인지 등에 관하여 정해진 바가 없다. 이러한 경우, 서빙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모든 인접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거나, 서빙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모두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인접 기지국이 처리하게 하는 것은 시스템 측면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하에서는 CoMP 세트 설정 시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의 양을 감소시켜 시스템 전체적인 오버헤드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CoMP 세트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CoMP(Coordinated Multi-Point) 세트 설정 방법은 단말들로부터 인접 기지국들과 상기 단말들 간의 제 1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들 중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을 CoMP 세트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수신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과 상기 단말들간의 제 2 연계 정보를 상기 단말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인접 셀의 제 2 연계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제 1 연계 정보와 제 2 연계 정보의 평균값을 함께 송신한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인접 기지국들에 관한 제 1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들과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한 제 1 연계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들 중 CoMP(Coordinated Multi-Point) 세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을 선택하는 CoMP 세트 선택 모듈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들로 송신하고,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수신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과 상기 단 말들간의 제 2 연계 정보를 상기 단말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제 1 연계 정보와 제 2 연계 정보의 평균값을 추출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와 함께 상기 평균 값을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방법을 이용하면 실제 단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접 기지국을 CoMP 세트로 설정함에 따라 CoMP 세트 설정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이를 인접 기지국으로 전달함에 따라 인접 기지국의 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 일정 용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들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용어로서 지칭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셀 또는 섹터는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되는 셀 또는 섹터가 하나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기지국에 의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셀 또는 섹터들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CoMP 세트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모드로 동작하는 서빙 기지국(Serving eNB)과 인접 기지국(Neighboring eNB)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란 단말들과 서빙 기지국과의 통신에 인접 기지국이 미치는 간섭 레벨(interference level)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Precoding Matrix Index list)란 서빙 기지국이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선택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집합을 지칭한다.
CoMP 기법을 효율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측정(예를 들어, 채널 상태 측정,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측정, 간섭 레벨 측정 등)하는 방법 과 측정된 정보의 송수신 방법 등에 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즉, CoMP 세트 설정 시 측정 과정과 이를 이용한 동작 과정을 정의함으로써 효율적인 CoMP 기법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CoMP 세트에 포함되는 인접 기지국을 선택하는 경우에 있어, 단말(User Equipment, UE)에서 측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과 단말과의 정보 교환 없이 서빙 기지국 자체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 중 단말에서 측정한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식은 실제 단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접 기지국을 CoMP 세트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빙 기지국 자체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CoMP 세트 설정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기술하는 본 발명의 CoMP 세트 설정 방법은 특히 단말에서 측정한 정보에 기반하여 CoMP 세트에 포함되는 인접 기지국을 선정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말들은 인접 기지국들에 관한 리스트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단말들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거나, 단말들이 인접 기지국들에 대한 측정을 통해 리스트를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단말들은 인접 셀 리스트에 기반하여 측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들은 인접 셀들에 대한 간섭 레벨(interference level)과 같은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의 측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계 정보에 대한 측정 값은 다음 표 1에 기술된 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인접 기지국의 RSRP (Reference Symbol Received Power)
2 인접 기지국의 RSRQ (Reference Symbol Received Quality)
3 인접 기지국의 RSSI(Reference Signal Strength Indicator),
4 인접 기지국에 추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가 적용되거나 또는 제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제외하였을 경우의 인접 기지국에 대한 CINR (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또는 SINR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5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PD(Propagation Delay)
6 인접 기지국에 추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가 적용되거나 또는 제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제외하였을 경우의 서빙 기지국에 대한 개선된(improved) CINR 또는 SINR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들은 단계 201에서 CoMP 세트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연계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상기 연계 정보는 앞서 언급한 인접 기지국에 대한 측정 값 중 하나 이상의 값과 해당 인접 기지국의 기지국 ID(Identification)(또는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이 미리 인접 기지국에 대한 리스트를 단말들에게 제공한 경우라면, 단말들은 미리 정의된 기지국 ID 순서대로 해당 인접 기지국에 대한 연계 정보를 송신하거나, 기지국 ID 에 해당하는 인덱스와 연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기지국 ID에 해당하는 인덱스 정보를 연계 정보의 크기 순으로 즉 간섭 레벨의 크기 순으로 정렬하여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계 202에서 서빙 기지국은 단계 201에서 수신한 연계 정보 및 기지국 ID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CoMP 세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CoMP 세트에 포함되는 기지국들의 선택 과정이 종료된 이후,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은 수행하고자 하는 CoMP 모드에 따른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선택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하나의 인접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CoMP 세트에 선택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서빙 기지국들은 해당 인접 기지국으로 다수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송신하여 선택 요청할 수 있다. 이하의 단계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선택 과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서빙 기지국은 단계 203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즉, 서빙 기지국은 단계 202에서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의 기지국 ID를 단말로 송신하여, 단말로 하여금 어떠한 인접 기지국들이 CoMP 세트에 포함되었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단계 204에서 단말들은 CoMP 세트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들을 측정하고 이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단계 205에서 CoMP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인접 기지국으로 각각의 단말에서 해당 인접 기지국에 대하여 측정한 모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어떠한 자체적 선택과정 없이 송신한다. 즉, 서빙 기지국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인접 기지국으로 포워딩한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이외에 단계 201에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연계 정보, 즉 간섭 레벨 정보를 함께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해당 인접 기지국은 해당 CoMP 세트 이외에 다른 CoMP 세트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다른 CoMP 세트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또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과 함께 연계 정보들을 역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또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과 함께 연계 정보들을 수신한 해당 인접 기지국은 실제 신호 송신 시 제한 또는 적용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과 연계 정보를 수신한 인접 기지국은 각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빈도에 기반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수신 빈도와 함께 간섭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 기지국 2는 서빙 기지국 1의 제 1 CoMP 세트와 서빙 기지국 3의 제 2 CoMP 세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 1의 제어를 받는 단말 1_1, 단말 2_1 및 단말 3_1는 각각 인접 기지국 2에 대하여 제한 또는 추천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로서 PMI 1, PMI 2 및 PMI 1를 서빙 기지국 1로 송신하고, 서빙 기지국 3의 제어를 받는 단말 1_3, 단말 2_3 및 단말 3_3는 각각 인접 기지국 2에 대하여 제한 또는 추천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로서 PMI 2, PMI 3 및 PMI 2를 서빙 기지국 3으로 송신한 것으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 1 및 서빙 기지국 3은 아무런 자체적 선택 과정 없이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모두 인접 기지국 2로 포워딩한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 1 및 서빙 기지국 3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이외에 연계 정보 즉 간섭 레벨 정보를 함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 기지국 2는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빈도가 가장 높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 또는 제외할 수 있다. 한편 수신한 모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빈도가 동일한 경우라면,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간섭의 영향이 가장 큰 행렬을 선택 또는 제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빙 기지국이 인접 기지국으로 단말로부터 수신한 모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또는 이와 함께 모든 연계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백홀(Backhaul)을 통한 정보 송수신의 복잡도나 오버헤드가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CoMP 세트 설정 방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1 내지 단계 304는 앞서 기술한 도 2의 단계 201 내지 단계 204와 동일한 과정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말들로부터 CoMP 세트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수신한 서빙 기지국은 단계 305에서 제 1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서빙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수신 빈도와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적용했을 경우의 연계 정보 즉, 간섭 레벨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별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PMI list)를 생성 한다.
계속하여, 서빙 기지국은 단계 306에서 CoMP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인접 기지국으로 단계 305에서 제 1 선택 과정에서 생성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 (PMI list)을 송신한다. 인접 기지국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이용하여 실제 적용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제 2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 기지국 2는 서빙 기지국 1의 제 1 CoMP 세트와 서빙 기지국 3의 제 2 CoMP 세트에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 1의 제어를 받는 단말 1_1, 단말 2_1 및 단말 3_1는 각각 인접 기지국 2에 대하여 제한 또는 추천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로서 PMI 1, PMI 2 및 PMI 1를 서빙 기지국 1로 송신하고, 서빙 기지국 3의 제어를 받는 단말 1_3, 단말 2_3 및 단말 3_3는 각각 인접 기지국 2에 대하여 제한 또는 추천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로서 PMI 2, PMI 3 및 PMI 2를 서빙 기지국 3으로 송신한 것으로 가정한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서빙 기지국 1 및 서빙 기지국 3은 해당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별하는 제 1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서빙 기지국 1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수신 빈도와 연계 정보에 기초하여 PMI 1와 PMI 2 중 하나를 선별하여 인접 기지국 2로 송신하고, 서빙 기지국 3은 PMI 2와 PMI 3 중 하나를 선별하여 인접 기지국 2로 송신한다.
또한 인접 기지국 2는 하나 이상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수신 빈도에 기초하여 실제 신호 송신 시 제한 또는 적용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제 2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해당 인접 기지국으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만을 송신하는 방법은 셀 경계에 있는 단말의 수가 적을 경우 확률적으로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으며,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빈도가 동일한 경우 등에는 실제 제한 또는 적용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결정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서빙 기지국에서 해당 인접 기지국으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송신 시 관련 정보를 함께 송신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단계 401 내지 단계 404 역시 앞서 기술한 도 2의 단계 201 내지 단계 204와 동일한 과정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서빙 기지국이 단계 401에서 CoMP 세트 구성 시 수신한 연계 정보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간섭 레벨 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단말들은 단계 405에서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또는 서빙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간섭 레벨과 같은 연계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은 CoMP 세트 구성 시 수신한 연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다만 단계 405의 과정은 서빙 기지국의 피드백 오버헤드가 과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서빙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 되는 연계 정보의 양을 줄여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계 401에서 수신한 연계 정보 또는 단계 405에서 갱신된 연계 정보의 통계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계적 값은 연계 정보의 평균 값, 합, 최대값, 최소값, 분산 값 또는 표준 편차와 같은 통계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계속하여 서빙 기지국은 단계 406에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선별하는 제 1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서빙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들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수신 빈도와 갱신된 연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별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은 수신 빈도가 가장 높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일지라도 그 통계적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로 선별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한다.
계속하여, 단계 407에서는 서빙 기지국은 CoMP 세트에 포함된 각각의 인접 기지국으로 단계 406의 제 1 선택 과정에서 생성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와 단계405에서 갱신된 연계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빙 기지국은 갱신된 연계 정보를 모두 송신하는 대신 상술한 통계적 값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의 송신 주기와 갱신된 연계 정보의 송신 주기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인접 기지국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와 연계 정보(바람직하게는 통계적 값)을 이용하여 실제 적용될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결정하는 제 2 선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의 빈도가 동일한 경우에도, 인접 기지국은 갱신된 연계 정보 또는 통계적 값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수신 모듈(510), 프로세서(520) 및 송신 모듈(530)을 포함하며, 특히 프로세서(520)는 CoMP 세트 선택 모듈(540)과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 리스트 생성 모듈(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510)은 단말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일반적인 데이터 이외에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와 연계 정보 즉 간섭 레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기지국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인접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송신 모듈(530)을 통하여 단말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2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된 연계 정보들에 대한 통계치, 즉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등을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에 포함된 CoMP 세트 선택 모듈(540)은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연계 정보들을 이용하여 인접 기지국들 중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을 CoMP 세트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의 리스트는 송신 모듈(530)을 통하여 단말들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20)에 포함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 생성 모듈(550)은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기 설정된 조건은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수신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을 선택하거나, 수신 빈도가 가장 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조건은 연계 정보의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듈(530)은 다른 기지국으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송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와 함께 프로세서(520)에서 추출된 연계 정보들에 대한 통계치를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기지국 협력 통신 기법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기존의 인트라 기지국(intra eNB)과 인터 기지국(inter eNB)의 CoMP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oMP 세트 설정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CoMP(Coordinated Multi-Point) 세트 설정 방법으로서,
    단말들로부터 인접 기지국들과 상기 단말들 간의 제 1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들 중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들을 CoMP 세트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로부터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CoMP 세트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수신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인,
    서빙 기지국의 CoMP 세트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과 상기 단말들간의 제 2 연계 정보를 상기 단말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CoMP 세트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인접 셀의 제 2 연계 정보를 함께 송신하는,
    서빙 기지국의 CoMP 세트 설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제 1 연계 정보와 제 2 연계 정보의 평균값을 함께 송신하는,
    서빙 기지국의 CoMP 세트 설정 방법.
  6. 단말들로부터 인접 기지국들에 관한 제 1 연계 정보(associated information)들과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수신한 제 1 연계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들 중 CoMP(Coordinated Multi-Point) 세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을 선택하는 CoMP 세트 선택 모듈과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선택하여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생성하는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들로 송신하고,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를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신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들 중 수신 빈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과 상기 단말들간의 제 2 연계 정보를 상기 단말들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에 대한 제 1 연계 정보와 제 2 연계 정보의 평균값을 추출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대응하는 인접 기지국으로 상기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리스트와 함께 상기 평균 값을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
KR1020090107951A 2009-03-04 2009-11-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91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0386 WO2010101352A2 (ko) 2009-03-04 2010-01-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조정 멀티 포인트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3/254,611 US8688105B2 (en) 2009-03-04 2010-01-21 Method for setting control multi poi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21209P 2009-03-04 2009-03-04
US61/157,212 2009-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571A true KR20100100571A (ko) 2010-09-15
KR101691824B1 KR101691824B1 (ko) 2017-01-02

Family

ID=4300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951A KR101691824B1 (ko) 2009-03-04 2009-11-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688105B2 (ko)
KR (1) KR101691824B1 (ko)
WO (1) WO2010101352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19B1 (ko) * 2012-09-27 2014-09-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 프리코딩을 고려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US9357505B2 (en) 2011-12-26 2016-05-31 Kt Corporation Processing digital signal
US9485737B2 (en) 2011-12-26 2016-11-01 Kt Corporation Controlling radio units to transmitting signal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US9882689B2 (en) 2012-10-18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3070B2 (en) * 2002-07-15 2013-09-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ccessing data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US8543098B2 (en) * 2002-07-15 2013-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EP2242187B1 (en) * 2009-04-14 2015-10-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618283B1 (ko) * 2009-05-22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다중 포인트 통신을 위한 정보 피드백 방법
US9264097B2 (en) 2009-06-04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336193A1 (en) * 2012-06-19 2013-12-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information for assisting user equipment
US8588801B2 (en) * 2009-08-21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point equalization framewor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KR101305722B1 (ko) * 2009-09-10 2013-09-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Mimo 송신을 위한 셀 선택
JP5081257B2 (ja) * 2010-02-04 2012-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9130607B2 (en) 2010-03-30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to facilitate coordinated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360740B1 (ko) 2010-09-13 2014-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oMP 운영을 위한 기지국,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
CN102065434B (zh) * 2011-01-06 2015-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多基站多输入多输出预编码的协调方法和装置
ES2769324T3 (es) 2011-03-09 2020-06-25 Tepha Inc Sistemas para mastopexia
KR101919049B1 (ko) * 2011-12-30 2018-11-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분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통신 방법
KR101980093B1 (ko) * 2012-01-27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071997B2 (en) 2012-07-23 2015-06-30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channel estimation/prediction filter design
US9407343B2 (en) 2012-08-31 2016-08-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downlink interference
JP6215448B2 (ja) 2013-04-09 2017-10-1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拡張干渉管理およびトラフィック適応(eimta)のための動的ポイント選択(dps)または半静的ポイント選択(spss)を使用した動的セルクラスタ干渉管理方式
CN105122878B (zh) * 2013-04-23 2019-02-0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系统、通信方法、用户终端、控制方法和连接基站
US9532867B2 (en) 2013-07-11 2017-01-03 Tepha, Inc. Absorbable implants for plastic surgery
WO2016067318A1 (en) * 2014-10-29 2016-05-06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D836778S1 (en) 2015-10-09 2018-12-25 Tepha, Inc. Three dimensional mastopexy implant
USD816220S1 (en) 2017-04-11 2018-04-24 Tepha, Inc. Three dimensional mastopexy implant
USD816221S1 (en) 2017-04-11 2018-04-24 Tepha, Inc. Three dimensional mastopexy implant
EP3749251B1 (en) 2018-02-09 2023-04-26 Tepha, Inc. Full contour breast implant
USD889655S1 (en) 2018-02-09 2020-07-07 Tepha, Inc. Three dimensional mastopexy implant
USD889654S1 (en) 2018-02-09 2020-07-07 Tepha, Inc. Three dimensional mastopexy implant
USD892329S1 (en) 2018-07-03 2020-08-04 Tepha, Inc. Three dimensional mastopexy implant
WO2020072349A1 (en) 2018-10-02 2020-04-09 Tepha, Inc. Medical devices to limit movement of breast implants
KR20220106798A (ko) 2019-11-25 2022-07-29 테파 인크. 유방 보형물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유방 보형물 랩 및 관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3967A1 (en) * 2007-03-23 2008-09-25 Juan Montojo Backhaul communication for interference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72B1 (ko) 2005-08-19 2007-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 시스템/ofdm 기반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가상다중 안테나 방법
WO2007021153A1 (en) 2005-08-19 2007-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irtual multiple antenna method for ofdm system and ofdm-based cellular system
KR20070112932A (ko)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 방법
KR101296237B1 (ko) 2007-02-09 2013-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인덱스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90077185A (ko) 2008-01-10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 기반의빔포밍을 수행하는 방법
US8559879B2 (en) * 2008-04-22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Null pilots for interference esti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406171B2 (en) * 2008-08-01 2013-03-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etwork MIMO reporting, control signaling and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3967A1 (en) * 2007-03-23 2008-09-25 Juan Montojo Backhaul communication for interference manag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7505B2 (en) 2011-12-26 2016-05-31 Kt Corporation Processing digital signal
US9485737B2 (en) 2011-12-26 2016-11-01 Kt Corporation Controlling radio units to transmitting signal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KR101435719B1 (ko) * 2012-09-27 2014-09-0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Mimo 프리코딩을 고려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US9882689B2 (en) 2012-10-18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88105B2 (en) 2014-04-01
WO2010101352A3 (ko) 2010-10-28
US20120021738A1 (en) 2012-01-26
WO2010101352A2 (ko) 2010-09-10
KR101691824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세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29548B1 (ko) CoMP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20337302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8369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recoding matrix index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MP scheme
US10771118B2 (en) Channel state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JP5538551B2 (ja) CoMP動作を行う無線通信システムで端末がフィードバック情報を転送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632211B1 (ko) 다중 셀 환경에서 CoMP 수행 셀 결정방법 및 장치
KR101505689B1 (ko) 다중 셀 협력에 기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730752B1 (ko) 빔 제약적 서브프레임에 기반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664127B1 (ko) 이웃 셀을 위한 협력 랭크 정보를 교환하는 다중 입출력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7158490B2 (ja) 複数の仮定を伴うチャネル状態情報(csi)フィードバック
WO20110033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channel soun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2013516799A (ja) ダウンリンクマルチアンテナマルチ基地局干渉協調方法と基地局
US20140161054A1 (e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1001005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 수행 및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
US20180175992A1 (en) A Wireless Device, A Radio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KR101566212B1 (ko) CoMP 피드백 정보의 전송 방법
EP3857785A1 (en) Restric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power control configurations
WO2020115523A1 (en) Two-dimensional subspace tracking and beamforming for active antenna systems
CN103795506A (zh) 用于确定反馈信息的方法和电路
US20230163820A1 (en) Adaptive uplink su-mimo precoding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based on reception quality measurements
US20220200686A1 (en) Overhead reduc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Mungara et al. Fog massive MIMO with on-the-fly pilot contamination control
KR101599851B1 (ko) CoMP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2084726A1 (en) Channel state variation estimation and sinr penalty computation for mu-mimo pai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