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705A - 자벌레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자벌레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705A
KR20100095705A KR1020090014650A KR20090014650A KR20100095705A KR 20100095705 A KR20100095705 A KR 20100095705A KR 1020090014650 A KR1020090014650 A KR 1020090014650A KR 20090014650 A KR20090014650 A KR 20090014650A KR 20100095705 A KR20100095705 A KR 2010009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support
abdomen
bas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진
오주홍
Original Assignee
오주홍
오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홍, 오봉진 filed Critical 오주홍
Priority to KR102009001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705A/ko
Publication of KR2010009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엎드려서, 자벌레가 앞으로 나아가듯 그렇게 전진(수영에서의 접영운동과 유사)함으로써 그동안 잘 사용하지 아니한 골반등 신체부위의 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가가 고안한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과 [이동식 운동기구]를 결합한 것이다.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의 이동식 운동기구란 사용자가 이 운동기구에 엎드린 자세에서 자벌레(looper)가 움직이듯이
<1단계> 발목을 바닥과 직각으로 세워 바닥을 밀면서 무릎을 앞쪽(복부방향)으로 당기면 엉덩이가 들려 올려지면서 흉부하단은 약간 들려 올려지며 흉부상단은 바닥에 더욱 밀착되게 되는 단계(그리스 "오메가"문자 모양의 Ω[omega]단계)
<2단계> 약간 들려 올려진 흉부하단을 앞쪽(흉부상단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체를 들어 올리고 엉덩이를 내리면서 오므렸던 무릎을 펴며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일본 KATAKANA의 "노"문자 모양의 ノ[no]단계)
<3단계> 들려올린 상체를 내려 몸 전체를 평평하게 하면서 양팔을 다시 머리 위에 원위치하는 단계(한국의 "으" 모음문자 모양의 ㅡ[eu]단계)
를 거쳐 앞으로 전진하도록 한 것으로
가슴에서부터 아랫배까지 받쳐주는 흉부받침대 및 복부받침대와;
흉부받침대의 하부베이스의 중간부분에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 중 Ω단 계 자세시 흉부상단이 기울어지면서 바닥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시소의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역삼각형 등 형태의 받침돌기와;
흉부받침대의 상부쿠션패드에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 중 Ω단계에서 ノ단계로 전환시 흉부가 운동기구를 밀고 나아갈 수 있도록 미끄러지지 않고 힘을 받도록 한 형태의 걸림턱과;
복부받침대의 상부에 복부와의 마찰로 뱃살을 제거하도록 한 지압판과;
복부받침대 하부베이스의 밑부분에 구르도록 설치한 바퀴를 특징으로 한다.
자벌레(운동), 접영(운동), 골반(운동), 발목(운동), 상체들기, 뱃살제거, 받침돌기, 지압, 지압판, 청소겸용 운동기구

Description

자벌레운동기구{Looper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엎드려서, 자벌레가 앞으로 나아가듯 그렇게 전진(수영에서의 접영운동과 유사)함으로써 그동안 잘 사용하지 아니한 골반등 신체부위의 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가가 고안한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과 [이동식 운동기구]를 결합한 것이다.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의 이동식 운동기구란 사용자가 이 운동기구에 엎드린 자세에서 자벌레(looper)가 움직이듯이
<1단계> 발목을 바닥과 직각으로 세워 바닥을 밀면서 무릎을 앞쪽(복부방향)으로 당기면 엉덩이가 들려 올려지면서 흉부하단은 약간 들려 올려지며 흉부상단은 바닥에 더욱 밀착되게 되는 단계(그리스 "오메가"문자 모양의 Ω[omega]단계)
<2단계> 약간 들려 올려진 흉부하단을 앞쪽(흉부상단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체를 들어 올리고 엉덩이를 내리면서 오므렸던 무릎을 펴며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일본 KATAKANA의 "노"문자 모양의 ノ[no]단계)
<3단계> 들려올린 상체를 내려 몸 전체를 평평하게 하면서 양팔을 다시 머리 위에 원위치하는 단계(한국의 "으" 모음문자 모양의 ㅡ[eu]단계 )
※ 이상 도1 참조
를 거쳐 앞으로 전진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분야에 속하는 헬스기구는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하는 방식으로 제자리나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왕복, 선회운동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운동기구 자체도 무겁거나 복잡하며 휴대하기가 쉽지 않으며 값도 고가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동식 운동기구 분야에 있어서도 엎드린 자세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은 파도타기의 서핑보드일 뿐 육지에서 엎드린 자세에서 전진하도록 고안된 이동식 운동기구는 없었다.
설령 엎드린 자세에서 동작하도록 한 것이라도 제자리에서 작동되도록 한 것뿐이라서 흥미를 유발하고 승부욕을 고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자리에서 복부를 마찰하거나 마사지하는 운동기구는 이동하면서 복부를 마찰함으로써 뱃살을 제거하는 이동식 운동방식보다는 비효율적이라는 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10-2001-0025390(김훈선) 2002. 11. 10
[문헌2] 20-2002-0031369(석순자) 2003. 1. 14
[문헌3] 20-2003-0022816(박위식) 2003. 10. 17
[문헌4] 20-2005-0000576(함인엽) 2005. 6. 13
[문헌5] 20-2006-0019792(한각수) 2006. 10. 9
[문헌6] 20-2006-0025131(박제열) 2006. 12. 18
[문헌7] 20-2006-0024720(권정현) 2007. 2. 9
본 발명은 기존의 헬스기구나 육지에서의 이동식 운동기구가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할 뿐 엎드린 자세에서 할 수 있는 운동방식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해결하고, 발목운동, 골반운동, 상체들기 등 평소 잘 사용하지 않는 신체부위의 근육을 단련·촉진시킴으로써 발목 관절의 강화와 골반의 유연성을 기르며 척추와 늑골을 이완시켜 건강을 증진하며, 이동하면서 복부를 마찰하는 방법으로 뱃살을 제거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엎드린 자세에서 자벌레가 앞으로 나아가듯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을 적용하여 전진(수영에서의 접영운동과 유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운동기구에 있어서,
가슴에서부터 아랫배까지 받쳐주는 흉부받침대 및 복부받침대와;
흉부받침대의 하부베이스의 중간부분에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 중 Ω단계 자세시 흉부상단이 기울어지면서 바닥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시소의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역삼각형 등 형태의 받침돌기와;
흉부받침대의 상부쿠션패드에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 중 Ω단계에서 ノ 단계로 전환시 흉부가 운동기구를 밀고 나아갈 수 있도록 미끄러지지 않고 힘을 받도록 한 형태의 걸림턱과;
복부받침대의 상부에 복부와의 마찰로 뱃살을 제거하도록 한 지압판과;
복부받침대 하부베이스의 밑부분에 구르도록 설치한 바퀴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엎드린 자세에서 자벌레가 앞으로 나아가듯 전진(수영에서의 접영운동과 유사)할 수 있는 이동식 운동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엎드려서 앞으로 나아가는 운동기구가 없다는 점을 보완하고 평소 잘 사용하지 않는 신체부위의 근육을 단련 촉진시키며 「10m, 20m 등 기어가기」 시합을 통해 흥미와 경쟁심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벌레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가 고안한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이란 운동기구에 엎드린 상태에서
1단계(도1a) : 발목을 바닥과 직각으로 세워 바닥을 밀면서 무릎을 앞쪽(복부방향)으로 당기면 엉덩이가 들려 올려지고, 흉부하단은 약간 들려 올려지며 흉부상단은 바닥에 더욱 밀착되게 되는 단계(그리스 "오메가"문자 모양의 Ω[omega]단계)
2단계(도1b) : 약간 들려 올려진 흉부하단을 앞쪽(흉부상단 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체를 들어올리고 엉덩이를 내리면서 오므렸던 무릎을 펴며 앞으로 이동하게 되는 단계(일본 KATAKANA의 "노"문자 모양의 ノ[no]단계)
3단계(도1c) : 들려 올려진 상체를 내려 몸전체를 평평하게 하면서 양팔을 다시 머리 위에 원위치하는 단계(한국의 "으" 모음문자 모양의 ㅡ[eu]단계)
와 같이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도2는 자벌레운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길이는 가슴에서 아랫배까지, 폭은 앞가슴 넓이 정도가 적당하며, 운동기구 앞뒤 기울기는 앞부분은 높고 뒷부분은 낮게 하여 Ω단계의 자세시 전진을 용이하게 한다.
(10)은 흉부받침대, (11)은 복부받침대이며 (12)는 Ω단계의 운동시 흉부하단이 들려 올려지고 흉부상단이 바닥에 밀착되게 할 때 시소의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받침돌기이다.
받침돌기(12)는 운동기구의 너무 앞부분에 설치하면 Ω단계 자세시 기울어지다 말고, 너무 뒷부분에 설치하면 Ω단계에서 ノ단계로 자세 변환시 밀려 나아가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돌기(12)의 적당한 위치는 명치부위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받침돌기(12)의 높이는 너무 낮으면 Ω단계 자세시 흉부상단이 기울어질 때 내려가다 말게 되고, 너무 높으면 무릎을 복부 방향으로 당겼을 때 이동거리가 짧아 운동기구를 전진시키는데 지장을 받게 된다.
흉부받침대 하부베이스의 받침돌기의 위치는 4륜구동 차량 앞바퀴의 위치와 는 달리 Ω단계시 흉부하단이 들려 올려지고 흉부상단이 바닥에 밀착되게 기울어지도록(도1a 참조) 운동기구 앞부분에서 어느 정도 뒤쪽으로 들여서 위치시킨다(대략 명치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면 Ω단계에서 ノ단계로 전환하면서 흉부하단으로 운동기구를 밀고 나갈 때 잘 밀려 나아가게 된다).
(13)은 상부쿠션패드로써 자벌레운동시 신체와의 접촉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한다.
이 상부쿠션패드(13)에는 Ω단계에서 ノ단계로 전환시 흉부가 운동기구를 밀고 나아갈 때 미끄러지지 않고 힘을 받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야 한다.
(15)는 자벌레 3단계 운동시 복부와의 마찰로 뱃살을 제거해 줄 수 있도록 한 지압판이다.
(16)은 뒷바퀴이며 (17)은 손잡이이다.
(18)은 사용자의 신체(가슴에서 아랫배까지의 길이) 조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흉부받침대와 복부받침대를 나사형태 등으로 연결한 연결대이다.
※ 도2a는 가슴에서 아랫배까지의 길이가 긴 사용자가 흉부받침대(10)와 복부받침대(11)를 연결하는 나사형태의 연결대(18)를 돌려 길이를 늘렸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사시도의 측면도및 평면도로써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뒷바퀴(16)가 설치된 부분을 낮추고 받침돌기(12) 있는 부분을 약간 높이며 상부쿠션패드(13)부분에 걸림턱(14)을 설치하여 Ω단계에서 ノ단계로 자세 변환시 흉부에 의해 운동기구가 앞으로 수월하게 나아가게 힘을 받도록 한다.
도4는 도2의 사시도의 저면도로써 운동기구 앞부분에는 받침돌기(12), 뒷부분에는 2개의 뒷바퀴(16)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주고 있다.
12a와 12b는 도6에서 예시한 여러형태의 받침돌기를 끼우거나 해체사용(탈착이 가능)할 수 있는 관통공으로, 스프링이 내장된 받침돌기의 끼움봉(12e)을 이곳에 끼워 사용하도록 한 것인 바 가이드홈 12c와 12d는 여러형태의 받침돌기를 이 가이드홈으로 유도하여 끼우기 쉽도록 한 것이다.
삼각형태의 받침돌기를 가이드홈 12c로 유도하여 관통공 12a에 끼워 사용할 때에는 받침돌기지지대(19)의 높낮이와 동일하게 되나 가이드홈 12d로 유도하여 관통공 12b에 끼워 사용할 때에는 받침돌기지지대(19)와 흉부받침대(10)의 하부베이스 사이에 공간이 생겨 도7과 같이 찍찍이(velcro)가 달린 초극세사 걸레 등을 이 삼각형태의 받침돌기에 말아서 청소겸용 운동기구로써 활용가능하게 된다.
도5는 복부받침대 상부면의 지압판(15)의 상세도로, 15a는 지압판의 지압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쐐기형, 구슬형, 주판형(철사에 구슬을 꿴 것)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15b는 지압판(15) 하부면의 고정봉을 도시한 것으로 복부받침대의 하부베이스의 끼움홈(15c)에 끼워 결합 사용하면 여러형태의 지압돌기 지압판을 자유스럽게 교체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6은 받침돌기지지대(19)에 자유스럽게 교체 탈착 사용할 수 있는 여러형태의 받침돌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7에 있어서 (20)은 초극미세사 걸레를, (21)은 걸레에 부착시킨 찍찍이(velcro)을 나타낸 것으로써 찍찍이(velcro)가 설치된 초극미세사 걸레 등을 앞서 기술한 방법대로 받침돌기(12)에 말아서 부착하게 되면 바닥청소까지도 가능한 청소겸용 운동기구가 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자벌레운동기구의 소재로 플라스틱이나 목재 또는 경량 비철금속 등을 사용하면 운동기구 중량별 등급에 따른 시합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 내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에서 설명한 자벌레운동기구의 구성과 작동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자벌레운동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릎보호대, 팔꿈치보호대 및 팔꿈치까지 올라오는 장갑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자벌레운동기구 흉부받침대와 복부받침대를 연결하는 나사형 등 연결대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운동기구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운동기구에 엎드린 자세로 바닥과 발목을 90°각도로 세워 < Ω[omega]단계 → ノ[no]단계 → ㅡ[eu]단계>의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으로 운동기구를 전진시키게 된다.
또한 본 자벌레운동기구를 이용한 시합 즉 「10m 기어가기」, 「20m 기어가기」등의 경주를 통한 흥미와 승부욕의 고취도 가능하다.
운동기구 중량에 따른 등급별 경주도 가능하고, 본 자벌레운동기구의 형태별 경주도 가능하게 된다.
특히 아령을 양손에 쥐고 자벌레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경주할 수 있도록 하는 「아령운동+자벌레운동기구」의 결합도 가능하다.
그리고 실내에서 운동시는 초극미세사 걸레 등을 부착하여 청소겸용 운동기구로 사용함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벌레운동기구에 적용하기 위한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의 예시도
도 1a는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중 1단계인 Ω단계(그리스 "오메가"문자 모양의 Ω[omega]단계)의 자세 예시도
도 1b는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중 2단계인 ノ단계(일본 KATAKANA의 "노"문자 모양의 ノ[no]단계)의 자세 예시도
도 1c는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중 3단계인 ㅡ단계(한국의 "으" 모음문자 모양의 ㅡ[eu]단계)의 자세 예시도
도2는 자벌레운동기구의 구성 및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a는 본 자벌레운동기구의 흉부받침대와 복부받침대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나사형태의 연결대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3은 자벌레운동기구의 측면도및 평면도
도4는 자벌레운동기구의 저면도와 받침돌기를 받침돌기지지대에 자유스럽게 탈착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5는 지압돌기를 여러형태로 형성할 때 지압판 고정봉을 사용하여 복부받침대 하부베이스의 끼움홈에 교체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받침돌기지지대에 탈.부착 사용할 수 있는 여러형태의 받침돌기를 나타낸 일예시도
도7은 받침돌기에 초극미세사 걸레 등 부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Claims (5)

  1. 엎드린 자세에서 자벌레가 앞으로 나아가듯 아래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을 적용하여 전진(수영에서의 접영운동과 유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운동기구에 있어서,
    가슴에서부터 아랫배까지 받쳐주는 흉부받침대 및 복부받침대와;
    흉부받침대의 하부베이스의 중간부분에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 중 Ω단계 자세시 흉부상단이 기울어지면서 바닥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시소의 받침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역삼각형 등 형태의 받침돌기와;
    흉부받침대의 상부쿠션패드에 상기 자벌레 3단계 운동방식 중 Ω단계에서 ノ단계로 전환시 흉부가 운동기구를 밀고 나아갈 수 있도록 미끄러지지 않고 힘을 받도록 한 형태의 걸림턱과;
    복부받침대의 상부에 복부와의 마찰로 뱃살을 제거하도록 한 지압판과;
    복부받침대 하부베이스의 밑부분에 구르도록 설치한 바퀴를 특징으로 하는 자벌레운동기구.
    <1단계> 발목을 바닥과 직각으로 세워 바닥을 밀면서 무릎을 앞쪽(복부방향)으로 당기면 엉덩이가 들려 올려지면서 흉부하단은 약간 들려 올려지며 흉부상단은 바닥에 더욱 밀착되게 되는 단계(그리스 "오메가"문자 모양의 Ω[omega]단계)
    <2단계> 약간 들려 올려진 흉부하단을 앞쪽(흉부상단방향)으로 밀어 올리면서 상체를 들어 올리고 엉덩이를 내리면서 오므렸던 무릎을 펴며 앞으로 이동하 게 되는 단계(일본 KATAKANA의 "노"문자 모양의 ノ[no]단계)
    <3단계> 들려올린 상체를 내려 몸 전체를 평평하게 하면서 양팔을 다시 머리 위에 원위치하는 단계(한국의 "으" 모음문자 모양의 ㅡ[eu]단계 )
  2. 청구항1에 있어서,
    복부받침대의 상부에 복부와의 마찰로 뱃살을 제거하도록 한 지압판의 지압돌기를 구슬형, 쐐기형, 주판형(철사에 구슬을 꿴 것) 등 여러 형태로 형성하여 교체 탈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벌레운동기구.
  3. 청구항1에 있어서,
    흉부받침대의 하부베이스의 받침돌기(역삼각형태)를 육각형, 팔각형, 원형, 로울러형, 타원형 등 여러 형태로 형성하여 받침대지지대와의 탈착이 자유스럽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벌레운동기구.
  4. 청구항1에 있어서,
    흉부받침대와 복부받침대를 나사형태 등의 연결대로 결합시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벌레운동기구.
  5. 청구항1에 있어서,
    흉부받침대의 하부베이스의 받침돌기에 초극미세사 걸레등을 자유스럽게 탈 착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벌레운동기구.
KR1020090014650A 2009-02-23 2009-02-23 자벌레운동기구 KR20100095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650A KR20100095705A (ko) 2009-02-23 2009-02-23 자벌레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650A KR20100095705A (ko) 2009-02-23 2009-02-23 자벌레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705A true KR20100095705A (ko) 2010-09-01

Family

ID=4300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650A KR20100095705A (ko) 2009-02-23 2009-02-23 자벌레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507B1 (ko) * 2011-09-16 2013-07-26 김영기 척추 운동 장치
CN109529265A (zh) * 2018-12-30 2019-03-29 聊城大学东昌学院 一种用于腹部锻炼的体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507B1 (ko) * 2011-09-16 2013-07-26 김영기 척추 운동 장치
CN109529265A (zh) * 2018-12-30 2019-03-29 聊城大学东昌学院 一种用于腹部锻炼的体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466B2 (ja) 腹臥位式爬行運動器具
US8790224B1 (en) Aquatic exercise system and method
CN103055472A (zh) 一种俯卧式爬行锻炼机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110812026A (zh) 一种临床医学用康复医疗床
KR20100095705A (ko) 자벌레운동기구
CN109758340B (zh) 一种下肢运动康复用仿人体运动康复装置
CA2485140C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CN202028115U (zh) 爬行锻炼机
KR20080004919U (ko)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CN205198843U (zh) 一种健身复健辅助装置
TWM549641U (zh) 健身器材
CN204233663U (zh) 一种室内健身器材
CN201906174U (zh) 健身锤
KR101556951B1 (ko) 스쿼팅 운동용 보드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CN204071290U (zh) 一种瑜伽健身椅
CN111773624A (zh) 便携式仰卧起坐辅助装置
CN207356482U (zh) 运动装置
CN203525238U (zh) 可调式仰卧起坐垫
KR100942618B1 (ko) 재활 운동기구
EP2493441A1 (en) Device for exercising in a lying-down position
TWI674128B (zh) 放置於水中之跑步機
JP3079589U (ja) 多機能型滑動健康器具
KR101838866B1 (ko) 상단지지대와, 하단지지대에 의한 네발걷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