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314A -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314A
KR20100100314A KR1020090019138A KR20090019138A KR20100100314A KR 20100100314 A KR20100100314 A KR 20100100314A KR 1020090019138 A KR1020090019138 A KR 1020090019138A KR 20090019138 A KR20090019138 A KR 20090019138A KR 20100100314 A KR20100100314 A KR 2010010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terminal
application
middlewar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008B1 (ko
Inventor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00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이 미들웨어를 통해 입출력 단자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입출력 단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는 리스너를 미들웨어에 등록한다. 미들웨어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리스너와 이벤트를 미들웨어에 정의하는 클래스인 AVInOutPortManager가 등록·정의되어 있다. 입출력 단자의 상태에 변화가 생기면, 애플리케이션이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를 미들웨어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해 이벤트로서 인식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미들웨어를 통해 입출력 단자의 상태 정보를 얻어갈 수 있다.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가 없으면, 미들웨어에 등록된 리스너는 상태 변화를 대기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입출력 단자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In/OutPort status at digital broadcas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입출력 단자를 갖는 디지털 방송 장치에 있어 입출력 단자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효율적이고 더욱 편리한 디지털 방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TV 나 STB (Set Top Box) 등의 방송 장치에는 다양한 입력 단자 혹은 출력 단자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의 미디어 방송 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고화질 및 고사양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방송 장치에 장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방송과 통신이 결합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의 추세에 따라 종래의 출력 단자들뿐만 아니라 리모컨, 키보드, 마이크, 조이스틱과 같은 다양한 입력 단자들의 결합이 불가피하다. 기존의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과, 신규의 입출력 단자들은 기존의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과 호환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양한 디지털 방송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일관되게 동작하기 위해서 미들웨어(middleware)가 존재한다. 미들웨어는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다 양한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의 차이점을 완충하여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한다. 이중 특히 MHP 표준은 위성, 케이블, 지상파 및 마이크로파를 포함하는 모든 전송 네트워크들에서의 방송 및 대화형 서비스들에 대한 현존하는 DVB 표준을 확장한다. DVB/MHP 표준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대화형 디지털 애플리케이션들 및 터미널들 사이의 하드웨어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이는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들이 저기능에서 고기능에 이르는 셋톱 박스들, 집적화된 디지털 TV 세트들 및 멀티미디어 PC 들에 이르는 모든 유형들의 터미널들을 다룰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방송이 쌍방형 통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송 환경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입출력 단자에 대한 호환성을 제공하고 능동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며, 이 밖에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미들웨어를 통한 입출력 단자 관리 방법은, 방송 장치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가 정의된 미들웨어에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인식하는 리스너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는 입출력 단자의 종류, 입출력 단자의 타입 및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황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단자의 종류는 HDMI, COMPOSITE, COMPONENT, RGB 및 SVIDEO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단자의 타입은 단자가 입력(INPUT)인지 출력(OUTPUT)인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황은 단자의 연결이 추가되었는지(STATE_ADDED) 해제되었는지(STATE_REMOVED) 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미들웨어를 통한 입출력 단자 관리 방 법은, 상기 입출력 단자들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미들웨어가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로서 상기 상태 변화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는, 미들웨어에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정의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미들웨어에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인식하는 리스너를 등록하고,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얻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는 입출력 단자의 종류, 입출력 단자의 타입 및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황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단자의 종류는 HDMI, COMPOSITE, COMPONENT, RGB 및 SVIDEO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단자의 타입은 단자가 입력(INPUT)인지 출력(OUTPUT)인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황은 단자의 연결이 추가되었는지(STATE_ADDED) 해제되었는지(STATE_REMOVED) 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미들웨어가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로서 상기 상태 변화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도록 하는 미들웨어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방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전의 애플리케이션들 및 향후 사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에 대해 호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이 밖의 효과에 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및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특정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도 1은 방송 수신기의 계층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10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110), 미들웨어(120) 및 리소스(Resources; 130)를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110)은 방송 수신기(100)에서의 다양한 목적들을 달성하도록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정의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10)은 방송 수신기(100)상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로 실행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은 적절하게 설치된 방송 수신기(100)로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들과 함께 방송 스트림으로 방송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은 ISO/IEC1381-6 하에 특정된 DSM-CC 프로토콜과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캐로셀(carousel) 포멧으로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방송 수신기(100)는 이들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을 수신하고 이들을 국부적으로 실행한다.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들, 동조형 게임들(play-along games), 텔레뱅킹, 메뉴 내비게이션 옵션들, 텔레쇼핑, 전자 신문들 및 유사 정보 서비스들 등이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10)은 MHP(Multimedia Home Platform) 기반 규격의 엑스렛(Xlet)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Xlet을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는 자바 TV 플랫폼(예로써, 도 1의 미들웨어(120))을 지원하는 셋톱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이다.
Xlet들은 수명 주기를 가지며, 수명 주기 메소드 서명(life cycle method signature)은 인터페이스 Xlet에 의해 정의된다. 인터페이스 Xlet은 생성, 초기화, 시작 및 파괴와 같은 Xlet 상태 변화들을 알리기 위해 수명 주기 메소드들을 제공 한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Xlet은 그 수명 주기 메소드들을 실행하지 않는다. 모든 자바 TV 실행들은 인터페이스 Xlet을 경유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상태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Xlet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수명 주기 메소드들을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를 갖는다. 개발자는 Xlet 수명 주기에서의 각각의 시점에서 일어나는 것을 정의함으로써 그 메소드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지정 실행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게임 Xlet에 대한 initXlet 메소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들을 생성할 수 있다. Xlet은 몇몇 상태 변화들 자체를 개시하고 XletContext 인터페이스에서 메소드들을 야기함으로써 그 상태 변화들을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에 알리도록 설계된다.
인터페이스 Xlet은 자바 TVTM API에 정의된 패키지들 중 하나인 javax.tv.xlet 패키지에 의해 정의된다. 자바 TVTM API는 패키지들로 그룹핑된 인터페이스들 및 클래스들을 포함한다. 이들 패키지들은 텔레비전 네트워크들에 의해 전송된 방송 스트림을 통해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 및 클래스들을 포함한다.
javax.tv.xlet에 정의된, 인터페이스 xlet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가 Xlet을 생성, 초기화, 시작, 정지 및 파괴할 수 있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는 Xlet의 상태를 유지하고 다양한 수명주기 메소드들을 통해 Xlet 상에 메소드들을 야기한다. Xlet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그것의 내부 동작들 및 리소스 사용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이들 메소드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미들웨어(120)는 애플리케이션(110)과 리소스(130)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미들웨어(120)는 애플리케이션(110)의 정보 또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을 실행하여 수신한 명령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며, 산출한 결과를 애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미들웨어(120)는 인터페이스(Interface; 121),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 12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21)는 애플리케이션(110)과 시스템 서비스(126)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 및 명령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애플리케이션(110)은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미들웨어(1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10)의 제작자가 미들웨어(1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방송 규격에는 미들웨어(12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양식이 정의되어 있다. 만일 애플리케이션(110)이 각 방송 규격에 정의된 요청 양식에 따라 미들웨어(120)에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행을 요청한 경우, 인터페이스(121)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행 요청을 수신하고 시스템 서비스(126)가 요청한 특정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행 요청을 시스템 서비스(126)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방송 규격에서 정의된 미들웨어(12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양식은 JAVA로 정의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양식은 MHP의 API로 정의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MHP 1.0.x는 기본적이고, 벤더 특정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상관없이 디지털 대화식 TV에 대한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특정한다. 이러한 실행 환경은 JavaTM 가상 머신의 사용 및 대화식 디지털 TV 터미널의 일반적인 리소스들 및 시설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일반 API들의 정의에 기초한다. 이들 일반 API들을 사용하는 JavaTM 애플리케이션은 DVB-J 애플리케이션이라 불린다. 반대로, MHP 1.1은 새로운 선택적인 애플리케이션 유형, DVB-HTML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방식으로 MHP 1.0.x 플랫폼에 대한 부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한다. MHP 1.0.x에 대해서, 단지 DVB-J 만이 지원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MHP 1.0.x 하에서 실행되는 DVB-J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javax.tv.xlet.Xlet"은 정의된 인터페이스이고 MHP 1.0.x하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인식될 수 있는 엔티티이다.
시스템 서비스(126)는 인터페이스(121)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인터페이스(121)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서비스(126)는 애플리케이션(110)을 방송국으로부터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110)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활성 상태의 애플리케이션(110)에 리소스(130)를 할당 및 반환을 관리하고 할당된 리소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서비스(126)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들웨어(120)는 일례로 MHP 표준에 따라 구현되어 MHP API를 지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는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애플리케이션들(111, 112, ..., 119)의 생성, 실행, 종료를 관리할 수도 있다.
리소스(130)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엔티티를 의미하며, 리소스(130)는 하드웨어 리소스 및 소프트웨어 리소스로 표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리소스는 튜너, 복조부, CA 처리부, 역다중화기, 디코더, 메모리, 하드디스크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지칭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리소스는 그룹화된 복수의 하드웨어 엔티티를 나타낼 수도 있고 프레스, 스레드 등과 같은 운영체제상에 정의되는 리소스일 수도 있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javax.tv.xlet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Xlet의 메소드 요약은 다음과 같다. Xlet은 메모리(memory)에 로드된 상태(loaded state, 210)가 된다. Xlet은 initXlet 명령에 의해 로드된 상태(loaded state;210)에서 초기화되어 중지 상태(paused state; 220)로 진입한다. 중지 상태의 Xlet은 startXlet 명령에 의해 활성 상태(active state; 230)로 진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다. 활성 상태의 Xlet은 PauseXlet 명령에 의해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고 중지된 상태로 진입한다. destroyXlet 명령은 로드된 상태, 중지된 상태, 활성 상태로부터 Xlet으로 하여금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고 파괴된 상태(destroyed state; 240)로 진입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와 이하 후술할 실시예에서도 이해의 편의를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110)으로서, MHP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MHP 표준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며, 다른 데이터 방송 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명세서를 고려할 때 명백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300)는 튜너(311), 복조부(312), CA(Conditional Access) 처리부(313), 역다중화부(314), 미디어 디코더(315), 사용자 인터페이스(321), 저장매체(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 및 프로세서(350)를 구비한다. 여기서 튜너(311), 복조부(312), CA 처리부(313), 역다중화부(314), 미디어 디코더(315), 사용자 인터페이스(321), 저장매체(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 및 프로세서(350)는 방송 수신기(100)의 리소스(130)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튜너(311)는 안테나, 케이블, 위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301) 중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복조부(312)로 출력한다. 복조부(312)는 튜너(311)가 출력한 신호를 복조하여 CA 처리부(313)로 출력한다. CA 처리부(313)는 복조부(312)가 출력한 신호를 디스크램블하여 역다중화부(314)로 출력한다. 역다중화부(314)는 CA 처리부(313)가 출력한 신호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예를 들면 MPEG-2 포멧) 및 반복 방송되는 DSM-CC 객체 캐로셀 형태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여기서 비-방송 배송 채널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다른 실시예로 튜너(311)는 비-방송 배송 채널에 적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대치될 수 있다. 비-방송 배송 채널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채널일 수 있다.
미디어 디코더(315)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 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오디오(302) 및 비디오(303)로 각각 복호화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 디코더(315)는 오디오 복호기, 비디오 복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3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애플리케이션(370) 및 미들웨어(380)를 실행시킨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370) 및 미들웨어(380)는 도 1의 방송 수신기(100)의 애플리케이션(110) 및 미들웨어(120)에 각각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서(350)는 애플리케이션(110)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미들웨어(120)를 제어하는 미들웨어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미들웨어(380)는 튜너(311), 복조부(312), CA 처리부(313), 역다중화부(314), 미디어 디코더(315), 사용자 인터페이스(321), 저장매체(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를 제어 또는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370)에 할당한다. 이를 위해 미들웨어(380)는 튜너 제어부(381), CA 제어부(382), MPEG-2 섹션 필터(383),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 DSM-CC 처리부(385), 미디어 제어부(386), 저장 제어부(387) 및 통신부(388)를 포함한다.
튜너 제어부(381)는 튜너(811)를 제어하여 튜너(811)를 애플리케이션(370)에 할당하거나 애플리케이션(370)의 명령에 따라 튜너(811)의 튜닝 주파수를 변경한다. CA 제어부(382)는 CA 처리부(313)를 제어하여 CA 처리부(313)가 복조부(312)가 출력한 신호를 디스크램블하도록 한다.
MPEG-2 섹션 필터(383)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비디오 스트림을 필 터링하여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데이터 스트림 중에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한다.
DSM-CC 처리부(385)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스트림을 파싱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저장매체(322)에 저장한다.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350)에서 실행된다.
미디어 제어부(386)는 미디어 디코더(315)를 제어하여 오디오(302) 및 비디오(303)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저장 제어부(387)는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매체(322)로 저장하고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서비스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한다. 저장매체(322)는 RAM 메모리, FLASH 메모리 및 HD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이들 중 하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일 수 있다.
통신부(388)는 애플리케이션(370)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를 제어한다.
프로세서(380)는 단일 프로세서 또는 멀티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미들웨어(380)의 튜너 제어부(381), CA 제어부(382), MPEG-2 섹션 필터(383),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 DSM-CC 처리부(385), 미디어 제어부(386), 저장 제어부(387) 및 통신부(388)는 각각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들웨어(380)는 애플리케이션(370)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로 이루어진 튜너 제어부(381), CA 제어부(382), MPEG-2 섹션 필터(383),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 DSM-CC 처리부(385), 미디어 제어부(386), 저장 제어부(387) 및 통신부(388)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계층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의 디지털 방송 장치는 애플리케이션(410), 미들웨어(420), 리소스(430)를 구비하며, 특히 애플리케이션(410), 미들웨어(420)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애플리케이션(110), 미들웨어(120)에 대응되며 도 4에서는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4에서 리소스(430)는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In/OutPort; 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입출력 단자들(440)은 입출력 방식에 따라 Component 단자(441), Composite 단자(442), HDMI 단자(443), S-Video 단자(444), RGB 단자(445) 등을 포함한다. 다만, 이러한 입출력 단자들은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의 예시로서, 상기의 단자들은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것이다. 다양한 입출력 장치가 동일한 단자를 공유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 도시된 입출력 단자 외에도 마이크, 키보드, 조이스틱 등의 장치에 대한 단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방송과 통신이 융화되는 현재 기술 동향에 따라 디지털 방송 장치의 용도가 방송 이외에도 쌍방향 통신, 교육, 의료 등으로 다양해 짐에 따라 그게 따른 다양한 입출력 장치가 구비되고, 따라서 이에 따른 다양한 입출력 단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양한 입출력 단자들(440)의 입력 및 출력 단자의 연결 상태는 리소스(430)에서 사용자의 연결에 따라 인식된다. 다만, 종전의 경우 입출력 단자의 연결 기타 상태에 대해 애플리케이션(410)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단자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미들웨어(420)에서 리소스(430)의 입출력 단자의 현재 상태 및 변화를 애플리케이션(410)에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410)에서 단자 상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410)은 MHP 기반 Xlet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미들웨어(420)에서 애플리케이션(410)에 리소스(430)의 입출력 단자들(440)의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410)에서 다양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의 실시예에서, Component 단자(441)의 연결이 해제되고 Composite 단자(442)가 연결된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미들웨어를 통해 상태 변화를 인지하고, 현재 단자(Composite 단자(442))에 대응하는 해상도의 비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조이스틱 단자가 연결된 경우 게임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마이크가 연결된 경우 가능한 음성 인식 메뉴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능동적인 대응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들웨어(420)에 입출력 단자들(440)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가 정의된다. 애플리케이션(410)은 미들웨어(420)에 이러한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는 리스너를 등록하고, 이 리스너를 통해 입출력 단자들(440)의 상태 정보를 얻어갈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420)는 입출력 단자 들(440)의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서 인식하여 이를 애플리케이션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MHP 기반 규격의 Xlet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는 자바 TV 플랫폼을 지원하는 셋톱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일례로 MHP 표준에 따라 구현되어 MHP API를 지원할 수 있는 미들웨어에서 입출력 단자의 변경 및 현재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클래스 AVInOutPortManager를 정의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래스인 AVInOutPortManager는 Xlet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들웨어에 리스너(AVInOutPortManagerListener)를 등록할 수 있게 하고(addAVInOutPortManagerListener), 리스너를 미들웨어에서 삭제(종료)할 수 있게 한다(removeAVInOutPortManagerListener). 그리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AVInOutPortManagerEvent) Xlet 애플리케이션이 입출력 단자의 현재 상태를 능동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다(getCurrentAVStatus).
미들웨어가 애플리케이션에 입출력 단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하 두 클래스를 미들웨어에 정의할 수 있다. 각 클래스의 구체적인 정의 및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서 클래스 AVInOutPortManagerListener를 정의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Xlet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리스너로서 클래스 AVInOutPortManagerListener를 정의할 수 있다. 도 6에서 AVInOutPortManagerListener는 입출력 단자의 상태에 변화가 있으면, 즉 이벤트(AVInOutPortManagerEvent) 발생시 입출력 단자의 상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서 클래스 AVInOutPortManagerEvent를 정의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입출력 단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로서 AVInOutPortManagerEvent를 정의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입출력 단자 관련 이벤트를 클래스에 정의하면, 미들웨어가 이를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입출력 단자의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서 device는 입출력 단자의 종류가 HDMI, COMPOSITE, COMPONENT, RGB, SVIDEO 중 무엇인지를 나타낸다. device type에서, INPUT은 연결된 입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인지 OUTPUT은 출력 단자인지를 나타낸다. status에서, STATE_ADDED는 입출력 단자에 연결이 추가되었는지, STATE_REMOVED는 입출력 단자의 연결이 해제되었는지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정보들은 일 예시로서,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단자의 종류 및 상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AVInOutPortManagerEvent 정의는 상술한 항목들을 이벤트로 리턴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InOutPortManager를 이용한 입출력 단자의 상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에서, 애플리케이션은 AVInOutPortManager.getInstance()를 통해 AVInOutPortManager라는 Instance를 얻어올 수 있다. 이렇게 얻어온 Instance에 리스너를 등록한다(S810). 미들웨어는 이 리스너를 통해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애플리케이션에 알려준다(S820). Xlet 애플리케이션은 전달받은 이벤트를 통해 현재 AV 입출력 단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이벤트 안에 포함된 입출력 단자 정보(Device, Device Type, Event Type)를 미들웨어로부터 얻어갈 수 있다(S83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단자의 상태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입출력 단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는 리스너를 미들웨어에 등록한다(S910).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미들웨어에 애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리스너와 이벤트를 미들웨어에 정의하는 클래스인 AVInOutPortManager를 등록·정의할 수 있다.
입출력 단자 상태 정보는 입출력 단자의 종류, 입출력 단자의 타입, 입출력 단자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단자의 종류는 COMPONENT, COMPOSITE, HDMI, S-VIDEO 및 RGB 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단자의 타입은 입출력 단자가 입력 단자인지, 출력 단자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단자의 상태는 입출력 단자가 연결되었는지, 연결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단자의 상태에 변화가 생기면(S920), 애플리케이션이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를 미들웨어에 등록된 리스너를 통해 상술한 입출력 단자 상태 정보를 포 함하는 이벤트로서 인식한다(S930). 애플리케이션은 미들웨어를 통해 입출력 단자의 상태 정보를 얻어갈 수 있다(S940).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가 없으면, 미들웨어에 등록된 리스너는 상태 변화를 대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며, 다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 청구범위 기재 범위에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방송 수신기의 계층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계층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AVInOutPortManager를 정의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AVInOutPortManagerListener를 정의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AVInOutPortManagerEvent를 정의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스 AVInOutPortManager를 이용하여 입출력 단자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8)

  1.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장치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가 정의된 미들웨어에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인식하는 리스너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는 입출력 단자의 종류, 입출력 단자의 타입 및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의 종류는 HDMI, COMPOSITE, COMPONENT, RGB 및 SVIDEO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단자의 타입은 단자가 입력(INPUT)인지 출력(OUTPUT)인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태는 단자의 연결이 추가되었는지(STATE_ADDED) 해제되었는지(STATE_REMOVED) 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의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들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미들웨어가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로서 상기 상태 변화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5. 입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장치의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미들웨어 제어부; 및
    상기 미들웨어 제어부가 제공하는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인식하는 리스너를 상기 미들웨어 제어부가 구동하는 미들웨어에 등록하고,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미들웨어로부터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를 얻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는 입출력 단자의 종류, 입출력 단자의 타입 및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자의 종류는 HDMI, COMPOSITE, COMPONENT, RGB 및 SVIDEO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단자의 타입은 단자가 입력(INPUT)인지 출력(OUTPUT)인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단자의 변화 상태는 단자의 연결이 추가되었는지(STATE_ADDED) 해제되었는지(STATE_REMOVED) 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웨어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 단자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미들웨어가 상기 리스너를 통해 상기 입출력 단자 이벤트 정보로서 상기 상태 변화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디지털 방송 장치.
KR1020090019138A 2009-03-06 2009-03-06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49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38A KR101549008B1 (ko) 2009-03-06 2009-03-06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38A KR101549008B1 (ko) 2009-03-06 2009-03-06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14A true KR20100100314A (ko) 2010-09-15
KR101549008B1 KR101549008B1 (ko) 2015-09-01

Family

ID=4300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38A KR101549008B1 (ko) 2009-03-06 2009-03-06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0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008B1 (ko) 201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06801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US80409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codec
US9264757B2 (en) Service executing apparatus
KR20040027956A (ko)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20140082682A1 (en) Smart set-top box and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smart service and digital television service using default media player included in single operating system
US8244829B2 (en) Data transmitting apparatus, data receiving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method
US20090222867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video storing apparatus, and multimedia delivering system
US20090300231A1 (en) Data output device, equipment control device, and multimedia delivery system
US96213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 to device using different digital broadcast middleware standards
JP5852217B2 (ja) デジタルテレビ用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システム、デジタルテレビ用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および該システムの実装方法
EP1589755B1 (en) Receiver of analogue and digital television signals and method of receiving analogue and digital signals
KR100838247B1 (ko)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의 동적 실행을 위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US9681178B2 (en) Distributed presentation software for multiple instantiations in home network
KR101549008B1 (ko)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100107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initialization of digital host device
KR101586315B1 (ko) 방송 수신기 및 네트워크 장치 모니터링 방법
KR20100081408A (ko) 방송 수신기 및 리턴 채널 상태 모니터닝 방법
KR20100086763A (ko) 폰트 정보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20090126769A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KR20100056173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105324A (ko) 디지털 방송을 지원하는 미들웨어, 방송 수신기 및 방송수신기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 관리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기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 관리 방법을 기록한기록매체
WO2007066361A1 (en) Process,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g mhp applications
KR20100056172A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