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910A -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910A
KR20100093910A KR1020090013058A KR20090013058A KR20100093910A KR 20100093910 A KR20100093910 A KR 20100093910A KR 1020090013058 A KR1020090013058 A KR 1020090013058A KR 20090013058 A KR20090013058 A KR 20090013058A KR 20100093910 A KR20100093910 A KR 2010009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vibration
portable
audio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희
이규웅
Original Assignee
강대희
이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희, 이규웅 filed Critical 강대희
Priority to KR102009001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3910A/ko
Publication of KR2010009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리듬에 따른 진동을 촉감으로 전달하여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단자;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에서 저주파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 필터링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로 진동 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에 따라 진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음악에 따른 진동을 촉감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 유니트를 구비하여 휴대용 플레이어의 오디오신호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에게 촉감으로 전달하여 귀로 음악을 들음과 동시에 음악에 대응한 진동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음악감상을 가능하게 한다.
음악감상, 리듬, 저음, 진동, 손목, 오디오 플레이어

Description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A PORTABLE MUSIC VIBRATOR FOR THE SENSE OF TOUCH }
본 발명은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리듬에 따라 진동을 일으켜 촉감으로 전달하여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는 대분분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악을 듣기 때문에 전문 음암감상실과 같이 음향시설이 갖춰진 곳에서 음악을 듣는 것보다 입체감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이어폰은 저음 부분이 약하기 때문에 음장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리듬에 따라 진동을 일으켜 촉감으로 전달함으로써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단자;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에서 저주파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 필터링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로 진동 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에 따라 진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음악에 따른 진동을 촉감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 유니트를 구비하여 휴대용 플레이어의 오디오신호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에게 촉감으로 전달하여 귀로 음악을 들음과 동시에 음악에 대응한 진동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음악감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전원부의 배 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동작하는 부가기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각종 휴대용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음악의 리듬에 따른 진동을 촉감으로 전달하여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간단하게 손목에 착용할 수 있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에서 음악을 들을 때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동시에 촉감을 통해 저음 부분을 느끼게 하여 음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제 1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제 2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입력단자(Audio IN), 오디오 출력단자(Audio OUT), DC 입력단자(DC IN), 저역통과필터(LPF: 11), 증폭기(AMP: 12), AGC(13), 전력증폭 구동부(14), 진동유니트(15), 전원버튼(16), 충전부(17), 전원부(18), 부가 기능부(19)로 구성되어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2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저음에 대응하는 진동을 인체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음악을 감상하는 중에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입력단자(Audio IN)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저역통과필터(LPF: 11)로 전달됨과 동시에 오디오 출력단자(Audio OUT)를 통해 이어폰이나 헤드폰(30)으로 그대로 출력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오디오 입력단자(Audio IN)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볼륨 조절자의 레벨에 따라 가변 증폭하여 오디오 출력단자(Audio OUT)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저역통과필터(LPF: 11)는 휴대용 플레이어(2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저역필터링하여 저음의 신호를 추출하고, 증폭기(AMP: 12)는 저역필터링된 오디오신호를 AGC신호에 따라 일정레벨로 증폭하며, AGC(13)는 증폭기(AMP: 12)의 이득을 일정하게 제어한다. 전력증폭 구동부(14)는 오디오신호의 저음에 따라 진동 유니트(15)를 구동하여 진동 유니트(15)가 저역필터링된 오디오신호에 따라 진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음악에 따른 진동을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는 휴대용 플레이어(20)의 오디오신호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에게 촉감으로 전달하여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는 휴대성을 위해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하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별도의 충전장치에 의해 충전할 수도 있고 내부에 충전회로를 부가하여 직류전원에 의해 직접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전원부(18)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충전부(17)는 DC 입력단자(DC IN)를 통해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전원부(18)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충전부(17)는 충전상태나 충전 후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미도시된 LED나 LCD 등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부(18)를 배터리로 설명하였으나 배터리 대신에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플레이어(20)로는 MP3 플레이어나 CD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나 오디오 출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PMP, 휴대폰, PDA 등)도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는 시계 기능이나 만보계 기능 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부가기능부(19)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부가기능부(19)는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조작을 위한 버튼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상태나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줄(10b)이 달린 케이스(10a) 안에 내장되어 줄에 의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각형 구조로 디자인한 예이고, 도 3은 원형 구조로 디자인한 예인데, 이외에도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휴대용 플레이어(20)나 헤드폰(30)과 통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유선이 아닌 무선방식을 사용하는 예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무선방식중 블루투스를 채택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플레이어(20)나 헤드셋(3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모듈(120)을 추가한 것외에 나머지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는 배터리 전원에 의해 동작하므로 구매 후 직류전원단자(DC IN)를 통해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직류전원이 입력되면, 충전부(17)는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시킴과 아울러 충전상태를 미도시된 LED나 LCD에 표시한다. 이후 충전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LED나 LCD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충전 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는 휴대용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등)(20)의 오디오 출력을 오디오 입력단자(Audio IN)에 연결하며, 이어폰을 오디오 출력단자(Audio OUT)에 연결한다. 이후 휴대용 플레이어(20)를 동작시켜 음악을 재생함과 아울러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10)의 전원을 온하면, 휴대용 플 레이어(20)의 오디오신호가 오디오 입력단자(Audio IN)를 통해 입력됨과 아울러 저역통과필터(11)에서 저역통과되어 저주파수 대역의 오디오신호만 증폭기(12)에서 증폭된다. 이때 증폭기(12)의 증폭레벨은 자동이득조정회로(AGC:13)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되고, 증폭된 저주파 대역의 오디오신호는 전력증폭 구동부(14)에서 대신호로 증폭되어 진동 유니트(15)를 구동하게 된다. 진동 유니트(15)는 전력증폭 구동부(14)의 구동신호에 따라 진동되면서 사용자의 손목에 진동을 전달하여 사용자가 신체적 접촉에 의한 촉감으로 귀로 듣고 있는 음악의 저주파음에 대응하는 진동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귀로 음악을 들음과 동시에 음악에 대응하는 진동을 손목의 촉감으로 느껴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제 1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제 2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휴대용 플레이어나 헤드폰과 통신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11: 저역통과필터
12: 증폭기 13: AGC
14: 전력증폭 구동부 15: 진동 유니트
16: 버튼 17: 충전부
18: 전원부 19: 부가기능부
20: 휴대용 플레이어 30: 헤드폰

Claims (6)

  1. 오디오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단자;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단자;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에서 저주파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 필터링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로 진동 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에 따라 진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음악에 따른 진동을 촉감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 유니트를 구비하여
    휴대용 플레이어의 오디오신호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에게 촉감으로 전달하여 귀로 음악을 들음과 동시에 음악에 대응한 진동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음악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2. 오디오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에서 저주파대역의 오디오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 필터링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로 진동 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에 따라 진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음악에 따른 진동을 촉감으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 유니트를 구비하여
    휴대용 플레이어의 오디오신호에 따른 진동을 사용자에게 촉감으로 전달하여 귀로 음악을 들음과 동시에 음악에 대응한 진동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음악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줄이 달린 케이스에 내장되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상기 오디오 입력단자나 블루투스모듈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볼륨 조절자의 레벨에 따라 증폭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단자나 블루투스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배터리나 건전지가 내장되어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를 충 전하기 위한 충전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에 따라 동작하는 부가기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KR1020090013058A 2009-02-17 2009-02-17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KR20100093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58A KR20100093910A (ko) 2009-02-17 2009-02-17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58A KR20100093910A (ko) 2009-02-17 2009-02-17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10A true KR20100093910A (ko) 2010-08-26

Family

ID=4275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58A KR20100093910A (ko) 2009-02-17 2009-02-17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39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1399B (zh) 提供环境声音的耳机
US20100172522A1 (en) Programmable earphone device with customizable controls and heartbeat monitoring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WO2017151977A1 (en) A device for generating chest-chamber acoustic resonance and delivering the resultant audio and haptic to headphones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10264339B2 (en) Wearable vibration device
GB2551799A (en) Wireless headphone system
CN204598317U (zh) 指环助听器
CN101964932A (zh) 一种音源设备以及控制方法
CN103561370A (zh) 一种智能型多功能耳机
US8484026B2 (en) Portable audio control system and audio control device thereof
KR20040011859A (ko) 알파벳 유자 모양의 어깨 착용형 진동 우퍼 스피커
CN203351193U (zh) 带mic信号监听的便携式卡拉ok蓝牙耳机
WO2009068859A1 (en) Earphone
KR20100093910A (ko) 휴대용 저음 진동 체감장치
US20170374447A1 (en) Earbuds for use both wirelessly and with a wired connection
CN209748761U (zh) 一种立体声无线k歌蓝牙耳机
CN206237573U (zh) 一种带挂耳部件的蓝牙耳机
CN206212241U (zh) 一种音频放大电路及其头戴式耳机
TWM600510U (zh) 具備音頻體感之穿戴式裝置
KR101808253B1 (ko) 무선 헤드폰 및 이를 이용한 음향 증폭 시스템
KR100802003B1 (ko)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WO2019024232A1 (zh) 便携型低频音乐按摩靠垫
CN203523024U (zh) 一种智能型多功能耳机
US11606636B2 (en) Somatosensory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somatosensory vib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