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702A - 에어 쿠션신발 - Google Patents

에어 쿠션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702A
KR20100096702A KR1020090015722A KR20090015722A KR20100096702A KR 20100096702 A KR20100096702 A KR 20100096702A KR 1020090015722 A KR1020090015722 A KR 1020090015722A KR 20090015722 A KR20090015722 A KR 20090015722A KR 20100096702 A KR20100096702 A KR 2010009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cushion
shoe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543B1 (ko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박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규 filed Critical 박진규
Priority to KR102009001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5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공기가 부풀려지도록 하여 보행시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 시킬 수 있는 에어 쿠션신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제1 수용공간부 및 제2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신발밑창, 상기 신발밑창의 상부에 배치되는 깔창, 상기 신발밑창의 외형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 신발의 앞꿈치와 뒷꿈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신발밑창과 깔창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장치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를 임시 수용하는 제2 튜브를 구비한 쿠션본체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충전된 공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시 발에 대한 충격을 1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사용자는 제1 튜브 내에서 설치된 쿠션부재에 의해 1차적인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후에는 상기 쿠션부재가 압축되는 과정에 의해 제2 튜브가 부풀려짐에 따라 2차적인 쿠션력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크게 완화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에어 쿠션신발, 쿠션장치, 쿠션본체, 제1 수용공간부, 제2 수용공간부

Description

에어 쿠션신발{Air Cushion Footwear}
본 발명은 에어 쿠션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발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공기가 부풀려지도록 하여 보행시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용이하게 완화 시킬 수 있는 에어 쿠션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쿠션신발은 보행 또는 구보시 신발이 지면과 접촉할 때마다 착용자의 발바닥으로부터 발목, 무릎까지 전달되는 충격력을 최소한으로 완화시킴으로써, 착용자에 대한 피로 및 부상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에어 쿠션신발은 운동화, 런닝용 운동화, 농구화, 축구화, 테니스화, 골프화, 등산화, 산업용 안전화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에어 쿠션신발에는 충격력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쿠션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쿠션장치는 신발밑창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를 이용한 에어 쿠션장치와 탄성력을 이용한 스프링 쿠션장치 등이 있다.
먼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 쿠션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에서 흡입된 공기를 일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체크밸브를 통과한 공기를 충전시키는 쿠션본체와, 상기 쿠션본체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관으로 구성된다.
즉, 보행과정 시 상기 에어펌프가 반복적으로 압축, 복원되며 펌핑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완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 쿠션장치는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쿠션본체가 눌려질때마다, 상기 쿠션본체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감에 따라 완충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쿠션장치는 신발밑창 내에 단순히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을 개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 쿠션신발의 착용시간이 장시간 지나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압축,복귀 작용에 의해 내구성이 약화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시 쿠션본체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타측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완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 쿠션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쿠션시트는 내부에 제1 수용공간부 및 제2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신발밑창, 상기 신발밑창의 상부에 배치되는 깔창, 상기 신발밑창의 외형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 신발의 앞꿈치와 뒷꿈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신발밑창과 깔창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장치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를 임시 수용하는 제2 튜브를 구비한 쿠션본체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충전된 공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시 발에 대한 충격을 1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튜브와 제2 튜브의 크기는 서로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쿠션본체의 제1 튜브는 신발밑창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튜브 는 신발밑창의 제1 수용공간부 및 제2 수용공간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튜브 및 제2 튜브를 형성한 쿠션본체와, 상기 제1 튜브 내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튜브 내에서 설치된 쿠션부재에 의해 1차적인 쿠션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후에는 상기 쿠션부재가 압축되는 과정에 의해 제2 튜브가 부풀려짐에 따라 2차적인 쿠션력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착용자의 발이 지면과 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크게 완화시켜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쿠션신발(1000)은 신발밑창(100)과, 상기 신발밑창(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깔창(200)과, 상기 신발밑창(100)의 외형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300)와, 상기 신발밑창(100)과 깔창(200) 사이에 설치되는 쿠션장치(400)로 구성된다.
먼저, 신발밑창(100)의 길이방향 일측(발의 뒷꿈치)과 타측(발의 앞꿈치)에는 후술할 쿠션장치(40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부(110a)와 제2 수용공 간부(110b)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부(110a,110b)는 상기 쿠션장치(400)의 팽창부피를 수용하도록 소정의 깊이와 넓이를 갖는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부(110a,110b)는 후술할 쿠션장치(400) 내의 팽창되어 충진된 공기가 소정 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용공간부(110a,110b)를 형성한 신발밑창(100)의 상면에는 쿠션장치(400)의 일부분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력적인 개폐부(120a,120b)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깔창(200)과 갑피(300)는 통상적인 구조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쿠션장치(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쿠션장치(400)는 신발밑창(100)의 제1 및 제2 수용공간부(110a,110b)에 설치되는 것이지만, 설명은 제1 수용공간부(110a)에 설치된 것에만 적용시킴을 미리 알려둔다.
상기 쿠션장치(400)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제1 튜브(411) 및 상기 제1 튜브(411)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를 임시 수용하는 제2 튜브(412)를 구비한 쿠션본체(410)와, 상기 제1 튜브(411) 내의 충진된 공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시 발에 대한 충격을 1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쿠션부 재(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장치(400)는 전술한 신발밑창(100)과 깔창(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쿠션본체(410)의 제1 튜브(411)는 신발밑창(100)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튜브(412)는 신발밑창(100)의 제1 수용공간부(110a)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쿠션본체(410)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폐력이 좋고 플렉시블 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비닐 등의 합성수지제를 택일하여 고주파 융착방법으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1 튜브(411)와 제2 튜브(412)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 그 형태가 납작한 형상이나, 상기 제1 튜브(411) 내부에는 쿠션부재(420)가 내삽된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튜브(411)의 외측면에는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공기주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주입구멍의 내경 둘레에는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튜브(411) 내에 주입되는 기체의 양은 상기 제1 튜브(411)를 가압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튜브(411) 및 쿠션부재(420)가 완전히 압축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양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튜브(411)와 제2 튜브(412)의 크기는 서로다른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2 튜브(412)는 제1 튜브(411) 보다 짧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하중을 제1 튜브(411)에서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튜 브(411) 내에 충진된 공기가 제2 튜브(41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튜브(412)가 빠르게 부풀려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쿠션부재(420)는 상기 제1 튜브(411) 내의 공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보행중인 착용자의 발 압력에 반복적으로 압축 및 복원력 작용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스펀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쿠션신발(10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에어 쿠션신발(10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시작하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자의 발 뒤꿈치 부분이 쿠션본체(400)의 제1 튜브(41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튜브(411) 내에 내삽된 쿠션부재(420)가 서서히 압축됨에 따라 제1 튜브(411) 내에 충진되어 있는 공기가 하중 압력에 의해 제2 튜브(412)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튜브(412)를 팽창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튜브(411) 내에 설치된 쿠션부재(420)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후에는 상기 쿠션부재(420)가 압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튜브(412)가 부풀려짐에 따라 2차적인 완충효과를 제공받게 된다.
즉, 상기 쿠션본체(410) 내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음으로써, 발이 지면과 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피로감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앞꿈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뒷꿈치의 제1 튜브(411)에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쿠션부재(42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에 의해 제1 튜브(411)를 확장시키게 된다. 이 확장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튜브(412) 내에 머물러 있던 공기는 다시 제1 튜브(411)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무게 중심이 앞꿈치로 이동한 경우, 앞꿈치에도 전술한 쿠션장치(400)가 있으므로 뒷꿈치와 동일한 작용을 통해 동일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쿠션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발밑창 110a : 제1 수용공간부
110b :제2 수용공간부
200 : 깔창 300 : 갑피
400 : 쿠션장치 410 : 쿠션본체
411 : 제1 튜브 412 : 제2 튜브
420 : 쿠션부재

Claims (3)

  1. 내부에 제1 수용공간부 및 제2 수용공간부를 형성한 신발밑창,
    상기 신발밑창의 상부에 배치되는 깔창,
    상기 신발밑창의 외형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
    신발의 앞꿈치와 뒷꿈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신발밑창과 깔창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장치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제1 튜브 및 상기 제1 튜브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그 내부의 공기를 임시 수용하는 제2 튜브를 구비한 쿠션본체와, 상기 제1 튜브 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충전된 공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시 발에 대한 충격을 1차적으로 완화시켜주는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본체의 제1 튜브는 신발밑창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2 튜브는 신발밑창의 제1 수용공간부 및 제2 수용공간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와 제2 튜브의 크기는 서로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쿠션신발.
KR1020090015722A 2009-02-25 2009-02-25 에어 쿠션신발 KR10112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22A KR101122543B1 (ko) 2009-02-25 2009-02-25 에어 쿠션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22A KR101122543B1 (ko) 2009-02-25 2009-02-25 에어 쿠션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02A true KR20100096702A (ko) 2010-09-02
KR101122543B1 KR101122543B1 (ko) 2012-06-28

Family

ID=4300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722A KR101122543B1 (ko) 2009-02-25 2009-02-25 에어 쿠션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5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5945C2 (sv) 1992-03-23 2001-10-29 Sporttrauma Ab Skosula
US5673498A (en) * 1995-02-27 1997-10-07 Amir; Avni Shock absorbing system for human feet
US6796056B2 (en) * 2002-05-09 2004-09-28 Nike, Inc. Footwear sole component with a single sealed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543B1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750B2 (en) Inflatable shock-absorbing sole structure
US11272755B2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7353625B2 (en) Resilient cushioning device for the heel portion of a sole
KR20150124989A (ko) 2개의 재료로 중간창을 형성하는 방법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1591036B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KR101122543B1 (ko) 에어 쿠션신발
KR100463570B1 (ko) 충격흡수용 신발의 구조
US20220225731A1 (en) Footwear midsole comprising a support and one or more internal bladders
KR20130130270A (ko) 쿠션부재가 구성된 신발 밑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12015Y1 (ko) 기능성 신발밑창
KR100464521B1 (ko)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용 완충장치
KR200431288Y1 (ko) 신발용 쿠션 및 통풍장치
KR200183118Y1 (ko) 신발의 완충 및 환기장치
KR100945743B1 (ko) 통합형 공기 주입수단이 장착된 신발
KR200265404Y1 (ko) 에어백이 구비된 운동화
KR101086472B1 (ko) 보행시 가압에 의해 아치를 보정하는 기능성 인솔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101469554B1 (ko) 쿠션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밑창
KR20090111748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200462266Y1 (ko) 충격흡수신발
KR200210639Y1 (ko) 신발의 공기 흡입장치
KR20060069980A (ko)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용 완충장치
KR200414220Y1 (ko) 좌우대칭형 샌들
KR20110038384A (ko) 골밀도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신발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