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298A - 모터 회전자 - Google Patents

모터 회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298A
KR20100096298A KR1020090015103A KR20090015103A KR20100096298A KR 20100096298 A KR20100096298 A KR 20100096298A KR 1020090015103 A KR1020090015103 A KR 1020090015103A KR 20090015103 A KR20090015103 A KR 20090015103A KR 20100096298 A KR20100096298 A KR 20100096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or
core layer
core
protrusions
regular poly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손병욱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6298A/ko
Publication of KR2010009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02K1/276Magnets embedded in the magnetic core, e.g. interior permanent magnets [I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회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정다각형의 모양을 동일하게 가지며 축방향으로 적층 형성되는 복수개의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내측의 다수 개소에 형성되는 마그네트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마그네트 삽입공은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 간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되며, 각 코어층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극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돌극부는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 간에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코깅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모터 회전자에 비해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오차 및 마그네트의 부착불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BLDC 모터, 코깅토크(cogging torque), 돌극부, 마그네트(magnet)

Description

모터 회전자{MOTOR ROTOR}
본 발명은 모터 회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자 측에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마그네트 로터 타입의 모터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자석형 모터는 영구자석을 구비한 회전자(rotor)와 자성코어를 구비한 고정자(stator)를 포함하는 바, 이때 영구자석과 자성코어 간의 상호력으로 인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토크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코깅토크(cogging torque)"라 한다.
차량의 조향장치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완하여 주는 장치, 즉 MDPS(Motor Driven Power Steering)에도 상기와 같은 영구자석형 모터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구자석형 모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코깅토크를 발생시키고, 이는 조향장치의 체결기어를 통해 증폭되어 차량의 핸들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감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코깅토크가 작은 모터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코깅토크를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모터 회전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터 회전자에 있어서, 정다각형의 모양을 동일하게 가지며 축방향으로 적층 형성되는 복수개의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내측의 다수 개소에 형성되는 마그네트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마그네트 삽입공은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 간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되며, 각 코어층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극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돌극부는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 간에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 삽입공은 정육각형의 각 변을 따라 소정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극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해당 변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코어층의 돌극부 간에는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극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 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은 3개의 층 또는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코깅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모터 회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깅토크의 감소를 위한 종래의 모터 회전자에 비해 작업공수를 줄이고 제조오차 및 마그네트의 부착불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모터 회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회전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코어층(110, 120, 130)이 상하로 적층 형성되고, 각 코어층(110, 120, 130) 간 상하로 일치되게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마그네트 삽입공(112)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마그네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코어층(110)은 얇은 판상의 제1 코어판(도 5a의 110')이 다수개 적층된 것으로서, 정다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내측의 몸체부(111)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의 돌극부(113)를 갖는다.
또한, 제1 코어층(110)은 상기 정다각형의 내측에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각각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삽입공(112)을 갖는다.
제1 코어층(110)의 중앙부에는 모터의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축공(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극부(113, 113')는 도 1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1)의 정다각형의 각 변에 연장 형성되되 일측단이 해당 변의 일측단과 일치하도록 치우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극부(1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코어층(120) 및 제3 코어층(130)의 각 돌극부(123, 133)와는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갖게 된다.
제2 코어층(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코어층(110)과 일치하는 정다각형의 몸체부(도 5b의 121' 참조)를 가지며,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의 돌극부(123)를 갖는다.
또한, 제2 코어층(120)은 상기 제1 코어층(1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정다각형의 내측에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각각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삽입공(도 5b의 122' 참조)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코어층(110)의 마그네트 삽입공(112)과 제2 코어층(120)의 마그네트 삽입공(122' 참조)은 서로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된다.
제2 코어층(120)의 중앙부에는 모터의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축공(도 5b의 124'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극부(123, 123')는 도 1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21' 참조)의 정다각형의 각 변에 연장 형성되되 해당 변의 정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돌극부(123)는 상기한 제1 코어층(110)의 돌극부(113)와 모양은 갖으나 그 형성되는 위치면에서는 상기 제1 코어층(110)의 돌극부(113)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해당 변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코 어층(110)의 돌극부(113)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돌극부(123)는 후술하는 제3 코어층(130)의 돌극부(133)와도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갖게 된다.
제2 코어층(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코어층(110) 및 제2 코어층(120)과 일치하는 정다각형의 몸체부(도 5c의 131' 참조)를 가지며,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의 돌극부(133)를 갖는다.
또한, 제3 코어층(130)은 상기 제1 코어층(110) 및 제2 코어층(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정다각형의 내측에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각각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삽입공(도 5c의 132' 참조)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3 코어층(130)의 마그네트 삽입공(132' 참조)은 상기 제1 코어층(110)의 마그네트 삽입공(112) 및 상기 제2 코어층(120)의 마그네트 삽입공(122' 참조)과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된다.
제3 코어층(130)의 중앙부에는 모터의 회전축을 수용하기 위한 축공(도 5c의 134' 참조)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극부(133, 133')는 도 1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31' 참조)의 정다각형의 각 변에 연장 형성되되 그 일측단이 해당 변의 일측단과 일치하도록 치우치게 형성된다. 이때, 돌극부(133')는 상기한 제1 코어층(110)의 돌극부(도 1의 113 및 도 5a의 113' 참조)와는 상기 정다각형의 해당 변 상에서 서로 반대되는 일측단에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과 같이 형성된 각 코어층(110, 120, 130)의 돌극부(113, 123, 133)는 서로 모양은 갖으나 그 형성되는 위치면에서는 상기 정다각형의 해당 변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여 형성됨으로써 서로간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돌극부들(113, 123, 133)은 상기 정다각형의 해당 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순차로 이동하여 형성 및 분포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돌극부들(113, 123, 133)의 배치상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서, 돌극부들(113, 123, 133)은 정다각형 몸체부(111)의 해당 변을 따라 순차 이동하여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와 같은 배치상태로 인해 돌극부들(113, 123, 133)은 상하로 서로 수평 방향으로 순차 이동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마그네트 삽입공(112, 122, 132)은 코어층(110, 120, 130) 간 서로 일치되게 상하로 관통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들 공통되게 형성된 마그네트 삽입공(112, 122, 132)에는 하나의 막대 형상의 마그네트(140)가 공통적으로 삽입되어 코어층(110, 120, 130) 간을 관통하여 각각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마그네트(140)는 하나씩 코어층(110, 120, 130) 간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모터 회전자(100)에 의하면, 마그네트(14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각 코어층(110, 120, 130)의 돌극부(113, 123, 133)를 통 해 외측 둘레의 고정자(도면 미도시) 측으로 분산 유도되므로, 이들 자기장이 회전자의 특정 위치에서만 유도됨으로 인해 나타나는 코깅토크의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회전자(100)의 장점을 비교 설명하기 위하여 종래의 모터 회전자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모터 회전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서로 분리된 3개의 회전자 코어(12, 22, 32)의 각 표면에 마그네트(11, 21, 31)를 부착한 뒤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각 회전자 코어(12, 22, 32)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하 부착하는 방식에 의한다.
이에 반해,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회전자(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 코어층(110, 120, 130)의 적층 구조는 마그네트(140)의 삽입만으로 쉽게 달성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과 달리 코어층 간 회전 각도의 오차 발생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6의 모터 회전자에서는, 마그네트를 상하 3단으로 분할 및 분리하여 각각 부착함으로써 이 또한 작업공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을 뿐 아니라 마그네트의 부착 불량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회전자(100)에 의하면 단일의 마그네트(140)를 서로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된 마그네트 삽입공(112, 122, 132)에 축방향과 평행 하게 삽입 부착하면 되므로 작업공수 및 부착 불량의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회전자(100)에서 코어층은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어층은 2개이거나 필요하다면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c에서와 본 바와 같이, 각 코어층(110, 120, 130)의 몸체부 (111 참조) 형상은 정육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몸체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제외한 다른 정다각형일 수도 있다.
상기한 모터 회전자(100)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회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터 회전자의 투명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모터 회전자의 적층된 코어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모터 회전자의 정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모터 회전자의 각 코어층을 구성하는 단위 코어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모터 회전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터 회전자 110: 제1 코어층
111: 몸체부 112: 마그네트 삽입공
113, 123, 133: 돌극부 114: 축공
120: 제2 코어층 130: 제3 코어층

Claims (7)

  1. 모터 회전자에 있어서,
    정다각형의 모양을 동일하게 가지며 축방향으로 적층 형성되는 복수개의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내측의 다수 개소에 형성되는 마그네트 삽입공을 가지고, 상기 마그네트 삽입공은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 간 상하로 일치되게 형성되며,
    각 코어층은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마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극부가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돌극부는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 간에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삽입공은 정육각형의 각 변을 따라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극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해당 변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어층의 돌극부 간에는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극부는 상기 정다각형의 각 변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은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코어층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자.
KR1020090015103A 2009-02-24 2009-02-24 모터 회전자 KR20100096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103A KR20100096298A (ko) 2009-02-24 2009-02-24 모터 회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103A KR20100096298A (ko) 2009-02-24 2009-02-24 모터 회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298A true KR20100096298A (ko) 2010-09-02

Family

ID=4300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103A KR20100096298A (ko) 2009-02-24 2009-02-24 모터 회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62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2271A1 (de) * 2015-11-11 2017-05-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Rotor sowie elektrische Maschine
CN109962589A (zh) * 2017-12-26 2019-07-02 宁波菲仕电机技术有限公司 永磁电机转子结构的轴向分段偏转组装方法
KR20200031323A (ko) * 2018-09-14 2020-03-24 한국자동차연구원 매입형 영구자석 모터의 로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2271A1 (de) * 2015-11-11 2017-05-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Rotor sowie elektrische Maschine
CN109962589A (zh) * 2017-12-26 2019-07-02 宁波菲仕电机技术有限公司 永磁电机转子结构的轴向分段偏转组装方法
KR20200031323A (ko) * 2018-09-14 2020-03-24 한국자동차연구원 매입형 영구자석 모터의 로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47299A1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machine with pole-to-pole asymmetry of rotor slot placement
US20140252903A1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machine having a mixed rare earth magnet and ferrite magnet rotor
JP5309630B2 (ja) 永久磁石埋込形電動機
US8760025B2 (en) Interior permanent magnet machine having off axis centered arc geometry
US8937417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an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JP5971114B2 (ja) 永久磁石埋設型回転電機
KR20060131283A (ko) 플럭스배리어 타입 동기 릴럭턴스 모터의 로터
JP2008187804A (ja) 回転子およびこの回転子を備えた回転電機
US20140091663A1 (en) Permanent-magnet typ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20140210296A1 (en) Rotor for permanent magnet type motor, method of manufacturing rotor for permanent magnet type motor, and permanent magnet type motor
US9024498B2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6894294B2 (ja) 回転子鋼板、回転子及び回転電機
US20140191609A1 (en) Motor
US20160094097A1 (en) Rotor
TWI583104B (zh) 永久磁鐵埋設型馬達及其轉子
JP2012023900A (ja) 永久磁石形回転機の回転子
JP2012235652A (ja) 回転子および回転電機
KR20100096298A (ko) 모터 회전자
US9559554B2 (en) Split rotor stack gap with a corner air barrier
KR101313447B1 (ko) 스테이터 코어
KR20170085308A (ko) 로터 플레이트. 로터코어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05117844A (ja) モータ用ステータコア、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モータ用コア及びモータ用コアのティース構造
KR20180000824A (ko) 영구자석 전동기
WO2018123839A1 (ja) ロータ及びモータ
JP2006129616A (ja) 回転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