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884A -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884A
KR20100094884A KR1020090014071A KR20090014071A KR20100094884A KR 20100094884 A KR20100094884 A KR 20100094884A KR 1020090014071 A KR1020090014071 A KR 1020090014071A KR 20090014071 A KR20090014071 A KR 20090014071A KR 20100094884 A KR20100094884 A KR 2010009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refrigerator
dispenser
ice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996B1 (ko
Inventor
이태희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일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외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 수용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과 용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아이스 슈트; 및 상기 용기 수용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신축(伸縮)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개폐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팽창 수축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게 되므로,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용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의 최대 크기가 늘릴 수 있게 된다.
냉장고, 디스펜서, 개폐 유닛

Description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방 동작 없이 냉장고의 저장실에 저장되는 각얼음 등을 인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 등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저장실로 식품 등의 수납 또는 인출을 위해 상기 저장실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開口)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각종 식품의 저온 저장을 위해, 상기 본체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증발기를 순환하며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된다.
근래에는,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각얼음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개방해야하는 불편함 및 상기 도어를 자주 열고 닫음에 따라 저장실 내의 냉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 없이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각얼음을 인출시키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저장실 내부와 상기 도어 외부를 연통시켜 각얼음이 인출되는 통로로 제공되는 아이스 슈트와, 상기 아이스 슈트의 도어 외부측 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각얼음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아이스 슈트를 통해 상기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각얼음의 인출되는 일련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는, 인출되는 각얼음을 받는 용기가 수용되는 용기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용기 수용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의 소정 영역이 상기 도어의 후면 쪽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 슈트의 도어 외부측 단부는 상기 용기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기 수용부의 상하방향으로 스윙 운동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용기 수용부의 일 측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용기 수용부의 내부 일 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아이스 슈트가 냉장고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냉장고의 외관 이미지를 크게 손상시키므로, 상기 개폐부재의 스윙 운동 궤적과 상기 아이스 슈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 중 소정의 영역이 차폐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 중 차폐되지 않은 영역을 통해 용기를 상기 용기 수용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레버부를 작동시켜 각얼음을 상기 용기에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의 크기는, 냉장고의 외관 손상 방지 및 상기 도어의 단열 성능 저하 방지를 위해 작을수록 좋으나,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 크기가 작을수록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의 크기가 작아져 필요한 각얼음의 양이 많은 경우 인출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용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의 최대 크기가 늘어난 디스펜서의 개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 매커니즘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용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의 최대 크기가 늘어난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일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외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 수용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과 용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아이스 슈트; 및 상기 용기 수용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신축(伸縮)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신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온도를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 팽창되고, 그 이상에서 수축하는 형상기억합금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내부로 기체가 유입시 팽창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차폐하고, 기체가 유출시 수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방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의 내부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개폐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유닛은, 내부에 기체가 저장되며, 상기 개폐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기체를 상기 개폐 부재에 공급 또는 회수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피스톤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에 따라 부피가 신축되는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팽창시 판상으로 마련되며, 그 모서리부 팽창율이 면부의 팽창율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폐 구동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 부재의 둘레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둘레 부재;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폐 부재 내부의 압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2 둘레 부재; 및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제2 둘레 부재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 부재의 신축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제2 둘레 부재의 결합부는, 상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수축시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제2 둘레 부재가 겹쳐진 원호 상으로 마련되며, 팽창시 원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슈트는, 상기 용기 수용부의 내부 상면과 상기 저장실을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슈트는,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용기 수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의 개구면은, 상기 개폐 유닛이 팽창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개폐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팽창 수축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게 되므로, 상기 용기 수용부의 개구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상기 용기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의 최대 크기가 늘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외관미를 해치지 않으면서 소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아이스 슈트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개폐 유닛의 개폐 동작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10)는, 저장실(12)이 형성된 본체(11), 상기 저장실(12)을 개폐하는 도어(13)와, 상기 도어(13)에 형성된 용기 수용부(120)와 아이스 슈트(113)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130)을 포함하는 디스펜서(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직육면체의 상자형태로 마련되며, 내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2)의 개방된 면은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실(12)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증발기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2)을 형성하는 벽체, 즉 저장실(12)의 벽면과 본체(11)의 외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단열재가 삽입되어 상기 저장실(12)을 본체(11)의 외부와 단열시킨다.
상기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액상 발포제가 충전 및 응고되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2)은, 냉장실, 냉동실, 싱싱실, 야채실, 쌀보관실 등 다양한 저장온도 또는 저장 환경을 갖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냉장고에는 저장되는 저장물을 비교적 덜 찬 온도에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냉장실(12a)과 저장물을 찬 온도에서 얼려 보관하는 냉동실(12b)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12)에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본체(11)에 마련된 냉기공급통로(미도시)를 통해 공급되어 저장실(12)의 내부가 냉각된다.
냉동실(12b)과 냉장실(12a)의 위치와 관련해서는, 냉장실(12a)이 냉동실(12b)의 하측에 위치되는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냉장실(12a)과 냉동실(12b)이 좌우로 위치되는 타입, 냉장실(12a)이 냉동실(12b)의 상측에 위치되는 타입 등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도어(13)는 본체(11)에 힌지결합되는 타입(13a)되거나, 상기 본체(11)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입(13b) 등으로 구비될 있으며, 상기 저장실(12)의 개방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도어(13)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도어손잡이(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실(12)을 형성하는 벽체와 마찬가지로 단열재가 삽입되어 저장실(12)을 외부로부터 단열시킨다.
상기 도어(13)의 개수와 관련하여, 각 저장실(12) 마다 한 개씩 마련되는 전통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두 개 이상 구비되는 예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13)에는 저장실(12) 내부에 저장된 각얼음 등을 도어(13)의 개폐 동작 없이 외부로 배출시키는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
도 1에서 상기 디스펜서(100)가 상기 냉장실(12a)의 도어(13a)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디스펜서(100)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본체(11)의 외부에서 도어(13)의 개방 없이 저장실(12) 내부에 저장된 각얼음 등을 인출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관하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도어(13a)의 소정 영역이 전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며, 전면이 개방된 용기 수용부(120)와, 용기 수용부(120)의 상측에 위치되며 그 뒤쪽에 상기 디스펜서(100)의 구성 요소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차폐하는 차폐부재(101), 그리고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내부 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레버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101)에는 디스펜서(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냉장고(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버튼부(10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100)는, 상기 도어(13)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12) 내부와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내부를 연통시키며, 각얼음 등이 배출되는 경로로 제공되는 아이스 슈트(113)와, 상기 용기 수용부(120)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단부를 개폐하되,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신축(伸縮)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슈트(113)는, 이를 통해 배출되는 각얼음 등이 중력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수용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유닛(130)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단면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개폐 부재(131)에 의한 밀폐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개폐 유닛(130)이 팽창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α) 만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140)는 용기(C)에 의해 눌려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구비되며, 레버부(140)가 눌려지면서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배면 일 측에 구비된 동작스위치(141)가 접속되어 상기 디스펜서(100)의 동작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 유닛(130)은, 신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단부를 개폐하는 탄성 부재(131b)와, 상기 탄성 부재(131b)의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온도를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 팽창되고, 그 이상에서 수축하는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 그리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는, 상기 아이스 슈트(113)에 의해 연통된 상기 저장실(12)로부터 흘러나오는 냉기에 의해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113) 주변 온도에서는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히팅부(133)에 의해 열이 가해져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팽창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탄성 부재(131b), 예를 들어 풍선 등의 내부에 구비되어, 팽창시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에 의해 확장된 상기 탄성 부재(131b)가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는, 수축시 세로방향으로 주름지게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방하며, 팽창시 주름이 펴지면서 수평 방향으로 팽창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차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131a)의 수평 방향 신축으로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게 되므로, 종래 상하 방향 운동에 의한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개폐 동작에 비해 상기 개폐 유닛(130)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 특히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아이스 슈트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개폐 유닛의 개폐 동작을 간략하게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저장실(12)이 형성된 본체(11), 상기 저장실(12)을 개폐하는 도어(13)와, 상기 도어(13)에 형성된 용기 수용부(120)와 아이스 슈트(113)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230)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230)은,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개폐 부재(231)와, 상기 개폐 부재(231)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개폐 구동 유닛(233)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 부재(231)는, 내부로 기체가 유입시 팽창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단부를 차폐하고, 기체가 유출시 수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단부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개폐 부재(231)는, 탄성 재질의 부재로 마련되며, 팽창시 수평방향으로 팽창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 부재(231)는, 팽창시 판상으로 마련되되, 그 모서리부(231b) 팽창율이 면부(231c)의 팽창율 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231)의 상기 모서리부(231b)와 면부(231c)에 상기 개폐 부재(131)의 팽창 방향에 수직하게 다수의 절곡부(231a)를 구비하여, 수축시 그 체적이 최대로 감소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유닛(233)은, 실린더(233a) 내부 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33b)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231)에 기체를 공급하거나, 회수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33a)는 내부에 기체가 저장되며, 상기 개폐 부재(231)의 내부와 연통되는 연통관(233aa)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233b)은, 상기 실린더(233a)의 내부에 구비되어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기체를 상기 개폐 부재(231)에 공급 또는 회수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233b)의 왕복 운동은 상기 피스톤(233b)과 결합되어 왕복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구동부(233c)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 구동부(233c)는 자력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모터 또는 열 팽창을 이용한 써멀엑츄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폐 부재(231)가 상기 개폐 구동 유닛(233)에 의해 수평 방향 신축으로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게 되므로, 종래 상하 방향 운동에 의한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개폐 동작에 비해 상기 개폐 유닛(230)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 특히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 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 부재(131)의 개폐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을 간략하게 보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저장실(12)이 형성된 본체(11), 상기 저장실(12)을 개폐하는 도어(13)와, 상기 도어(13)에 형성된 용기 수용부(120)와 아이스 슈트(113)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다.
또한, 개폐 구동 유닛(233)으로 실린더(233a) 내부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33b) 및 상기 피스톤(233b)을 구동하는 피스톤 구동부(233c)를 구비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331)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 부재(331)는, 상기 개폐 구동 유닛(233)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 부재(331)의 둘레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둘레 부재(331a)와, 상기 제1 둘레 부재(331a)와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폐 부재(131) 내부의 압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2 둘레 부재(331b), 그리고 상기 제1 둘레 부재(331a)와 제2 둘레 부재(331b)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 부재(131)의 신축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 부재(331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둘레 부재(331b)의 변형시 상기 변형 부재(331c)가 함께 변형될 수 있게, 상기 제1 둘레 부재(331a)와 제2 둘레 부재(331b)는 상기 변형 부재(331c)의 내부면에 접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변형 부재(331c)의 두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둘레 부재(331a)와 제2 둘레 부재(331b)의 결합부(331d)는, 상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 핀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제2 둘레 부재(331b)는 상기 개폐 부재(331) 내부의 압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변형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331)는, 수축시 상기 제1 둘레 부재(331a)와 제2 둘레 부재(331b)가 겹쳐진 원호 상으로, 대략 초승달 모양으로 마련되며, 팽창시 원반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둘레 부재(331b)가 상기 개폐 구동 유닛(233)에 의해 수평 방향 탄성 변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113)를 개폐하게 되므로, 종래 상하 방향 운동에 의한 상기 아이스 슈트(113)의 개폐 동작에 비해 상기 개폐 유닛(330)이 차지하는 공간이 축소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수용부(120)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용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 특히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 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디스펜서의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아이스 슈트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개폐 유닛의 개폐 동작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아이스 슈트가 닫혀진 상태의 디스펜서 내부를 보인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개폐 유닛의 개폐 동작을 간략하게 보인 측면도와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개폐 부재(131)의 개폐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개폐 부재의 개폐 동작을 간략하게 보인 단면도이다.

Claims (12)

  1. 일면이 개방된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외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용기 수용부;
    상기 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과 용기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아이스 슈트; 및
    상기 용기 수용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부피가 신축(伸縮)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신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폐하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의 온도를 기준으로 그 이하에서 팽창되고, 그 이상에서 수축하는 형상기억합금 부재; 및
    상기 형상기억합금 부재에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직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내부로 기체가 유입시 팽창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차폐하고, 기체가 유출시 수축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를 개방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의 내부에 기체를 공급 또는 배출시키는 개폐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 유닛은,
    내부에 기체가 저장되며, 상기 개폐 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기체를 상기 개폐 부재에 공급 또는 회수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피스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에 따라 부피가 신축되는 탄성부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팽창시 판상으로 마련되며, 그 모서리부 팽창율이 면부의 팽창율 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개폐 구동 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 부재의 둘레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둘레 부재;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하나의 폐곡선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상기 개폐 부재 내부의 압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제2 둘레 부재; 및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제2 둘레 부재의 상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폐 부재의 신축에 따라 변형되는 변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제2 둘레 부재의 결합부는, 상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수축시 상기 제1 둘레 부재와 제2 둘레 부재가 겹쳐진 원호 상으로 마련되며, 팽창시 원반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슈트는, 상기 용기 수용부의 내부 상면과 상기 저장실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슈트는, 상기 저장실로부터 상기 용기 수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1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단부의 개구면은, 상기 개폐 유닛이 팽창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090014071A 2009-02-19 2009-02-19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58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071A KR101658996B1 (ko) 2009-02-19 2009-02-19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071A KR101658996B1 (ko) 2009-02-19 2009-02-19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884A true KR20100094884A (ko) 2010-08-27
KR101658996B1 KR101658996B1 (ko) 2016-09-22

Family

ID=4275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071A KR101658996B1 (ko) 2009-02-19 2009-02-19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95A (ko) * 1999-10-06 2001-05-07 구자홍 냉장고용 댐퍼장치
KR20080052503A (ko) * 2006-12-07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62988A (ko) * 2006-12-31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195A (ko) * 1999-10-06 2001-05-07 구자홍 냉장고용 댐퍼장치
KR20080052503A (ko) * 2006-12-07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62988A (ko) * 2006-12-31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996B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071B2 (en) Refrigerator
US8745992B2 (en) Refrigerator
EP3023717B1 (en) Refrigerator
KR102338471B1 (ko) 냉장고
US20150330678A1 (en) Refrigerator
RU2476787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US10119740B2 (en) Refrigerator
EP3401620B1 (en) Refrigerator
US8328054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KR20130114850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JP6710349B2 (ja) 冷蔵庫
US9903636B2 (en)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or
CN106257202A (zh) 冰箱用的制冰装置和方法
US10168089B2 (en) Refrigerator
CN106257197A (zh) 冰箱用的制冰装置和方法
KR102176725B1 (ko) 냉장고
US9182163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n anti-interference mechanism
EP3217125B1 (en) Refrigerator
KR20100094884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EP3271669B1 (en) Refrigerator
KR20100067469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9285150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cooling device and agitating assembly
KR20110068422A (ko) 냉장고
CN112303994A (zh) 冷藏库
KR20050077554A (ko) 냉장고용 댐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