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435A -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435A
KR20100097435A KR1020090016372A KR20090016372A KR20100097435A KR 20100097435 A KR20100097435 A KR 20100097435A KR 1020090016372 A KR1020090016372 A KR 1020090016372A KR 20090016372 A KR20090016372 A KR 20090016372A KR 20100097435 A KR20100097435 A KR 20100097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earplug
slee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박상성
신영근
정원교
구정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435A/ko
Publication of KR2010009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은 RF 신호를 송신하는 알람 설정 장치와 귓속에 삽입되어 상기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출력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설정 장치는 알람시간을 입력받는 설정 버튼부; R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RF 모듈; 및 상기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제1 RF 모듈을 통해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면용 귀마개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RF 모듈; 상기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람 기능을 구비한 초소형의 수면용 귀마개를 제공함으로써, 정해진 시간 동안 숙면을 취하게 하면서도 알람의 효과를 상쇄시키지 않으며, 대중 교통 수단에서 알람 시간을 도착 예정 시간으로 맞춰 놓으면 목적지에 가는 동안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Earplug for sleep, System and Method for alarming with the earplug}
본 발명은 수면 보조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람 기능을 구비한 수면용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귀마개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흔히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귀마개는 3M사에서 제작된 폼타입의 귀마개이다.
한국특허등록공고 제10-1995-5334호에는 소음차단용 귀마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 귀마개는 귀에 밀착삽입 가능하도록 성형되는 실리콘 마개부, 마개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필터 삽입부, 필터 삽입부에 삽입되는 필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마개부는 내측이 연성인 실리콘으로 되고 외측이 경성인 실리콘으로 되어 있다. 특히, 여기에 사용되는 필터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는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고주음파 차단필터로 되어, 굉음등의 소음은 차단하고 사람의 소리등이 속하는 중저주파음은 가청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소음과 잡음이 심한 곳에서 숙면을 취하기 위해 수면용 귀마개를 사용한다. 수면용 귀마개를 사용하면 숙면을 취할 수 있으나, 소음을 극소화하는 수면용 귀마 개의 특성상, 휴대폰이나 자명종의 알람을 듣지 못하여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 기차나 지하철, 버스와 대중 교통 수단에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하여 수면을 취할 경우, 깊은 수면에 빠져서 목적지를 놓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숙면을 보조하면서 알람음을 억제하지 않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숙면을 보조하면서 알람음을 억제하지 않는 수면용 귀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숙면을 보조하면서 알람음을 억제하지 않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은 RF 신호를 송신하는 알람 설정 장치와 귓속에 삽입되어 상기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출력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설정 장치는 알람시간을 입력받는 설정 버튼부; R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RF 모듈; 및 상기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제1 RF 모듈을 통해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면용 귀마개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RF 모듈; 상기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발생되는 중에 상기 설정 버튼부의 버튼 입력이 되는 경우, 상기 제1 RF 모듈을 통해 알람끄기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면용 귀마개는 상기 제1 RF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설정 장치는 상기 수면용 귀마개를 거치하는 충전홈; 상기 수면용 귀마개가 상기 충전홈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는 외부의 알람 설정 장치의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알람 설정 장치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신호가 알람끄기 신호인 경우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알람음 생성을 중지시키는 제2 RF 모듈; 상기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와 상기 제2 RF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의 세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방법은 알람 설정 장치에 구비된 설정 버튼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알람 설정 장치의 RF 모듈을 통해 RF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귀에 삽입되는 형태의 수면용 귀마개에 구비된 RF 모듈을 통해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F 신호에 따라 상기 귀마개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방법은 상기 알람 설정 장치의 설정 버튼부가 입력되면, 알람끄기 신호를 상기 알 람 설정 장치에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귀마개의 RF 모듈을 통해 상기 알람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음 발생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람 기능을 구비한 초소형의 수면용 귀마개를 제공함으로써, 정해진 시간 동안 숙면을 취하게 하면서도 알람의 효과를 상쇄시키지 않으며, 대중 교통 수단에서 알람 시간을 도착 예정 시간으로 맞춰 놓으면 목적지에 가는 동안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는 내부에 초소형 스피커와 RF 모듈,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내부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DAC)를 구비하여 RF 모듈에 수신된 신호를 스피커의 출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수면용 귀마개와 함께 사용되는 알람 설정 장치는 디스플레이 창과 알람 설정을 위한 입력 버튼, RF 모듈을 구비한다. 알람 설정 장치에 수면용 귀마개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기를 내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람 설정 장치는 시간을 디지털 숫자로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와 알람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들을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는 표시부 를 통해 알람 시간을 입력하거나 시간을 볼 수 있다. 알람 설정 장치의 내부에는 귀마개에 무선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RF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서 알람 시간이 되면 귀마개에 무선으로 알람 신호를 보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와 알람 설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귀마개(100)의 표면(200)은 귓구멍에 삽입하기 좋게 부드러운 실리콘이나 연성 고무, 스펀지 등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의 내부 구조를 참고하면, 알람 설정 장치는 설정 버튼부(151), 제어부(152), 메모리(153), 표시부(154) 및 RF 모듈(155)을 포함한다.
설정 버튼부(151)는 알람시간을 설정하거나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버튼 입력 도구이다. 설정 버튼부(151)는 알람 설정 장치(150)에 의한 RF 신호 전송을 중지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알람을 해제하기 위해 설정 버튼부(151)의 특정 버튼을 누르면 귀마개의 알람 소리 출력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2)는 설정 버튼부(151)의 입력에 따라 알람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시간을 메모리(153)에 저장한다. 제어부(152)는 현재 시간이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알람 설정 장치(150)에 구비된 RF 모듈(155)을 통해 RF 신호를 귀마개(100)에 전송한다. 귀마개(100)는 이 RF 신호를 수신하고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RF 신호는 주변 기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 할 수도 있다.
알람 설정 장치(150)에 구비된 표시부(154)는 현재 시간, 설정된 알람 시간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54)에는 액정 표시 장치, OLED 등 소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가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의 예시적인 구조도이다.
귀마개(100)의 가장 바깥의 표면(200)은 귓구멍에 삽입하기 좋게 부드러운 실리콘이나 연성 고무, 스펀지 등의 소재로 제작된다.
바깥 표면의 안쪽에는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201)가 위치한다. 케이스(201)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기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01) 내부에는 RF 신호 수신용 안테나(210)와 RF 모듈(215), 출력하기 위한 알람음을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220), 알람음을 출력하는 초소형 스피커(230)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40)가 포함된다.
안테나(210)는 알람 설정 장치(15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한다.
RF 모듈(215)은 안테나(210)를 통해 RF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220)에 전달한다. 알람 설정 장치(150)가 알람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RF 신호를 송신하는 중에 설정 버튼부(151)의 특정 버튼을 입력하면, 알람 설정 장치(150)가 알람끄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귀마개(100)의 RF 모듈(215)은 초소형 스피커(230)의 알람음 발생을 중지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220)는 RF 모듈(215)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생성한다. 생성된 알람음은 전기적인 신호로 초소형 스피커(230)에 전달된다.
초소형 스피커(230)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220)로부터 전달되는 알람음을 출력한다.
배터리(240)는 RF 모듈(215)와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2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240)는 충전단자를 통해서 알람 설정 장치(150)와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단자는 알람 설정 장치(150)의 충전홈(356)에 직접 연결되어 배터리(240)를 충전 수 있도록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100)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는 귀마개(100)가 귓구멍에 깊이 들어갔을 경우, 쉽게 빼낼 수 있게 도와주는 실이나 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발명의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알람 설정 장치(150)에 구비된 표시부(154)를 통해 시간을 확인하고 설정 버튼부(151)를 이용하여 알람시간을 설정한다. 설정한 알람시간이 되면 알람 설정 장치(150)에 구비된 RF 모듈(155)을 통해 RF 신호를 귀마개(100)에 전송한다. 귀마개(100)에 구비된 RF 모듈(215)은 RF 신호를 수신하고 초소형 스피커(23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어 알람음을 발생하게 한다. 이때 알람 설정 장치(150)의 설정 버튼부(151)를 누르면 RF 신호를 귀마개(100)에 한번 더 송신하게 되고, RF 모듈(215)은 이를 수신하여 초소형 스피커(230)의 알람음 출력을 중지한 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35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알람 설정 장치(350)에는 설정 버튼부(351), 표시부(354) 및 충전홈(356)이 구비된다.
설정 버튼부(351)는 알람시간을 설정하거나 현재 시간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버튼 입력 도구이다. 또한, 설정 버튼부(351)는 귀마개(300)의 알람음 출력을 중지시키기 위한 버튼 입력 도구이다.
표시부(354)는 알람시간, 현재 시간, 알람 설정 여부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충전홈(356)은 귀마개(300)와 같은 직경의 홈을 구비하고, 홈 내부에 귀마개(300)의 충전단자와 연결될 수 있는 금속 단자를 내장한다. 이 금속 단자를 통해서 귀마개(3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수면 보조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람 기능을 구비한 수면용 귀마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와 알람 설정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용 귀마개의 예시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설정 장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6)

  1. RF 신호를 송신하는 알람 설정 장치와 귓속에 삽입되어 상기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출력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설정 장치는,
    알람시간을 입력받는 설정 버튼부;
    RF 신호를 출력하는 제1 RF 모듈; 및
    상기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제1 RF 모듈을 통해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면용 귀마개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제2 RF 모듈;
    상기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에서 알람음이 발생되는 중에 상기 설정 버튼부의 버튼 입력이 되는 경우, 상기 제1 RF 모듈을 통해 알람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용 귀마개는,
    상기 제1 RF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충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 설정 장치는,
    상기 수면용 귀마개를 거치하는 충전홈;
    상기 수면용 귀마개가 상기 충전홈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충전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자를 포함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4. 외부의 알람 설정 장치가 전송하는 RF 신호에 따라 알람음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알람 설정 장치로부터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신호가 알람끄기 신호인 경우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알람음 생성을 중지시키는 제2 RF 모듈;
    상기 생성된 알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와 상기 제2 RF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수면용 귀마개.
  5. 알람 설정 장치에 구비된 설정 버튼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상기 알람 설정 장치의 RF 모듈을 통해 RF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귀에 삽입되는 형태의 수면용 귀마개에 구비된 RF 모듈을 통해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F 신호에 따라 상기 귀마개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설정 장치의 설정 버튼부가 입력되면, 알람끄기 신호를 상기 알람 설정 장치에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귀마개의 RF 모듈을 통해 상기 알람끄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끄기 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음 발생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방법.
KR1020090016372A 2009-02-26 2009-02-26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97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72A KR20100097435A (ko) 2009-02-26 2009-02-26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372A KR20100097435A (ko) 2009-02-26 2009-02-26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35A true KR20100097435A (ko) 2010-09-03

Family

ID=4300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72A KR20100097435A (ko) 2009-02-26 2009-02-26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4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3352B2 (ja)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US20090252362A1 (en) Hearing device to be carried in the auricle with an individual mold
US11432063B2 (en) Modular in-ear device
US20110286616A1 (en) Hearing device with a passive unit seated deep in the auditory canal
CN104853282A (zh) 带骨传导功能的智能穿戴设备及音频输出处理方法
US11456606B2 (en) Battery charging case
US20210211815A1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al device worn in the ear canal, electrical device, charging module, and hearing system
KR20110134882A (ko) 현장맞춤형 히어링 이퀄라이저
JP6151490B2 (ja) 電子機器用取付部材および電子機器と取付部材との組合せ体
US20210211811A1 (en) Multi-part eardrum-contact hearing aid placed deep in the ear canal
CN113993052A (zh) 具有改进的多个通信接口共存的头戴式助听器
KR20100097435A (ko) 수면용 귀마개, 수면용 귀마개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및 그방법
CN108496373B (zh) 声音输出装置
CN209767791U (zh) 骨传导耳机
CN108124214B (zh) 一种蓝牙耳机及其组合
JP2013115799A (ja) 耳掛け型補聴器
KR100808634B1 (ko) 손목시계형 무선 통신 단말기
KR20210008644A (ko) 에너지 하베스팅 및 외부 충전이 가능한 표피 삽입형 보청기
KR101785602B1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일체로 구비하는 패치형 음성전달장치
CN210725327U (zh) 集成到助听器外壳的蓝牙天线
CN212752573U (zh) 耳机、耳机密封套
CN202841110U (zh) 一种无线音频系统
JP6919004B2 (ja) 聴取機器システム
JP3188273U (ja) 難聴者向け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機器
CN207835714U (zh) 一种具有闹钟功能的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