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638A -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의 일회용 세정요소 - Google Patents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의 일회용 세정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638A
KR20100095638A KR1020107016366A KR20107016366A KR20100095638A KR 20100095638 A KR20100095638 A KR 20100095638A KR 1020107016366 A KR1020107016366 A KR 1020107016366A KR 20107016366 A KR20107016366 A KR 20107016366A KR 20100095638 A KR20100095638 A KR 2010009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device
protrusion
handle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드 피터린
Original Assignee
디스코이기엔 사스 디 피터린 다비드 &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코이기엔 사스 디 피터린 다비드 & 씨. filed Critical 디스코이기엔 사스 디 피터린 다비드 & 씨.
Publication of KR2010009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핸들(11)에 대하여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일회용 타입의 세정요소(2)를 연결 및 해제하도록 된 확장형 연결요소(4)에 작용하는 기구(6)를 둘러싸는 핸들(11)을 구비한 관형체(10)를 포함하는 변기 세정장치(1)가 기술된다. 상기 기구(6)는 사용자 및 커넥팅로드(8)에 의해 작동되도록 핸들(11) 근처에 배치된 작동요소(7)를 포함하는데, 커넥팅로드(8)는 작동요소(7)를 확장형 연결요소(4)에 연결한다. 세정요소(2)는 생분해성 수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Description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의 일회용 세정요소{DEVICE FOR CLEANING TOILET BOWLS AND DISPOSABLE CLEANING ELEMENT THEREFORE}
본 발명은 변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의 내측벽을 긁어내기 위해 돌출부를 구비한 세정헤드가 끝에 있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화장실 브러시는 시장에서 알려져 있다. 분명한 것은 이런 타입의 브러시들은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화장실 오물이 세정 헤드의 돌출부 사이의 틈새에 낀 채로 남아서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동일 출원인의 이탈리아 특허 출원 제 VI2006U000005U호는 아마도 세제 및 소독약 제품이 주입된 생분해성 종이 재료로 만들어진 일회용 세정 요소로 구성된 헤드를 구비한 화장실 세정장치를 기술한다.
이 세정 요소는 샤프트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버튼을 구비한 연결 및 해제 기구에 의해 세정 요소가 연결되어 방출된다. 샤프트의 핸들에 있는 버튼을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세정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매번 세정 장치를 사용한 후에는 세정 요소가 화장실 트랩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오물의 축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타입의 장치는 세정 헤드의 종이 재료에 기인한 다소의 결점을 제기한다. 실제로는 상기 종이 재료는 물을 흡수하여 그 세정 기능을 완전히 수행하지 못한다. 또한, 세정 헤드는 아주 뻣뻣하지 않으며, 따라서 둥근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샤프트 단부에 고착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연결 및 해제 시스템도 스프링이 장착된 버튼을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고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고 다목적이며 실용적이고 제조가 용이한 일회용 세정 요소 및 변기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종래 기술의 결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첨부한 독립 청구항 1 및 청구항 12에 개시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분명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세정장치는 핸들에 대하여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일회용 세정요소를 연결 및 해제하도록 된 확장형 연결요소에 작용하는 기구를 둘러싸는 핸들이 구비된 관형체를 포함한다. 이 기구는 사용자 및 커넥팅로드에 의해 작동되도록 핸들 근처에 배치되어 작동요소를 확장형 연결요소에 연결하는 작동요소를 포함한다.
이런 기구는 간단하고 저렴하며 믿을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세정요소는 생분해성의 수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세정요소는 그 세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당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에 도시한 단지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언급하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명백하여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세정요소의 용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세정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들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세정장치의 연결 및 해제 기구를 도시하는 축방향 분해단면도.
도 5는 세정요소의 연결 제 1 단계 중의 도 1의 조립된 장치의 부분 파단 축방향 단면도.
도 6은 세정요소가 연결요소에 견고히 연결된 도 5와 유사한 축방향 단면도.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로 지시한 변기세정장치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정장치(1)는 실질적인 관형상을 갖는 수용체(10)를 포함한다. 수용체(10)는 근위 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도록 된 핸들(11)을 갖는다. 관형 수용체(10)의 원위 단부에는 일회용 세정요소 또는 교체품(2)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된 연결요소(4)가 마련되어있다.
세정요소(2)는 변기의 내측면을 긁을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21)를 구비하는 디스크형 플랜지(20)를 포함한다.
디스크형 플랜지(20)의 상측면의 중심부에는 굽어진 결합요소(23)에 의해 원통형 슴베부(22)가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요소의 슴베부(22)는 내부가 중공이며 세정 장치(1)의 연결요소(4)를 수용하도록 된 원통형 구멍(24)을 갖는다.
디스크형 플랜지(20)의 면은 슴베부(24)의 축선에 대하여 약 45°만큼 기울어져 있다. 이런 방식으로 세정요소(2)는 변기의 내측면을 쉽게 긁을 수 있도록 적절한 기울기로 배치되어있다. 세정요소(2)는 생분해성의 수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오염 없이 화장실 플러시 속에 처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찬물에 용해되어야 하며, 중원소(heavy element)나 유독원소를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최소의 급성중독 정도(LD50)를 보증하여야 한다.
전술한 필요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폴리비닐 알코올(PVA)계 폴리머가 사용된다. 유리하게 사용되는 제품은 약 70-80%의 폴리비닐 알코올로 구성되며, 그 나머지(20-30%)는 소량의 유기 또는 무기 첨가제가 추가된 폴리올 가소제로 만들어진다.
폴리비닐 알코올은 중간 분자량 및 중간 가수분해 지방(86-88%)을 갖는 타입이다. 가소제는 분자당 적어도 3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제 1 급 및 제 2 급 알코올 관능기를 갖는 천연 또는 합성 알코올 또는 알코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고비등점의 지방족 폴리올이다.
전술한 플라스틱 재료는 과립형태로 공급되며 사출성형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요소(2)는 사출성형에 의해 단일편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세정장치(1)는 세정요소(2)의 교체품들을 수용하도록 된 용기(3)와 결합되어있다. 이 컨테이너(3)는 실질적인 원통형상을 갖는데, 이는 상단이 개방된 수용실(30)을 형성한다. 컨테이너(3)는 서로 위아래로 적층된 약 14개의 세정요소(2)를 보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정요소의 플랜지(20)의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오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속에는 하측의 세정요소의 슴베부(22)가 배치된다.
컨테이너(3)는 사용자가 그 속에 담긴 세정요소(2)의 개수를 볼 수 있도록 종방향 개구부(31)를 갖는다. 또한, 컨테이너(3)는 세정장치(1)의 관형 샤프트(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사각형 돌기(18)을 수용하도록 된 사각형 슬롯(32)을 갖는다. 이런 방식으로 세정장치(1)는 컨테이너(3)와 함께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3)의 베이스에는 물방울받이 용기(34)를 수용하도록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33)가 배치되어있다. 이렇게 세정장치(1)가 컨테이너(3)에 고착되었을 때, 연결요소(4)가 위치하는 단부는 용기(34) 내부에 배치되므로 연결요소(4)의 물방울 떨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장치(1)의 외측체는 서로 스냅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대칭형태의 두 개의 반쪽외각(5, 5')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제 1 반쪽외각(5)은 제 2 반쪽외각(5')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50') 속에 스냅방식으로 연결되는 핀(50)들을 갖는다. 두 개의 반쪽외각(5, 5')을 완전하게 중심 맞추기 위해서는 제 1 반쪽외각(5)의 주변엣지에 형성된 홈(51)에 결합되도록 된 리브(51')가 제 2 반쪽외각(5')의 주변엣지에 형성되어있다.
각각의 반쪽외각은 반원통형의 샤프트(10) 및 반회전타원면(semi-ellipsoid of revolution)으로 형성된 핸들(11)을 포함한다. 샤프트(10)는 중심구멍(12a)을 구비한 횡단 반원형 벽(12)이 끝에 있다. 벽(12) 하측에는 샤프트(10)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반원통형 슴베부(13)가 연장되어있다.
다시 각각의 반쪽외각에는 핸들(11)근처의 엣지에 두 개의 인접면(14a, 14b)에 의해 형성된 제 1 슬롯(14)이 형성되어있다. 제 1 슬롯(14) 약간 아래에는 직경방향으로 반대측 위치에 두 개의 인접면(15a, 15b)에 의해 형성된 제 2 슬롯(15)이 형성되어있다. 제 2 슬롯(15)의 약간 아래에는 상측 인접면(17)을 형성하기 위해 각 반쪽외각의 내부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16)가 형성되어있다.
전체적으로 참조번호 6으로 지시한 세정요소(2)의 연결 및 해제 기구를 역시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연결 및 해제 기구(6)는 작동요소(7)를 포함하는데, 이 작동요소(7)는 세정요소(2)를 연결하도록 된 연결요소(4)에 작동요소(7)를 연결하는 커넥팅로드(8)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요소(4)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압축성 탄성재료로 된 원통형 블록에 의해 형성된 확장형 요소다. 그러나 연결요소(4)는 예를 들어 확장나사(expansion screw) 또는 심지어 후크나 관절 아암 등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동등한 요소로도 형성될 수 있다.
고무블록(4)은 로드(8)의 하단부가 통과하도록 된 축방향 구멍(42)을 갖는다. 로드(8)는 하단부에 유지 디스크(80)를 갖는데, 이 디스크는 연결요소(4)의 바닥 단부에 접하여 바닥 단부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유지 디스크(80)는 로드(8)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구멍(81)(도 4)을 가질 수 있다.
연결요소(4)는 소경의 슴베부(40)와 대경의 슴베부(41)를 포함한다. 소경 슴베부(40)는 세정장치의 샤프트의 바닥 슴베부(13) 속에 삽입되도록 되어있다. 대경 슴베부(41)의 직경은 연결요소(4)와 세정요소(2) 사이에 헐거운 결합을 만들기 위해 세정요소의 슴베부(22)에 형성된 구멍(24)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로드(8)의 상단부에는 두 개의 탄성 돌부(82)를 만드는 실질적으로 U형상 구조가 마련되어있다. 각 돌부(82)는 외측으로 테이퍼진 표면(83)을 갖는데, 이 테이퍼 표면(83)은 인접 및 유지 표면(84)을 만든다. 로드(8)는 그 상단부 아래에 편평부(85)를 갖는다.
작동요소(7)는 횡단벽(71)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체(70)로 구성되는데, 이 횡단벽(71)에는 로드(8)의 돌부(82)가 통과하도록 된 사각형 통공(72)이 형성되어있다. 이렇게 돌부(82)의 테이퍼면(83)은 돌부가 구멍(72)을 지나서 돌부(82)가 탄성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그 인접면(84)이 벽(71)과 접하여 연결로드(8)를 유지할 때까지 구멍(72)의 엣지에서 슬라이드하여 돌부(82)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원통형 블록(70)으로부터는 반쪽외각의 제 1 슬롯(14)으로부터 나와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된 레버(7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있다. 횡단벽(71)으로부터는 끝에 돌출단부(75)가 있는 종방향 탄성돌부(74)가 하방으로 돌출되는데, 돌출단부(75)는 외각의 돌기(16)의 상측 인접면(17)에 접하도록 된 하측 인접면(76)을 형성한다. 종방향 돌부(74)의 중심부에는 버튼(77)이 형성되는데, 이 버튼(771)은 레버(73)에 대하여 직경방향에서 반대측 방향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두 개의 반쪽외각의 제 2 슬롯(15)으로부터 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1)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초기에는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요소(4)가 그 본래의 휴지 형태에 있다. 따라서 작동요소(7)의 레버(73) 및 버튼(77)은 반쪽외각의 각 슬롯(14, 15)의 하측 인접면(14a, 15a)에 접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연결요소의 돌부(41)를 세정요소의 돌부(22) 속에 삽입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작동요소의 레버(73)를 화살표(F1)의 방향으로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로드(8)가 상방으로 움직이고 유지 디스크(80)가 탄성 연결요소(4)를 반쪽외각의 벽(12)에 대하여 압축시킨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요소(4)는 그 자체가 세정요소(2)에 견고히 고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하여 세정요소의 구멍(24)의 벽을 가압하게 된다.
동시에, 작동요소(7)의 종방향 돌부(74)는 그 돌출부(75)가 외각의 돌출부(16)을 지날 때까지 상방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종방향 돌부(74)는 그 본래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그 하측 인접면(76)이 반쪽외각의 돌기(16)의 상측 인접면(17)에 접촉하게 되므로 연결기구(6)의 축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연결기구(6)는 변형된 탄성요소(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그 위치에 유지된다. 변기를 세정한 후, 사용자는 종방향 돌부(74)의 돌기(75)를 외각의 돌출부의 인접면(17)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작동요소의 버튼(77)을 누른다. 그 결과, 탄성요소(4)는 그 원래의 형태로 복귀되어 세정요소(2)를 반경방향으로 수축시켜서 해제하므로 세정요소(2)는 화장실 트랩으로 들어간다. 동시에 로드(8)가 하방으로 당겨져서 연결기구(6)가 도 5에 도시한 원래의 형태로 복귀된다.
첨부한 청구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함 없이 당업자가 이룰 수 있는 범위내에서의 본 발명의 상세 부분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3)

  1. 핸들(11)이 구비된 관형체(10)를 포함하는데, 핸들(11)은 핸들(11)에 대하여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일회용 타입의 세정요소(2)를 연결하고 해제하도록 된 확장형 연결요소(4)에 작용하는 기구(6)를 둘러싸며, 상기 기구(6)는 상기 작동요소(7)를 상기 확장형 연결요소(4)에 연결하는 커넥팅로드(8)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핸들(11) 근처에 배치된 작동요소(7)를 포함하는 변기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장형 연결요소(4)는 상기 세정요소의 원통형 돌부(22)에 결합되는 탄성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요소(7)는 원통체(70)를 포함하는데, 이 원통체(70)로부터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도록 세정장치의 관형체(10)의 슬롯(14)으로부터 나오는 레버(73)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요소(7)는 작동요소의 원통체(7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종방향 탄성돌부(74)를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탄성돌부(74)는 세정장치의 관형체(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6)와 결합하는 돌출부(7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작동요소(7)의 상기 종방향 돌부(7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튼(77)을 포함하는데, 상기 버튼(77)은 종방향 돌부의 돌출부(75)를 세정장치의 관형체(10)의 돌출부(16)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세정장치의 관형체(10)의 슬롯(15)으로부터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수용체(10, 11)는 스냅결합수단(50, 51, 50', 51')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반쪽 외각(5, 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세정장치.
  6. 제 1 항에 따른 변기세정장치(1)용 일회용 세정요소(2)에 있어서,
    상기 세정요소(2)는 생분해성 수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세정요소는 변기로부터 오물을 긁어낼 수 있는 다수의 돌출부(21) 및 세정장치(1)의 확장형 연결요소(4)와 결합하도록 된 원통형 돌부(22)를 구비한 디스크형상 플랜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상 플랜지(20)의 면은 상기 돌부(22)의 축선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요소는 폴리비닐 알코올(PVA)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요소는 약 70∼80%의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며, 그 나머지(20∼30%)는 폴리올 가소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요소는 소량의 유기 또는 무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은 중간 분자량 및 중간 가수분해 지방(86∼88%)을 갖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분자당 적어도 3개의 탄소원자와 적어도 제 1 급 또는 제 2 급 알코올 관능기를 포함하는 천연 또는 합성 알코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고비등점 지방족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요소.
KR1020107016366A 2007-12-21 2008-06-16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의 일회용 세정요소 KR20100095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2425A ITMI20072425A1 (it) 2007-12-21 2007-12-21 Dispositivo per la pulizia di tazze di servizi igienici e relativo elemento pulitore monouso
ITMI2007A002425 2007-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38A true KR20100095638A (ko) 2010-08-31

Family

ID=4031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366A KR20100095638A (ko) 2007-12-21 2008-06-16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의 일회용 세정요소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00275398A1 (ko)
EP (1) EP2230979A1 (ko)
JP (1) JP2011506002A (ko)
KR (1) KR20100095638A (ko)
CN (1) CN101917891A (ko)
AU (1) AU2008340825A1 (ko)
BR (1) BRPI0819511A2 (ko)
CA (1) CA2709643A1 (ko)
IT (1) ITMI20072425A1 (ko)
MX (1) MX2010006979A (ko)
RU (1) RU2010129378A (ko)
WO (1) WO2009080130A1 (ko)
ZA (1) ZA2010044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1Y1 (ko) * 2011-07-25 2012-03-15 박민식 다수의 날개 걸이부를 갖는 수건 걸이
WO2019142996A1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소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0880A1 (en) * 2009-07-14 2011-01-20 Smith Jr Roosevelt Toilet brush with lifting arms
US8641311B2 (en) 2010-10-11 2014-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head for a target surface
US8763192B2 (en) 2011-03-28 2014-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ch head having a stiffening member
US8726444B2 (en) 2011-03-28 2014-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ch head for cleaning a target surface
US20120246854A1 (en) 2011-03-28 2012-10-04 Hirotaka Uchiyama Water Disposable Head Comprising Plural Water Disposable Materials
US9351615B2 (en) 2013-07-23 2016-05-31 S. C. Johnson & Son, Inc. Toilet caddy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 toilet caddy assembly
TW201713258A (zh) * 2015-06-23 2017-04-16 3M新設資產公司 拋棄式便器擦洗系統
CN110200559A (zh) * 2019-06-26 2019-09-06 深圳市杰深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动清洗的拖把
CN112177117A (zh) * 2020-09-30 2021-01-05 刘建国 一种便于厕所清洁的止水装置及厕所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755A (en) * 1980-08-19 1982-05-18 Alissandratos Tacko D Brush
FR2712794A3 (fr) * 1993-11-25 1995-06-02 Toutin Pierre Dispositif de nettoyage manuel par tampon individuel biodégradable jetable utilisé en particulier pour le nettoyage des cuvettes de WC.
JP2006525055A (ja) * 2003-04-29 2006-11-09 カット ストレート リミテッド 便器清掃装置
US7065825B2 (en) * 2003-06-23 2006-06-27 The Clorox Company Cleaning tool with gripping assembly for a disposable scrubbing head
US7159265B2 (en) * 2003-07-08 2007-01-09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replaceable brush head
US7316046B2 (en) * 2003-11-06 2008-01-08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replaceable brush he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1Y1 (ko) * 2011-07-25 2012-03-15 박민식 다수의 날개 걸이부를 갖는 수건 걸이
WO2019142996A1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소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17891A (zh) 2010-12-15
AU2008340825A1 (en) 2009-07-02
MX2010006979A (es) 2010-09-28
EP2230979A1 (en) 2010-09-29
WO2009080130A1 (en) 2009-07-02
CA2709643A1 (en) 2009-07-02
ITMI20072425A1 (it) 2009-06-22
JP2011506002A (ja) 2011-03-03
US20100275398A1 (en) 2010-11-04
BRPI0819511A2 (pt) 2015-05-26
ZA201004404B (en) 2011-08-31
RU2010129378A (ru) 2012-01-27
WO2009080130A4 (en)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5638A (ko) 변기세정장치 및 그 장치의 일회용 세정요소
US8028369B2 (en) Mop and wringer combination
US7316045B2 (en) Hair brush including hair removal means
US20040129296A1 (en) Handle having disposable cleaning head
US20140157535A1 (en) Cleaning tool assembly with a disposable cleaning implement
JP2010179962A (ja) 離脱可能ディスペンサカートリッジ用の係合フランジ
US6530118B2 (en) Sub-suction pip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8239999B2 (en) Mop assembly with steam generation device
ZA200507260B (en) Cleaning device
WO2007111544A1 (en) End plug for a paper roll
US7424764B2 (en) Brush with locking and detaching structure for disposable head
JP2011115285A (ja) 長柄付き清掃具
US20200129037A1 (en) Cleaning pad handles and systems
WO2001043618A1 (en)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 head
JP3105217U (ja) 柄付き清掃具
EP1626644A1 (en) Toilet cleaning device
US20200367635A1 (en) Product
KR200399549Y1 (ko) 칼이 내장된 변기솔
US20230210337A1 (en) Cleaning Device with Gripping Assembly for a Dissolvable Cleaning Head
CN214760841U (zh) 一种便于更换刷头的马桶刷套装
US20230240437A1 (en) Toilet Brush
DK200000215U3 (da) Trykudløselig snapkobling
KR20060095855A (ko) 스팀청소기
KR20060095853A (ko) 스팀청소기
KR20060095852A (ko) 스팀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