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769A -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769A
KR20090126769A KR1020080053053A KR20080053053A KR20090126769A KR 20090126769 A KR20090126769 A KR 20090126769A KR 1020080053053 A KR1020080053053 A KR 1020080053053A KR 20080053053 A KR20080053053 A KR 20080053053A KR 20090126769 A KR20090126769 A KR 20090126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uide information
host access
information
broadcas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주
박석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769A/ko
Publication of KR2009012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수신부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저장매체는 데이터 접근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수신부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에 의하면, 수신단에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적합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방송 수신기에 최적화된 전송 방식 및 경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또한 수신단에서 A/V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 A/V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을 별개의 전송 매체로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데이터 스트림을 첨부하지 않고 A/V 스트림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A/V 스트림의 재전송으로 인한 데이터 스트림의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53053
방송 데이터, 전송 방식, 전송 매체, 트랜스포트 스트림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Broadcasting receiver,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data}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텍스트, 정지화상, 동화상, 그래픽, 문서, 소프트웨어 등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청자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은 다채널/다매체 방송으로 기존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고화질/고음질의 고품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기능성을 가진다. 다기능성이란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방송 매체를 통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서비스로 데이터방송 또는 대화형 방송 기능을 말한다. 데이터 방송은 텍스트, 정지화상, 동화상, 그래픽, 문서, 소프트웨어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청자가 방송 수신기로 정보를 이용하는 방송으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가장 잘 부합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들웨어 플랫폼 제공자들은 다수의 이종(heterogeneous) 방송 및 웹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배치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액세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들 네트워크들은 일반적으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Digital Video Broadcasting)(DVB-C(케이블), DVB-T(지상파), 및 DVB-S(위성)을 포함), OpenCable.TM.애플리케이션 플랫폼(OpenCable.TM. OCAP:Applications Platform), 차세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ATSC), 국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NTSC), GI 모토롤라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홈 플랫폼(MHP:Multimedia Home Platform) 표준 등을 포함한 각각의 미국 또는 유럽 산업 디지털 방송 표준에 기초한다. 특히 MHP 표준은 위성, 케이블, 지상파 및 마이크로파를 포함한 모든 전송 네트워크들에서의 방송 및 대화식 서비스들에 대한 현존하는 DVB 표준을 확장한다. DVB/MHP 표준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하는 대화식 디지털 애플리케이션들 및 터미널들 사이의 하드웨어 독립적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이것은 디지털 콘텐츠 제공자들이 저기능으로부터 고기능 셋톱 박스들, 집적된 디지털 TV 세트들 및 멀티미디어 PC들에 이르는 모든 유형들의 터미널들을 다룰 수 있게 한다.
MHP 표준의 버전 1.0.3은 'Xlet'라고 하는 무료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지원한다. 즉 MHP 표준에서 Xlet Applica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처리하게 된다. 이때 Xlet Application은 미들웨어로부터 System의 자원을 할당받아 이러한 일들을 처리하게 된다. 즉 Xlet Application은 직접 방송 수신기의 자원을 직접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미들웨어를 통해 할당받음으로써 저기능으로부터 고기능 셋톱 박스들, 집적된 디지털 TV 세트들 및 멀티미디어 PC들에 이르는 모든 유형들의 터미널에서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단에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적합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신단에서 A/V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한 적합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방송 시스템 구현에 따라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지시하는 값이 변경되어도, 수신단에 저장된 정보의 수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수신단에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적합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은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수신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 :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고, 상기 호스트 접근 안 내 정보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함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는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와 매핑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접근 정보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데이터는 MPEG 섹션 데이터, A/V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 모드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데이터 접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추출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부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 및 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 :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함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는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와 매핑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접근 정보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필터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추출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송 데이터는 MPEG 섹션 데이터, A/V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송 모드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에 의하면, 수신단에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적합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방송 수신기에 최적화된 전송 방식 및 경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단에서 A/V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 각각에 대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 A/V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을 별개의 전송 매체로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데이터 스트림을 첨부하지 않고 A/V 스트림을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A/V 스트림의 재전송으로 인한 데이터 스트림의 재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스템 구현에 따라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지시하는 값이 변경되어도, 수신단에 저장된 정보의 수정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수신단에서 방송 데이터에 대한 적합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전송 방식 및 경로를 지시하는 값의 변경으로 인한 방송 수신기에 저장된 정보의 업데이트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 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방송 수신기의 계층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100)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110), 미들웨어(120) 및 자원(Resources, 130)을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110)은 방송 수신기(100)에서의 다양한 목적들을 달성하도록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정의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110)은 방송 수신기(100) 상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로 실행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은 적절하게 설치된 방송 수신기(100)로 디지털 텔레비전 프로그램들과 함께 방송 스트림으로 방송된다.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은 ISO/IEC1381-6 하에 특정된 DSM-CC 프로토콜과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캐로셀(carousel) 포맷으로 방송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은 주기적으로 방송된다. 적절하게 설치된 방송 수신기(100)는 이들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을 수신하고 그것들을 국부적으로 실행한다.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들, 따라하는(play-along) 게임들, 텔레뱅킹, 메뉴 네비게이션 옵션들, 텔레쇼핑, 전자 신문 들 및 유사한 정보 서비스들이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110)은 MHP(Multimedia Home Platform) 기반의 규격에서 엑스렛(Xlet)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Xlet을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는 자바 TV 플랫폼(예로써, 도 1의 미들웨어(120))을 지원하는 셋톱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이다. Xlet들은 "주된(main)" 방법을 가지지 않으며 Xlet들은 인터페이스 Xlet을 실행한다.
Xlet들은 수명 주기를 가지며, 수명 주기 메소드 서명(life cycle method signature)은 인터페이스 Xlet에 의해 정의된다. 인터페이스 Xlet은 생성, 초기화, 시작 및 파괴와 같은 Xlet 상태 변화들을 알리기 위해 수명 주기 메소드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터페이스 Xlet은 그 수명 주기 메소드들에 대한 실행을 제공하지 않는다. 모든 자바 TV 실행들은 인터페이스 Xlet을 경유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상태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Xlet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수명 주기 메소드들을 호출하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를 가진다. 인터페이스 Xlet은 그 수명 주기 메소드들에 대한 실행을 제공하지 않는다. 개발자는 Xlet 수명 주기에서의 각각의 지점에서 일어나는 것을 정의함으로써 그 메소드들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지정 실행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게임 Xlet에 대한 iniXlet 메소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들을 생성할 것이다. Xlet은 몇몇 상태 변화들 자체를 개시하고 XletContext 인터페이스에서 메소드들을 야기함으로써 그 상태 변화들을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에 알리도록 설계된다.
인터페이스 Xlet은 자바 TVTM API에 정의된 패키지들 중 하나인 javax.tv.xlet 패키지에 의해 정의된다. 자바 TV API는 패키지들로 그룹핑된 인터페이스들 및 클래스들로 이루어진다. 이들 패키지들은 텔레비전 네트워크들에 의해 전송된 방송 스트림을 통해 디지털 수신기로 전송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 및 클래스들을 포함한다.
javax.tv.xlet에 정의된, 인터페이스 Xlet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가 Xlet을 생성, 초기화, 시작, 정지 및 파괴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는 Xlet의 상태를 유지하고 다양한 수명주기 메소드들을 통해 Xlet상에 메소드들을 야기한다. Xlet은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그것의 내부 동작들 및 리소스 사용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이들 메소드들을 실행한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싸이클의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javax.tv.xlet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Xlet의 메소드 요약은 다음과 같다. Xlet은 메모리(memory)에 로드된 상태(loaded state, 210)가 된다. initXlet은 로드된 상태(loaded state, 210)의 Xlet 자체를 초기화하고 중지 상태(paused state, 220)로 진입하기 위해 Xlet에 신호를 보낸다. startXlet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활성 상태(active state, 230)로 진입하기 위해 Xlet에 신호를 보낸다. PauseXlet은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고 중지된 상태(220)로 진입하기 위해 Xlet에 신호를 보낸다. destroyXlet은 서비스 제공을 종료하고 파괴된 상태(destroyed state, 240)로 진입하기 위해 Xlet에 신호를 보낸다.
한편, 당해 제1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서도,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110)은 MHP 애플리케이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MHP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데이터 방송 규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를 고려할 때, 이 점은 명백하다.
예컨대, 케이블뿐만 아니라, 지상파, 위성 방송을 통한 데이터 방송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100)는 사용자에게 리모컨 또는 로컬키(Local Key)의 "TV/Video" 버튼 등의 조작으로, 지상파 방송 모드(Antenna), 위성 방송 모드, 케이블 방송 모드(cable), 비디오 1(Video 1) 및 비디오 2(Video 2)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미들웨어(120)는 애플리케이션(110)과 자원(130) 간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미들웨어(120)는 애플리케이션(110)의 정보 또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명령을 실행하여 수신한 명령에 대한 결과를 산출하며, 산출한 결과를 애플리케이션(120)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미들웨어(120)는 인터페이스(Interface, 121),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 126)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121)는 애플리케이션(110)과 시스템 서비스(126)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 및 명령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애플리케이션(110)은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미들웨어(1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110)의 제작자가 미들웨어(1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방송규격에는 미들웨어(12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양식이 정의되어 있다. 만 일 애플리케이션(110)이 각 방송규격에 정의된 요청 약식에 따라 미들웨어(120)에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행 요청을 한 경우에는, 인터페이스(121)는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행 요청을 수신하고 시스템 서비스(126)가 요청한 특정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서비스에 대한 수행 요청을 시스템 서비스(126)로 전달한다. 여기서 방송규격에서 정의된 미들웨어(120)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양식은 JAVA로 정의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요청 양식은 MHP의 API로 정의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MHP 1.0.x는 기본적이고, 벤더 특정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상관없이 디지털 대화식 TV에 대한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특정한다. 이러한 실행 환경은 Java™가상 머신의 사용 및 대화식 디지털 TV 터미널의 일반적인 리소스들 및 시설들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일반 API들의 정의에 기초한다. 이들 일반 API들을 사용하는 Java™애플리케이션은 DVB-J 애플리케이션이라 불리운다. 반대로, MHP 1.1은 새로운 선택적인 애플리케이션 유형, DVB-HTML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방식으로 MHP 1.0.x 플랫폼에 대한 부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한다. MHP 1.0.x에 대해서, 단지 DVB-J만이 지원될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MHP 1.0.x 하에 실행되는 DVB-J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 "javax.tv.xlet.Xlet"은 정의된 인터페이스이고 MHP 1.0.x하에서 실행될 수 있고 인식될 수 있는 엔티티이다.
시스템 서비스(126)는 인터페이스(121)가 송신하는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인터페이스(126)에 제공한다. 또한 시스템 서비스(126)는 애플 리케이션(110)을 방송국으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110)의 라이프 싸이클을 관리하며, 활성 상태(active state, 230)의 애플리케이션(110)에 자원(130)을 할당 및 반환을 관리하고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 서비스(126)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127)를 구비한다. 여기서 미들웨어(120)는 일예로 MHP 표준에 따라 구현되어 MHP API를 지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127)는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의 라이프 싸이클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의 생성, 실행, 종료를 관리한다.
자원(130)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하드웨어 엔티티(entity)를 의미하며, 자원(130)은 하드웨어 자원 및 소프트웨어 자원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자원은 튜너, 복조부, CA, 역다중화기, 디코더, 메모리, 하드디스크 및 네트워크 어댑터를 말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자원은 그룹화된 복수의 하드웨어 엔티티를 나타낼 수 있고 프레스, 쓰레드 등과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상에 정의되는 자원일 수 있다. 여기서 쓰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 단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쓰레드를 가지고 있지만, 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둘 이상의 쓰레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도 있다. 즉 프로그램은 멀티쓰레드(multithread)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쓰레드 방식은, 프로세스가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각각 별개의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 달리, 각 쓰레드가 프로세스 내의 메모리를 공유해 사용하는 실행 방식이다.
또한 자원(130)은 애플리케이션(110)이 내부 구현에 무관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110)에 투명하게(transparently) 제공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미들웨어(120)가 애플케이션(110)과 자원(130)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원(130)은 공유 자원과 비공유 자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유 자원은 메모리, 쓰레드, 네트워크 세션 등의 자원으로 애플리케이션(111, 112, …, 119)들이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자원을 말하며, 비공유 자원은 튜너 등의 자원으로 애플리케이션(111)이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112,…,119)이 사용할 수 없는 자원을 말한다.
자원(130)을 이용하기 위해서 Xlet Application은 자율적으로 VM 메모리와 쓰레드들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자원에 대한 규약이나, 관리는 전적으로 미들웨어(120)에서 이루어지며 애플리케이션(110)에서는 자신의 자원의 사용량에 대해 큰 고려 없이 동작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300)는 튜너(311), 복조부(312), CA(313), 역다중화부(314), 미디어 디코더(315), 사용자 인터페이스(321), 저장매체(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 및 프로세서(350)를 구비한다. 여기서 튜너(311), 복조부(312), CA(313), 역다중화부(314), 미디어 디코더(315), 사용자 인터페이스(321), 저장매체(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 및 프로세서(350)는 방송 수신기(100)의 자원(130)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튜너(311)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조부(312)로 출력한다. 즉 튜너(311)는 안테나, 케이블, 위성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301) 중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복조부(312)로 출력한다. 튜너(311)는 방송 소스 예를 들어, 지상파, 케이블, 위성별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통합 튜너일 수도 있다. 또한 튜너(311)가 지상파 방송용 튜너라고 가정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튜너와 아날로그 튜너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고, 디지털/아날로그 통합 튜너일 수도 있다. 튜너(311)는 지상파를 예로 들 경우,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지상파 방송 콘텐츠 즉,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튜닝하여 복조부(312)로 출력한다.
여기서 튜너(311)가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는 A/V 데이터, MPEG 섹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V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MPEG 섹션 데이터는 SI(System Information), EAS,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특히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수신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XAIT, AMT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AIT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이름(name),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애플리케이션의 우선 순위, 애플리케이션의 ID, 애플리케이션의 상태(auto-start, 사용자에 의한 조작가능, kill 등), 애플리케이션의 타입(Java 또는 HTML), 애플리케이션의 class들과 데이터 파일을 포함하는 스트림의 위치, 애플리케이션의 base directory,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의 위 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110)의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프로세서(350)는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를 기초로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한 전송 모드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모드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의 종류를 의미한다. 전송 방식은 네트워크 계층별 사용되는 프로토콜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DSM-CC User-to-User, Data and Object Carousel protocols, HTTP, TCP, UDP, IP, MPEG-2 Transport Stream, Ethernet 프로토콜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송 방식은 MHP 규격 상에 정의된 Broadcast Channel Protocols 및 Interaction Channel Protocols이 될 수 있다.
전송 매체의 종류로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및 인터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모드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송 방식 및 전송 경로를 달리하는 전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송 수신기(300)는 A/V 데이터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는 전송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50)는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AIT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component_tag, original_network_id, transport_stream_id, service_id가 사용되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component_tag는 해당 Object Carousel의 DSI를 운반하는 elementary stream을 지칭하며, 상기 original_network_id는 transport connection을 제공하는 TS의  DVB-SI original_network_id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transport_stream_id는  transport connection을 제공하는 TS의 MPEG TS를 지칭하며, 상기 service_id는  transport connection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DVB-SI를 지칭한다. 상기 original_network_id, transport_stream_id, service_id가 이용되어 특정 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는 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CA(313) 또는 통신 제어부(388)로 출력한다.
복조부(312)는 튜너(311)가 출력한 신호를 복조하여 CA(313)로 출력한다. CA(313)는 복조부(312)가 출력한 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가 출력한 신호를 디스크램블하여 역다중화부(314)로 출력한다. 역다중화부(314)는 CA(313)가 출력한 신호인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오디오 및 비디오를 나타내는 데이터 스트림(예를 들면 MPEG-2 포멧) 및 반복 방송되는 DSM-CC 객체 캐로셀 형태의 애플리케이션들용 데이터로 역다중화한다. 여기서 비-방송 배송 채널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의 다른 실시예로 튜너(311)는 비-방송 배송 채널에 적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대치될 수 있다. 비-방송 배송 채널은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 배송채널일 수 있다.
미디어 디코더(315)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오디오 스트림 및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오디오(302) 및 비디오(303)로 각각 복호화한 다. 이를 위해 미디어 디코더(315)는 오디오 복호기, 비디오 복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3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350)는 애플리케이션(370) 및 미들웨어(380)를 실행시킨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370) 및 미들웨어(380)는 각각 방송 수신기(100)의 애플리케이션(110) 및 미들웨어(12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다.
미들웨어(380)는 튜너(311), 복조부(312), CA(313), 역다중화부(314), 미디어 디코더(315), 사용자 인터페이스(321), 저장매체(3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를 제어 또는 관리하고, 애플리케이션(370)에 할당한다. 이를 위해 미들웨어(380)는 튜너 제어부(381), CA 제어부(382), MPEG-2 SECTION FILTER(383),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 DSM-CC(385), 미디어 제어부(386), 저장 제어부(387) 및 통신 제어부(388)를 구비한다.
튜너 제어부(381)는 튜너(811)을 제어하여 튜너(811)을 애플리케이션(370)에 할당하거나 애플리케이션(370)의 명령에 따라 튜너(811)의 튜닝 주파수를 변경한다. CA 제어부(382)는 CA(312)를 제어하여 CA(312)가 복조부(312)가 출력한 신호를 디스크램블 하도록 한다.
MPEG-2 SECTION FILTER(383)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비디오에 관련된 데이터 스트림을 필터링하여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데이터 중에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처리한다. 즉 MPEG-2 SECTION FILTER(383)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 로부터 MPEG 섹션 데이터를 추출한다. 특히 MPEG-2 SECTION FILTER(383)는 수신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일예로 AI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MPEG-2 SECTION FILTER(383)는 방송 데이터로부터 AIT를 추출함으로써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DSM-CC(385)는 역다중화부(314)가 역다중화한 애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파싱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저장매체(322)에 저장한다.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프로세스(350)에서 실행된다.
미디어 제어부(386)는 미디어 디코더(315)를 제어하여 오디오(302) 및 비디오(303)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미디어 제어부는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MPEG-2 SECTION FILTER(383)가 추출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튜너(31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제어부(38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을 직접 제어하는 대신에 통신 제어부(388)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를 제어하도록 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이 검색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 제어부(387)는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저장매체(322)로 저장하고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정보 및 서비스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한다. 저장매체(322)는 RAM 메모리, FLASH 메모리 및 HD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RAM 메모리, FLASH 메모리 및 HDD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HDD는 내장형 HDD일 수 있고 외장형 HDD일 수 있다.
통신 제어부(388)는 애플리케이션(370)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8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388)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 중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저장 제어부(387)에 제공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3)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 중에 A/V 데이터를 CA(313)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380)는 단일 프로세스 또는 멀티 프로세스로 구현될 수 있고, 미들웨어(380)의 튜너 제어부(381), CA 제어부(382), MPEG-2 SECTION FILTER(383),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 DSM-CC(385), 미디어 제어부(386), 저장 제어부(387) 및 통신 제어부(388)는 각각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들웨어(380)는 애플리케이션(370)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로 이루어진 튜너 제어부(381), CA 제어부(382), MPEG-2 SECTION FILTER(383), 서비스 정보 처리부(384), DSM-CC(385), 미디어 제어부(386), 저장 제어부(387) 및 통신 제어부(388)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의 신택스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MHP(Multimedia Home Platform) 규격상에 정의된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MHP(Multimedia Home Platform) 규격상에서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는 AIT의 내부에 존재하며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application_profiles_length, application_profile, version.major, version.minor, version.micro, service_bound_flag, visibility, reserved_future_use, application_priority 및 transprot_protocol_label을 포함한다. 여기서 descriptor_tag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필드이고, descriptor_length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의 길이를 나태는 정보를 기록하는 필이다. 그리고 application_priority는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필드이고, transport_protolcol_label은 애플리케이션이 전송되는 전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필드이다.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host_access_guide 필드를 더 포함한다. 즉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host_access_guide 필드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는 transport_protocol_label 필드의 갯수(N)만큼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방송 수신기(300)가 최적화된 전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방송국이 제공하는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이다. 방송 수신기는 일반적으로 제작시 또는 설치시에 지원이 가능한 전송 모드 및 가장 전송이 편리한 전송 모드를 가질 수 있으며, 방송 사업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공유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애플리케이션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수신기로 전송되는 것으로 방송 사업자와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고, AIT/XAIT 또한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수신기로 전송되는 것으로 방송 사업자의 영역 안에 있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방송 사업자가 방송 수신기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미리 공유하는 것은 가능하다. 즉 방송 수신기가 설치되고 운영되는 방식은 이미 방송 사업자와 협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포되므로, 방송 사업자는 방송 수신기(300)가 최적화된 전송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데이터 접근 정보의 신택스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접근 정보는 방송 수신기가 지원이 가능한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 및 가장 전송이 편리한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접근 정보는 MHP 규격상에 정의된 mhp.profile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mhp.profile은 데이터 접근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mhp.profile.data_access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mhp.profile.data_access 필드는 데이터 접근 정보로 20을 기록할 수 있다.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및 데이터 접근 정보는 서로 연관되도록 방송 사업자 및 방송 수신기 제조업자 간의 사전 협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일예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및 데이터 접근 정보는 동일한 값을 갖도록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방송 수신기(300)는 수신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중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동일한 값을 갖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와 매핑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일 수 있다.
도 6은 수신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및 그와 함수관계를 갖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함수 관계를 갖는다. 즉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에 기록된 각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특정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매핑될 수 있다.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의 값이 10인 경우에는 값이 1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매핑되고,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의 값이 20인 경우에는 값이 2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매핑된다. 여기서 도 5와 같이, 방송 수신기(300)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mhp.profile.data_access)의 값이 20인 경우에는, 방송 수신기(300)는 값이 20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와 매핑되는 값이 2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 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만일 값이 2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가 HTTP를 이용한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가 인터넷 망인 전송 모드인 경우에는, 방송 수신기(300)는 인터넷 망을 통해 HTTP 전송 방식으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HTTP를 이용한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가 인터넷 망인 전송 모드를 지시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의 값이 2에서 1로 구현되거나 변경된 경우에는, 방송국이 값이 20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값이 1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매핑하여 제공하면, 데이터 접근 정보(mhp.profile.data_access)에 대한 변경 없이도, 방송 수신기(300)는 여전히 인터넷 망을 통해 HTTP 전송 방식으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별도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정의함으로써,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의 값이 각 방송 사업자마다 다르게 구현되거나 변경된 경우에도,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매핑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변경하여, 방송 수신기가 최적화된 전송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의 값이 각 방송 사업자마다 다르게 구현되거나 변경된 경우에도, 방송 수신기가 최적화된 전송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방송 수신기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mhp.profile.data_access)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 지 않는다.
도 7은 데이터 접근 정보의 신택스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수신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및 그와 함수관계를 갖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저장 매체(322)는 각 값이 10, 30, 40인 복수의 데이터 접근 정보(mhp.profile.data_access)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튜너(311)가 각 값이 10, 20, 30 등 복수의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를 수신하면, 미디어 제어부(386)는 저장 매체(322)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mhp.profile.data_access)와 연관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로 값이 10 및 30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검색한다. 이때 미디어 제어부(386)는 데이터 접근 정보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검색된 값이 10 및 30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 중에서 하나의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선정할 수 있다. 즉 미디어 제어부(386)는 가장 위에 위치하는 값이 10인 데이터 접근 정보(mhp.profile.data_access)와 연관되는 값이 10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를 선정하고, 값이 10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host_access_guide)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디스트립터(transport protocol descriptor)의 신택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디스트립터(transport_protocol_ descriptor)는 descriptor_tag, descriptor_length, protocol_id, transport_protocol_label, selector_byte를 포함한다.
여기서 descriptor_tag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디스트립터(transport_ protocol_descriptor)임을 나타내는 필드이고, descriptor_length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디스트립터(transport_ protocol_descriptor)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도 10은 Protocol_id의 각 값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protocol_id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값이 기록되는 필드로, MHP 규격상에서 Ox000 내지 OxFFFF의 값을 갖는다. 여기서 Ox0000는 미래 사용을 위해 예비된 값이고, 0x0001은 MHP Object Carousel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값이며, Ox0002는 IP 프로토콜을 지시하는 값이다. 또한 Ox0003...Ox00FF는 미래를 위해 예비된 값이고, Ox0100...OxFFFF은 MHP 규격상에 기입된 것에 종속된 값이다.
transport_protocol_label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on_descriptor)에 포함된 transprot_protocol_label과 동일한 값이다.
도 11은 selector_byte의 각 값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elector_byte는 추가적인 특정 정보가 기록되는 필드로, MHP 규격상에서 Ox0000 내지 OxFFFF의 값을 갖는다. Ox0000는 미래 사용을 위해 예 비된 값이고, Ox0001는 Object Carousel 프로토콜을 통한 전송과 연관된 추가 정보를 지시하는 값이고, Ox0002는 IP 프로토콜을 통한 전송과 연관된 추가 정보를 지시하는 값이다. 그리고 Ox0003...OxFFFF는 MHP 규격상에서 아직 정의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protocol_id, selector_byte의 값 중 정의되지 않는 값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송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즉 protocol_id에 기록되는 값 중 Ox0003...Ox00FF, selector_byte에 기록되는 값 중 Ox0003...OxFFFF이 각각 특정 전송 방식 및 특정 전송 매체를 지시하도록 하여,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rot_protocol_label)이 다양한 전송 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튜너(311)는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1200). 여기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복조기(312)는 튜너(311)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복조화 한다(S1210). 그리고 CA(313)는 복조기(312)가 복조한 방송 데이터 중에 MPEG 섹션 데이터를 MPEG-2 Setion Filter(383)로 라우팅한다(S1220).
MPEG-2 Section Filter(383)는 CA(313)이 출력한 MPEG 섹션 데이터로부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한다(S1230). 여기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_decriptor)의 특정 필드에 기록된 값일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_decriptor)의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rot_protocol_label)과 함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미디어 제어부(386)는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MPEG-2 Section Filter(383)가 추출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한다(S1240). 그리고 미디어 제어부(386)는 검색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다(S1250). 여기서, 전송 모드는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를 달리하는 전송 모드일 수 있고,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와 매핑되는 트래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제어부(386)는 검색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저장매체(322)에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선정하여, 선정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방송 수신기의 계층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싸이클의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 Descriptor)의 신택스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데이터 접근 정보의 신택스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수신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및 그와 함수관계를 갖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데이터 접근 정보의 신택스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수신되는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 및 그와 함수관계를 갖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디스트립터(transport protocol descriptor)의 신택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Protocol_id의 각 값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selector_byte의 각 값에 대한 설명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6)

  1.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수신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 :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함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는 상기 호스트 접 근 안내 정보와 매핑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접근 정보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MPEG 섹션 데이터, A/V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8.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데이터 접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추출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튜너; 및
    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 :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 벨(transport_protocol_label)과 함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는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와 매핑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라벨(transport_protocol_label)이 지시하는 전송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접근 정보의 우선 순위를 기초로 상기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 데이터로부터 전송 모드에 대한 안내 정보인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를 추출하는 섹션 필터부;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 접근 정보와 연관되는 상기 추출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 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호스트 접근 안내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모드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는 MPEG 섹션 데이터, A/V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상기 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전송 방식 및 전송 매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80053053A 2008-06-05 2008-06-05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KR20090126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53A KR20090126769A (ko) 2008-06-05 2008-06-05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53A KR20090126769A (ko) 2008-06-05 2008-06-05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769A true KR20090126769A (ko) 2009-12-09

Family

ID=4168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053A KR20090126769A (ko) 2008-06-05 2008-06-05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7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170B2 (en) Systems and methods to reference resources in a television-based entertainment system
US7861280B2 (en) Data structure for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method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JP4327349B2 (ja) マルチメディアプログラムデータおよびプログラムガイド情報をフォーマットして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0409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pgrading codec
US20140082682A1 (en) Smart set-top box and operating method for providing smart service and digital television service using default media player included in single operating system
US9264757B2 (en) Service executing apparatus
KR20040027956A (ko) 리시버/디코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79465A1 (en) Handling feature availability in a broadcast
US20090222867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video storing apparatus, and multimedia delivering system
KR20050088414A (ko) 부분 문자 세트 생성기를 구비한 상호동작 텔레비전 시스템
US20080141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unction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broadcast-receiving device
KR20120091089A (ko) 방송 네트워크와 ip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0577146B1 (ko) 디지털방송수신장치
US20150113579A1 (en) Method of providing associated application in android platform-based receiver
KR101221896B1 (ko)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EP1763246A1 (en) Method of access to applications transmitted within data streams of different television channels and device giving access to broadcasted applications
US20090144793A1 (en) Method for obtaining service map information,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for fast performing application in service according to the service map information
US201201203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126769A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KR101549008B1 (ko) 디지털 방송 장치에서 입출력 단자의 상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586315B1 (ko) 방송 수신기 및 네트워크 장치 모니터링 방법
KR20100086763A (ko) 폰트 정보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20100056173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56172A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00081408A (ko) 방송 수신기 및 리턴 채널 상태 모니터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