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683A -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683A
KR20100095683A KR1020090014617A KR20090014617A KR20100095683A KR 20100095683 A KR20100095683 A KR 20100095683A KR 1020090014617 A KR1020090014617 A KR 1020090014617A KR 20090014617 A KR20090014617 A KR 20090014617A KR 20100095683 A KR20100095683 A KR 2010009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shock absorbing
shoe
outsole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석
Original Assignee
하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석 filed Critical 하동석
Priority to KR102009001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5683A/ko
Publication of KR2010009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bol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가 뛰거나 걸을 때 무릎이나 발목 관절 등에 전달되는 충격을 경감시켜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신발의 바닥에 충격흡수용 기구를 부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며 미드솔의 하면에 고정부착되는 상부고정판과 아웃솔에 상면에 고정부착되는 하부고정판 사이에 다수의 충격흡수용 와이어를 수직으로 연결하여 충격흡수용 와이어의 굽힘과 복원에 따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충격흡수용 기구, 상부고정판, 하부고정판, 와이어, 동작가이드

Description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Shoes attached Wire Shockabsorber}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가 뛰거나 걸을 때 무릎이나 발목 관절 등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충격으로 인한 관절손상과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신발의 바닥에 충격흡수용 기구를 형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충격은 무릎이나 발목 및 고관절과 척추까지 전달되어 피로하게 만들거나 심할 경우 손상을 입혀 정상적인 보행을 이루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사람이 뛸 때에는 자기 체중의 약 1.5배 ~ 2배 정도의 충격이 관절 등에 전달되어 관절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손상을 입을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신발의 밑창을 고무 등의 탄력성이 좋은 소재를 채용하여 관절 등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왔다.
근래에는 뛰거나 걸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조금이나마 더 줄이기 위해서 신발에 밑창에 공기주머니를 형성하거나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형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공기주머니와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는 비교적 고유진동수가 낮지만 감쇠(damping) 능력이 떨어져 사람이 걷거나 뛸 때 충격흡수가 아닌 빠른 반발력으로 다시 사람에게 전달하게 되어 일정수준의 보행능력을 도울 수는 있으나 높은충격 흡수율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코일스프링과 공기주머니 등과 같은 일반적인 탄성체의 충격흡수율은 30%이상을 넘기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더군다나 신발의 크기는 일정해도 사람의 무게차이가 크기 때문에 신발바닥의 일정한 공간내에서 충분한 충격흡수력을 가진 제품을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과 빠르게 걷거나 뛴 후에 순간적으로 멈추고자 할 때 코일스프링이나 공기주머니의 순간적인 반발력으로 인해서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탄성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 신발의 밑창에 코일형의 스프링이나 공기주머니를 높게 형성한 경우에는 지면이 평탄치 못한 경우 좌우로 비틀릴 수 있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충격흡수율이 매우 높아 걷거나 뛸 때 발생한 충격이 발목과 무릎, 고관절 및 척추 등에 최소로 전달되어 피로의 가중이나 손상의 우려가 없도록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충격흡수용 기구의 동작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신발의 좌우 비틀림을 방지한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체중이나 운동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충격흡수용 기구를 교체 부착하거나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에 따른 신발은 신발의 밑창에 충격흡수용 기구를 부착시켜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함으로서 반발력을 해소시켜 신체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에 따른 신발은 신발의 밑창에 부착된 충격흡수용 기구가 좌우로 비틀림없이 상하로 동작될 수 있도록 충격흡수용 기구 동작가이드를 더 형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신발에 밑창에 부착되는 충격흡수용 기구를 임의로 탈부착하기 위해 충격흡수용 기구와 신발에 탈부착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에 따르면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여 관절과 척추에 전달되는 충격에 따른 관절 손상 및 피로를 방지할 수 있고 발생된 충격에 의한 반발이 없어 뛰거나 걷다가 급작스럽게 멈추거나 방향을 바꾸는 등의 행동이 무리없이 자유로우며 충격흡수용 기구의 동작이 좌우로 비틀림없이 상하로 유지되어 발목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중이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규격의 충격흡수용 기구로 교체하여 결합하거나 떼어낸 뒤 일반 신발과 같이 사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제2도는 충격흡수용 기구의 결합상태 및 동작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충격흡수용 기구의 탈부착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동작가이드가 더 형성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기구가 신발과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은 인솔(12)과 미 드솔(14) 및 아웃솔(16)로 이루어진 밑창(10)의 상면에 발을 감싸는 갑피(20)가 형성된 통상의 신발(S)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4)과 아웃솔(16)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충격흡수용 기구(30)가 형성되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충격흡수용 기구(3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고정판(31) 및 하부고정판(32)을 연결하는 다수의 와이어(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33)는 여러 가닥의 선을 꼬아 만든 줄로 강선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33)는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이격된 거리보다 길도록 형성하여 와이어(33)의 양단부가 각각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에 몰입하여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으로 고정된 와이어(33)는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약간 만곡지게 형성함으로서 걷거나 뛰면서 생기는 하중에 의해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이격거리가 원활하게 좁아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하중이 해소되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고정판(31)은 리벳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미드솔(14)에 고정되고 하부고정판(32)은 아웃솔(16)에 고정되어진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용 기구(30)은 신발(S)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을 미드솔(14)과 아웃솔(16)사이에 형성함으로서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충격이 신발(S)의 앞과 뒤에서 균등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충격흡수용 기구(30)를 구성하는 상부고정판(31)의 상면으로는 나사산을 가지는 볼트부재(35)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미드솔(14)에는 상기 볼트부재(35)에 대응하는 너트부재(34)를 형성한 후 아웃솔(16)을 형성된 충격흡수용 기구(30)의 수량에 대응토록 분리 형성하여 충격흡수용 기구(30)의 탈부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용 기구(30)의 분리로 인해 미드솔(14)이 지면에 닿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웃솔(16)은 복수로 형성하여 하나의 아웃솔(16)은 미드솔(14)에 고정시켜두고 다른 하나의 아웃솔(16)은 하부고정판(32)의 하부면에 고정토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분리된 충격흡수용 기구(30)는 별도로 양단부에 볼트부재(35)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봉(도시않음)에 결합시켜 휴대하면서 아령 등의 운동용구로 활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 사이에는 동작가이드(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동작가이드(40)는 내관(44)이 외관(42)으로 삽입되어 승강 자재되도록 2개의 관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배치하고 외관(42)의 단부는 상부고정판(31)의 하부 면에 고정하고 내관(44)의 단부는 하부고정판(32)의 상부 면에 고정시켜 충격흡수용 기구(30)의 탄동이 수직으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외관(42)을 하부고정판(32)에 고정하고 내관(44)을 상부고정판(31) 고정하여 사용토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외관(42)의 내주 면으로는 슬라이딩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46)을 더 형성하여 동작가이드(4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착용하고 걷거나 뛸 때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부고정판이 가압되면 상부고정판이 하향하면서 와이어가 굽어지면서 하중의 대부분이 흡수되고 하중이 해소되면 와이어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부고정판과 하부고정판 사이의 거리는 원래의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재차 발생될 하중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기구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제2도는 충격흡수용 기구의 결합상태 및 동작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충격흡수용 기구의 탈부착수단이 형성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동작가이드가 더 형성된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제6a도 및 6b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이는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가이드의 단면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S: 신발 10: 밑창
12: 인솔 14: 미드솔
16: 아웃솔 20: 갑피
30: 충격흡수용 기구 31: 상부고정판
32: 하부고정판 33: 와이어
34: 너트부재 35: 볼트부재
40: 동작가이드 42: 외관
44: 내관 46: 구름수단

Claims (4)

  1. 인솔(12)과 미드솔(14) 및 아웃솔(16)로 이루어진 밑창(10)의 상면에 발을 감싸는 갑피(20)가 형성된 통상의 신발(S)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4)과 아웃솔(16)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는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의 테두리에 상부고정판(31) 및 하부고정판(32)을 연결하는 다수의 와이어(33)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용 기구(30)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판(31)의 상면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볼트부재(33)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미드솔(14)에는 상기 볼트부재(35)에 대응하는 너트부재(34)를 형성하며 아웃솔(16)을 형성된 충격흡수용 기구(30)의 수량에 대응토록 분리 형성하여 충격흡수용 기구(30)의 탈부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판(31)과 하부고정판(32) 사이에는 내관(44)이 외관(42)으로 삽입되어 승강 자재되도록 2개의 관이 수직을 이루도록 상하로 배치하고 외관(42)의 단부는 상부고정판(31)의 하부 면에 고정하고 내관(44)의 단부는 하부고정판(32)의 상부 면에 고정된 동작가이드(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가이드(40) 외관(42)의 내주 면에는 슬라이딩 베아링 등의 구름수단(46)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KR1020090014617A 2009-02-23 2009-02-23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KR20100095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617A KR20100095683A (ko) 2009-02-23 2009-02-23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617A KR20100095683A (ko) 2009-02-23 2009-02-23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83A true KR20100095683A (ko) 2010-09-01

Family

ID=4300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617A KR20100095683A (ko) 2009-02-23 2009-02-23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5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JP2010538788A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KR101731627B1 (ko)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198699B1 (ko) 진동발생 및 완충수단이 내장된 구두
KR20100095683A (ko) 충격흡수용 기구가 부착된 신발
KR101131280B1 (ko)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101031043B1 (ko) 스프링 신발
KR101945727B1 (ko) 신발의 충격흡수장치
KR101366132B1 (ko) 탈착식 신발용 완충장치
KR20090109392A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KR101464643B1 (ko) 날개흡수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US9339689B2 (en) Foot exercise device
KR101222850B1 (ko)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KR200408605Y1 (ko) 충격흡수용 신발 밑창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KR200190655Y1 (ko) 등산용 아이젠
KR200397212Y1 (ko) 점핑용 탄성신발
KR20140001215U (ko) 착용감이 양호한 안창
KR20140097042A (ko) 완충기능이 구비된 가보시힐
KR200399340Y1 (ko) 신발용 완충장치
KR101421158B1 (ko) 다수의 스프링이 구비된 의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