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0299A -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0299A
KR20100100299A KR1020090019111A KR20090019111A KR20100100299A KR 20100100299 A KR20100100299 A KR 20100100299A KR 1020090019111 A KR1020090019111 A KR 1020090019111A KR 20090019111 A KR20090019111 A KR 20090019111A KR 20100100299 A KR20100100299 A KR 2010010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quality
call
terminal
command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650B1 (ko
Inventor
최준구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1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65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통화품질 진단을 할 수 있는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따른 통화품질 진단 방법은 통화품질진단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연결된 착신 단말기로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착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전화번호가 수신되는 단계, 발신 단말기로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전화 통화를 개시하면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자의 조작 없이 연결된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으므로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오류 없이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으며,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통화품질, 진단, DM, Autocall

Description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call quality}
본 발명은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통화품질 진단을 할 수 있는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역을 셀(cell) 단위로 세분하고 세분화된 각 셀마다 이동통신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지국을 설치함으로써, 기지국이 속한 셀 영역에 진입해 있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의 유지를 위해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통화품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 운영자는 이를 통해 이동통신망의 통화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 통화품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운영자는 통화품질진단장치를 이용하는데, 통화품질진단장치는 연결된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간의 신호처리 과정 및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측정하고, 통화품질을 분석한다. 이에 이동통신 시스템 운영자는 통화품질진단장치에서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무선망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되는 신호특성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수신전력(Rx Power),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신호 중 파일럿 채널신호의 신호대잡음비(Ec/Io), 이동통신 단말기 송신 전력(Tx Power), 이동통신 단말기 송신 감도 조절값(Tx adjust) 등이 포함된다.
그런데, 통화품질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통화품질진단장치에는 한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 각 한대씩)만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결되어 통화품질 측정에 이용된다. 즉, 통화품질진단장치는 연결된 수십 내지 수백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품질을 측정한다. 이때, 통화품질진단장치의 운영자는 수십 내지 수백 대의 발신 단말기 각각에 상응하는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수십 내지 수백대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발신 단말기 각각에 입력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하는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정확한 통화품질 진단이 이뤄질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물론, 통화품질진단장치에 자동전화기능(Autocall Simulator)이 구비되어 발신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일일이 조작하는 것을 방지한 선행기술도 존재하나, 이 경우에도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운영자의 조작에 의하여 통화품질진단장치에 미리 저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잘못 입력되는 등의 상술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영자의 조작 없이 연결된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는 통화품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오류 없이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통화품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축할 수 있는 통화품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장치는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출력하고, 착신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출력하며, 발신신호정보 또는 착신신호정보가 입력되면 통화품질측정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연결된 착신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 기 착신전화번호 또는 상기 착신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외부입출력부; 연결된 발신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착신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통화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외부입출력부; 및 상기 통화품질측정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통화품질측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화품질 진단 방법은 통화품질진단장치에서 자동으로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연결된 착신 단말기로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전화번호가 수신되는 단계;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화 통화를 개시하면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은 운영자의 조작 없이 연결된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은 착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오류 없이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개선 장치 및 그 방법은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시스템(100)은 통화품질진단장치(110), 통화품질진단서버(110)에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발신 단말기(120-1) 및 착신 단말기(120-2)를 포함한다.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발신 단말기(120-1) 및/또는 착신 단말기(12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기지국(미도시)과 발신 단말기(120-1) 간 및/또는 기지국(미도시)과 착신 단말기(120-2) 간의 통화품질을 측정한다. 즉, 기지국(미도시)은 발신 단말기(1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파워 레벨(Level)이 너무 낮으면 당해 신호를 잡음(Interference)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반대로 발신 단말기(12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파워 레벨이 너무 높으면 당해 신호는 수신되는 다른 신호에 간섭을 주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미도시)에 수신되는 신호의 파워레벨을 측정하는 것은 통화품질의 유지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발신 단말기(120-1)로부터 기지국(미도시)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파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발신 단말기(120-1)로부터 수신되는 발신신호에 대한 정보(이하, 발신신호정보라 칭함)(예를 들어, 발신신호의 파워값, 발신신호 자체 등)를 이용하여 발신신호에 대한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발신신호정보 중 발신신호의 파워값을 이용하여 발신신호 파워(즉, Tx Power)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기(120-1)에는 발신되는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는 전력검출부(Power Detector)(미도시)가 포함됨이 일반적이므로, 발신 단말기(120-1)는 전력검출부(미도시)에서 검출된 발신신호의 파워값(즉, 검출된 발신신호의 파워가 직류로 전환되어 수치화된 값)을 통화품질진단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고,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이을 이용하여 발신신호파워(Tx Power)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착신 단말기(120-2)로부터 수신되는 착신신호에 대한 정보(이하, 착신신호정보라 칭함)(예를 들어, 착신신호의 파워값, 착신신호 자체 등)를 이용하여 착신신호(즉,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착신 단말기(120-2)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품질진당장치(110)는 착신신호정보 중 착신신호의 파워값(즉, 검출된 착신신호의 파워가 직류로 전환되어 수치화된 값)을 이용하여 착신신호파워(즉, Rx Power)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기(120-2)에는 착신되는 신호의 파워를 검출하는 전력검출부(Power Detector)(미도시)가 포함됨이 일반적이므로, 착신 단말기(120-2는 전력검출부(미도시)에서 검출된 착신신호의 파워값을 통화품질진단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고,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이을 이용하여 착신신호파워(Rx Power)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발신 단말기(120-1)에서 송신된 신호가 기지국(미도시)을 통하여 착신 단말기(120-2)로 전송되는 과정에서의 신호대잡음비(Ec/Io)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120-1)의 발신신호 감도 조절값(즉, Tx adjust) 등을 측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서 발신신호정보(예를 들어, 발신신호파워 등), 착신신호정보(예를 들어, 착신신호파워 등) 등을 이용하여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은 공지기술로서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발신 단말기(120-1) 및 착신 단말기(120-2)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말기(120-1, 12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신호파워(Tx Power), 착신신호파워(Rx Power) 및/또는 신호대잡음비(Ex/Io)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통화품질진단장치(110)의 일반적인 동작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장치(100)는 제1 외부입출력부(210-1), 제2 외부입출력부(210-2), 입력부(220), 제어부(230), 통화품질측정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제1 외부입출력부(210-1)는 착신 단말기(120-2)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화품질진단장치(110)와 착신 단말기(120-2) 간에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특히, 제1 외부입출력부(210-1)는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전송명령(즉, 착신 단말기(120-2)에게 전화번호를 전송받기 위한 신호)을 착신 단말 기(120-2)로 전송하고, 착신 단말기(120-2)로부터 수신된 착신전화번호(즉, 착신 단말기(120-2)의 전화번호)를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또한, 제1 외부입출력부(210-1)는 착신 단말기(120-2)로부터 착신신호정보(예를 들어, 착신신호파워(즉, Rx Power))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즉, 제1 외부입출력부(210-1)는 착신 단말기(120-2)와 통화품질진단장치(11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통신 포트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외부입출력부(210-1)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방식의 통신 포트일 수 있고, 착신 단말기(120-2)는 범용직렬버스 케이블(USB cable)을 통하여 제1 외부입출력부(210-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외부입출력부(210-2)는 발신 단말기(120-1)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화품질진단장치(110)와 발신 단말기(120-1) 간에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특히, 제2 외부입출력부(210-2)는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착신전화번호(즉, 착신 단말기(120-2)의 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즉, 발신 단말기(120-1)가 기지국(미도시)로 호연결요청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신호)을 발신 단말기(120-1)로 전송하며, 발신 단말기(120-2)로부터 수신된 발신신호정보(예를 들어, 발신신호파워(즉, Tx Power) 등)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즉, 제2 외부입출력부(210-2)는 발신 단말기(120-1)와 통화품질진단장치(11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통신 포트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입출력부(210-2)는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방식의 통신 포트일 수 있고, 발신 단말기(120-1)는 범용직렬버스 케이블(USB cable)을 통하여 제2 외부입출 력부(210-2)와 연결될 수 있다.
입력부(220)는 통화품질진단장치(110)의 운영자의 조작에 따른 각종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30)로 전송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특히, 입력부(220)는 운영자가 자동 통화품질 진단을 위하여 입력부(220)를 조작하면, 입력부(220)는 이에 따라 자동통화품질진단개시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20)는 키패드(Keypad) 및/또는 터치패드(Touchpad)일 수 있으며, 운영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든 입력수단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화품질진단장치(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제1 외부입출력부(210-1)로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로부터 자동통화품질진단개시명령이 입력되면 자동통화품질진단을 위하여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제1 외부입출력부(210-1)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120-2)가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즉, WCDMA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라면, 전화번호전송명령은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가입자번호전송명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전송명령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내용은 3GPP TS 27.007 AT command set for User Equipment(UE)의 7.1 절의 내용의 일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NUM 명령에 대한 응답은 범용가입자식별카드(USIM)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식별번호(MSISDN)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을 제1 외부입출력부(210-1)를 통하여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인 착신 단말기(12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이 수신된 착신 단말기(120-2)는 범용가입자식별카드(USIM)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식별번호(MSISDN)를 독출하여 제1 외부입출력부(210-1)를 통하여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착신 단말기(120-2)로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을 전송하여 착신 단말기(120-2)의 가입자식별번호(MSISDN)를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제1 외부입출력부(210-1)로부터 착신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착신전화번호(예를 들어, MSISDN) 및 전화통화명령을 제2 외부입출력부(210-2)로 출력한다. 이후, 제2 외부입출력부(210-2)를 통하여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수신한 발신 단말기(120-1)는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20-2)와의 호연결을 시도하고, 기지국(미도시)으로 발신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즉, 발신신호정보)(예를 들어, 발신신호파워 등)를 제2 외부입출력부(210-2)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2 외부입출력부(210-2)를 통하여 발신신호정보를 수신한 제어부(230)는 발신신호정보 및/또는 통화품질측정명령을 통화품질측정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통화품질측정부(240)가 발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제1 외부입출력부(210-1)를 통하여 착신신호정보를 수 신하면 착신신호정보 및/또는 통화품질측정명령을 통화품질측정부(2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통화품질측정부(240)가 착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하여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230)는 통화품질측정부(240)에서 발신신호정보 및/또는 착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입력받아, 당해 결과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통화품질측정부(240)에서 측정한 신호대잡음비(Ec/Io)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품질측정부(240)는 제어부(230)로부터 통화품질측정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통화품질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통화품질측정부(240)는 제어부(230)로부터 입력된 발신신호정보 및/또는 착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신호파워(Tx Power), 착신신호파워(Rx Power), 신호대잡음비(Ec/Io)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화품질측정부(240)는 통화품질의 측정 결과를 제어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통화품질측정부(240)가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기술이므로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입력된 각종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여 운영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부(230)로부터 통화품질의 측정 결과가 입력되면 이를 외부로 표시하여 운영자로 하여금 통화품질 측정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한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각 한 개의 발신 단말기(120-1) 및 착신 단말기(120-2))가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복수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n개의 발신 단말기 및 n개의 착신단말기)(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연결된 경우에도 상술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n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품질진단장치(100)에 연결된 경우, 제어부(230)는 운영자의 조작에 따른 자동통화품질진단명령이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면 전화번호전송명령을 n개의 착신 단말기 각각에 전송할 수 있고, n개의 착신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n개의 착신전화번호와 전화통화명령을 상응하는 n개의 발신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여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n쌍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연결된 경우에도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n개의 착신 단말기 각각의 착신전화번호들을 운영자의 조작 없이 직접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n개의 착신 단말기들의 전화번호 입력 오류 없이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 진단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 진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주체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발신 단말기(120-1) 및 착신 단말기(120-2)가 각 한 개씩 무선 및/또는 유선에 의하여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계 S410에서,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연결된 착신 단말기(120-2)로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한다(단계 S420). 예를 들어, 운영자는 착신 단말기(120-2)의 전화번호를 발신 단말기에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고 자동으로 통화품질을 진단하기 위하여 입력부(220)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착신 단말기(120-2)로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을 착신 단말기(12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착신 단말기(120-2)는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즉, WCDMA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착신 단말기(120-2)로부터 착신전화번호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기(120-1)로 수신된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전송한다(단계 S440). 예를 들어,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이 수신된 착신 단말기(120-2)는 범용가입자식별카드(USIM)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식별번호(MSISDN)를 독출하여 통화품질진단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고,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수신된 가입자식별번호(MSISDN) 및 전화통화명령을 발신 단말기(120-1)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통화품질을 진단(또는 측정)한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120-1)는 수신된 착신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명령에 따라 착신 단말기(120-2)로 전화통화를 개시한 후, 발신신호에 대한 정보(즉, 발신신호정보)를 통화품질진단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고, 착신 단말기(120-2)는 발신 단말기(120-1)와 통화가 개시되면 착신신호에 대한 정보(즉, 착신신호정보)를 통화품질진단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수신된 발신신호정보 및/또는 착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통화품질을 진단(또는 측정)할 수 있다.
즉,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수신된 발신신호정보 및/또는 착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발신신호파워(Tx Power), 착신신호파워(Rx Power), 신호대잡음비(Ex/Io) 등을 진단(또는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품질진단장치(110)가 발신신호정보 및/또는 착신신호정보를 이용하여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운영자의 조작 또는 기타 다른 이유에 의하여 전화통화가 종료되면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종료된다.
이상에서는 한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즉, 각 한 개의 발신 단말기(120-1) 및 착신 단말기(120-2))가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였으나, 복수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n개의 발신 단말기 및 n개의 착신단말기)(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연결된 경우에도 상술한 통화품질 진단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n 쌍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품질진단장치(100)에 연결된 경우, 단계 S420에서 전화번호전송명령을 n개의 착신 단말기 각각에 전송할 수 있고, 단계 S430에서 n개의 착신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n개의 착신전화번호와 전화통화명령을 상응하는 n개의 발신 단말기 각각에 전송하여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n쌍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품질진단장치(110)에 연결된 경우에도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n개의 착신 단말기 각각의 착신전화번호들을 운영자의 조작 없이 직접 수신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통화품질진단장치(110)는 n개의 착신 단말기들의 전화번호 입력 오류 없이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통화 품질진단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진단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번호전송명령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 진단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화품질진단시스템
110 : 통화품질진단장치
120-1 : 발신 단말기
120-2 : 착신 단말기
210-1 : 제1 외부입출력부
210-2 : 제2 외부입출력부
220 :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통화품질측정부
2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출력하고, 착신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출력하며, 발신신호정보 또는 착신신호정보가 입력되면 통화품질측정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연결된 착신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전화번호 또는 상기 착신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 외부입출력부;
    연결된 발신 단말기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착신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통화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신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외부입출력부; 및
    상기 통화품질측정명령이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통화품질측정부를 포함하는 통화품질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전송명령은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이되,
    상기 착신 단말기는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이 수신되면 범용가입자식별카드(USIM)에 저장된 상기 착신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제1 외부입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품질진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입출력부는 범용직렬버스 케이블을 통하여 착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품질 진단장치.
  4. 통화품질진단장치에서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 통화품질 진단이 개시되면 연결된 착신 단말기로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착신전화번호가 수신되는 단계;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전화번호 및 전화통화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상기 착신 단말기로 전화 통화를 개시하면 통화품질을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품질 진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전송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로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착신 단말기는 3세대 이동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가입자번호전송명령(+CNUM)이 수신되면 범용가입자식별카드(USIM)에 저장된 상기 착신전화번호를 독출하여 상기 통화품질진단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품질 진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화번호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가입자식별번호(MSISD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품질 진단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품질은 발신신호파워(Tx Power), 착신신호파워(Rx Power) 및 신호대잡음비(Ec/Io) 중 적어도 하나인 통화품질 진단 방법.
KR1020090019111A 2009-03-06 2009-03-06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KR100999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11A KR100999650B1 (ko) 2009-03-06 2009-03-06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11A KR100999650B1 (ko) 2009-03-06 2009-03-06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99A true KR20100100299A (ko) 2010-09-15
KR100999650B1 KR100999650B1 (ko) 2010-12-08

Family

ID=4300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11A KR100999650B1 (ko) 2009-03-06 2009-03-06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29B1 (ko) * 2013-10-30 2015-07-0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자동호 테스트중 로그 데이터 수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29B1 (ko) * 2013-10-30 2015-07-09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자동호 테스트중 로그 데이터 수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650B1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1194B2 (en) Method for testing wireless devices using predefined test segments initiated by over-the-air signal characteristics
JP3651850B2 (ja) 移動体通信端末試験装置
EP1890507B1 (e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testing a receiver performance
US10313892B2 (en) Optimizing placement of a wireless range extender
KR2010000107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959555B1 (ko) 심 또는 유심 카드의 통신 단말 호환성 테스트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3874087A (zh) Wlan网络无线信号覆盖质量评估方法及装置
KR100999650B1 (ko) 통화품질진단장치 및 그 진단 방법
JP2017512394A (ja) 誘導される割り込みを介してテストフローを制御することにより、無線周波数送受信器をテス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735697A (zh) 一种基于at指令的移动终端自动化呼叫场测方法及系统
JP2003046431A (ja) 移動端末機送信パワー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N103716099A (zh) 蓝牙互通性规范自动测试系统
JP5044452B2 (ja) 端末試験装置
US8611236B2 (en) Communication checker, communication-stat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communication state
CN110308712B (zh) 一种电子设备的故障检测方法、电子设备及终端设备
CN106850340A (zh) 检测工具及车载3g/4g通信模块的检测方法
JP2019041148A (ja) NB−IoT端末試験装置及びNB−IoT端末試験方法
CN106358280A (zh) 本底噪声电平降低装置及本底噪声电平降低方法
KR101647396B1 (ko) 휴대통신 단말의 송수신불량 진단장치 및 진단방법
US20230370873A1 (en) Radio station test system using portable spectrum analyzer
CN102869028B (zh) 一种确认gsm基站模拟器的方法
CN114019268B (zh) 老化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417571B2 (ja) 移動端末試験装置とそのポート接続方法
JP3797842B2 (ja) 無線装置の故障診断方法
US20220303026A1 (en) Signal analysis device and signal analysis result disp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