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815A -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815A
KR20100094815A KR1020090013978A KR20090013978A KR20100094815A KR 20100094815 A KR20100094815 A KR 20100094815A KR 1020090013978 A KR1020090013978 A KR 1020090013978A KR 20090013978 A KR20090013978 A KR 20090013978A KR 20100094815 A KR20100094815 A KR 2010009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display device
point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4815A/ko
Publication of KR2010009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5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마 커브 상에서 선택되는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에 대해 저계조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가 나머지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 보다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을 제안하며, 저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포인트간 전압차가 적어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저계조 표현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Gamma revision metho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계조 영역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감마커브 상에서 설정되는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의 지정을 저계조 영역에 다수 할당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체의 발광 특성이 없는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표시장치(AMLCD)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AMOLED)인데,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성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 제조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2-트랜지스터 1-커패시터(2T-1C)의 화소 구조를 도시 하고 있다.
기판 상에 스캔라인(S)과 데이터라인(D)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 커패시터(C),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R) 및 유기전계 발광소자(OLE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박막트랜지스터(SW, DR)는 NMOS 채널타입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이다.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의 게이트는 스캔라인(S)에 연결되고, 소스는 데이터라인(D)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의 일 측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의 소스에 연결되고 타 측은 동작전압(VDD)이 인가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R)의 드레인은 동작전압(VDD)이 인가되고, 게이트는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의 소스에 연결되며, 소스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낸 화소의 구동방법을 도 2의 신호타이밍도와 같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게이트구동부(미도시함)로부터 상기 스캔라인(S)으로 인가되는 포지티브 선택전압(Vgh)인 스캔신호(scan signal)에 의해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W)가 온(on)되면 데이터구동부(미도시함)에서 영상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라인(D)으로 인가한 데이터전압(Vdata)에 의해서 커패시터(C)에 전하가 축적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전압(Vdata)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R)의 채널타입이 NMOS-타입이므로 양극성 전압이다. 이후 상기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과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OLED)의 애노드 전압의 전위차에 따라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R)의 채널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결정되며, 결정된 전류의 양에 의해서 발광량이 결정되어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OLED)가 발광된다.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마생성회로부(미도시함)로부터 드라이브IC에서 상기 데이터전압(Vdata)의 생성을 위해 미리 결정된 감마커브(일반적으로 감마 2.2 커브)로부터 다수의 감마 포인트를 설정하여 이에 따른 감마기준전압(Gamma reference voltage:Vgma)을 제공받는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감마커브 그래프로서, 계조-전압 관계와 그에 따른 감마 포인트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상기 도 3과 같은, 예를 들어 감마 2.2 커브, 감마커브에 대해 6 비트 분해능의 감마생성회로부의 경우 전체 계조를 6비트 간격의 전압차이로 각각 감마 포인트(P0 내지 P6)를 설정한다.
즉, 64계조의 경우 상기 감마 포인트를 G0, G1, G7, G15, G31, G47, G63 에 해당하는 감마커브 상의 포인트(P0 내지 P6)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감마전압(V0 내지 V6)을 감마기준전압(Vgma)으로 하여 상기 드라이브IC로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감마 포인트 설정 방법은 디스플레이 셋팅시 각 감마 포인트(예를 들어, 도 3의 P0 내지 P6)에서 조정되는 전압차가 크지 않고 또한 동일 비트 간격으로 전압을 분배하기 때문에 상기 감마 포인트간 전압차이가 적다하더라도 저계조 영역에서는 고계조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 휘도 및 색좌표 이동이 상당하여 RGB컬러별 시각적인 편차가 현저하게 눈에 띄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계조 영역에서의 휘도 및 색좌표 분포 편차를 좁혀 영상의 화질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상에서 선택되는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에 대해 저계조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가 나머지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 보다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감마보정방법에서, 상기 감마 커브는 감마 2.2 커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마보정방법에서, 상기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는 7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감마보정방법에서, 상기 저계조 영역은 전체 계조의 하위 20% 내지 35% 이내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마보정방법에서, 상기 전체 계조는 64계조(G0 내지 G63)이고, 상기 저계조 영역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는 G0, G1, G5, G8, G14 이고 상기 저계조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는 G38, G6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저계조 영역에서 다수의 감마 포인트를 설정하며 이에 저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포인트간 전압차가 적어져 저계조 표현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감마커브 그래프로서, 저계조 영역의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감마 포인트 설정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도 4를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은, 감마 커브 상에서 선택되는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P0 내지 P6)에 대해 저계조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가 나머지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 보다 많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저계조 영역은 전체 계조의 하위 20% 내지 35% 이내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영역으로서, 일예로 64계조(G0 내지 G63)의 경우 20계조(G19) 까지를 적정한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64계조(G0 내지 G63)의 경우, 감마커브 상에서 설정되는 감마 포인트(P0 내지 P6)가 7개의 경우 상기 저계조 영역에서 G0, G1 을 포함한 대략 4~5개 의 감마 포인트(도 4에서는 P0 내지 P4)를 설정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예시한 G0, G1, G7, G15, G31, G47, G63 의 감마 포인트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G0, G1, G5, G8, G14, G38, G63에서 각각 7개의 감마 포인트(P0 내지 P6)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의 감마 커브는 감마 2.2 커브이나 필요에 따라 상이한 특성의 감마 커브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제안한 본 발명에 따른 감마보정방법을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경우, 저계조 영역에서의 감마 포인트간 전압차가 적어져 저계조 표현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구조를 도시한 화소구조도
도 2는 도 1의 화소 구동을 위한 신호타이밍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감마커브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감마커브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G0 내지 G63 : 64계조

Claims (5)

  1. 감마 커브 상에서 선택되는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에 대해 저계조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가 나머지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의 개수 보다 많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커브는 감마 2.2 커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는 7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계조 영역은 전체 계조의 하위 20% 내지 35% 이내의 범위에서 선택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5.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계조는 64계조(G0 내지 G63)이고, 상기 저계조 영역에서 선택된 다수개의 감마 포인트는 G0, G1, G5, G8, G14 이고 상기 저계조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선택되는 감마 포인트는 G38, G6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KR1020090013978A 2009-02-19 2009-02-19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KR20100094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978A KR20100094815A (ko) 2009-02-19 2009-02-19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978A KR20100094815A (ko) 2009-02-19 2009-02-19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815A true KR20100094815A (ko) 2010-08-27

Family

ID=4275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978A KR20100094815A (ko) 2009-02-19 2009-02-19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48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57B1 (ko) * 2013-02-14 2013-04-24 주식회사 대한전광 실시간 감마 보정 방법
US8884999B2 (en) 2012-04-17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Gamma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01968B2 (en) 2013-04-01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92682B2 (en) 2015-06-15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olor distortion of low gray valu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4999B2 (en) 2012-04-17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Gamma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57757B1 (ko) * 2013-02-14 2013-04-24 주식회사 대한전광 실시간 감마 보정 방법
US9501968B2 (en) 2013-04-01 2016-11-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92682B2 (en) 2015-06-15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olor distortion of low gray valu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6952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918378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6465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466243B2 (en) Compensation of threshold voltage in driving transistor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7116058B2 (en) Method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active matrix OLED displays driven by amorphous silicon thin-film transistors
US10089934B2 (en) Driving apparatu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8947471B2 (en) Active matrix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443224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화소 구조 및 그것의 구동 방법
US809409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KR10196076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8006088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및 이의 구동장치
KR20120074422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9584807B (zh) 多视觉系统
KR101901757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205388B2 (en) Display devi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US20110115773A1 (en) Image display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080231566A1 (en) Minimizing dark current in oled display using modified gamma network
KR20100094815A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마보정방법
KR2015007259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517879B1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방법
KR20100054895A (ko) 유기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31743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회로
KR102281008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40147600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20180078861A (ko) Oled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