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260A - Faucet - Google Patents

Fauc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260A
KR20100097260A KR1020090016112A KR20090016112A KR20100097260A KR 20100097260 A KR20100097260 A KR 20100097260A KR 1020090016112 A KR1020090016112 A KR 1020090016112A KR 20090016112 A KR20090016112 A KR 20090016112A KR 20100097260 A KR20100097260 A KR 2010009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d
solenoid valve
operation le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5399B1 (en
Inventor
박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다
Priority to KR102009001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39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2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ucet hand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5Handles for single handle mixing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faucet is provided to reduce water waste by discharging minimum water when a human body is close to the faucet and cutting off water when the human body is closed to the faucet again. CONSTITUTION: A faucet comprises a faucet body(100), a control valve(200), an operation lever(300), a discharging guide unit(170), an electronic valve(500), and a controller. The control valve is installed inside the faucet body and controls discharged water. The operation lever controls the control valve. The discharging guide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and guides the discharged water to be discharged to outside. The electronic valve cuts off or discharges water depending on a signal detected from an approach senso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lectronic valve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Description

수전장치{Faucet}Faucets {Faucet}

본 발명의 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전을 사용시 물이 나오도록 제일 먼저 조작레버를 항상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긴급한 상황발생시 당황하여 현재 물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채로 외출을 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물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한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ce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always operating the operating lever first, so that water comes out when using the water faucet, and can expect water-saving effect, and the user is embarrassed when an urgent situation occurs from the outside. Even if you go out while forgetting that water is currently coming out because the water comes out only for a set time, so it is related to a faucet device to prevent a huge amount of water waste.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나오게 하거나 막는 장치를 수전(水栓) 또는 수도꼭지로 명명된다. 이하에서는 '수전'으로 일괄적으로 기술한다.In general, a device for letting out or blocking tap water is called a faucet or faucet.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as 'faucet'.

이러한 수전은 주방이나 화장실 또는 욕실등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수동수전 방식과 자동수전 방식으로 구분된다.Such faucets are installed in kitchens, bathrooms, or bathrooms, and are classified into manual faucets and automatic faucets.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레버 수동 조작에 따른 냉온수량 조절밸브(통상 '카트리지'라고도 함)의 작동 상태를 가변시켜 냉수와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온도로 조절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나, 물을 자동으로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현재 물이 토출되고 있다는 상황을 망각 할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former case,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t / hot water amount control valve (commonly referred to as a 'cartridge') according to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by the user is varied so that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re discharged, or the cold water and the hot water are mixed so that the user desir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or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ut there is no means to control the water automatically. There was an uneconomical problem that wasted.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비접촉식 인체감지센서의 감지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전자밸브가 작동되어 물이 토출되도록 하거나 토출되지 못하게 막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자의 수동수전 방식에 비해 물의 소비량을 줄이고 또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절수기능이 우수하며, 특히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만지면서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여러 사람이 꺼림직한 느낌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후자의 자동수전 방식의 경우에는 전자의 방식과는 달리 냉온수량 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냉수와 온수를 선택할 수 없고,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 solenoid valve is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non-contact human body detection sensor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discharged or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he water-saving function is excellent, such as to prevent the waste of water, and in particular, users do not have to adjust by touching the hand directly in a public place, so that many people can use hygienically without feeling reluctant. However, in the latter automatic faucet method, unlike the former metho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cannot select cold water and hot water because the cold / hot water amount control valve is not installed, and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water cannot be properly adjusted.

최근에, 전술한 양자의 타입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자동과 수동을 겸용으로 한층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전이 개발되어 있는데, 그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0867호(이하,'종래 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caused by both types described above, a faucet has been developed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y using both automatic and manual, and as an example, Korean Patent No. 10-0840867 , "Prior art").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조작레버(또는 조절핸들)로 냉온수량조절밸브를 미리 조절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함과 아울러 조작레버를 상하로 밀고 당기면서 토출되는 냉온수의 토출 수량을 미리 적절하게 조절하는 수동 작업을 실시한 후,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 위해 토출구의 하부로 손을 밀어 넣으면 물체검지부가 이를 검지하고, 물체검지부에 신호가 검지되면 전자밸브의 래치솔레노이드가 자동으로 작동하며, 이로 인해 토출구를 거쳐 외부로 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물체검지부에 손이나 기타 물체가 근접하여 검지되면 전자밸브의 작동에 의해 물이 자동으로 토출되고, 물체 미검지시 물이 전자밸브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단속되며, 용도에 따라 한번 근접하면 물이 지속적으로 토출되며, 또 한번 근접하면 물이 단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the user adjusts the cold / hot water amount control valve in advance with an operation lever (or control handle) to select cold water or hot water, and in advance, appropriately adjusts the discharge quantity of cold / hot water discharged while pushing and pulling the operation lever up and down. After the manual operation, the user pushes his hand down the outlet to use water, and the object detector detects it. When the signal is detected on the object detector, the latch solenoid of the solenoid valve operates automatically.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to the outside. In the prior art, when a hand or other object is detec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bject detecting unit,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and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the wa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Once close,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and once close, water is intermittent.

그리고, 종래 기술은 물을 자동으로 토출시켜 물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레버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냉수 또는 온수, 냉온수가 혼합되어 온도조절된 혼합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레버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토출되는 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state of the art, the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use water, and the user may manually adjust the operation lever to selectively use a mixture of cold water or hot water, cold and hot water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the operation lever. By manually adjusting the amount of discharged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그런데, 전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 기술은 수전을 사용하기 위해서, 최초로 조작레버와 냉온수량조절밸브를 연결하는 조절놉을 사용자가 조작레버로써 우측으로 돌리면 냉수를 토출, 조절놉을 좌측으로 돌리면 온수를 토출, 조절놉을 후방으로 밀면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 조절높을 앞으로 당기면 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수동작업, 즉 사용자가 조작핸들 냉온수량조절밸브를 미리 조절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함과 아울러 조절핸들을 상하로 밀고 당기면서 토출되는 냉온수의 토출 수량을 미리 적절하게 조절하는 수동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즉, 종래 기술은 자동모드로 사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조작레버를 사전에 일정량의 물이 토출되도록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use a faucet, the user first rotates the control knob connecting the control lever and the cold / hot water control valve with the operation lever to the right to discharge the cold water, and the control knob to the left to discharge the hot water, and the control knob to the rear. Manual operation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discharged when pushed and pulled forward by adjusting height, that is, the user selects cold or hot water by adjusting the operation handle cold / hot water control valve in advance and pushes and pulls the control handle up and down Manual work of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ischarge quantity of the hot and cold water discharged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That is, the prior art has a cumbersome problem that the user must manually operate the operation lever to be discharged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advance in order to use in the automatic mode.

둘째,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손을 물체감지부에 1회 근접시킨 후, 물을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한 후, 다시 한번 물체감지부에 근접시키면 물이 토출되지 않게 하여 수전의 사용을 완료하며, 더 이상을 수전을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물체감지부에 의해 손이 재 검지되었다 하더라도 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물이 토출되지 않는 위치로 사용자가 조작레버를 재조작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수전을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이 토출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핸들을 다시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Second, the prior art is that the user closes the hand once to the object detection unit, the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and once again close to the object detection unit to prevent the water is discharged to complete the use of the faucet, more If you do not want to use the faucet,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discharged even if the hand is re-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unit,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lever to a position where the water is not discharged. When the faucet is to be used agai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to manipulate the operation handle again so that water is discharged.

셋째,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손을 물체감지부에 1회 근접시킨 후, 물을 자동 으로 토출되도록 한 후, 다시 한번 물체감지부에 근접시키면 물이 토출되지 않게 하여 수전의 사용의 완료 후, 더 이상을 수전을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물체감지부에 의해 손이 재 검지되지 않은 이상, 물이 토출되지 않게 되지만, 일정 시간 경과하여 수전을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손을 물체감지부에 근접시키면 조작레버들의 이전 위치에서의 조절된 토출량으로 순간적으로 물이 토출되기 때문에 절수 효과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다는 것이다.Third, the prior art allows the user to close the hand once to the object detecting unit, and then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water, and then once again close to the object detecting unit so that the water is not discharged, after completion of the use of the faucet, If you do not want to use the faucet, the water will not be discharged unless the hand is detected again by the object detector.However, if you want to use the faucet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your hand is close to the object detector. This is ver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water-saving effect because the water is discharged instantaneously with the adjusted discharge amount at the previous position of the operating lever.

넷째, 전술한 세번째 기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전 사용 완료후 사용자가 절수 효과를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최소유량이 토출되도록 조작레버를 재조작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조작레버의 재조작 과정은 감각에 의존하는 것으로 사용상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것이다.Fourth,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hird problem, the user can intentionally reoperate the operation lever so that the minimum flow rate is intentionally discharged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saving effect after completion of the use of the faucet. It is very inconvenient and cumbersome to use.

다섯째, 종래 기술은 물체검지부에 손이나 기타 물체가 근접하여 검지되면 물이 자동으로 토출되고, 물체 미검지시 물이 자동으로 단속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항상 사용자가 물체검지부에 근접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만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Fifth, the prior art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always close to the object detection unit because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a hand or other object is detected close to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wat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when the object is not detected. There was a problem in use that can only use water.

여섯째, 종래 기술은 물체감지부에 1번 근접하면 물이 지속적으로 토출되고, 또 1번 근접하면 물이 단속되는 기능을 갖도록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물체감지부에 1번 근접한 경우에 물이 지속적으로 토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긴급한 상황발생시 당황하여 현재 물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채로 외출을 한 경우에는 막대한 양의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Sixth, in the prior art, since the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when it is close to the object detecting unit once, and the water is discharged when it is close to the object detecting unit once, the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when it is close to the object detecting unit once. If the user goes out with an embarrassm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outside and forgets that water is currently coming out, it causes a problem that a huge amount of water is was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수전 몸체와; 상기 수전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물을 토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단하거나 일정량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밸브와; 상기 수전 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밸브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전 몸체에 설치되어, 인체가 상기 수전 몸체 주변의 검출 영역에 근접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와; 상기 수전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을 상기 수전 몸체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안내수단과;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소의 토출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수전 몸체 외측과 상기 조작레버의 외측중 어느 하나에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전을 사용시 물이 나오도록 제일 먼저 조작레버를 항상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수전장치의 초기 사용시 근접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근접된 경우에 최소 유량으로 토출되는 물을 사용함에 따라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aucet body; A control valve installed inside the faucet body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d water to be discharged and blocked or discharg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ide of the faucet body to operate the control valve to control an amount of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rol valve; A proximity detecting sensor installed at the faucet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on lever by the proximity lever to detect whether a human body is close to a detection area around the faucet body; Discharge guide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ucet body and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d water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aucet body; A solenoid valve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to block and allow the flow of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A power receiver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based on a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wherein the minimum amount of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is generated so that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is formed to protrude on any one of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lever so that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is stopped by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so that the operation lever should always be operated first so that water comes out when the faucet is us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and to use the water discharged at the minimum flow rate when the human body is approached by the proximity sensor during the initial us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intended to be able to expect a water-saving effect.

그리고, 본 발명은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물이 유동되도록 전자밸브의 현상태가 지속되도록 제어하고,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재차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다시 한번더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전자밸브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긴급한 상황발생시 당황하여 현재 물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채로 외출을 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물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olenoid valve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allowe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in the detection area close to, while controlling the current state of the solenoid valve so that the water flows within the set time range, the set time range The solenoid valve is controlled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blocke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within the detection zone again within the detection zone, and the solenoid valve is controlled so that the flow of water is allowed once again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within the detection zone. By doing so, the user is embarrassed in case of an urgent situation from the outside, even if they go out in the absence of forgetting that the current is coming out of the water for only a set time, so the purpose of preventing a huge amount of water wasted.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에 따르면, 수전을 사용시 물이 나오도록 제일 먼저 조작레버를 항상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lways operate the operation lever first so that water comes out when using the power supply, it is possible to expect a water-saving effect.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긴급한 상황발생시 당황하여 현재 물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채로 외출을 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물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goes out in a state of embarrassment when an urgent situation occurs from the outside, the water comes out only for a set time, thereby preventing a huge amount of waste of water.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 조절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소의 토출량이 발생되는 위치로 조작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 조절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대의 토출량이 발생되는 위치로 조작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블럭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discharge amount of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is generate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is rotated,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lever to the position where the maximum amount of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is generated Is a view showing a rotated state, Figure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는, 수전 몸체(100)와; 이 수전 몸체(10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물을 토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단하거나 일정량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밸브(200)와; 수전 몸체(10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절밸브(200)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조절밸브(200)를 조작하는 조작레버(300)와; 이 조작레버(3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수전 몸체(100)에 설치되어, 인체가 수전 몸체(100) 주변의 검출 영역에 근접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400)와; 수전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조절밸브(200)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을 수전 몸체(10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안내수단(170)과; 근접감지센서(400)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조절밸브(200)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전자밸브(500)와; 근접감지센서(40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전자밸브(50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receiving body 100; A control valve 200 installed inside the faucet body 1000 and controlling to discharge the water flowing therein and to block or discharge the water in a predetermined amount;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aucet body 100. An operation lever 300 for operating the control valve 200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200; and installed at the power receiving body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eration lever 300, Proximity detection sensor 400 for detecting whether the proximity to the detection area around the faucet body 100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ucet body 100, the water discharged by being adjusted by the control valve 200 faucet body ( Discharge guide means 170 for guiding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unit 100; and an electromagnetic valve tha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200 according to a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400 to block and allow the flow of discharged water ( 500) and proximity sensor 400 And control means 600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500 on the basis of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controller.

여기서, 본 발명의 수전 장치를 구성하는 수전 몸체(100), 토출 안내수단(170), 조절밸브(200), 조작레버(300), 근접감지센서(400), 전자밸브(500)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특히 조절밸브(200)는 통상 '혼합 카트리지' 또는 '냉온수량 조절밸브'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 냉수 도입관(미도시)(도 2의 도면상에서는 실선 화살표로 표시)과 온수 도입관(미도시)(도 2의 도면상에서는 점선 화살표로 표시)을 통해 유입된 물이 화살표 "A"-"B" 또는 "C"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는 조작레버(300)에 의해 토출구(210)를 통해 배출된다.Here, the power receiving body 100, the discharge guide means 170, the control valve 200, the operation lever 300, the proximity sensor 400, the solenoid valve 500 constituting the power rece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ior art In particular, the control valve 200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mixing cartridge' or 'cold and hot water amount control valve', a cold water inlet tube (not shown) (indicated by a solid arrow in the drawing of Figure 2) and hot water The discharge port 210 is operated by an operating lever 300 in which water introduced through an introduction tube (not shown in the drawing in FIG. 2 is indicated by a dotted arrow)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rrows "A"-"B" or "C". Is discharged through).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조작레버(30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켜 도 2에서 도 3과 같이 변경 조작하면, 조절밸브(200)의 내부 유로가 개방되어 토출구(210)를 통해 많은 양의 물이 토출될 수 있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operation lever 300 is rotated at an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by changing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2 to FIG. 3,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control valve 200 is opened to discharge through the outlet 210. A large amount of water can be discharged.

그리고, 조작레버(300)를 도 3의 상태에서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정도에 따라, 온수 전용 유로 또는 냉수 전용 유로, 냉온수 혼합 유로로 변경되어 토출구(210)를 통해 온수, 냉수, 냉온수가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된다.The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30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r arrow "B" in the state of Figure 3, the hot water-only flow path, cold water-only flow path, cold and hot water mixing flow path is changed to the discharge port 210 Through the hot water, cold water, cold and hot water mixed water is discharged.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300)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조절밸브(200)의 내부 유로가 변경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기술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연결 관계 및 조절밸브(20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as described above, it is generally well known that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control valve 2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lever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control valve 200 and the control valve 200 The descrip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근접감지센서(400) 역시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신부와, 발신부에서 발산된 적외선이 물체(예를 들어, 인체의 손)에 반사되는 것을 수신하는 수신부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proximity sensor 4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well known in general, and receives a transmitter that emits infrared rays and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to reflect an object (for example, a human hand). It consists of a receiving unit.

여기서, 근접감지센서(400)는 물체, 즉 인체중에서 사람의 손이 근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proximity sensor 400 may change the distance that can detect the proximity of the human hand in the object, that is, the human body in various ways.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밸브(500) 역시, 수전장치 분야에 통상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조절밸브(200)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구(210)에서 토출되는 물을 토출 안내수단(170)으로 유동되도록 허용거나, 토출 안내수단(170)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물의 유동 및 유동 차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내부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olenoid valve 5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mmonly known in the field of power receiving devices,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200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to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210. Allow the flow to 170, or serves to block the flow to the discharge guide means (170). Typically, the solenoid valve is configured to perform water flow and flow blocking, and detailed internal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어수단(600)은 근접감지센서(400)의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재차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olenoid valve 500 to allow the flow of the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n the detection area of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400, the detection area The solenoid valve 500 is controlled to block the flow of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s in proximity again.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된 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전 몸체(100) 외측과 상기 조작레버(300)의 외측중 어느 하나에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를 돌출 형성하여, 이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에 의해 조작레버(30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power receiv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protrudes to one of the outside of the power receiver body 100 and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lever 300, and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is formed. By rotating the operation lever 300 is to be sto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밸브(20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소의 토출량이 발생되는 위치의 수전 몸체(100) 외측에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를 돌출 형성하여, 이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에 의해 조작레버(30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 것이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on the outside of the faucet body 100 of the position where the minimum discharge amount of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200 is generated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300 is stopped by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즉, 도 2에 도시된 조작레버(130)는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의 멈춤 작용 에 의해 더 이상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지 못하게 되며, 이때의 조절밸브(200)는 토출구(210)를 통해 최소 유량이 토출되도록 내부 유로가 변경되는 상태가 된다.That is, the operation lever 130 shown in Figure 2 is no longer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by the stop action of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the control valve 200 at this time discharge port 210 The internal flow path is changed so that the minimum flow rate is discharged.

한편, 본 발명은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작레버(300)의 외면에 상기 수전 몸체(100)를 향하여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를 일정 길이 돌출 형성하여 조작레버(30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조작레버(300)의 외측면에 상기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를 형성할 경우에, 이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의 길이는 조절밸브(20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소의 토출량이 발생되는 정도로 형성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aucet body 10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30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300 is stopped.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Here, when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300, the length of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is the minimum of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200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form so that discharge amount may generate | occur | produce.

따라서, 본 발명은 수전장치의 사용을 완료한 후에 조작레버(1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에 접촉되도록 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수전장치를 재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인체의 손을 근접감지센서(400)에 근접시키면, 전자밸브(500)의 개방작용에 의해 토출 안내수단(170)으로터 최소로 설정된 물이 토출됨으로 인해, 인체의 손을 근접감지센서(400)에 근접시켰을 때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토출되어 물낭비를 막을 수 없었던 종래 기술에 비해 절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use the power receiving device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operation lev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as shown in Figure 2 after the use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is completed. In this case, when the hand of the human body is close to the proximity detecting sensor 400, the water set to the minimum by the discharge guide means 170 is discharged by the opening action of the solenoid valve 500, the hand of the human hand to the proximity detecting sensor When close to 400, a large amount of water is suddenly discharged can be expected to save water compared to the prior art that could not prevent the waste of water.

아울러, 본 발명은 검출 영역내에 인체의 손을 재차 근접시키게 되면,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가 작동되어 토출 안내수단(170)으로부터 물이 토출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 of the human body is brought closer to the detection area again, the solenoid valve 500 is operated to block the flow of water so that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guide means 170.

이때, 본 발명은 수전장치의 사용을 완료하고 나서, 조작레버(300)를 조작레 버 정지 스토퍼(130)에 접촉되도록 회전 조작만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추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수전장치를 재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근접감지센서(400)에 손을 근접시키면 최소로 설정된 만큼의 물이 나오므로, 절수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so that the operation lev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after the use of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completed, the power reception device is to be reused after a certain time. In this case, when the hand comes close to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400, since the water is set to a minimum, the water saving effect can be greatly expected.

통상적으로, 수전장치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작레버(300)를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물이 완전이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수전장치를 재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레버(30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조작한 후, 근접감지센서(400)에 손을 근접시켜 물이 나오도록 하지만, 이 경우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지 않고 적은 양의 물이 필요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레버(300)를 미세하게 여러번의 조작 행위를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은 조작레버(300)를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된다. Typically, when the power receiver is no longer used, the operation lever 3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shown in FIG. 2, so that water does not come out completely. In this case, after operating the operation lever 300 to rotate a certain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close the hand to the proximity sensor 400 to come out of the water, but in this case does not require a large amount of water When a small amount of water is required, the user has to operate the operation lever 300 finely several times, but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contact the operation lever 300 to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설정 시간 범위(예를 들어, 3분~5분)내에서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의 현상태가 지속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재차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0를 제어하되, 다시 한번더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를 제어하도록 제어수단(600)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olenoid valve to allow the flow of the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s within the detection area, the water within the set time range (for example, 3 minutes to 5 minutes) The solenoid valve 500 may be controlled to continue to flow, and the solenoid valve 5000 may be controlled to block the flow of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s again approached within the detection area within the set time range. The control means 6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olenoid valve 500 to allow the flow of the water once again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as being close to the detection area.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긴급한 상황발생시 당황하여 현재 물 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채로 외출을 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물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even if the user is embarrassed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outside, even if they go out with forgetting that water is currently coming out, water can be prevented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because the water comes out only for a set time.

한편, 본 발명은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130)의 구성하지 않고,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설정 시간 범위(예를 들어, 3분~5분)내에서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의 현상태가 지속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재차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0를 제어하되, 다시 한번더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500)를 제어하도록 제어수단(600)만으로도 구성하여,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긴급한 상황발생시 당황하여 현재 물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망각한 채로 외출을 하더라도 설정된 시간 동안만 물이 나오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물낭비를 막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stitute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130, but controls the solenoid valve to allow the flow of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s in proximity to the detection area, but the set time range (for example, Control the current state of the solenoid valve 500 so that water flows within 3 minutes to 5 minutes), an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to reappear in the detection area within the set time range, the water flows. The solenoid valve 5000 is controlled to be blocked, but the control means 6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olenoid valve 500 to allow the flow of the water once again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as being close to the detection area. Thus, even if the user goes out with an embarrassm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outside and forgets that water is currently coming out, the water comes out only for a set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normous amount of water wast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 조절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소의 토출량이 발생되는 위치로 조작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lever is rota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minimum discharge amount of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로, 조절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대의 토출량이 발생되는 위치로 조절레버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lever is rota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maximum discharge amount of the disch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is gen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블럭도.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수전 몸체100: faucet body

150 : 조절레버 정지 스토퍼150: control lever stop stopper

200 : 조절밸브200: control valve

300 : 조작레버300: operation lever

400 : 근접감지센서400: proximity sensor

500 : 전자밸브500: solenoid valve

600 : 제어수단600 control means

Claims (3)

수전 몸체와; 상기 수전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물을 토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단하거나 일정량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밸브와; 상기 수전 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밸브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전 몸체에 설치되어, 인체가 상기 수전 몸체 주변의 검출 영역에 근접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와; 상기 수전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을 상기 수전 몸체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안내수단과;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전장치에 있어서,A faucet body; A control valve installed inside the faucet body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d water to be discharged and blocked or discharg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ide of the faucet body to operate the control valve to control an amount of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rol valve; A proximity detecting sensor installed at the faucet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on lever by the proximity lever to detect whether a human body is close to a detection area around the faucet body; Discharge guide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ucet body and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d water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aucet body; A solenoid valve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to block and allow the flow of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A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based on a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detecting sensor, 상기 조절밸브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중 최소의 토출량이 발생되도록, 상기 수전 몸체 외측과 상기 조작레버의 외측중 어느 하나에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조작레버 정지 스토퍼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protrudes and forms the operation lever stop stopper at any one of the outer side of the faucet body and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lever so that a minimum discharg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trol valve is generated. Power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f the sto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현상태가 지속되도록 제어하고,If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n the detection area is close to the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to allow the flow of water, the control state s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solenoid valve is maintained so that the water flows within a set time range, 상기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재차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다시 한번더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The solenoid valve is controlled to shut off the flow of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s close to the detection area again within the set time range, an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to be close to the detection area again. A power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to allow the flow of water. 수전 몸체와; 상기 수전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유입되는 물을 토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차단하거나 일정량으로 토출되도록 조절하는 조절밸브와; 상기 수전 몸체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절밸브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의 상기 수전 몸체에 설치되어, 인체가 상기 수전 몸체 주변의 검출 영역에 근접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근접감지센서와; 상기 수전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을 상기 수전 몸체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안내수단과;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토출되는 물의 유동을 차단 및 허용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근접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수전장치에 있어서,A faucet body; A control valve installed inside the faucet body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d water to be discharged and blocked or discharg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 operation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ide of the faucet body to operate the control valve to control an amount of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rol valve; A proximity detecting sensor installed at the faucet bod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on lever by the proximity lever to detect whether a human body is close to a detection area around the faucet body; Discharge guide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ucet body and configured to guide the discharged water controlle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aucet body; A solenoid valve controlled by the control valve to block and allow the flow of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A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based on a signal detected from the proximity detecting sensor,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물이 유동되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현상태가 지속되도록 제어하고,If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n the detection area is close to the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to allow the flow of water, the control state so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solenoid valve is maintained so that the water flows within a set time range, 상기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재차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되, 다시 한번더 상기 검출 영역내에 인체가 근접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 상기 물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The solenoid valve is controlled to shut off the flow of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human body is close to the detection area again within the set time range, an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to be close to the detection area again. A power rece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to allow the flow of water.
KR1020090016112A 2009-02-26 2009-02-26 Faucet KR101015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12A KR101015399B1 (en) 2009-02-26 2009-02-26 Fauc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12A KR101015399B1 (en) 2009-02-26 2009-02-26 Fauc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260A true KR20100097260A (en) 2010-09-03
KR101015399B1 KR101015399B1 (en) 2011-02-22

Family

ID=4300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12A KR101015399B1 (en) 2009-02-26 2009-02-26 Fauc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3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653A (en) 2016-04-08 2016-04-27 한국원자력연구원 bamboo nano-buble generat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494964B1 (en) * 2022-02-18 2023-02-06 대림통상 주식회사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648B2 (en) 1997-11-17 2006-03-15 株式会社Inax Fauce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653A (en) 2016-04-08 2016-04-27 한국원자력연구원 bamboo nano-buble generat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494964B1 (en) * 2022-02-18 2023-02-06 대림통상 주식회사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399B1 (en)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4869C (en) On demand electronic faucet
US6390125B2 (en) Valve system especially for a sanitary fixture
US6968860B1 (en) Restricted flow hands-free faucet
US8561626B2 (en) Capacitive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faucet
US8418993B2 (en) System and method of touch free automatic faucet
US20090094740A1 (en) Automatic water faucet built-in with hot and cold water control valve
US20080289098A1 (en) Plumbing Fixture
JPH1113097A (en) Water discharge valve device
KR101015399B1 (en) Faucet
US20200356124A1 (en) Electronic plumbing fixture fitting including installation check system
KR101643093B1 (en) Smart automatic faucet having motion sensors
US7000850B2 (en) Anti-scald water valve assembly
CN109237101B (en) Faucet and method of actuating a faucet
US20220381016A1 (en) Kitchen faucet with garbage disposer
US20220307244A1 (en) Hybrid Faucet Assembly
KR200383253Y1 (en) Device of shower bath with automatic water saving function
KR101866531B1 (en) Faucet apparatus
JP5687444B2 (en) Faucet system
JP2011144559A (en) Faucet system
JP4338992B2 (en) Semi-automatic faucet
KR102260958B1 (en) Touchless sensor faucet operated manually and automatically
JP2005213736A (en) Feed water control system
JP6781405B2 (en) Faucet device
JP2004190452A (en) Automatic faucet
KR20120045781A (en) Mixed bibcock of cold and hot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