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216A -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 Google Patents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216A
KR20100093216A KR1020090012306A KR20090012306A KR20100093216A KR 20100093216 A KR20100093216 A KR 20100093216A KR 1020090012306 A KR1020090012306 A KR 1020090012306A KR 20090012306 A KR20090012306 A KR 20090012306A KR 20100093216 A KR20100093216 A KR 2010009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riority
range
sensor nod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4901B1 (en
Inventor
이윤석
Original Assign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901B1/en
Publication of KR2010009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9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Abstract

PURPOSE: A sensor node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sure differentiated packet transmission depending on the quality of sensing data by reflecting the important degree of the sensing data to a priority of a packet. CONSTITUTION: A priority setting unit(203) determines the priority of a generated packet of a packet generating unit(202), and stores the priority at a preamble for the synchronization of a sensor node. A back-off range setting unit(205) sets up the back-off range of a transmission range based on at least one priority of the priority of the packet, the priority of a packet transmitted from another sensor node, and the priority of a packet received through overhearing.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 및 백 오프 레인지 조절 방법{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과 관련된다. 특히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백 오프 레인지 조절을 통해 QoS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guaranteeing QoS through back-off range adjustment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최근 다양한 센서와 소형 프로세서가 결합한 센서 노드(또는 모트)들이 자율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특정 지역의 환경, 생태, 보안, 이동상태 등을 모니터링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sensor nodes (or motes) in which various sensors and small processors are combined form an autonomous network, and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o monitor environment, ecology, security, and mobility of a specific area.

이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다수의 센서 노드가 주변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처리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와 통신이 가능한 싱크 노드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면 환경 모니터링, 자연재해와 같은 긴급 상황의 감지, 물체의 이동경로 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다. In these wireless sensor network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sense and proces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 the desired information to the sink nod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environmental monitoring, detection of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natural disasters, and tracking the movement of objects.

특히, 재해 상황의 감지 등과 같은 응용에서는 해당 정보(또는 이벤트)가 신속하고 신뢰성 높게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차별화된 처리 기술이 필요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해당 정보와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데이터의 처리 및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applications such as the detection of a disaster situation, the information (or event) needs to be delivered quickly and reliably. To this end, differentiated processing technology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data, but most sensor networks are currently processing and transmitting data uniformly regardless of the informa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와 같은 차별화 기술을 구현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선 매체의 잦은 품질 변화와 센서 노드 간의 잦은 충돌로 인해 안정된 전송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데에 있다.The reason why such a differentiation technology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tha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stable transmission due to frequent quality changes of wireless media and frequent collisions between sensor nodes.

데이터를 생성한 센서 노드로부터 목적지 센서 노드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각 센서 노드들 내에서의 데이터 처리시간, 전송 큐 대기시간, 무선 채널의 사용을 위한 백 오프(Backoff) 지연시간, 전송 실패에 따른 재전송 시간 등으로 인한 전달 지연시간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from the sensor node that generated the data to the destination sensor node, the data processing time, transmission queue waiting time, backoff delay time for the use of the wireless channel, transmission in each sensor node In general, a propagation delay occurs due to retransmission time due to a failure.

예를 들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 상 다수의 센서 노드들에서 하나 혹은 소수의 싱크 센서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싱크 센서 노드에 가까운 센서 노드나 데이터가 비교적 많이 생성되는 지역에서는 패킷 수신이 집중되고, 이는 자연히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을 가져온다. 이런 지역적 혼잡 상황의 경우 센서 노드 내에서의 전송 큐 대기, 패킷을 전송하려는 센서 노드들 사이의 채널 사용을 위한 경쟁, hidden node problem 등으로 인한 전송 실패로 전송 지연 시간이 더욱 증가한다. For examp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ince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ransmit data to one or a few sink sensor nodes, packet reception is concentrated in an area whe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or data are generated close to the sink sensor node, This naturally leads to network congestion. In this local congestion situation, transmission delay time is further increased due to transmission failure due to queue waiting for transmission in a sensor node, contention for channel use among sensor nodes to transmit a packet, and hidden node problem.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환경적,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QoS(Quality of Service) 제공이나 효율적인 패킷 전송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 분야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며 데이터 특성에 따른 QoS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Due to the environment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ere is a difficulty in providing QoS (Quality of Service) or efficient packet transmission. Nevertheless, in recent years, the application fields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re is a need to provide QoS according to data characteristics.

본 명세서에서는, 센싱된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패킷의 우선 순위 및 주변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백 오프 레인지를 조절하여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개시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capable of determining the priority of a packe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sensed information and adaptively adjusting the back-off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packet and the surrounding network situation provides a QoS. Is initiat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는,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이 우선 순위를 다른 센서노드와의 동기화를 위한 프리앰블에 저장하는 우선 순위 셋팅부; 및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및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overhearing)을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1 이상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전송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백 오프 레인지 셋팅부; 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node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e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acket for the sensing data; A priority setting unit which determines a priority of packet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sensing data, and stores the priority in a preamble for synchroniz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And a back off range of the transport packet using at least one priority among generated priority of the generated packet, priority of a packet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and priority of a packet received through overhearing from another sensor node. A back off range setting unit for setting a; It may includ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백 오프 레인지 조절 방법은,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 우선 순위를 다른 센서노드와의 동기화를 위한 프리앰블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및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overhearing)을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1 이상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전송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adjusting a back off rang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enerating a packet for sensing data; Determining priorities of packets according to importance of sensing data, and storing the priorities in a preamble for synchroniz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And a back off range of the transport packet using at least one priority among generated priority of the generated packet, priority of a packet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and priority of a packet received through overhearing from another sensor node. Setting up; It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프리앰블은 현재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및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amble may include both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currently and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next.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는 자신이 생성한 패킷의 우선 순위 또는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와,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를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러한 상대적인 우선 순위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off range compares the priority of the packet generated by itself or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with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through eavesdropping from another sensor nod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relative priorities, and to be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se relative priorities.

개시된 내용에 의하면, 패킷의 우선 순위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가 결정되고, 패킷의 우선 순위는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를 반영하므로 센싱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차별화된 패킷 전송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자신이 보유한 패킷의 우선 순위뿐만 아니라 엿듣기를 통해 주변 센서노드들이 보유한 패킷의 우선 순위도 고려하여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s, since the back off ran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packet, and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flects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it is possible to guarantee differentiated packet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ensing data. Also, in determining the back off range, the back off ran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iority of packets owned by neighboring sensor nodes as well as the priority of the packets owned by the neighb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ff rang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일정한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노드(101)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1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각각의 센서노드(예, 101-1)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정보(예컨대, 환경, 생태, 보안, 이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취득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Each sensor node (eg, 101-1) uses a sensor module to acquire surrounding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environment, ecology, security, movement state, etc.), and transmits the acquired information using a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센서노드들(101)은 무선 네트워크를 이룬다. 즉, 센서노드들(101)은 서로 무선 채널을 공유하고 이 무선 채널을 통해 센싱된 정보에 관한 패킷을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을 위한 무선 프로토콜은 B-MAC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으며, 통신 개시 전에 센서노드들(101)이 프리앰블 신호(preamble signal)를 주고 받아 동기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Sensor nodes 101 form a wireless network. That is, the sensor nodes 101 may share a radio channel with each other and transmit and receive packets regard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radio channel. As a wireless protocol for communication, the B-MAC protocol may be used, and the sensor nodes 101 may transmit and receive a preamble signal to synchronize with each other before the communication starts.

예컨대, 센서노드 A(101-1)가 주변의 온도 정보를 취득하여 센서노드 B(101-2)로 전송하면, 센서노드 B(101-2)는 자신이 취득한 주변의 온도 정보와 센서노드 A(101-1)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10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싱크 노드(101-3)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sensor node A 101-1 acquires ambie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sensor node B 101-2, sensor node B 101-2 acquires ambient temperature information and sensor node A acquired by itself.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temperatur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101-1 and transmit it to the sink node 101-3 which is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ser 102.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100)을 화재 발생 가능 지역에 형성하고, 사용자(102)는 센서노드들(101)이 취득한 정보를 통해 이 지역의 온도 상황 또는 화재 발생 여부 등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fire-prone area, and the user 102 uses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or nodes 101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temperature situation or fire occurs in the area. It is possible to monitor.

사용자(102)가 특정 지역의 상황을 정확히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들(101) 간의 정보 전달에 QoS(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어야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들(101)은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의 중요도 및 네트워크의 상황을 고려하여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backoff range)를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QoS가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rder for the user 102 to accurately monitor the situation in a specific region, a quality of service (QoS) must be guaranteed for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the sensor nodes 101. When the sensor nodes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QoS can be guaranteed by adaptively adjusting the backoff range of the packet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network situation.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를 도시한다.2 illustrates a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노드(200)는 센서부(201), 패킷 생성부(202), 우선 순위 셋팅부(203), 동기화부(204), 백 오프 레인지 셋팅부(205), 패킷 송수신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nsor node 200 includes a sensor unit 201, a packet generator 202, a priority setting unit 203, a synchronization unit 204, a back off range setting unit 205, and packet transmission / reception. It may include a portion 206.

센서부(201)는 주변 환경을 모니터링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센서부(201)는 주기적으로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시간 별 온도에 관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nsor unit 201 generates sensing data by monito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01 may periodically generate ambient temperature to generate digital data about temperature for each time.

패킷 생성부(202)는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한다. 여기서, 패킷이란 다른 센서노드와의 통신을 위한 센싱 데이터의 전송 형태를 말한다. 예컨대, 패킷 생성부(202)는 센서노드들 간의 통신을 위해 Tiny OS 1.x에서 제공하는 TOS_Msg 포맷을 기초로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acket generator 202 generates a packet for sensing data. Here, the packet refers to a transmission form of sensing data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For example, the packet generator 202 may generate a packet for sensing data based on the TOS_Msg format provided by Tiny OS 1.x for communication between sensor nodes.

우선 순위 셋팅부(203)는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The priority setting unit 203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packe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센싱 데이터는 패킷의 형태로 전달되므로 패킷의 우선 순위는 센싱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킷의 우선 순위는 센싱 데이터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센싱 데이터에 대해 각각 차등적인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센싱 데이터를 패킷화할 때 이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패킷 포맷 상의 특정한 필드에 담아서 패킷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 및 중요도에 따른 우선 순위는 응용 특성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Since the sensing data is delivered in the form of a packet, the priority of the packet may be the priority of the sensing data. Therefore, the priority of the packet classifies the sensing data according to importance, gives a differential priority to each of the classified sensing data, and when packetizing the sensing data,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is assigned to a specific field on the packet format. It can be determined by the method of generating a packet. At this time, the priority of the sensing data and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may be variously def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또한, 우선 순위 셋팅부(203)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다른 센서노드와의 동기화를 위한 프리앰블에 추가한다. 즉,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부분은 패킷 포맷 상의 프리앰블 영역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ority setting unit 203 adds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the preamble for synchroniz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That is, the part where the priority information is stored may be a preamble area on the packet format.

여기서 프리앰블 영역은 다른 센서노드들과의 동기화를 위해 패킷 전송 전에 송수신되는 프리앰블 신호에 대응되는 영역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센서노드가 B-MAC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Tiny OS 1.x에서 제공하는 TOS_Msg 포맷의 프리앰블에 우선 순위를 추가하여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preamble area refer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a preambl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fore packet transmission for synchroniz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For example, when the sensor node uses a B-MAC-based communication protoco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he packet by adding a priority to the TOS_Msg format preamble provided by Tiny OS 1.x.

또한, 우선 순위 셋팅부(203)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프리앰블에 추가할 때, 현재 패킷에 관한 우선 순위 및 다음에 전송할 패킷의 우선 순위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한 센서노드(200)는 주변 센서노드가 전송할 패킷의 우선 순위를 엿듣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priority setting unit 203 adds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the preamble, it is possible to add the priority of the current packet and the priority of the next packet to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sensor node 200 receiving the preamble signal can overhear the priority of packets transmitted by the neighbor sensor nodes.

동기화부(204)는 이러한 프리앰블 신호를 주변 센서노드들과 주고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ynchronizer 204 transmits and receives the preamble signal with the peripheral sensor nodes.

백 오프 레인지 셋팅부(205)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전송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한다.The back off range setting unit 205 sets the back off range of the transport packet by using the priority of the packet.

전송 패킷은 자신이 생성하거나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하여 또 다른 센서노드로 전송하려는 패킷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패킷은 패킷 생성부(202)에 의해 생성된 자신의 패킷 또는 패킷 송수신부(206)를 통해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전달받은 패킷이 될 수 있다.The transport packet may be a packet generated or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and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sensor node. For example, the transport packet may be its own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or 202 or a packet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through the packet transceiver 206.

그리고, 백 오프 레인지(backoff range)는 패킷의 전송 대기 시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즉, 어떠한 패킷의 전송 대기 시간은 주어진 백 오프 레인지 내에서 임의의 값이 선택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백 오프 레인지가 큰 값을 가지면 전송 대기 시간은 확률적으로 길어지고, 백 오프 레인지가 작은 값을 가지면 전송 대기 시간은 확률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The backoff range may be a range of waiting time for transmitting a packet. That is, it is possible for any packet transmission latency to be selected at random within a given back off range. For example, if the back off range has a large value, the transmission wait time may be probabilistically long, and if the back off range has a small value, the transmission wait time may be shortened probabilisticly.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기 위해 고려하는 패킷의 우선 순위는 패킷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패킷 송수신부(206)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및 동기화부(204)로부터 수신한 프리앰블에 명시된 이웃 노드들이 가진 패킷의 우선 순위 등이 될 수 있다.The priority of the packet considered to set the back off range is the priority of the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or 202,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packet transceiver 206, and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synchronizer 204. This may be the priority of packets of neighboring nodes specified in the preamble.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식을 정적 설정 모드와 동적 설정 모드로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 back off range setting method is divided into a static setting mode and a dynamic setting mode as follows.

정적 설정 모드는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만 고려하여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예컨대, 패킷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패킷들 간의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할 때, 각 패킷의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의 백 오프 레인지를 부여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써, 패킷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패킷과 패킷 송수신부(206)를 통해 수신한 패킷이 경합하는 경우, 각 패킷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정해진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Static configuration mode i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back off range by considering only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when determining the back off range between the packets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or 202, the higher the priority of each packet may be a method of giving a back off range of a smaller value. As another example, when a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or 202 and a packet received through the packet transceiver 206 contend, it is possible to set a back off rang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each packet.

동적 설정 모드는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센서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함께 고려하여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200)는 프리앰블 신호를 패킷 전송 전에 주고 받고, 이 프리앰블 신호에는 현재 및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동기화부(204)를 통해 수신한 프리앰블 신호로부터 주변 센서노드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동적 설정 모드에서는 패킷 생성부(202)에서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와, 동기화부(204)가 수신한 주변 센서노드가 다음에 전송할 패킷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 상대적인 우선 순위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dynamic configuration mode refers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back off range by considering not only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ut also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other sensor nodes in the vicinity.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nod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ansmits and receives a preamble signal before packet transmission, and the preamble signal includes priority information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now and next, and thus received through the synchronization unit 204.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peripheral sensor node from the preamble signal. For example, in the dynamic configuration mode, the priority of the packet generated by the packet generator 202 and the peripheral sensor node received by the synchronizer 204 are compared with the priority of the next packet to determine the relative priorit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back off r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priority.

따라서, 센서노드가 패킷을 전송할 때 패킷의 우선 순위와 주변 네트워크 상황을 모두 고려하여 백 오프 레인지가 적응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무선 채널 사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when the sensor node transmits the packet, the backoff range is adaptively set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acket priority and the surrounding network situation,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wireless channel usage efficiency of the networ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3 illustrates a packet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TinyOS 1.x에서 제공하는 TOS_Msg 포맷에서 새로운 필드들이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new fields are added in the TOS_Msg format provided by TinyOS 1.x.

추가된 필드들을 살펴보면, priority 필드(301)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며, 패킷 포맷 상의 프리앰블 영역에 지정된다. priority 필드(301)는 1byte로 지정될 수 있으며, 상위 4bit에는 다음에 전송될 패킷의 우선 순위가, 하위 4bit에는 현재 패킷의 우선 순위가 지정되는 것이 가능하다.Looking at the added fields, the priority field 301 indicates the priority of the packet and is designated in the preamble area on the packet format. The priority field 301 may be designated as 1 byte, and the priority of the next packet to be transmitted may be specified in the upper 4 bits and the priority of the current packet in the lower 4 bits.

pinversion 필드(302)는 TinyOS기반의 송/수신 처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높은 우선 순위 패킷에 대한 데이터 처리지연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고, pseqnum 필드(303)은 우선 순위별 패킷 손실률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sendTime 필드(304)은 패킷의 전달시간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pinversion field 302 is used to improve the data processing delay for high priority packets that may occur during TinyOS-based transmit / receive processing, and the pseqnum field 303 is used to evaluate packet loss rate by priority. The sendTime field 304 is used to evaluate the delivery time of the packe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적 백 오프 레인지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 static back off ran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정적 백 오프 레인지는 백 오프 레인지 설정부(205)가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할 때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만 고려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가 있다. 이때,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은 패킷 생성부(202)로부터 수신된 패킷 또는 패킷 송수신부(206)를 통해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이 될 수 있다.In FIG. 4, the static back off range may be used when the back off range setting unit 205 considers only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when setting the back off range of the packet. In this case,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itself may be a packet received from the packet generator 202 or a packet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through the packet transceiver 206.

예를 들어, 백 오프 레인지 설정부(205)는 패킷 전송 전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작은 범위의 백 오프 레인지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백 오프 레인지가 작을수록 전송 대기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므로, 패킷 송수신부(206)가 패킷을 전송할 때 우선 순위가 높은 패킷의 무선 채널 점유율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back off range setting unit 205 may apply a back off range of a smaller range as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efore the packet transmission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waiting time is relatively shorter as the back off range is smaller, it is possible for the packet transceiver 206 to guarantee the radio channel occupancy rate of a packet having a high priority when transmitting the packe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백 오프 레인지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 dynamic back off ra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5에서, 동적 백 오프 레인지는 백 오프 레인지 설정부(205)가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할 때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와 다른 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모두 고려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가 있다.In FIG. 5, when the back off range setting unit 205 sets the back off range of a packet, the dynamic back off range considers both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and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another node. Can be used.

예를 들어, 백 오프 레인지 설정부(205)는 패킷 전송 전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와 엿듣기를 통해 수신한 다른 센서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 위를 비교하여 전송하려는 패킷의 상대적인 우선 순위인 order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 order에 따라 차등적인 백 오프 레인지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back off range setting unit 205 compares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efore the packet transmission with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another sensor node received through eavesdropping, which is a relativ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rder. And it is possible to apply a differential back off range based on this order.

일 예로써, order에 따른 각각의 백 오프 레인지는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each back off range according to the order may be expressed as follows.

Order 0 = RangeOrder 0 = Range

Order N = Range × N + Order 0's Max Value (N = 1,2,3,4)Order N = Range × N + Order 0's Max Value (N = 1,2,3,4)

즉, 비교된 상대적인 우선 순위 순서에 따라 Order 0은 짧은 범위(Range)내의 Random Value를 갖게 하여 백 오프 시간을 설정하고, Order N부터는 Order 순서에 따라 Range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Range안에서 Random한 값을 설정한 후에 Order 0에 설정될 수 있는 최대값을 더하여 백 오프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relative order of comparison, Order 0 has a random value within a short range to set the back-off time.From Order N, the range increase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order, and the random value is increased within the increased range. After setting, it is possible to set the back off time by adding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set to Order 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다.6 illustrates an operation of a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A, B, C, D는 센서노드를 각각 나타내고, P1, P2, P3은 패킷을 나타낸다.In Fig. 6, A, B, C, and D represent sensor nodes, respectively, and P1, P2, and P3 represent packets.

센서노드 A, B, C, D(601, 602, 603, 604)는 각각 패킷 전송 전에 프리앰블 신호를 주고 받아 동기를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할 때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 순위를 프리앰블에 추가하여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프리앰블 상에는 현재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와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가 모두 담길 수 있다. 나아가,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할 때,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 의 우선 순위 및/또는 주변 센서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nsor nodes A, B, C, and D (601, 602, 603, 604) can transmit and receive a preamble signal before packet transmission, respectively, to synchronize. When generating a packet for sensing data,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acket by adding a priority to the preambl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In addition, the preamble may include both priority information of a packet currently to be transmitted and priority information of a packet to be transmitted next. Further, when setting the back off range of the packet,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set the back off range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itself and / or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the neighboring sensor nodes.

일 예로써, A 센서노드(601)에 대해 살펴본다.As an example, the A sensor node 601 will be described.

A 센서노드(601)는 현재 P1 패킷을 전송하려고 하고, 다음에 P2 패킷을 전송하려고 한다. 이때, 각각의 P1 패킷 및 P2 패킷은 전송 대기 시간을 갖는데, 이 전송 대기 시간은 설정된 백 오프 레인지 내에서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P1 패킷 및 P2 패킷이 갖는 백 오프 레인지는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주어진다. 예를 들어, P1 패킷에 관한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가 P2 패킷에 관한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보다 높은 경우, P1 패킷에 더 높은 우선 순위와 더 짧은 백 오프 레인지가 부여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 sensor node 601 attempts to transmit the current P1 packet, and then attempts to transmit the P2 packet. At this time, each P1 packet and P2 packet have a transmission waiting time, which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within a set back off range. In addition, the back off ranges of each P1 packet and P2 packet are given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sensing data. For example, if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with respect to the P1 packet is high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with respect to the P2 packet, it is possible to give the P1 packet a higher priority and a shorter back off range.

그리고, A 센서노드(601)는 P1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P1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 및 P2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를 프리앰블 신호에 담아서 주변의 센서노드(예컨대, 602)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P1 패킷을 수신한 B 센서노드(602)는 A 센서노드(601)가 다음에 전송할 패킷인 P2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를 미리 엿듣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 sensor node 601 may transmit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P1 packet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P2 packet to a neighboring sensor node (eg, 602) in a preamble signal before transmitting the P1 packet. For example, the B sensor node 602 that has received the P1 packet can listen in advance to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P2 packet, which is the packet that the A sensor node 601 will transmit next.

또 다른 예로써, B 센서노드(602)에 대해 살펴본다.As another example, the B sensor node 602 will be described.

B 센서노드(602)는 A 센서노드(601)로부터 전달 받은 P1 패킷을 C 센서노드(603)로 전송하고자 한다. 이때, B 센서노드(602)는 P1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할 때, P1 패킷의 우선 순위뿐만 아니라 D 센서노드(604)가 전송하려는 P3 패킷의 우선 순위 및 A 센서노드(601)가 전송하려는 P2 패킷의 우선 순위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P3 패킷은 D 센서노드(604)가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으로, P3 패킷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는 B 센서노드(602)가 D 센서노드(604)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P2 패킷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 역시 B 센서노드(602)가 A 센서노드(601)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다.The B sensor node 602 intends to transmit the P1 packet received from the A sensor node 601 to the C sensor node 603. At this time, when the B sensor node 602 determines the back off range of the P1 packet, not only the priority of the P1 packet but also the priority of the P3 packet that the D sensor node 604 intends to transmit and the A sensor node 601 intends to transmit.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the priority of P2 packets. The P3 packet is a packet that the D sensor node 604 intends to transmit nex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priority of the P3 packet may be detected by the B sensor node 602 by receiving the preamble signal from the D sensor node 604. . Information regarding the priority of the P2 packet may also be obtained by the B sensor node 602 receiving the preamble signal from the A sensor node 601.

B 센서노드(602)에서, P1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B 센서노드(602)는 먼저 P1 패킷의 우선 순위, 이웃 노드인 A 센서노드(601)가 전송하려는 P2 패킷의 우선순위, 그리고 또 다른 이웃 노드인 D 센서노드(604)가 전송하려는 P3 패킷의 우선 순위를 서로 비교하여 상대적인 우선 순위인 order를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order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를 부여한다. 따라서, P1 패킷의 우선 순위가 매우 낮아 백 오프 레인지가 크게 설정되는 경우라도, 주변 센서노드들이 전송하려는 패킷이 없는 경우에는 상대적인 우선 순위인 order가 앞서게 되고 (작은 값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가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을 통해 무선채널을 공유하는 A(601), B(602), D(604) 간의 채널쟁탈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서로가 가진 패킷의 우선순위 비교에 따른 상대적인 채널점유 순서매김이 가능하다.In the B sensor node 602, to determine the back off range of the P1 packet, the B sensor node 602 first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P1 packet, and the priority of the P2 packet to be transmitted by the A sensor node 601, which is a neighbor node. Then, another neighbor node D sensor node 604 compares the priorities of the P3 packets to be transmitted to each other and calculates a relative priority order. The backoff range is give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rder. Therefore, even if the priority of the P1 packet is very low and the back off range is set large, if there are no packets to be transmitted by neighboring sensor nodes, the relative priority order is preceded (has a small value). It is possible for the range to be adaptively adjusted. This method allows relative channel occupancy order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comparison of packets with each other in a situation where channel conflict between A (601), B (602), and D (604) sharing a radio channel is inevitab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 illustrates a method of setting a back off rang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method for setting the back off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s follows.

먼저,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한다(701). 예를 들어, 패킷 생성 부(202)가 센서부(201)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대해 TinyOS 1.x에서 제공하는 TOS_Msg 포맷을 기초로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a packet for sensing data is generated (701). For example, the packet generation unit 202 may receive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unit 201 and generate a packet based on the TOS_Msg format provided by TinyOS 1.x for the received sensing data.

이어서,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702). 예를 들어, 우선 순위 셋팅부(203)가 센서부(201)의 센싱 데이터를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센싱 데이터 각각에 대해 차등적인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이 우선 순위를 해당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의 프리앰블 영역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iority of the packet is then determined (702). For example, the priority setting unit 203 classifies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unit 201 according to importance, assigns the differential priority to each of the classified sensing data, and then assigns the priority to the corresponding sensing data. It is possible to add to the preamble area of the packet for.

이어서, 프리앰블 신호를 주변의 센서노드들로 전송한다(703). 이때, 프리앰블 신호에는 현재 전송하려고 하는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 및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정보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Subsequently, the preamble signal is transmitted to surrounding sensor nodes (703).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reamble signal may include both priority information of a packet to be transmitted currently and priority information of a packet to be transmitted next.

이어서, 주변 센서노드로부터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704).In operation 704, it is determined whether a preamble signal is received from a peripheral sensor node.

판단 결과, 프리앰블 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정적 설정 모드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한다(705). 예를 들어, 자신이 스스로 생성하거나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 등과 같이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정해진 백 오프 레인지를 패킷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작은 백 오프 레인지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amble signal is not received, the back off range is set according to the static setting mode (705).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ive the packet a back off range determined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itself, such as a packet generated by itself or received from another sensor node. In this case, the higher the priority, the smaller the back off range can be set.

판단 결과, 프리앰블 신호의 수신을 통해 이웃 센서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동적 설정 모드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한다(706). 예를 들어, 스스로 생성하거나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 등과 같이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와 프리앰블 신호를 통해 엿들은 주변 센서 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함께 고려하여 백 오프 레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자신이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와 주변 센서노드가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 상대적인 우선 순위에 따라 차등적인 백 오프 레인지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neighbor sensor node receives the packet priority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ception of the preamble signal, the back off range is set according to the dynamic configuration mode (706). For example, the back-off range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iority of packets to be transmitted by the preamble signal, such as packets generated by themselves or received from other sensor nodes, and the priority of packets to be transmitted by neighboring sensor nodes. It is possible to do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lative priority by comparing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with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by the peripheral sensor node, and to set the differential back-off r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priority.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패킷의 우선 순위 및/또는 주변의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백 오프 레인지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선 순위가 높은 패킷의 무선 채널 선점을 보장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가 낮은 패킷이라도 주변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무선 채널 선점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무선 채널 사용 효율성 및 QoS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s, it can be seen that the back off range can be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packets and / or network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preemption of radio channel of high priority packet,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reemption of wireless channel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urrounding network even for the packet of low priority, thereby guarantee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use of the radio channel and QoS. You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의 구성을 도시한다.2 shows a configuration of a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3 illustrates a packet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적 백 오프 레인지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 static back off ran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백 오프 레인지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 dynamic back off ra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노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법을 도시한다.7 illustrates a method of setting a back off rang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패킷 생성부;A packet generator for generating a packet for sensing data; 상기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며, 상기 우선 순위를 다른 센서노드와의 동기화를 위한 프리앰블에 저장하는 우선 순위 셋팅부; 및A priority setting unit determining a priority of the packe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and storing the priority in a preamble for synchroniz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And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overhearing)을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1 이상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전송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백 오프 레인지 셋팅부; 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Backoff of the transport packet using at least one priority of the generated packet,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other sensor node, and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through overhearing from the other sensor node. A back off rang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ange; Sensor node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리앰블은 현재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및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Wherein the preamble includes information regarding a priority of a packet to be transmitted currently and a priority of a packet to be transmitted nex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백 오프 레인지 셋팅부는 상기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또는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와,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를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 기 상대적인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노드.The back off range setting unit determines a relative priority by comparing the priority of the generated packet or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other sensor node with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through the other sensor node. The sensor node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back off r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priority. 센싱 데이터에 대한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packet for sensing data; 상기 센싱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패킷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 순위를 다른 센서노드와의 동기화를 위한 프리앰블에 저장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priority of the packet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ensing data and storing the priority in a preamble for synchronization with other sensor nodes; And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및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overhearing)을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1 이상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전송 패킷의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법.Backoff of the transport packet using at least one priority of the generated packet,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other sensor node, and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through overhearing from the other sensor node. Setting a range; Method for setting a back off rang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리앰블은 현재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 및 다음에 전송하려는 패킷의 우선 순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법.The preambl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currently and the priority of the packet to be transmitted nex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패킷의 우선 순위 또는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와, 상기 다른 센서노드로부터 엿듣기를 통해 수신한 패킷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우선 순위를 결정 하고, 상기 상대적인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백 오프 레인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백 오프 레인지 설정 방법.The setting of the back off range may be performed by comparing the priority of the generated packet or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from the other sensor node with the priority of the packet received through the other sensor node. Determining a rank and setting the back off range according to the relative priority.
KR1020090012306A 2009-02-16 2009-02-16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0249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06A KR101024901B1 (en) 2009-02-16 2009-02-16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06A KR101024901B1 (en) 2009-02-16 2009-02-16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16A true KR20100093216A (en) 2010-08-25
KR101024901B1 KR101024901B1 (en) 2011-03-25

Family

ID=4275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06A KR101024901B1 (en) 2009-02-16 2009-02-16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9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746A (en) * 2018-02-23 2019-09-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Node and method for routing on ad-hoc network,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546A (en) 2011-06-15 2012-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very based on priority in distributed network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covery backoff ti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22B1 (en) * 2003-12-31 201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dapting priority for transmitting packet in WPAN
KR100645539B1 (en) * 2005-08-19 2006-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radio resource in wla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746A (en) * 2018-02-23 2019-09-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Node and method for routing on ad-hoc network,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901B1 (en) 201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leato et al. Distance aware collision avoidance protocol for ad-hoc 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s
Mahapatra et al. QoS and energy aware routing for real-time traffic 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9479963B2 (en) Collision avoidance for wireless networks
KR1007095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neighbors within a piconet communication system
JP4105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free transmission scheduling using proximity information and advertised transmission time
JP4966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connection recovery
JP2009100443A (en) Method of setting packet transmission path in ad hoc network and network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194374B2 (en) Network join method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network join method
JP2013527640A (en) Extensions for increased spatial reuse in ad hoc networks
JP2009501489A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Ng et al. An underwater acoustic MAC protocol using reverse opportunistic packet appending
KR101458245B1 (en) Method for notifying/avoding congestion situation of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mesh network, and mesh node for the same
KR101024901B1 (en) Sensor n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off range of wireless sensor network
JP2011035600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78735A (en) Method and apparatus performing express retransmission of frames
Ye et al. A jamming‐based MAC protoco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reless multihop ad‐hoc networks
KR20120079741A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backoff counter in wireless mesh network having plural relay nod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JP4563210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nod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557588B1 (en) Apparatus for packet retransmiss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Kuma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AC protocols for Manet
KR100922863B1 (en) A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using beacon only period
Rahman et al. CUMAC-CAM: addressing triple hidden terminal problems for multi-channel transmission in underwater sensor networks
Tuan et al. Improving Fairness in Wireless Ad Hoc Networks by Channel Access Sensing at Link Layer and Packet Rate Control
Modiano Packet multiple access and the Aloha protocol
JP529986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