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73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92739A KR20100092739A KR1020090012016A KR20090012016A KR20100092739A KR 20100092739 A KR20100092739 A KR 20100092739A KR 1020090012016 A KR1020090012016 A KR 1020090012016A KR 20090012016 A KR20090012016 A KR 20090012016A KR 20100092739 A KR20100092739 A KR 201000927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portion
- shelf
- shelves
- holder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선반들 간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선반, 단차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상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수납박스 등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들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다수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 수납박스 및 바스켓 등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장 공간의 폭이 넓게 형성되면, 상기 선반이 가로 방향으로 2개가 연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인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선반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선반의 후단부에 걸림 돌기가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벽에 생성되는 홀더에 끼워지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좌우 선반들은 동일한 공정을 거쳐서 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공정을 거치더라도, 각 부품 간에는 공정상의 오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부품별로 미세한 치수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등의 부품에는 발포 공정이 필요한데, 상기 발포의 정도에 따라 치수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은 상기 인너 케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홀더에 고정되므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치수 변화가 상기 선반의 위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에 의해 동일한 공정을 거친 선반을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하더라도, 상기 선반 간에는 단차가 생긴다. 상세히, 상기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선반들의 상면의 높이가 다른 상하 단차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선반들 의 인접하는 두 면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간격이 다른 간격 단차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선반들의 전단부가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벽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다른 앞뒤 단차가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단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음식물을 상기 좌우 선반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도록 저장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상세히, 음식물을 상기 단차가 발생된 구간에 올려 놓을 경우, 상기 음식물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에 일측의 선반에 더 크게 가해지므로, 그 선반은 하방으로 처지는 등의 변형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을 슬라이딩시키는 경우 상기 단차가 존재하면, 상기 좌우 선반들 간에 간섭이 발생되므로, 일측의 선반을 정상적으로 슬라이딩 인출입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단차가 존재하면, 상기 냉장고의 미감을 해치게 되므로,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선반들 간의 단차의 발생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에 저장되는 음식물이 기울어지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들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어 미감이 증진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에 제공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게 제공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복수 개의 선반;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벽의 양측에 제공되고, 상기 선반의 외측 후단부가 결합되는 사이드 결합홈이 구비되는 사이드 홀더; 및 상기 사이드 홀더의 사이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선반의 내측 후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결합홈보다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중앙 결합홈이 구비되는 중앙 홀더가 포 함되고, 이웃하는 상기 선반의 마주보는 두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제 1 가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제 1 가압부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저장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이웃하게 제공되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복수 개의 선반; 상기 선반의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반이 이웃한 선반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홀더; 상기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앞 부분에 제공되며, 이웃한 선반을 밀어내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선반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선반의 앞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가압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가압부를 밀어내는 제 2 가압부가 포함되고, 상기 이웃하는 두 선반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와 후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가 서로를 밀어냄으로써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선반들 간의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에 저장되는 음식물이 기울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의 슬라이딩 인출입 시 측방에 위치한 선반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을 저장하기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이 가지런하게 정렬되어 있으므로, 미감이 증진되어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3도어 바텀프리즈(3 Door Bottom Freeze) 타입 냉장고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도시된 3도어 바텀프리즈 타입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실이 상측에 위치하는 탑마운트(Top Mount) 타입 및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제공되는 양문형(Side by side) 타입 등의 냉장고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10), 상기 저장 공간의 상부에 제공되어 음식물이 냉장 보관되는 냉장실(11), 상기 저장 공간의 하부에 제공되어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는 냉동실(12)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양측 단부에는, 상기 냉장실(11)을 회전 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13)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는 냉동실 도어(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12)을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13)의 배면에는 우유, 치즈 등 독립된 수납 공간 이 필요한 음식물들이 저장되는 다수 개의 바스켓(17)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에는 음식물을 상면에 올려놓아 저장하는 다수 개의 선반(15, 16)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선반(15, 16)은 좌측 선반(15)과 우측 선반(16)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선반(15)과 우측 선반(16)은 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동일한 높이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5)의 하측에는 야채 등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수납박스(18)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11)의 중앙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냉장실(11)로 안내하기 위한 냉기 덕트(21)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덕트(21)는 상기 증발기가 제공되는 냉기 생성실로부터 상기 냉장실(11)의 최상부까지 상하로 연장된다. 상기 냉기 덕트(21)에는 복수 개의 냉기 토출구가 천공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1)로 냉기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14)는 상기 냉동실(12)의 전면부 전체를 덮는 크기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음식물 수용 공간이 큰 주서랍(19)과, 상기 주서랍(19)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음식물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서랍(20)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주서랍(19)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1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식품을 수납 및 인출하기가 편리하고,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선반과 본체의 결합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좌측 선반(15)에는 음식물이 올려져서 저장되는 선반부(150)와 상기 선반부(150)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지지부(15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선반부(150)에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선반면(152)과 상기 선반면(152)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지는 테두리부(151)가 포함된다. 상기 선반면(152)은 고내에 저장되는 음식물의 식별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51)의 양측은, 상기 지지부(153)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되기 위해, 적어도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하며, 슬라이딩의 제한을 위한 멈춤돌기(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부(150)의 전단부에는 데코부(151a)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3)에는 상기 테두리부(151)의 양측 단부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선반부(15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지프레임(154), 상기 지지프레임(154)을 연결하는 지지바(155), 상기 지지프레임(154)의 전단부에 가까운 지점에 제공되며 상기 선반부(150)에 제공되는 멈춤돌기(미도시)가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바(15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지지프레임(154)은 세로 방향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부(15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57)의 상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57)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후술할 결합홈(112, 212)에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부(157)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다른 홈에 끼워진다. 아울러, 사용자가 상기 좌측 선반(15)의 전단부를 상방으로 젖히더라도, 상기 결합부(157)의 상부가 후크 형상으로 제공되어 후술할 결합 홈(112, 212)에 계속 걸려 있으므로, 상기 좌측 선반(15)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57)는 상기 냉장실(11)의 후면벽에 제공되는 사이드 홀더(111) 및 중앙 홀더(211)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홀더(111)는 상기 냉장실(11)의 후면벽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상하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홀더(211)는 상기 냉기 덕트(21)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제공된다. 상기 홀더(111, 211)에는 상기 결합부(157)가 끼워지는 결합홈(112, 212)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게 천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 결합홈(212)에는 두 개의 선반의 결합부(157)가 끼워져야하므로 그 폭이 사이드 결합홈(112)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홀더(211)는 상기 사이드 홀더(111)에 비해 상기 냉장실(11)의 후벽면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즉, 상기 중앙 홀더(211)가 상기 사이드 홀더(111)보다 더 뒤쪽에 제공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그리고, 상기 선반부(150)의 우측면의 전단부에는 제1수용부(158)가 형성되고, 좌측면의 전단부에는 제1돌기부(159)가 형성된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우측 선반(16)의 구성은, 상기 좌측 선반(15)과 동일하므로, 상기 좌측 선반(15)의 설명을 원용하고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선반부(150)를 자유롭게 슬라이딩 인출입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선반(15)을 상기 홀더(111, 211)로부터 분 리하여 원하는 높이의 상기 결합홈(112, 212)에 재결합 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선반(15) 각각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우측 선반(16)에서도 동일하다.
도 3은 도 1의 사이드 홀더와 중앙 홀더가 인너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11)의 후면벽을 형성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사이드 홀더(111)가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 홀더(111)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홀더(111)의 전면에는 상기 결합부(157)가 끼워지는 상기 사이드 결합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냉기 덕트(21)가 제공된다. 상기 중앙 홀더(211)는 상기 냉기 덕트(21)의 중앙부에 장착되며, 전면부에는 상기 사이드 결합홈(112)과 대응되게 상기 중앙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 홀더(211)의 전면은 상기 사이드 홀더(111)의 전면보다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더 가깝게 형성된다. 즉, 상기 중앙 결합홈(212)이 상기 사이드 결합홈(112)보다 더 뒤쪽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후벽면으로부터 상기 중앙 결합홈(212) 및 상기 사이드 결합홈(112)까지의 거리는 L1만큼 차이가 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앙 결합홈(212)이 더 뒤쪽에 형성되므로, 상기 좌측 선반(15) 및 상기 우측 선반(16)을 각각 상기 결합홈(112, 212)에 결합하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15', 16') 선반의 전단부가 중앙으로 모이는 형상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이웃한 선반들의 후단부의 간격이 전단부의 간격보다 좁게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홈(112, 212)의 위치에 차이를 둠으로써, 강제적으로 이웃한 선반들 간에 간격 단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중앙으로 모이는 정도는 상기 L1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L1의 크기에 따라 기울어지게 결합된 선반(15', 16')은 서로 간섭되는 영역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반(15, 16)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선반(15, 16)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후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수 밀리미터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 4는 도 3의 사이드 홀더와 중앙 홀더에 선반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 1 수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제 2 돌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제 1 수용부와 제 2 돌기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112, 212)은 선반들 사이에 간격 단차가 발생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좌측 선반(15)과 상기 우측 선반(16)은 상면 및 전단부가 나란히 정렬되도록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중앙 결합홈(212)이 상기 사이드 결합홈(112)보다 더 뒤쪽에 제공되므로, 상기 좌측 선반(15)은 상기 홀더(111, 211)에 결합되면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받고, 상기 우측 선반(16)은 상기 홀더(111, 211)에 결합되면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받는다. 즉, 상기 선반들(15, 16)은 전단부가 중앙측으로 몰리도록 힘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좌측 선반(15)의 우측면의 전단부에는 제 1 가압부(158)가 제공되고, 상기 우측 선반(16)의 좌측면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대응되도록 제 2 가압부(169)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서로 상대를 가압하며 결합될 수 있도록 마주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결합 시 상기 선반(15, 16)의 상부면은 동일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선반(15, 16)의 전면 모서리는 동일 직선 위에 위치되도록,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공간은 후술할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측 선반(15)과 상기 우측 선반(16)이 서로 상대측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제공되므로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자연스럽게 상대 측에 힘을 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가압부(158) 및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선반(15, 16)의 전단부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서로를 밀어내어 상기 선반(15, 16)의 전단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므로, 상기 선반(15, 16)은 기울어지지 않고 간격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상기 제 1 가압부(158)는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심부로부터 'X'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가압부(158)는 4개의 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1 돌기(158a)와 제 3 돌기(158c)는 전방에 위치되고, 제 2 돌기(158b)와 제 3 돌기(158d)는 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 1 돌기(158a)와 제 2 돌기(158b)는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돌기(158c)와 제 4 돌기(158d)는 하측에 위치된다. 아울러, 상기 각 돌기들은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부(158)를 형성하는 돌기들은 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는 가장자리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돌기(158a, 158b, 158c, 158d)들은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심부로부터 소정 거리까지는 라운드지도록 경사지게 돌출되고, 그 이후에는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돌기(158a)는 가운데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더 높게 돌출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더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돌기(158c)는 상기 제 1 돌기(158a)와 마찬가지로 가운데에서 바깥으로 갈수록 더 높게 돌출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더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158b) 및 상기 제 4 돌기(158d)도 이와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은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각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은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는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는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좌측 선반(15)의 우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중심이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 1 가압부(158)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선반(15, 16)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의 중앙 측 단부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에 의해 구속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더 돌출되므로,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에 끼워졌을 때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들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과 각각 간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의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선반(15, 16)의 후단부 사이의 거리와 전단부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선반(15, 16)은 구조적으로 후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전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은 간격 단차가 발생되도록 상기 홀더(111, 211)에 결합되나,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끼워져 상기 전단부 사이의 거리를 상기 후단부 사이의 거리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돌출된 높이 또는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돌출된 높이를 조절함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선반(15)의 좌측면에는 상기 제 2 가압부(169)와 대응되는 형태의 가압부(159)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선반(16)의 우측면에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대응되는 형태의 가압부(168)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선반(15)과 상기 우측 선반(16)을 바꿔서 상기 홀더(111, 211)에 장착하 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결합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결합되면,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로 둘러싸인 공간, 즉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에 의해 구속된다. 상세히,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그 중앙 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돌출되므로,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의 중앙 측 단부는 상기 중앙 측의 소정의 공간과 함께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끼워질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돌기들(158a, 158b, 158c, 158d)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선반(15, 16)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와 후단부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되므로, 간격 단차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15, 16)의 상측면은 동일한 평면 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므로 높이 단차가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전반(15, 16)의 전면 모서리는 동일한 직선 위에 위치되 도록 형성되므로 앞뒤 단차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15, 16)은 구조적으로 전단부가 중앙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적은 양의 간섭량으로더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단차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반(15, 16)을 견고하게 결합해야하는데, 상기 선반(15, 16)이 중앙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므로,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간섭량이 적더라도 상기 중앙 방향 힘에 의해 상기 선반(15, 16)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선반(15, 16)의 슬라이딩 인출입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좌측 선반(15)의 상기 선반부(150)는 상기 우측 선반(16)과는 독립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인출입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부(150)를 인출할 경우,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결합은 해제되어야 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선반부(150)를 인출하면, 상기 제 1 가압부(158)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있는다. 즉, 상기 우측 선반(16)의 선반부의 고정력이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결합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선반부(15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돌기(158b)와 상기 제 4 돌기(158d)가 상기 제 2 가압부(169)를 지나쳐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2 돌기(158b) 및 상기 제 4 돌기(158d)는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결합은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돌기(158b)와 상기 제 4 돌기(158d)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선반부(150)를 인입할 경우,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2 돌기(158b)와 상기 제 4 돌기(158d)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가압부(158)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재결합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우측 선반(16)의 선반부를 인출하면,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결합은 해제되고,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1 돌기(158a)와 상기 제 3 돌기(158c)의 사이 공간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압부(158)는 원래의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제 1 돌기(158a)와 상기 제 3 돌기(158c)도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원활하게 상기 제 1 가압부(158)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우측 선반(16)의 선반부를 인입하면,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상기 제 1 돌기(158a)와 상기 제 3 돌기(158c) 사이의 공간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끼워지고, 상기 제 1 가압부(158)와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재결합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좌측 선반(15)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 선 반(15)을 상기 홀더(111, 21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좌측 선반(15)을 상방으로 젖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가압부(169)는 원래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제 3 돌기(158c)와 상기 제 4 돌기(158d)가 상기 제 2 가압부(169)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은 상기 선반부(150)가 인출입되는 과정과 유사하며,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우측 선반(15)의 높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가압부(158)의 원래 위치가 유지되고, 상기 제 2 가압부(169)가 이동되며, 이 과정 또한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냉장고(1)에 의하면, 상기 선반(15, 16)의 간격 단차, 앞뒤 단차, 상하 단차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15, 16)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단차가 제거되므로 음식물을 기울이지 않고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15, 16)이 각각 독립적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인출입되고 단차 또한 개선되었으므로,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감도 상승한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반과 본체의 결합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이드 홀더와 중앙 홀더가 인너 케이스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이드 홀더와 중앙 홀더에 선반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제 1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제 2 가압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제 1 가압부와 제 2 가압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정면도.
Claims (15)
-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상기 저장 공간에 제공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게 제공되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복수 개의 선반;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벽의 양측에 제공되고, 상기 선반의 외측 후단부가 결합되는 사이드 결합홈이 구비되는 사이드 홀더; 및상기 사이드 홀더의 사이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선반의 내측 후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결합홈보다 상기 저장 공간의 후면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중앙 결합홈이 구비되는 중앙 홀더가 포함되고,이웃하는 상기 선반의 마주보는 두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제 1 가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제 1 가압부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가압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사이드 홀더와 상기 중앙 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상기 사이드 결합홈과 상기 중앙 홀더는 서로 대응되는 높이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선반은 상기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웃하는 선반 사이의 간격은,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가 서로를 미는 것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가압부 및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선반의 앞 부분에 위치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선반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 1 가압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 2 가압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인접하는 상기 선반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도 상기 제 1 가압부에 상기 제 2 가압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의 위치는 대응 되게 형성되는 냉장고.
- 본체;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상기 저장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며,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이웃하게 제공되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복수 개의 선반;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벽면에 제공되고, 상기 선반의 후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반이 이웃한 선반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홀더;상기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앞 부분에 제공되며, 이웃한 선반을 밀어내는 제 1 가압부; 및상기 선반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선반의 앞 부분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가압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 1 가압부를 밀어내는 제 2 가압부가 포함되고,상기 이웃하는 두 선반의 전단부 사이의 거리와 후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가 서로를 밀어냄으로써 일치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선반에는,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지지부와,상기 지지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선반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상기 홀더에는 지지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복수 개가 연속되게 형성되는 냉장고.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가압부에는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돌기가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고,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복수 개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지는 냉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돌기들은 상기 제 2 가압부가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냉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돌기는 바깥 측이 중앙 측보다 더 돌출되는 냉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가압부가 상기 제 1 가압부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선반은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거나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는 냉장고.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돌기는 상기 제 2 가압부가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가압부와 상대적으로 적게 간섭되도록 돌출되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2016A KR101592567B1 (ko) | 2009-02-13 | 2009-02-13 | 냉장고 |
US13/003,928 US8926034B2 (en) | 2008-07-14 | 2009-06-08 | Refrigerator |
PCT/KR2009/003051 WO2010008141A2 (ko) | 2008-07-14 | 2009-06-08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2016A KR101592567B1 (ko) | 2009-02-13 | 2009-02-13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2739A true KR20100092739A (ko) | 2010-08-23 |
KR101592567B1 KR101592567B1 (ko) | 2016-02-05 |
Family
ID=4275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2016A KR101592567B1 (ko) | 2008-07-14 | 2009-02-13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256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990B1 (ko) * | 2012-09-04 | 2014-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선반 |
KR20190143111A (ko) * | 2018-06-20 | 2019-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
2009
- 2009-02-13 KR KR1020090012016A patent/KR10159256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3990B1 (ko) * | 2012-09-04 | 2014-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용 선반 |
KR20190143111A (ko) * | 2018-06-20 | 2019-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2567B1 (ko) | 2016-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40205B2 (en) |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 |
US9677807B2 (en) | Refrigerator | |
EP2728284B1 (en) | Refrigerator | |
EP2818814B1 (en) | Refrigerator | |
US8926034B2 (en) | Refrigerator | |
EP2775238B1 (en) | Refrigerator | |
US20130257253A1 (en) | Crisper pan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 |
US20130257254A1 (en) | Crisper pan guide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 |
KR20100130357A (ko) | 냉장고 | |
KR102472387B1 (ko) | 냉장고 | |
KR101995427B1 (ko) | 냉장고 | |
JP2022020948A (ja) | 冷蔵庫 | |
KR20130055178A (ko) | 냉장고 | |
KR20130045441A (ko) | 냉장고 | |
KR20160044294A (ko) | 냉장고 | |
KR20080055255A (ko) | 냉장고 | |
KR20100092739A (ko) | 냉장고 | |
JP2010038497A (ja) | 冷蔵庫 | |
KR101495353B1 (ko) | 냉장고 | |
KR20110051350A (ko) | 냉장고 | |
KR20120020850A (ko) | 선반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 |
KR101611610B1 (ko) | 냉장고 | |
KR20100103082A (ko) | 냉장고용 저장수단 | |
KR20100007495A (ko) | 냉장고 | |
KR20060022426A (ko) | 냉장고 이중서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