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964B1 -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 Google Patents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964B1
KR102494964B1 KR1020220021387A KR20220021387A KR102494964B1 KR 102494964 B1 KR102494964 B1 KR 102494964B1 KR 1020220021387 A KR1020220021387 A KR 1020220021387A KR 20220021387 A KR20220021387 A KR 20220021387A KR 102494964 B1 KR102494964 B1 KR 10249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zed water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주
이은호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1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comprising: a body provided to supply tap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through different routes; a tap water discharge line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a lever assembly which is operably provided on the body and allows the tap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part or stops the discharge of the tap water; an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and an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flow path part provided in the body and connecting an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wit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to allow the electrolyzed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has effects of being easily applied without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s because the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can be installed alone or constructed by being grafted onto an existing faucet for increased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기능성 전해수 수전{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supply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and more specifically,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such as being able to be installed alone or grafted to an existing faucet, and is easy to use, so it is easy to use. It relates to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전해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일반적인 물에 전기적인 힘을 가해서 얻어지는 물로, 산성이온수와 알칼리이온수로 나뉘며, 이온수라고도 한다. Electrolyzed water is water obtained by applying electrical force to general water such as tap water or underground water, and is divided into acidic ionized water and alkaline ionized water, and is also called ionized water.

물에 양극과 음극의 백금도금을 한 티탄을 넣어 직류의 전기를 통하면, (+)극 쪽에는 물에 녹아 있는 음이온이 모이게 되어 산성이온수가 되고, (-)극 쪽에는 양이온이 모여 알칼리이온수가 생기는데, 산성이온수의 경우 수렴작용이 있어 피부를 수축시키므로, 약산성인 피부를 보호하여 미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고, 알칼리이온수의 경우 몸에 이로운 미네랄(무기염류)이 일반적인 물보다 많고, 물 분자를 작게 만들기 때문에 미네랄 등의 흡수력이 높아져 설사, 변비의 개선, 위의 작용을 도와준다.When direct current is applied by putting platinum-plated titanium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into water, negative ions dissolved in water gather on the (+) pole side to become acidic ionized water, and positive ions gather on the (-) pole side to make alkaline ionized water. Acidic ionized water has an astringent action and contracts the skin, so it protects slightly acidic skin and has excellent cosmetic effects. Alkaline ionized water contains more minerals (inorganic salts) beneficial to the body than general water Since it is made small, the absorption of minerals and the like is increased, and it helps to improve diarrhea and constipation and stomach function.

특히, 산성이온수(이하, '산성수'라 칭함)의 경우에는 차아염소산수 및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되므로, 물을 살균ㅇ소독제, 세정제, 세제, 왁스, 농약 등의 화학물질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acidic ionized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idic water') contains hypochlorous acid water and sodium hypochlorite, water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chemicals such as sterilization, disinfectant, detergent, detergent, wax, pesticide, etc. there is.

한편, 시중에 판매 중인 전해수기는 물을 전기분해해서 산성산화수를 얻는 제품들로서, 산성수는 차아염소산을 함유하기 때문에 살균력이 있어 살균, 소독, 세척용도로 많이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electrolytic water devices on the market are products that electrolyze water to obtain acidic oxidized water. Since acidic water contains hypochlorous acid, it has sterilizing power and is widely used for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washing.

도 1에서와 같이 물에 전기자극을 주면, 양극(+) 쪽에는 S, O, Cl 등의 이온이 모여 차아염소산(HClO)이 포함된 산성수가 생성되고, 음극(-) 쪽에는 Ca, Mg, K, Na 등의 이온이 모여 알카리수가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인데,As shown in FIG. 1, when electrical stimulation is applied to water, ions such as S, O, and Cl are gathered on the anode (+) side to produce acidic water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HClO), and Ca, Mg on the cathode (-) side. It uses the principle that ions such as , K, and Na gather to become alkaline water.

전해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일반적인 물을 빠르게 전기분해하여 살균과 탈취가 가능한 산성수로 변환시키는 기기로서, 반려동물용품, 육아용품, 주방용품, 침구 등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최근들어 비데에도 사용되는 등 살균 및 탈취가 필요한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다.An electrolytic water device is a device that rapidly electrolyzes general water such as tap water or underground water and converts it into acidic water that can be sterilized and deodorized. It can be used anywhere that requires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한편, 이러한 전해수기, 다시 말해 전해 활용 제품군은 단독으로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설치 시 별도의 타공 등의 복잡한 시공 조건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such an electrolytic water device, that is, an electrolysis-utilizing product group, is generally composed of only one produ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n that complex construction conditions such as separate perforation are required during installation.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83719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20-0283719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0990497호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10-0990497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20-0254654호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o. 20-0254654

본 발명의 목적은,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that can be installed alone, as well as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such as being grafted onto an existing faucet, and can increase 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is easy to u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은, 수돗물과 전해수가 각기 다른 경로로 공급되게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돗물이 토출되는 수돗물 토출 라인부; 상기 바디에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수돗물 토출 라인부로 상기 수돗물이 토출되게 하거나 토출되는 수돗물이 토출정지되게 하는 레버 어셈블리; 상기 바디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해수가 토출되는 전해수 토출 라인부; 및 상기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와 별개로 마련되는 전해수 공급유닛과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연결해서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하는 전해수 토출 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the body provided to supply tap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through different paths; a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a lever assembly operably provided on the body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tap water into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or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d tap water; an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charged; and an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provided within the body and connecting an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to discharge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is achieved by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는, 코브라 호스(COBRA HOSE); 상기 코브라 호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되 미스트 에어레이터(MIST AERATOR)가 연결되는 호스 캡; 및 상기 코브라 호스의 타측 단부와 상기 바디에 걸쳐 결합하는 어댑터(ADPATER)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는 일단부가 상기 어댑터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전해수 공급유닛과 연결되는 호스 가이드(HOSE GUIDE)에 결합하는 전해수 호스일 수 있다.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unit may include a Cobra hose (COBRA HOSE); A hose cap coupled to one end of the cobra hose and to which a mist aerator is connected; and an adapt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bra hose and across the body, wherein one end of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is coupled to the adapt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It may be an electrolytic water hose coupled to.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해수 호스의 조립 시 그 위치가 가이드되게 상기 전해수 호스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 가이드 벽체가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hose guide wall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to support the electrolytic water hose so that a position thereof is guided when the electrolytic water hose is assembled.

상기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착탈식 캡이 결합할 수 있다.A detachable cap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t one side of the body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unit.

상기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근접 시 상기 전해수의 토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내장되는 센서 생크(SENSOR SHANK); 및 상기 센서 생크의 센서에 근접될 때,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상기 전해수 공급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 sensor shank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built-in sensor generating a signal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zed water when approaching;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unit when approaching the sensor of the sensor shank.

상기 바디가 황동 주물로 제작되는 황동 바디이며,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는 황동 바디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공간(space)일 수 있다.The body may be a brass body made of a brass casting, and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may be a space integrally formed in the brass body.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해수 탱크이며, 상기 전해수 탱크의 일측은 상기 전해수 공급유닛과 연결되는 전해수 입구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와 연결되는 전해수 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is an electrolytic water tank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one side of the electrolytic water tank forms an electrolytic water inlet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and the other side forms an electrolytic water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wealth can be created.

본 발명에 따르면,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such as being able to be installed alone or grafted to an existing faucet, and also has an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is easy to use.

도 1은 전해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인 바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해수 토출 유로부 영역에 대한 확대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바디 영역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적용되는 전해수 탱크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11은 도 9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는 전해수 탱크가 바디 내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electrolyzed water.
2 is an image of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body region, which is region A of FIG. 2 .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Figure 2;
FIG. 5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area of FIG. 4 .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receiver of FIG. 2 .
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body region of FIG. 7 .
9 and 10 are images showing an electrolyzed water tank applied to a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11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FIG. 9 .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lyzed water tank is installed in a body.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하기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will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같은 참조부호는 같은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member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의 이미지, 도 3은 A 영역인 도 2의 바디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의 전해수 토출 유로부 영역에 대한 확대 구조도, 도 6은 도 2의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2 is an image of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body area of FIG. 2, which is area A, FIG.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tructure diagram of FIG. 2, and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of FIG. 2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100)은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nstalled alone or grafted onto an existing faucet and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s easy to use. This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100)은 바디(110), 수돗물 토출 라인부(120), 레버 어셈블리(130),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 및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pable of providing such an effect includes a body 110, a tap water discharge line part 120, a lever assembly 130, an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and an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150) may be included.

바디(110)는 수돗물과 전해수가 각기 다른 경로로 공급되게 마련되는 일종의 공용 구조물이다. 즉 바디(110)의 일측에서 해당 부품(유닛)을 통해 수돗물이, 타측에서 해당 부품(유닛)을 통해 전해수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의 수돗물 토출 라인부(120), 레버 어셈블리(130),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 등의 구조, 구성이 바디(110)에 위치별로 탑재 또는 연결된다.The body 110 is a kind of common structure in which tap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are supplied through different paths. That is, tap water may be supplied from one side of the body 110 through a corresponding part (unit), and electrolyzed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other side through a corresponding part (unit). Therefore,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such as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120, the lever assembly 130,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unit 140, and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flow path unit 150 below are mounted or connected to the body 110 by position. .

바디(110)의 하부에 브래킷(112)이 마련된다. 브래킷(112)은 바디(110)를 싱크볼에 결합하기 위한 부분이다. 브래킷(112)의 하부에는 싱크볼의 하부에서 바디(110)를 고정하는 너트(114)가 마련된다.A bracket 11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110. The bracket 112 is a part for coupling the body 110 to the sink bowl. A nut 114 for fixing the body 110 at the bottom of the sink bowl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112.

수돗물 토출 라인부(120)는 바디(1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수돗물이 토출되는 라인을 이룬다.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수돗물 토출 라인부(120)는 일정한 곡률로 형성되는 스윙 스파우트(121, SWING SPOUT)와, 스윙 스파우트(121) 내에 마련되고 수돗물이 배출되게 하는 구조물인 스파우트 인서트(122, SPOUT INSERT)와, 스윙 스파우트(121)의 단부에 마련되는 스프레이 헤드(123, SPRAY HEAD)를 포함한다. 물론, 스윙 스파우트(121) 대신에 플렉시블 가능한 코브라관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The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forms a line through which tap water is discharged. It is the same as the normal structure. That is,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120 includes a swing spout 121 formed with a certain curvature, a spout insert 122 provided in the swing spout 121 and a structure for discharging tap water, and a swing It includes a spray head (123, SPRAY HEAD) provided at the end of the spout 121. Of course, a flexible cobra tube may be disposed instead of the swing spout 121, and all of these matter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레버 어셈블리(130)는 바디(110)에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수돗물 토출 라인부(120)로 수돗물이 토출되게 하거나 토출되는 수돗물이 토출정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밀고 당기는 형태로 레버 어셈블리(130)가 적용될 수 있다.The lever assembly 130 is operably provided on the body 110 and serves to discharge tap water to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120 or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d tap water. The lever assembly 130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pushing and pulling.

수돗물의 토출 또는 토출정지를 위해 레버 어셈블리(130)에는 카트리지(131, CARTRIDGE)가 연결된다. 카트리지(131)는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의 반대편 바디(110) 내에 마련되고 레버 어셈블리(130)와 연결된다.A cartridge 131 (CARTRIDGE) is connected to the lever assembly 130 to discharge or stop the discharge of tap water. The cartridge 131 is provided in the body 110 opposite to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and is connected to the lever assembly 130 .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는 바디(1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전해수가 토출되는 라인을 이룬다.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and forms a lin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charged.

이러한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는 코브라 호스(141, COBRA HOSE)와, 코브라 호스(14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되 미스트 에어레이터(143, MIST AERATOR)가 연결되는 호스 캡(142)과, 코브라 호스(141)의 타측 단부와 바디(110)에 걸쳐 결합하는 어댑터(144, ADP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코브라 호스(141)가 적용되기 때문에 전해수의 토출 위치를 마음대로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is coupled to the cobra hose 141 (COBRA HOSE) and one end of the cobra hose 141, but the mist aerator 143 (MIST AERATOR) is connected to the hose cap 142 and the cobra An adapter (144, ADPATER) coupled over the other end of the hose 141 and the body 110 may be included. Since the cobra hose 141 is appl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can be freely changed.

한편,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는 바디(110) 내에 마련되며, 바디(110)와 별개로 마련되는 전해수 공급유닛(10)과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연결해서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하는 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150 is provided in the body 110, 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is provided by connecting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10 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which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110. )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charged.

본 실시예에서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는 그 일단부가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이루는 어댑터(144)에 결합하고 타단부는 전해수 공급유닛(10)과 연결되는 호스 가이드(152, HOSE GUIDE)에 결합하는 전해수 호스(150)로 적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150 has one end coupled to the adapter 144 constituting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10. Hose guide 152 (HOSE GUIDE) ) It is applied as an electrolytic water hose 150 coupled to.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가 전해수 호스(150)로 적용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편하며, 또한 바디(110) 내에 설치하기가 쉽다.Since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150 is applied as the electrolytic water hose 150, the structure is simple and it is easy to install in the body 110.

이러한 전해수 호스(150)를 적용함에 있어서 조립성을 높이고자 바디(110)의 내부에는 튜브 가이드 벽체(154)가 마련된다. 튜브 가이드 벽체(154)는 바디(110)의 내부에 마련되되 전해수 호스(150)의 조립 시 그 위치가 가이드되게 전해수 호스(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pplying such an electrolytic water hose 150, a tube guide wall 154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to increase assembly efficiency. The tube guide wall 154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and serves to support the electrolytic water hose 150 so that its position is guided when the electrolytic water hose 150 is assembled.

도면에는 튜브 가이드 벽체(154)가 1개 적용되고 있지만, 위치에 따라 여러 개의 튜브 가이드 벽체(154)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그 형태는 곡선형 혹은 직선형일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one tube guide wall 154 is applied in the drawing, several tube guide walls 154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the shape may be curved or straight, all of which 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said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바디(110)에 적용되는 전해수 호스(15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착탈식 캡(160)을 포함한다. 착탈식 캡(160)은 바디(110)의 일측에서 바디(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에, 전해수 호스(150)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작업 시 착탈식 캡(160)을 열고 작업한 후, 다시 닫으면 된다. 물론, 나사 구조가 적용되어 착탈식 캡(160)이 임의로 열리지 않게끔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detachable cap 160 is included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electrolytic water hose 150 applied to the body 110. The detachable cap 16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10 at one side of the body 110 . Accordingly, when installing or maintaining the electrolytic water hose 150, the detachable cap 160 may be opened, worked, and then closed again. Of course, one solution may be to prevent the detachable cap 160 from being arbitrarily opened by applying a screw structure.

한편, 본 실시예의 기능성 전해수 수전(100)에는 전해수 토출을 위한 수단으로서 센서 생크(180, SENSOR SHANK) 및 컨트롤러(190)가 적용된다.Meanwhile, a sensor shank 180 and a controller 190 are applied to the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means for discharging electrolytic water.

센서 생크(180)는 바디(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근접 시 전해수의 토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181)가 내장되는 구조물이다. 센서 생크(180)는 바디(110)의 하부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sensor shank 180 is disposed below the body 110, and is a structure in which a sensor 181 for generating a signal for discharging electrolyzed water is embedded. The sensor shank 18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110 .

컨트롤러(180)는 센서 생크(180)의 센서(181)에 근접될 때,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전해수 공급유닛(1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90)는 중앙처리장치(191, CPU), 메모리(19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10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when the sensor shank 180 approaches the sensor 181 . The controller 190 performing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91 (CPU), a memory 19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9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91)는 본 실시예에서 센서 생크(180)의 센서(181)에 근접될 때,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전해수 공급유닛(1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10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when approaching the sensor 181 of the sensor shank 180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can be applied industrially for this purpose.

메모리(19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91)와 연결된다. 메모리(19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92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1. Memory 192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nd is readily available,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or any other form of digital storage. It may be at least one memory.

서포트 회로(19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9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93 (SUPPORT CIRCUIT) is combin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1 to support the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This support circuit 19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90)는 센서 생크(180)의 센서(181)에 근접될 때,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전해수 공급유닛(1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10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when approaching the sensor 181 of the sensor shank 180.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and the lik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92 . Typically software routines may be stored in memory 192 .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proce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software routines, it is possible that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running on a computer system, or in hardware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10)에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가 적용되는 간단한 구조로 인해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works based o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due to the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150 is applied to the body 110, it can be installed alone as well as grafted to an existing faucet. It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 is also easy to use, so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바디 영역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body region of FIG. 7 .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전해수 토출 유로부(150)가 전해수 호스(150)로 적용되고 바디(110) 내에 설치되는 형태를 취하였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바디(210) 그 자체가 황동 주물로 제작되는 황동 바디(210)로 적용된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150 is applied as the electrolytic water hose 150 and has a form installed in the body 110, bu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body 210 itself is made of brass casting. It is applied to the brass body 210 to be.

이럴 경우, 전해수 토출 유로부(250)는 황동 바디(210) 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공간(spac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황동 바디(210)를 제작할 때, 그 내부 공간의 일부가 전해수 토출 유로부(250)가 되게 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호스 등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250 may be formed by a space integrally formed in the brass body 210 . In other words, when manufacturing the brass body 210, a part of the internal space may be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250. In this cas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stall a hose can be eliminat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such as not only being able to be installed alone but also being grafted onto an existing faucet, and it is also easy to use, so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전해수 수전에 적용되는 전해수 탱크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11은 도 9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12는 전해수 탱크가 바디 내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and 10 are images of an electrolytic water tank applied to a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angles, FIG. 11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FIG. 9, and FIG. 12 is an electrolytic water tank inside a body.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installed structure.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탱크 구조물 형태의 전해수 탱크(350)로 전해수 토출 유로부(350)를 적용한 예이다.
즉,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350)는 바디(110) 내 마련되며, 바디(110)와 별개로 마련되는 전해수 공급유닛(10)과 전해수 토출라인부(140)를 연결해서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하는 수단으로서, 바디(110) 내에 착탈 가능한 전해수 탱크(35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t is an example in whic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350 is applied to the electrolytic water tank 350 in the form of a tank structure.
That is,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350 is provided in the body 110 and connects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10 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110 to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 As a means for discharging electrolytic water through 140, it is composed of a detachable electrolytic water tank 350 within the body 110.

전해수 탱크(350)는 바디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물론, 그러려면 바디의 구조가 도 2와는 약간 상이해야 할 것이다.The electrolyzed water tank 3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Of course, to do so, the structure of the body will have to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FIG. 2 .

이러한 전해수 탱크(350)의 일측은 전해수 공급유닛(10, 도 4 참조)과 연결되는 전해수 입구부(351)를 형성하고, 타측은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 도 4 참조)와 연결되는 전해수 출구부(35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수 탱크(350)는 일측 하부와 타측 상부에 전해수 입구부(351)와 전해수 출구부(352)가 각각 구비되고, 착탈식 캡(160)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전해수 탱크(350)를 바디(110) 내 삽입되면 상기 전해수 입구부(351)는 전해수 공급유닛(10)과 연결되는 호스가이드(152)에 결합하는 전해수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전해수 출구부(352)는 전해수 토출라인부(140)를 이루는 어댑터(144)가 연결되며, 상기 전해수 탱크(350)에 추가로 구비된 보조 출구부(353)는 상기 바디(110)에 착탈식 캡(160)을 끼워 결합할 시 폐쇄되어진다.
따라서 착탈식 캡(160)을 결합하면 보조 출구부(353)가 패쇄되므로, 상기 전전해수 공급유닛(10)으로부터 상기 전해수 입구부(351)를 통해 전해수 탱크(350)에 공급된 전해수는 보조 출구부(353)로 공급 또는 누수되지않고 상기 전해수 출구부(352)로만 공급되므로,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140)를 통해 토수된다.
한편, 상기 보조 출구부(353)는 전해수의 추가 공급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착탈식 캡(160)을 분리한 다음 또 다른 어댑터(미도시함)를 결합하여 제 2의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형성할 경우 전해수를 추가로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One side of the electrolytic water tank 350 forms an electrolytic water inlet 351 connected to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10 (see FIG. 4), and the other side forms an electrolytic water outlet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unit 140 (see FIG. 4). A portion 352 may be formed.
That is, the electrolyzed water tank 350 is provided with an electrolytic water inlet 351 and an electrolytic water outlet 352 at the lower part of one side and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the electrolytic water tank 35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cap 160 is separated. When inserted into the body 110, the electrolytic water inlet 351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hose coupled to the hose guide 152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10, and the electrolytic water outlet 352 is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The adapter 144 constituting 140 is connected, and the auxiliary outlet 353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electrolyzed water tank 350 is closed when the detachable cap 160 is inserted into the body 110 and coupled. .
Therefore, since the auxiliary outlet 353 is closed when the detachable cap 160 is coupled, the electrolyzed water supplied from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10 to the electrolyzed water tank 350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inlet 351 is supplied to the auxiliary outlet. Since the electrolyzed water is supplied only to the outlet part 352 without being supplied or leaked through 353, the water is jetted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0.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outlet 353 is used for additional supply of electrolyzed wat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is provided by separating the detachable cap 160 and then coupling another adapter (not shown). When formed, electrolyzed water may be additionally suppli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독으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수전에 접목해서 시공할 수 있는 등 복잡한 시공 구조 없이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도 간편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easily applied without a complicated construction structure, such as not only being able to be installed alone but also being grafted onto an existing faucet, and it is also easy to use, so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전해수 공급유닛 100 : 기능성 전해수 수전
110 : 바디 120 : 수돗물 토출 라인부
130 : 레버 어셈블리 140 : 전해수 토출 라인부
141 : 코브라 호스 142 : 호스 캡
143 : 미스트 에어레이터 144 : 어댑터
150 : 전해수 토출 유로부 152 : 호스 가이드
154 : 호스 가이드 벽체 160 : 착탈식 캡
180 : 센서 생크 181 : 센서
190 : 컨트롤러
10: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100: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110: body 120: tap water discharge line
130: lever assembly 140: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141: cobra hose 142: hose cap
143: mist aerator 144: adapter
150: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152: Hose guide
154: hose guide wall 160: removable cap
180: sensor shank 181: sensor
190: controller

Claims (8)

수돗물과 전해수가 각기 다른 경로로 공급되게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돗물이 토출되는 수돗물 토출 라인부;
상기 바디에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수돗물 토출 라인부로 상기 수돗물이 토출되게 하거나 토출되는 수돗물이 토출정지되게 하는 레버 어셈블리;
상기 바디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해수가 토출되는 전해수 토출 라인부; 및
상기 바디 내에 마련되며, 상기 바디와 별개로 마련되는 전해수 공급유닛과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연결해서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하는 전해수 토출 유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돗물 토출 라인부, 레버 어셈블리, 전해수 토출 라인부, 전해수 토출 유로부는 모두 바디에 위치별로 탑재 또는 연결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의 설치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착탈식 캡이 결합되며,
상기 전해수 토출 유로부는 바디 내 마련되며, 바디와 별개로 마련되는 전해수 공급유닛과 전해수 토출라인부를 연결해서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하는 수단으로서 바디 내에 착탈 가능한 전해수 탱크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해수 탱크는 일측 하부와 타측 상부에 전해수 입구부와 전해수 출구부가 각각 구비되고, 착탈식 캡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전해수 탱크를 바디 내 삽입되면 상기 전해수 입구부는 전해수 공급유닛과 연결되는 호스가이드에 결합하는 전해수 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전해수 출구부는 전해수 토출라인부를 이루는 어댑터가 연결되며, 상기 전해수 탱크에 추가로 구비된 보조 출구부는 상기 바디에 착탈식 캡을 끼워 결합할 시 폐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
A body provided to supply tap water and electrolyzed water through different paths;
a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a lever assembly operably provided on the body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tap water into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unit or to stop the discharge of the discharged tap water;
an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uni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is discharged; and
An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ortion provided in the body and connecting an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ortion to discharge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ortion,
The tap water discharge line part, the lever assembly,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part, and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are all mounted or connected to the body by position,
A detachable cap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for 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unit,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passage part is provided in the body, and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electrolytic water supply unit and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body to discharge the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The electrolyzed water tank has an electrolyzed water inlet and an electrolyzed water outlet on one lower side and the other upper side, respectively, and when the electrolyzed water tank is inserted into the body with the detachable cap removed, the electrolyzed water inlet is coupled to a hose guide connected to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ic water outlet is connected to an adapter constituting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and the auxiliary outlet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electrolytic water tank is closed when a detachable cap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coupl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는,
코브라 호스(COBRA HOSE)
상기 코브라 호스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되 미스트 에어레이터(MIST AERATOR)가 연결되는 호스 캡; 및
상기 코브라 호스의 타측 단부와 상기 바디에 걸쳐 결합하는 어댑터(ADPATER)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lytic water discharge line part,
COBRA HOSE
A hose cap coupled to one end of the cobra hose and to which a mist aerator is connected; and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comprising an adapter (ADPATER) coupled across the other end of the cobra hose and th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해수 호스의 조립 시 그 위치가 가이드되게 상기 전해수 호스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스 가이드 벽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
According to claim 2,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ose guide wall is provided inside the body to support the electrolytic water hose so that the position thereof is guided when the electrolytic water hose is assembl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며, 근접 시 상기 전해수의 토출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내장되는 센서 생크(SENSOR SHANK); 및
상기 센서 생크의 센서에 근접될 때, 상기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상기 전해수 공급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shank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built-in sensor generating a signal for discharging the electrolyzed water when approaching; and
A functional electrolyzed water faucet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when approaching the sensor of the sensor sha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서포트 회로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센서 생크의 센서에 근접될 때 전해수 토출 라인부를 통해 전해수가 토출되게 전해수 공급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수단이고, 메모리는 컴퓨터의 기록매체로서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며, 서포트 회로는 중앙처리장치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전해수 수전.
According to claim 5,
The controller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supply unit so that the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discharge line when approaching the sensor of the sensor shank, A functional electrolytic water fauc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ory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s a recording medium of a computer, and the support circuit is combin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configured to support typical operations of the processor.
KR1020220021387A 2022-02-18 2022-02-18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KR102494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87A KR102494964B1 (en) 2022-02-18 2022-02-18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387A KR102494964B1 (en) 2022-02-18 2022-02-18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964B1 true KR102494964B1 (en) 2023-02-06

Family

ID=8522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387A KR102494964B1 (en) 2022-02-18 2022-02-18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964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4Y2 (en) * 1990-03-23 1996-01-24 東陶機器株式会社 Thermostat cartridge structure
KR200254654Y1 (en) 2001-08-10 2001-12-01 주식회사 제일 be supplied with electrolyte in bidet
KR200283719Y1 (en) 2002-05-11 2002-07-27 주식회사 이온 A separating type water ionizer
JP2004003275A (en) * 2002-04-26 2004-01-08 Inax Corp Fitting structure of water faucet discharge part
JP2006272182A (en) * 2005-03-29 2006-10-12 Mrc Home Products Kk Ion water generator
KR20100084344A (en) * 2009-01-16 2010-07-26 박상길 Intake cock mounted sterilizing electrode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00097260A (en) * 2009-02-26 2010-09-03 주식회사 다다 Faucet
KR100990497B1 (en) 2007-03-20 2010-11-01 류기석 The Water Treatment System for a Sterilization and a Purification
JP2017159264A (en) *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JP3215520U (en) * 2017-08-16 2018-03-29 リン ミン シュアンMing−Shuan Lin Faucet water pipe structure
KR20200102800A (en) * 2019-02-22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dispen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04Y2 (en) * 1990-03-23 1996-01-24 東陶機器株式会社 Thermostat cartridge structure
KR200254654Y1 (en) 2001-08-10 2001-12-01 주식회사 제일 be supplied with electrolyte in bidet
JP2004003275A (en) * 2002-04-26 2004-01-08 Inax Corp Fitting structure of water faucet discharge part
KR200283719Y1 (en) 2002-05-11 2002-07-27 주식회사 이온 A separating type water ionizer
JP2006272182A (en) * 2005-03-29 2006-10-12 Mrc Home Products Kk Ion water generator
KR100990497B1 (en) 2007-03-20 2010-11-01 류기석 The Water Treatment System for a Sterilization and a Purification
KR20100084344A (en) * 2009-01-16 2010-07-26 박상길 Intake cock mounted sterilizing electrode and a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20100097260A (en) * 2009-02-26 2010-09-03 주식회사 다다 Faucet
JP2017159264A (en) *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JP3215520U (en) * 2017-08-16 2018-03-29 リン ミン シュアンMing−Shuan Lin Faucet water pipe structure
KR20200102800A (en) * 2019-02-22 2020-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dispen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9706B (en) Sanitary cleaning device
CN107923169B (en) Water sterilizing device and method for toilet
US10273668B2 (en) Automatic water faucet device
KR102494964B1 (en) Faucet with whic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cntion
JP2016174754A (en)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 device for bath room washing place
KR20170130154A (en) Toilet with pump having electrolysis function
US20170328047A1 (en) Water faucet device
JP2010201081A (en) Washing device and deodorizing method for washing water
KR102585707B1 (en) Bath cleaning apparatus with electrolyzed water supply function
JP6471562B2 (en) Disinfecting water spouting device for bathroom washroom
JP4556569B2 (en) Generator and water discharge control device
KR20070047191A (en) Ionic water bidet
KR102586571B1 (en) Water cleaning device that can supply electrolyzed water
EP3991863A1 (en) Cleaning device, cleaning system comprising same, and cleaning method using said cleaning device
JP6621100B2 (en) Cleaning device
JP2017127378A (en) Washstand
RU2517833C2 (en) Universal toilet tank and method of its operation
JP6596862B2 (en) Sanitized water generator
CN205421459U (en) Novel flushing closet
CN105484334B (en) Environmental protection sanitary water closet
KR200406593Y1 (en) Ionic water bidet
JP5812249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JP2008291452A (en) Functional water producing system
KR20110093490A (en) Sitz bath
KR102511960B1 (en) Washing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 the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