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277A -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 Google Patents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277A
KR20100098277A KR1020090110461A KR20090110461A KR20100098277A KR 20100098277 A KR20100098277 A KR 20100098277A KR 1020090110461 A KR1020090110461 A KR 1020090110461A KR 20090110461 A KR20090110461 A KR 20090110461A KR 20100098277 A KR20100098277 A KR 2010009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word
learner
words
correct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권영
김철현
신동민
유영배
조성훈
Original Assignee
김권영
김철현
신동민
유영배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영, 김철현, 신동민, 유영배, 조성훈 filed Critical 김권영
Publication of KR2010009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2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is provided to classify words through difficulty analysis of words into levels, thereby measuring a word proficiency level of a leaner using the classified words. CONSTITUTION: Words are classified and saved based on each level according to difficulty. It is determined whether a word level of a leaner is saved(S20). If the word level of the leaner exists, test words are extracted among words belonging to the word level. A test problem is generated(S50). The test problem is provided to the learner. A right answer rate is calculated using the test result of the leaner. The calculated answer rate is compared with reference answer rates, the level of the leaner is determined(S70).

Description

단어 실력 검지 방법{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How to detect word skills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본 발명은 단어 실력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몰입학습을 유도하기 위한 단어의 난이도 분석을 통해 학습을 위한 단어를 다수의 레벨(즉, 난이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이 분류 저장된 단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단어 실력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word ability, and to classify and store words for learning at a plurality of levels (ie, difficulty levels) through analysis of difficulty of words to induce immersive learning, and using the classified stored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word proficiency that can measure a student's word proficiency level.

종래의 영어 학습 수준은 토익이나 토플 등의 시험 등을 통한 결과로부터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동일한 시험에 응시한 전체 수험자들의 점수통계로부터 특정 수험자의 점수가 어느 범위에 분포하는지 여부로부터 전체 응시한 수험자로부터 상대적인 수험자의 실력을 평가하는 방식이다.Conventional English learning level is generally measured from the results of the test, such as TOEIC and TOEFL.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evaluating the relative examinee's ability from all the examinees who have taken the test from the score statistics of all examinees who have taken the same tes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험은 사지선다형이라는 점이라는 실력 평가에 한계가 있으며, 의미와 뜻의 연결성을 체크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수험자의 단어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해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test as described above has a limitation in evaluating the ability of the limb multiple choice, it is not easy to check the connection of meaning and mean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objectively measure the examinee's word level.

현재의 수준을 아는 것은 모든 학습에 있어서 기본적인 동기부여와 피드백 작용의 촉진을 가져 오지만, 현재 영어학습에서 중요한 요소인 단어 실력은 각종 시험에도 불구하고 학습자가 단어에 대한 성취도나 수준을 직접 파악 알 수 없기 때문에 학습자의 단어실력을 객관적으로 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Knowing the current level leads to basic motivation and feedback in all learning, but vocabular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current English language learning, enables learners to directly grasp the achievement or level of the word despite the various test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objectively detected the learner's vocabulary.

그리고 종래에 단어를 암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서 형태의 단어장의 경우,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가 함께 제시되어 이에 대한 선별작업이 필요하였고, 전자사전 형태의 경우 역시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In the case of a book form of a word book conventionally used to memorize a word, a known word and a unknown word are presented together, and a sorting operation is required, and the electronic dictionary form also has the same problem.

또한 휴대용 전자 사전에서의 단어 히스토리 기능의 경우, 학습자가 타이핑 혹은 문자입력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학습자의 노동생산성이 본 발명에 비하여 낮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ord history function in the portable electronic dictionary has a disadvantage that the learner's labor productiv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learner goes through a typing or a text input process.

그리고 컴퓨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전자 사전의 경우, 본문에서 모르는 단어를 하이퍼 링크 기능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으나, 현재의 단어 수준을 객관적dls 지표로 알려주지 않아, 본인의 독해력에서 이해 가능한 문장(sentence) 혹은 구문(article)을 구분하거나, 현재의 수준을 알수 있는 방법론이나 장치가 없기 때문에 학습자는 감에 의존하여 문장을 선택하고 공부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ictionary in a computer application, a word that is unknown in the text can be searched through a hyperlink function, but the current word level is not indicated by the objective dls index, so a sentence or phrase that can be understood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 Because there is no methodology or device to classify articles or to know the current level, learners have no choice but to study sentences based on their senses.

기존의 단어 실력 검지 방법은 대부분 수준별 맞춤 이라는 포괄적인 절차 학습 이론의 진도 개념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레벨을 입력하는 등의 학습자의 현재 단어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 다. Most of existing word detection methods are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comprehensive procedural learning theory of leveling.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the learner to grasp the learner's current vocabulary, such as entering his or her level.

하지만, 정확한 학습자의 단어 능력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원활한 학습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학습의 적응력과 습득력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에게 난이도가 높은 단어를 제공하는 경우, 학습자는 이에 무관심하게 된다. 또한, 학습 능력이 우수한 학습자에게 난이도가 낮은 단어를 제공하는 경우, 학습자는 지루함을 느끼게 된다. However, there is a drawback in not being able to perform smooth learning when the word ability of the correct learner is not understood. In other words, the adaptability and learning ability of learning varie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and the difficulty of words. For example, if a word of difficulty is provided to a learner with low learning ability, the learner will be indifferent. In addition, when a word having a low difficulty is provided to a learner having excellent learning ability, the learner may be bored.

따라서, 학습자가 학습에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과 또한, 단어의 난이도를 정확하게 분류하여 학습자의 현재 학습 능력에 따른 난이도에 해당하는 단어를 제공하여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the learner's learning ability and to classify the difficulty of the word accurately to provide a word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according to the learner's current learning ability.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단어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단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실력을 진단함으로써 학습 당시 학습자의 단어 실력을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는 단어실력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word proficiency that can classify words according to difficulty and diagnose the learner's ability using the classified words to easily verify the learner's word ability in a short time.

그리고 학습자의 단어 테스트 이력을 저장하여 학습자 통계를 추출하고 학습자의 단어 실력 추이를 확인하여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단어실력 검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detecting word proficiency that can be used for learning by storing learner's word test history, extracting learner statistics, and checking learner's vocabula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단어를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레벨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베 이스 내에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저장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없는경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있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단어 레벨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단어를 추출하여 실력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실력 테스트 문제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를 이용하여 정답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답률을 레벨 기준 정답률들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word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or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is stored in the database; Determining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by performing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when there is no word level of the learner, and if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is determined,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corresponds to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Extracting a test word by sampling among words included in a word level in a database to generate a test test problem, providing the generated test test problem to the learner, and 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using the test result of the learner And compare the calculated correct answer rate with the level reference correct rates. It provides a method for detecting word skills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female learner.

상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각 레벨 별로 각기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샘플링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샘플링된 레벨 테스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 레벨별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최하위 레벨로 부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기준 정답률보다 작은 정답률을 갖는 레벨을 학습자의 최조 단어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etermining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by performing the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ing operation may include: generating a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words corresponding to each representative index for each level of the database; Providing a learner with the sampled level test problem; 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for each leve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ct answer rate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from the lowest level and setting a level having a correct answer rat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orrect rate as the minimum word level of the learner.

상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최하위 단어 레벨에서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를 샘플링하여 최하위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최하위 레벨 테스트 문제에 대하여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 는 단계;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하일 경우 최하위 단어 레벨을 학습자의 단어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일 경우, 상위 레벨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상위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위 레벨 테스트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하인 경우에는 현재 레벨을 학습자의 단어 레벨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위 레벨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상위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etermining of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by performing the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may include generating a lowest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a word corresponding to a representative index at the lowest word level of the database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learner. Making; Calculating a learner's correct answer rate for the lowest level test problem; Determining whether the learner's correct answe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orrect rate; Determining a lowest word level as a learner's word level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orrect rate;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correct rate, generating a high level test problem by providing a high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a high level word; 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for the high level test problem; Determining the current level as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a high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the upper level word when the learner's correct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again.

상기 레벨 기준 정답률은 하위 기준 레벨과 상위 기준 레벨을 갖고,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상기 하위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다운그레이드하고, 상기 정답률이 하위 기준 레벨 이상이고 상위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유지하고, 상기 정답률이 상위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level reference correct rate has a lower reference level and a higher reference level, and if the learner's correct answer rate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lower reference level, downgrade the learner level.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lower reference level and lower than the upper reference level, the learner level. It is possible to upgrade the learner level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is higher than the upper reference level.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알고 있는 단어개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하기 수학식 1의 결과값에 1.5~1.7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자의 총 단어 개수를 추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stimating the number of words known to the learner using Equation 1 below, but it is effective to estimate the total number of words of the learner by assigning a weight of 1.5 to 1.7 to the result of Equation 1 below. .

<수학식1><Equation 1>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1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1

여기서, N은 학습자가 아는 총 단어개수,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2
는 현재 레벨 이전 레벨의 단어수와 상위 설정 기준치를 곱한 값의 합, P는 상위 설정 기준치, NL은 현재 레벨의 단어수, G는 현재 레벨의 정답률임.Where N is the total number of words the learner knows,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2
Is the sum of the number of words from the level before the current level multiplied by the higher setting criterion, P is the higher setting criterion, N L is the number of words in the current level, and G is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current level.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어실력 검지 방법은 간편하고 빠르게 학습자의 단어실력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어학 실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학습자의 테스트 이력을 저장하여 단어실력 통계를 파악하여 실력 향상 여부를 한눈에 파악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인의 단어수준을 테스트하고 하고 정확한 현재의 수준을 판별하는 과정과 본인이 외워야 할 수준의 단어를 추출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져, 기존 방식에 비하여 효율적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word proficiency det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language skills because it can detect the word proficiency of the learner easily and quickly. In addition, by storing the test history of the learner to grasp the vocabulary statistics,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determine at a glance whether or not to improve the skills.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method of testing the word level and determining the current level of accuracy and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word of the level to be memoriz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실력 검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word proficiency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학습자가 단어 실력 검지를 위해 프로그램을 로딩한다(S10).First, as shown in FIG. 1, a learner loads a program for detecting a word ability (S10).

이때,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자 인증을 위한 로그인 과정을 거친 다음 상기 프로그램을 로딩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arner may access the server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go through a login process for learner authentication, and then load the program.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전자기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rogram embedded in a predetermined electronic device may be activated.

본 실시에에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전에 다수의 단어를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레벨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efore loading the program, a plurality of words are classified into level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words and stored in the database.

여기서, 단어의 분류는 연령별 사용 단어를 기준으로 1차 단어 분류를 실시한다. 이는 해당 단어를 모국어로 하는 나라에서 지정한 연령별 사용 단어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국내 교육 과정에서 지정된 단어들, 예를 들어, 중학 검정 또는 고교 검정 단어들을 연령별 사용 단어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word classification is based on the first word classification based on the words used by age. It can use the age-based word criteria specified by the country where the word is the native language. Alternatively, words designated in the domestic curriculum, for example, a junior high school test or a high school test word, may be used as a reference word for age.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ESL 과정에서 제공된 단어 분류법을 이용하여 1차 단어 분류를 실시하거나, 국내의 검정 단어나 토익 및 토플용 단어를 이용하여 1차 단어 분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문장 길이(즉, 문장 안에 사용된 단어 개수)를 기준으로 2차 단어 분류를 실시한다. For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primary wor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word classification provided in the ESL process, or primary wor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domestic test words or TOEIC and TOEFL words. In addition, the second word classif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entence length (ie, the number of words used in the sentence).

이는 난이도가 쉬운 단어의 경우 짧은 문장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2차 분류를 실시한다. This is used for short sentences in the case of easy difficulty, so second classification is performed.

즉, 문장 길이가 짧은(즉, 문장 내에 사용되는 단어의 개수가 적은) 문장 내에 사용되는 단어는 그 난이도가 쉬운 단어이고, 반대의 경우에는 그 난이도가 점차 어려워진다. 이는 언어의 학습에 있어서, 나이가 어릴수록 문장의 길이가 짧아지고, 어느 정도 수준으로 갈 수록 문장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That is, a word used in a sentence having a short sentence length (that is, a small number of words used in the sentence) is a word having an easy difficulty,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difficulty is gradually difficult. This is because, in language learning, the younger the sentence, the shorter the sentence length, and the more the sentence is, the longer the sentence length becomes.

이와 같이 1차와 2차에 거쳐 단어를 분류함으로써 단어의 난이도에 따른 단어 레벨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classifying word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order, the word level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word can be set accurately.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 단어가 1차 단어 분류를 통해 제 1 단어 레벨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일 단어가 적어도 6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문장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 일 단어의 레벨을 제 2 단어 레벨로 상승시켜 저장한다. 이와 같은 단어의 난이도 설정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even if a single word is located at the first word level through the first word classification, when the single word is used in a sentence composed of at least six words, the level of the single word is defined as the second word level. Raise to and save. The difficulty setting of the words can enhance the interest of the learner.

이러한 단어 레벨의 분류는 원어민의 교과과정 및 교과 과정상 추천도서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이때, 명사를 중심으로 추출하되 숫자를 제외한다. 그리고, 문장 길이의 데이터는 원어민의 인식률에 관한 프라이 리더빌러티 포뮬러(fry readability fomula)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lassification of word level is carried out for native speakers' curriculum and curriculum recommendation books. At this time, extract nouns around the nou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 fry readability fomula regarding the recognition rate of native speakers for the sentence length data.

이어서, 학습자 식별을 실시하되, 데이터 베이스 내에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저장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한다(S20). Next, learner identification is perform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is stored in the database (S20).

이때, 학습자의 저장된 단어 레벨이 없는 경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한다(S30). 이때, 상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레벨 별로 분류된 데이터 베이스의 각 레벨 별로 각기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샘플링(즉, 추출)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한다(S110). 샘플링된 레벨 테스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S120). 이때, 학습자는 레벨 테스트 문제를 풀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stored word level of the learner,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is performed (S30).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is first performed by sampling (ie, extracting) words corresponding to each representative index for each level of the database classified by level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word. Generate a test problem (S110). The sampled level test problem is provided to the learner (S120). At this point, the learner solves the level test problem.

여기서,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의 추출은 각 단어 레벨 별로 무작위로 추출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xtraction of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index is preferably extracted by an algorithm that is randomly extracted for each word level.

여기서, 각 레벨 별로 5 내지 30개의 단어들을 추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5개보다 작은 개수로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를 추출하는 경우, 학습자의 레벨 판단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상기 30개 보다 많은 단어를 추출하는 경우, 학습자가 레벨 테스트시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Here, it is effective to extract 5 to 30 words at each level. In this case, when extracting a word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index by the number less than 5,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learner, and when extracting more than 30 words, the learner can easily feel empirical when the level test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상기 범위내의 단어를 각 레벨 별로 선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select words within the above ranges at each level.

이어서, 각 레벨별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한다(S130). Next, the correct answer rate of learners for each level is calculated (S130).

이어서, 하위 레벨 부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140). 이때, 기준 정답률에 미치지 않는 레벨을 학습자의 최초 단어 레벨로 설정한다(S150). 그리고, 이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기준 점수는 제공된 단어에 대하여 80 내지 90%를 인지하고 있는 점수를 기준점수로 할 수 있다. 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ct answer rate corresponds to the standard correct answer rate from the lower level (S140). At this time, the level that does not meet the standard correct answer rate is set as the first word level of the learner (S150). The result is then stored in the database. Here, the reference score may be a score that recognizes 80 to 90% of the provided word.

물론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최하위 단어 레벨에서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를 샘플링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제공한다(S210).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한다(S220).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30). 이때, 정답률이 기준 이하일 경우 최하위 단어 레벨이 학습자의 단어 레벨로 판단한다(S240). 한편,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 경우, 상위 레벨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한다(S250). 이어서,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고,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60). 판단 결과 정답률이 기준 이하일 경우, 현재 단어 레벨을 학습자의 단어 레벨로 판단한다(S270). 그리고,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 경우, 다시 상위 레벨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한다(S250). Of course,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are possible. That is, as shown in FIG. 3, first, a word corresponding to a representative index is sampled at the lowest word level to generate and provide a level test problem (S210). Calculate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S2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earner's correct answe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correct answer rate (S230). In this case,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he lowest word level is determined as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S240).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arner's correct answe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the word of the higher level is sampled to generate a level test problem and provide it (S250). Next,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is calcula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ct answer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rrect rate (S26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he current word level is determined as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S270).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the word of the higher level is sampled again to generate a level test problem, and provide it (S250).

만일, 학습자의 저장된 단어 레벨이 있는 경우, 학습자의 단어 레벨에 해당 하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단어 레벨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단어를 추출 실력 테스트 문제를 생성한다(S40). If there is a stored word level of the learner, a test word is generated by extracting a test word by sampling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word level in th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S40).

이어서, 실력 테스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S50). 이어서, 제공된 실력 테스트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입력을 수신한다(S60). Subsequently, the skills test problem is provided to the learner (S50). Subsequently, a learner's input on the provided ability test problem is received (S60).

여기서, 테스트 단어 추출은 학습자 단어 레벨에 해당하는 단어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단어를 추출하여 단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단어 리스트가 생성되면 상기 단어 리스트에서 순차적 또는 무작위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선택된 단어는 즉시 화면상 게시가 중지되며, 선택되지 않은 단어는 순차적으로 게시가 중지되어 화면상에서 보이지 않게 되며 추출 단어 리스트에 있는 단어로 순차, 혹은 무작위로 대치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Here, the test word extraction generates a word list by extracting a test word by sampling among words corresponding to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and when the word list is generated, the word list is sequentially or randomly displayed on the screen. The selected words are immediately stopped on the screen, and the unselected words are sequentially stopped and are not visible on the screen. Alternatively, the selected words may be sequentially or randomly replaced by the words in the extracted word list.

상기와 같이 테스트 문제와 함께 테스트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학습자에게 제공되고 학습자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한다. 학습자의 답 입력은 입력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마우스, 키보드, USB로 연결되어 학습자가 작동시 전기 혹은 자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USB 포트를 통해 기기의 처리부에 전송, 입력되는 2가지 혹은 그 이상의 학습자 선택이 가능한 버튼 인터페이스 등이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n interface for inputting an answer to the test problem is provided to the learner, and the learner inputs an answer to the test problem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nd a touch screen. The learner's answer is input by the input unit, and the input unit is connected to the touch screen, mouse, keyboard, and USB so that the learner generates electric or magnetic signals during operation and transmits and inputs them to the processing unit of the device through the USB port. Alternatively, a button interface for selecting more learners may be a component.

여기서, 답을 입력하는 방식은 테스트 단어를 알고 있는지 모르는지 여부만을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알고 있는 경우 "0"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하고, 모르는 경우 "X"에 대응되는 키를 입력한다. 학습자가 상기 가부 선택의 인터페이 스를 제공받았다면, O와 X를 인터페이스의 시각범위 내에 위치시키고, 클릭과 터치 등의 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특정 키보드의 값을 O와 X에 부여하는 방법이 그 실시예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상기 다중선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았다면, 여러개가 복수로 동시에 게시된 상태에서, 특정한 단어의 시각범위 내에 커서를 위치시켜 마우스 혹은 터치 스크린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Here, the method of inputting the answer may be configured to check only whether the test word is known or not, and if it is known, enter a key corresponding to "0", and if not, enter a key corresponding to "X". If the learner is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opt-in interface, the O and X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visual range of the interface and selected by clicking and touching, and the method of assigning a value of a specific keyboard to the O and X is selected. If the learner is provided with the multi-selection interface, the mouse or the touch screen device can be selected by placing the cursor in the visual range of a specific word while the plurality is simultaneously posted.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단어는 단수개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어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단어마다 식별번호를 포함하고, 학습자가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부분에 답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ingle test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test words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When a plurality of words are displayed, each word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earner inputs an interface so that an answer can be input to a par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이어서, 제공된 학습자의 입력인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정답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답률을 레벨 기준 정답률들과 비교한다(S70). Subsequently, the test result data, which is the input of the provided learner, is stored in the database, the correct answer rate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correct answer rate is compared with the level reference correct rates (S70).

이때, 비교 결과 하위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다운그레이드한다. 비교 결과 하위 기준 레벨 이상이고 상위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비교 결과 상위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업그레이드한다(S81, S82, S83, S84, S85). In this case,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lower than the lower reference level, the learner level is downgraded. If the comparison result is above the lower reference level and below the upper reference level, the learner level is maintained. If the comparison result is higher than the higher reference level, the learner level is upgraded (S81, S82, S83, S84, and S85).

즉, 상기와 같이 학습자로부터 답이 입력되어 테스트가 종료되면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테스트 답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테스트 답의 정답률을 체크하여 레벨의 다운그레이드, 유지, 업그레이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That is, when an answer is input from the lear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st is completed, the test answer input from the learner is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test answer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o downgrade, maintain, or upgrade the level.

상기 정답률에 따른 레벨마다 설정된 레벨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학 습자 테스트 답으로부터 산출된 정답률과 레벨기준값(%)을 비교하여 레벨의 다운그레이드, 유지, 업그레이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The level reference value (%) set for each level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rate is stored, and the level answer value calculated from the learner test answer is compared with the level reference value (%) to determine whether to downgrade, maintain or upgrade the level.

상기 레벨 기준값은 업그레이드를 위한 레벨업 기준과 다운그레이드를 위한 레벨다운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As the level reference value, a level up criterion for upgrading and a level down criterion for downgrading may be set.

예를 들어, 레벨을 업그레이드를 위한 레벨업 기준이 90%이고, 레벨 다운그레이드를 위한 레벨다운 기준이 40%인 경우 학습자 테스트 결과 정답률이 0~39%라면 학습자 레벨이 하위 레벨로 다운그레이드되고, 정답률이 40~89%라면 학습자 레벨이 현재 레벨로 유지되고, 정답률이 90% 이상이라면 학습자 레벨이 상위 레벨로 업그레이드된다.For example, if the level-up criterion for upgrading the level is 90% and the level-down criterion for the level downgrade is 40%, the learner test results downgrade to the lower level if the correct test rate is 0 to 39%. If the correct rate is 40-89%, the learner level is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If the correct rate is 90% or higher, the learner level is upgraded to a higher level.

상기 레벨업 기준과 레벨다운 기준은 각 레벨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단어 수준과 레벨에 포함된 단어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level up criterion and the level down criter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level, and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d level and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level.

상기와 같이 레벨이 결정되면 상기 테스트 결과인 테스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는 학습자 식별코드, 테스트 일자, 아는 단어 리스트, 모르는 단어 리스트, 학습자 단어 레벨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level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test data which is the test result is stored in a database. Here, the test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student identification code, a test date, a list of known words, a list of unknown words, a student word level, and the like.

따라서, 학습자는 저장된 테스트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력 향상과정 및 성취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arner can check the stored test history and analyze the progress of improvement and achievement.

또한, 상기 단어실력 판단 모듈은 학습자가 현재 알고있는 총 단어 개수를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 proficiency determination module may estimate the total number of words currently known by the learner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3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3

여기서, N은 학습자가 아는 총 단어개수,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4
는 현재 레벨 이전 레벨의 단어수와 상위 설정 기준치를 곱한 값의 합, P는 상위 설정 기준치, NL은 현재 레벨의 단어수, G는 현재 레벨의 정답률이다.Where N is the total number of words the learner knows,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4
Is the sum of the number of words before the current level multiplied by the higher setting criterion, P is the higher setting criterion, N L is the number of words in the current level, and G is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current level.

또한, 상기 수학식에서 다의어, 어근법, 복수, 인칭 등을 고려하여 상기 결과값에 1.5 ~ 1.7 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자의 총 단어 개수를 추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words of the learner may be estimated by assigning a weight of 1.5 to 1.7 to the result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multiword, root, plural, inching,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가중치가 1.5에 가까이 갈 경우 문어 레벨의 체크의 목적성을 갖게 되며, 1.7에 가까이 갈 수록 구어 레벨 즉, 개인어(Idolect), 방언(dialect), 사회 언어(sociolect)의 검지에 대한 목적성을 갖게 된다. Here, if the weight is closer to 1.5, the object has the purpose of checking the octopus level. As the weight is closer to 1.7, the objectivity of the spoken level, i.e., the language, dialect, and sociolect, is detected. Will have

물론 상기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에는 문어 레벨 또는 구어 레벨의 체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범위로 한정함은 언어학의 언어상호배타성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Of course,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octopus level or spoken level. And, the limitation to the above range is to apply the principle of linguistic mutual exclusion of linguistics.

상술한 단어 실력 검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시스템은 다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단어 실력 검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word ability detection method may vary. The following describes a system for performing this word ability detection method.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4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실력 검지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되는 경우로서 학습자 단말(10)과 단어실력 검지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ord proficienc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network environment using an internet network, and may include a learner terminal 10 and a word proficiency detection server 20.

여기서, 상기 학습자 단말(10)은 데스크탑, 노트북, PDA, PMP, 이동 통신 단말기 등 키 입력이 가능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은 어느것이나 가능하다.Here, the learner terminal 10 may be a key,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a PDA, a PMP,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y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상기 학습자 단말(10)은 단어실력 검지 서버와 접속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110)와, 단어실력 검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120)과, 단어실력 테스트를 위해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30)와, 단어실력 검지를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40)를 포함한다.The learner terminal 10 includes a client 110 for accessing the word proficiency detecting server, an application 120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tecting the word proficiency, and an input unit 130 for inputting key data for the word proficiency test. And an output unit 140 for outputting video and audio data for detecting word proficiency.

그리고 단어실력 검지 서버(20)는 학습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고 테스트를 위한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I부(210)와, 단어의 난이도(단어가 주로 사용되는 연령과, 단어가 사용되는 문장 길이)에 따라 단어들이 복수의 단어 레벨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22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단어들을 이용하여 초기 학습자 레벨을 판단하는 레벨 판단부(230)와, 학습자 레벨에 해당하는 상기 단어 레벨 내의 단어들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단어 실력을 판단하는 단어 실력 판단부(240)를 구비한다. And the word proficiency detection server 20 is a UI unit 210 that allows the access of the learner terminal and provides a learner interface for the test, the difficulty of the word (age of the word is mainly used, length of the sentence used the word) According to the word leve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ord levels stored in the database 220, the level determiner 230 for determining the initial learner level using the words stored in the database 220, and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level And a word ability determining unit 240 for determining a word ability of the learner using the words in the word level.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단어 레벨 분리 모듈(250)을 구비한다. 단어 레벨 분류 모듈(250)은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여 제 1 내지 제 7 단어 레벨 공간에 각기 단어들을 저장한다.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word level separation module 250 is provided. The word level classification module 250 classifies word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words and stores the words in the first to seventh word level spaces.

단어 레벨 분류 모듈(250)은 연령별 사용 단어를 기준으로 1차 단어 분류를 실시한다. 이는 해당 단어를 모국어로 하는 나라에서 지정한 연령별 사용 단어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국내 교육 과정에서 지정된 단어들, 예를 들어, 중학 검정 또는 고교 검정 단어들을 연령별 사용 단어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word level classification module 250 performs the first word classification based on the words used by age. It can use the age-based word criteria specified by the country where the word is the native language. Alternatively, words designated in the domestic curriculum, for example, a junior high school test or a high school test word, may be used as a reference word for age.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ESL 과정에서 제공된 단어 분류법을 이용하여 1차 단어 분류를 실시하거나, 국내의 검정 단어나 토익 및 토플용 단어를 이용하여 1차 단어 분류를 실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primary wor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word classification provided in the ESL process, or primary wor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domestic test words or TOEIC and TOEFL words.

본 실시예의 레벨 판단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 내의 단어를 1차 샘플링 하여 초기 학습자 레벨을 판단한다. The level determiner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irst samples a word in the database 220 to determine an initial learner level.

이를 위해 레벨 판단부(230)는 레벨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31)과, 레벨 판단 모듈(232)을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level determination unit 230 includes a level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31 and a level determination module 232.

레벨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31)은 데이터베이스(220)의 다수의 단어 레벨 각각을 샘플링하여 각 단어 레벨 별로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추출한다. The level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31 samples each of the plurality of word levels of the database 220 and extracts words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index for each word level.

레벨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31)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최하위 단어 레벨부터 최상위 단어 레벨까지 단계적으로 단어를 샘플링하여 레벨 테스트 단어를 추출한다. The level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31 extracts a level test word by sampling a word from the lowest word level to the highest word level stored in the database 220 in stages.

레벨 판단 모듈(232)은 상기 각 단어 레벨별 대표 지표로 샘플링된 테스트 단어에 대한 학습자의 입력 결과(즉, 인지 유무의 입력 결과)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학습자의 입력 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레벨을 결정한다. The level determining module 232 stores the learner's input result (ie, input result of recognition or not) for the test word sampled as the representative index for each word level in the database 220 and according to the learner's input result. Determine the level of.

레벨 판단 모듈(232)은 각 단어 레벨별 대표 지표로 샘플링된 테스트 단어에 대한 학습자의 입력 결과를 종합하여 각 레벨 별로 점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하위 레벨부터 계산된 점수가 기준 점수 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 레벨에서 기준 점수보다 낮을 경우, 해당 레벨이 학습자의 레벨이 된다. 이때, 기준 점수는 제공된 단어에 대하여 80 내지 90%를 인지하고 있는 점수를 기준점수로 할 수 있다. The level determination module 232 calculates a score for each level by synthesizing the learner's input result for the test word sampled as the representative index for each word level.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core calculated from the lower level is higher or lower than the reference scor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core, the level becomes the learner's level. In this case, the reference score may be a score that recognizes 80 to 90% of the provided word.

단어 실력 판단부(240)는 실력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41)과, 단어 실력 판단 모듈(242)를 구비한다. The word skills determining unit 240 includes a skills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41 and a word skills determination module 242.

실력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41)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20)에 저장된 단어 중 학습자의 레벨에 해당하는 단어 레벨 내의 단어들에 대한 샘플링을 통해 실력 테스트 단어를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실력 테스트 단어는 레벨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The ability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41 provides a test problem by extracting the ability test word through sampling of words within a word level corresponding to the learner level among the words stored in the database 220. Here, the ability test word may be extracted by an algorithm for randomly extracting words included in the level.

단어 실력 판단 모듈(242)은 상기 제공된 테스트 문제에 대해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상기 결과로부터 학습자의 단어 실력을 판단한다. The word proficiency determination module 242 stores the result input from the learner for the provided test problem in the database 220 and determines the learner's word proficiency from the result.

또한, 단어실력 판단모듈(242)은 상기 샘플링된 실력 테스트 단어에 대한 학습자의 입력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고, 정답률이 설정된 레벨 업 기준을 넘은 경우 학습자 레벨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하고, 정답률이 레벨다운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학습자 레벨을 한단계 다운그레이드하고, 정답률이 레벨업 기준과 레벨 다운 기준 사이에 있는 경우 현 학습자 레벨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word proficiency determination module 242 stores the learner's input result for the sampled proficiency test words in the database 220, and if the correct answer rate exceeds a set level up criterion, upgrades the learner level by one step, and the correct answer rate is If the level is not met, the student level is downgraded one level.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between the level up and the level down criteria, the current learner level is maintained.

여기서, 상기 레벨업 기준 및 레벨다운 기준은 정답률 퍼센트(%)로 설정되고 단어의 수준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기준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레벨업 기준을 90%, 레벨다운 기준을 40%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답률이 0~40% 사이 이면 레벨이 다운그레이드되고, 40~90% 사이이면 현 레벨이 유지되고, 90% 이상이면 레벨이 업그레이된다.Here, the level up criterion and the level down criterion are set to a percentage of percent correct (%) and determine the criterion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difficulty of the word. For example, you can set the level up criterion to 90% and the level down criterion to 40%, in which case the level is downgraded if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s between 0 and 40%, and the current level is maintained between 40 and 90%. If it is 90% or higher, the level is upgraded.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화가 가능하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이 단일 단말 또는 장치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설명의 기술 중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기술과 중복되는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은 제 1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changed to various embodiments. That is, as mentioned above,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embedded in a single terminal or devic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lso,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 5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실력 검지 시스템은 전자기기(300)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되는 경우로, 학습자로부터 키입력을 받아 키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부(310)와,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각 단어가 레벨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2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각 레벨별 단어들을 샘플링 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레벨 테스트 결과로 부터 초기 학습자 레벨을 판단하는 레벨 판단부(330)와, 학습자의 레벨에 해당하는 단어 레벨 내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실력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실력 테스트 결과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단어 실력을 판단하는 단어 실력 판단부(340)와, 테스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출 력하는 출력부(360) 및 전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어 레벨을 분류하는 단어 레벨 분류 모듈(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word proficienc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0 is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300. The input unit 310 receives key input from a learner and generates key data,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word. Accordingly, each word is classified by level and stored in the database 320 and the words of each level stored in the database 320 to provide a level test problem, and the initial learner level from the level test result input from the learner. A level determining unit 330 for determining a word level, a word within a word level correspon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to provide a skills test problem, and to determine the word ability of the learner based on the test result input from the learner. Unit 340, an output unit 360 for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s to provide an interface for testing, and an entire un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370 for controlling the device. 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ord level classification module 380 may further include a word level classification.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어 실력 검지 시스템은 전자기기에 임베디드된 펌웨어,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선 제 1 실시예는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상의 학습자를 서버에서 관리하고, 본 제 2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임베디드되어 학습자 단위로 관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단어 실력 검지 시스템의 구성은 유사하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320), 레벨 판단부(330), 단어 실력 판단부(340) 등의 구성은 앞선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다. Here, the word proficiency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t a firmware, an operating system, and an application level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word proficiency detection system except that the system manages learners on a network in a server,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managed by learner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base 320, the level determining unit 330, the word ability determining unit 340 and the like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해당 처리 절차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이에 따라 구성요소가 위치할 하드웨어의 종류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 order of the processing procedur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such as changing the type of hardware on which the component is to be located.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어실력 검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word skills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은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according to a variation of an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4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5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학습자 단말 20 : 검지 서버10: learner terminal 20: detection server

220, 320 : 데이터베이스 230, 330 : 레벨 판단부220, 320: database 230, 330: level determination unit

231, 331 : 레벨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31, 331: level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32, 332 : 레벨 판단 모듈 240, 340 : 단어 실력 판단부232, 332: level determination module 240, 340: word ability determination unit

241, 341 : 실력 테스트 단어 추출 모듈241, 341: skills test word extraction module

242, 342 : 단어 실력 판단 모듈 250, 380 : 단어 레벨 분리 모듈242, 342: word ability determination module 250, 380: word level separation module

Claims (5)

다수의 단어를 단어의 난이도에 따라 레벨별로 분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Classifying the plurality of words by level according to the difficulty of the words and storing the plurality of words in a database;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에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저장되었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word level of a learner is stored in the database; 판단 결과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없는 경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 word level of the learner by performing an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when there is no word level of the learn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판단 결과 학습자의 단어 레벨이 있는 경우,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단어 레벨에 포함된 단어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단어를 추출하여 실력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If there is a word level of the learn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extracting a test word from a word included in the word level in th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to generate a test test problem; 생성된 상기 실력 테스트 문제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the learner with the generated skills test problem; And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를 이용하여 정답률을 계산하고, 계산된 정답률을 레벨 기준 정답률들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by using the test result of the learner,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correct answer rate with the level reference correct answer rates to determine a learner's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by performing the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comprises: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각 레벨별로 각기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샘플 링하여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words corresponding to each representative index for each level of the database; 상기 샘플링된 레벨 테스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learner with the sampled level test problem; 상기 각 레벨별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for each level; And 최하위 레벨로부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기준 정답률보다 작은 정답률을 갖는 레벨을 학습자의 최조 단어 레벨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And determining a level having a correct answer rate smaller than the reference correct rate as the learner's lowest word level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ct answer rate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from the lowest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학습자 단어 레벨 판단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학습자의 단어 레벨을 판단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by performing the initial learner word level determination operation comprises: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최하위 단어 레벨에서 대표 지표에 해당하는 단어를 샘플링하여 최하위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ampling a word corresponding to a representative index at the lowest word level of the database to generate a lowest level test problem and providing the same to a learner; 상기 최하위 레벨 테스트 문제에 대하여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 student's correct answer rate for the lowest level test problem;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learner's correct answer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orrect rate; 상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하일 경우 최하위 단어 레벨을 학습자의 단어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 lowest word level as a learner's word level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correct rate; 상기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일 경우, 상위 레벨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상위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단계; 및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correct rate, generating a high level test problem by providing a high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a high level word; And 상기 상위 레벨 테스트 문제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을 계산하는 단계;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for the high level test problem;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하인 경우에는 현재 레벨을 학습자의 단어 레벨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기준 정답률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상위 레벨의 단어를 샘플링하여 상위 레벨 테스트 문제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Determining the current level as the word level of the learner when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a high level test problem by sampling the upper level word when the learner's correct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rrect rate. A word proficiency det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gai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벨 기준 정답률은 하위 기준 레벨과 상위 기준 레벨을 갖고, The level reference correct rate has a lower reference level and a higher reference level, 상기 학습자의 정답률이 상기 하위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다운그레이드하고, 상기 정답률이 하위 기준 레벨 이상이고 상위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유지하고, 상기 정답률이 상위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에는 학습자 레벨을 업그레이드하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 If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learner is lower than the lower reference level, the learner level is downgraded, and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higher than the lower reference level and lower than the upper reference level, the learner level is maintained. How to detect word skills to upgra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알고 있는 단어개수를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하기 수학식 1의 결과값에 1.5~1.7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자의 총 단어 개수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실력 검지 방법.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stimating the number of words known by the learner using Equation 1 below, by assigning a weight of 1.5 to 1.7 to the result of Equation 1 to estimate the total number of words of the learner. How to detect the word skills. <수학식1><Equation 1>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5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5
여기서, N은 학습자가 아는 총 단어개수,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6
는 현재 레벨 이전 레벨의 단어수와 상위 설정 기준치를 곱한 값의 합, P는 상위 설정 기준치, NL은 현재 레벨의 단어수, G는 현재 레벨의 정답률임.
Where N is the total number of words the learner knows,
Figure 112009070256801-PAT00006
Is the sum of the number of words from the level before the current level multiplied by the higher setting criterion, P is the higher setting criterion, N L is the number of words in the current level, and G is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current level.
KR1020090110461A 2009-02-27 2009-11-16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KR201000982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017 2009-02-27
KR20090017017 2009-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77A true KR20100098277A (en) 2010-09-06

Family

ID=430052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61A KR20100098277A (en) 2009-02-27 2009-11-16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KR1020090110464A KR101215405B1 (en) 2009-02-27 2009-11-16 System judging word proficiency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64A KR101215405B1 (en) 2009-02-27 2009-11-16 System judging word pro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98277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323B1 (en) 2018-08-17 2020-02-21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System of providing learning roadmap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2316365B1 (en) 2018-09-19 2021-10-22 주식회사 아이포트폴리오 Learning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02284574B1 (en) * 2019-10-29 2021-07-30 김대근 Method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wor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25B1 (en) * 2004-09-09 2005-12-01 주식회사 아이비티코리아 A study apparatus using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405B1 (en) 2012-12-26
KR20100098278A (en)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23194B (en) Chinese reading abilit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123105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education contents
US105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teracy assessment
CN105488142B (en)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system
Erceg-Hurn et al. Robust statistical estimation
CN111539207B (en) Text recognition method, text recognition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1810100B1 (en) Method for Phonics Learning Management to improve Reading Ability and the Recorded Media of the Phonics Learning Management Program read by Computer
KR20180088097A (e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phonemes image
US20120323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inyin and a dynamic memory state for modifying a hanyu vocabulary test
KR101984063B1 (en) System for learning the english
KR20100098277A (en) Method for judging word proficiency
WO2020074067A1 (en) Automatic language proficiency level determination
CN112256576A (en) Man-machine dialogue corpus tes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9152864A (en) Confidence determination method and confidence determination program to answer
CN112598202B (en) Test question difficult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ing equipment
KR1018375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servic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10035678A (en) Diagnosis system and method of cognitive function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KR101783012B1 (en) Method for providing guideline according to the document selection, computer readable program recorded medium for excuting the same, and medium stored application for device
KR201600541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servic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13658609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keyword matching inform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JP6823330B1 (en) Test result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100931913B1 (en)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KR2009009695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peed reading training services used recognition word group
KR101262492B1 (en) Learning terminal and method for classifying word level of defficulty
JP2022141570A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