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382A - 가상현실 체험 슈트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체험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382A
KR20100091382A KR1020090010551A KR20090010551A KR20100091382A KR 20100091382 A KR20100091382 A KR 20100091382A KR 1020090010551 A KR1020090010551 A KR 1020090010551A KR 20090010551 A KR20090010551 A KR 20090010551A KR 20100091382 A KR20100091382 A KR 2010009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user
virtual reality
skin
stimul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320B1 (ko
Inventor
임현택
임지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2Walk-in-place systems for allowing a user to walk in a virtual environment while constraining him to a given posi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의복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피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을 가하기 위한 다수의 자극 모듈과, 상기 각 자극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극 조절부가 상기 의복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상현실 체험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 슈트를 착용하면, 사용자는 피부로 느끼는 압각, 통각, 촉각 및 온각/냉각 등의 피부 감각을 통해 가상현실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된다.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슈트

Description

가상현실 체험 슈트{The Suit for Virtual Environment Experien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체험 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피부로 느끼는 감각을 통해 가상현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인간이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에 몰입하여 착각에 의한 가상 환경의 세계를 체험하는 것으로서, 최근 들어 가상현실을 이용한 게임 및 쇼핑 시스템 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기술들에 있어서 얼마나 실제상황과 같은 체험을 느끼느냐 하는 리얼리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특히 게임분야에 있어서 리얼리티 문제는 가상현실 게임의 사활이 걸려있다고 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시청각 정보만을 제공하여 가상현실에 몰입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느낌이 미미하거나 동일한 가상현실 체험을 반복할 경우 리얼리티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에 피부 감각의 효과가 실현되면 리얼리티가 완벽하게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피부로 느끼는 감각을 통해 가상현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의복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피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을 가하기 위한 다수의 자극 모듈과, 상기 각 자극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극 조절부가 상기 의복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자극 모듈은, 사용자 피부에 압각 자극, 통각 자극, 촉각 자극 및 온각/냉각 자극을 각각 가하기 위한 압각 자극 모듈, 통각 자극 모듈, 촉각 자극 모듈 및 온각/냉각 자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압각 자극 모듈은 상기 자극 조절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ER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가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여 사용자 피부에 압각 자극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통각 자극 모듈은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 조절부에 의해 상기 통각 자극 모듈의 소정 돌기가 돌출되어 사용자 피부에 통각 자극을 가한다.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제1, 2 전극을 포함 하며,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은 상기 자극 조절부로부터 상기 제1, 2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 및 크기에 해당하는 촉각 자극을 사용자 피부에 가한다.
상기 온각/냉각 자극 모듈은 냉각과 발열이 동시에 가능한 열전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열전 반도체 소자는 인가된 전압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 피부에 온각 자극 또는 냉각 자극을 가한다.
상기 촉각 자극 모듈 및 상기 온각/냉각 자극 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에 가장 밀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수의 자극 모듈에 의한 자극이 사용자 피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의복은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는 탄성 직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는 사용자 신체의 피부조직에 직접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로 느끼는 감각을 통해 가상현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단순히 시청각 정보만을 제공하여 가상현실에 몰입하도록 하는 종래의 가상현실 체험 기술에 비하여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리얼리티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의복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장갑 및 양말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를 입은 상태에서, 외부의 제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의 내부에 구비된 여러 자극 모듈(미도시)이 동작하여 사용자 신체의 피부조직에 압각, 촉각, 통각 및 온각/냉각 등의 자극을 가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는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는 탄성 직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여러 자극 모듈에 의한 자극이 사용자 신체의 피부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는 제어 장치(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 신체의 피부조직에 직접적인 자극을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피부로 느끼는 감각을 통해 가상현실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의 내부에는 사용자 피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을 가하기 위한 자극 모듈들(210~270)과, 상기 자극 모듈들(210~2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극 조절부(290)가 구비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 피부에 압각 자극을 가하기 위한 압각 자극 모듈(210)에는 전류가 인가되면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ER 유체(Electro- Rheological Fluid)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어 장치(300)로부터 상기 자극 조절부(290)로 압각 자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극 조절부(290)는 상기 압각 자극 모듈(210)에 전류를 인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압각 자극 모듈(210)에 수용된 ER 유체가 고체 상태로 변하여 사용자 피부에 압각 자극을 가한다.
이 때, 상기 자극 조절부(290)는 고체가 된 ER 유체를 수축 또는 이완시켜 사용자 피부에 가해지는 압각 자극의 세기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피부에 통각 자극을 가하기 위한 통각 자극 모듈(230)은 다수의 돌기(23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300)로부터 상기 자극 조절부(290)로 통각 자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극 조절부(290)는 소정 부분의 돌기(231)를 돌출시켜 사용자 피부에 통각을 가한다.
한편, 사용자 피부에 촉각 자극을 가하기 위한 촉각 자극 모듈(25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촉각 자극 모듈(25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촉각 자극 모듈(250)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제1, 2 전극(251, 25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제1, 2 전극(251, 252)에 서로 반대 극성의 전압 또는 서로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각각 인가되면, 상기 제1, 2 전극(251, 252) 사이 에서는 흡인력 또는 반발력이 발생되며, 이러한 흡인력 또는 반발력의 세기를 적절히 조절하면 고무 촉감, 딱딱한 촉감, 요철 촉감 등의 다양한 촉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300)로부터 상기 자극 조절부(290)로 촉각 자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극 조절부(290)는 상기 제1, 2 전극(251, 25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극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촉각 자극 신호에 대응하는 촉감 자극을 사용자 피부에 가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2 전극(251, 252)에 서로 극성이 반대이면서 최대의 전압을 인가하여 사용자 피부에 소정 세기의 진동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만약 가상현실 체험에서 진동 감각이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진동 장치(예를 들면 진동 모터 등)를 더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2 전극(251, 252)에 서로 극성이 반대이면서 최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2 전극(251, 252)에 흐르는 미세 전류에 의해 사용자 피부에 간지러움, 가려움의 자극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피부에 온각/냉각 자극을 가하기 위한 온각/냉각 자극 모듈(270)은 냉각과 발열이 동시에 가능한 열전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열전 반도체 소자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온각/냉각 자극 모듈(270)을 구성하는 열전 반도체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전 반도체 소자는 P-type 및 N-type의 반도체를 π형으로 연결한 형태의 소자로서, 직류전류를 인가하면 열전효과에 의해 소자의 양면에 온도차가 발생하여 냉각과 발열이 동시에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300)로부터 상기 자극 조절부(290)로 온각/냉각 자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극 조절부(290)는 열전 반도체 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직류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 피부에 온각/냉각 자극이 가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간의 피부가 촉각 및 온각/냉각 자극에 가장 민감한 것을 이용하여 촉각 자극 모듈(250)과 온각/냉각 자극 모듈(270)을 사용자의 피부에 가장 밀접한 위치에 배치하고, 그 바깥쪽에 압각 자극 모듈(210)과 통각 자극 모듈(230)을 배치하였으나, 각 자극 모듈의 배치는 적용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현실 체험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 슈트(200)를 착용하면, 사용자는 압각, 통각, 촉각 및 온각/냉각 등의 피부 감각을 통해 가상현실에 더욱 몰입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상현실 체험 슈트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촉각 자극 모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온각/냉각 자극 모듈을 구성하는 열전 반도체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 슈트
210 : 압각 자극 모듈
230 : 통각 자극 모듈
231 : 돌기
250 : 촉각 자극 모듈
251, 252 : 제1, 2 전극
270 : 온각/냉각 자극 모듈
290 : 자극 조절부
300 : 제어 장치

Claims (11)

  1. 사용자 신체에 착용 가능한 의복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피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자극을 가하기 위한 다수의 자극 모듈과, 상기 각 자극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극 조절부가 상기 의복 내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극 모듈은,
    사용자 피부에 압각 자극, 통각 자극, 촉각 자극 및 온각/냉각 자극을 각각 가하기 위한 압각 자극 모듈, 통각 자극 모듈, 촉각 자극 모듈 및 온각/냉각 자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각 자극 모듈은,
    상기 자극 조절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ER 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가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여 사용자 피부에 압각 자극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조절부는,
    상기 고체 상태로 변한 ER 유체를 수축 또는 이완시켜 사용자 피부에 가해지는 압각 자극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각 자극 모듈은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자극 조절부에 의해 상기 통각 자극 모듈의 소정 돌기가 돌출되어 사용자 피부에 통각 자극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은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제1,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은 상기 자극 조절부로부터 상기 제1, 2 전극에 인가된 전압의 극성 및 크기에 따른 촉감 자극을 사용자 피부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조절부로부터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의 제1, 2 전극에 서로 극성이 반대이면서 최대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은 사용자 피부에 소정 세기의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 조절부로부터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의 제1, 2 전극에 서로 극성이 반대이면서 최소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촉각 자극 모듈은 사용자 피부에 간지러움 또는 가려움의 자극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각/냉각 자극 모듈은 냉각과 발열이 동시에 가능한 열전 반도체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열전 반도체 소자는 인가된 전압의 방향에 따라 사용자 피부에 온각 자극 또는 냉각 자극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촉각 자극 모듈 및 상기 온각/냉각 자극 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에 가장 밀접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극 모듈에 의한 자극이 사용자 피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의복은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는 탄성 직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체험 슈트.
KR1020090010551A 2009-02-10 2009-02-10 가상현실 체험 슈트 KR10107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551A KR101078320B1 (ko) 2009-02-10 2009-02-10 가상현실 체험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551A KR101078320B1 (ko) 2009-02-10 2009-02-10 가상현실 체험 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382A true KR20100091382A (ko) 2010-08-19
KR101078320B1 KR101078320B1 (ko) 2011-10-31

Family

ID=4275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551A KR101078320B1 (ko) 2009-02-10 2009-02-10 가상현실 체험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2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82B1 (ko) * 2009-10-01 2012-0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신 햅틱 슈트
KR101314644B1 (ko) * 2011-10-04 2013-10-07 유성규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
KR101453778B1 (ko) * 2013-01-14 2014-10-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각 자극 장치 및 방법
WO2015002850A1 (en) * 2013-07-05 2015-01-08 Rubin Jacob A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8976013B2 (en) 2012-04-04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type tactile feedbac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contact type tactile feedback apparatus
ES2604207A1 (es) * 2016-12-28 2017-03-03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Tejido háptico y multimodal
KR20180048198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 열적 경험 제공 시스템 및 열적 경험 제공 방법
EA032658B1 (ru) * 2013-07-15 2019-06-28 Вр Электроникс Лимитид Способ интерактивной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с виртуальной средой
US10809804B2 (en) 2017-12-29 2020-10-20 Haptx, Inc. Haptic feedback glove
US11816268B2 (en) 2020-10-22 2023-11-14 Haptx, Inc. Actuator and retraction mechanism for force feedback exoskelet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32B1 (ko) 2012-12-28 2014-07-04 (주)시마 플렉서블 열전 모듈을 구비한 의류
KR101703440B1 (ko) 2015-09-02 2017-02-06 김명철 가상체험용 웨어러블 장치
KR20210101861A (ko) 2020-02-11 2021-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슈트 및 열감 발생 장치
KR20230163820A (ko) 2022-05-24 2023-12-01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전자장갑을 이용한 다중감각 인터페이스 시스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182B1 (ko) * 2009-10-01 2012-0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신 햅틱 슈트
KR101314644B1 (ko) * 2011-10-04 2013-10-07 유성규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
US9870682B2 (en) 2012-04-04 2018-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type tactile feedbac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contact type tactile feedback apparatus
US8976013B2 (en) 2012-04-04 201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act type tactile feedback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contact type tactile feedback apparatus
KR101453778B1 (ko) * 2013-01-14 2014-10-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각 자극 장치 및 방법
US9904358B2 (en) 2013-07-05 2018-02-27 HaptX Inc. Whole 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9652037B2 (en) 2013-07-05 2017-05-16 Axonvr Corporation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WO2015002850A1 (en) * 2013-07-05 2015-01-08 Rubin Jacob A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10222859B2 (en) 2013-07-05 2019-03-05 HaptX Inc.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10732711B2 (en) 2013-07-05 2020-08-04 HaptX Inc.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11061472B2 (en) 2013-07-05 2021-07-13 Haptx, Inc.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11579692B2 (en) 2013-07-05 2023-02-14 Haptx, Inc.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US11816261B2 (en) 2013-07-05 2023-11-14 Haptx, Inc. Whole-body human-computer interface
EA032658B1 (ru) * 2013-07-15 2019-06-28 Вр Электроникс Лимитид Способ интерактивной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с виртуальной средой
KR20180048198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테그웨이 피드백 디바이스, 콘텐츠 재생 디바이스, 열적 경험 제공 시스템 및 열적 경험 제공 방법
ES2604207A1 (es) * 2016-12-28 2017-03-03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Tejido háptico y multimodal
US10809804B2 (en) 2017-12-29 2020-10-20 Haptx, Inc. Haptic feedback glove
US11816268B2 (en) 2020-10-22 2023-11-14 Haptx, Inc. Actuator and retraction mechanism for force feedback exoskele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320B1 (ko)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320B1 (ko) 가상현실 체험 슈트
US9703381B2 (en) Multimodal haptic device including a thermal and tactile display uni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3337441B1 (en) Haptic stimulation apparatus
KR101805216B1 (ko) 말초 신경의 자극에 의한 마비된 신체 일부의 외적 활성화를 위한 장치
KR101291036B1 (ko) 인체 미세전류의 발생을 위한 발마사지 장치
Liu et al. ThermoCaress: A wearable haptic device with illusory moving thermal stimulation
EP3349712B1 (en) Acupressure device
JP7319691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における熱負荷を放散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6985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물리적 지압 마사지 장치
KR20090098541A (ko) 장갑형 전극을 갖는 전기치료기
JP4910652B2 (ja) 低周波治療器
JP4807176B2 (ja) 低周波治療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29844A (ja) 美容装置
KR101216653B1 (ko) 미세전류의 흐름을 유도하는 탈모 예방을 위한 모자
Seah Specification for
Nasser et al. ThermEarhook: Investigating spatial thermal haptic feedback on the auricular skin area
JP6943807B2 (ja) 触覚情報呈示装置
WO2017126952A1 (es) Guante háptico de realidad virtual con sistemas para la simulación de sensaciones de presion, textura y temperatura
KR20180045546A (ko) 확장모듈이 장착되는 마사지기
KR20180027293A (ko) 가상현실 체험 슈트
KR200417052Y1 (ko) 휴대용 전위치료기
KR101703440B1 (ko) 가상체험용 웨어러블 장치
US11763647B2 (en) Multimode haptic patch and multimodal haptic feedback interface
WO2023280782A1 (en) Multi-pad electrode and system for providing electrotactile stimulation
WO202022225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hybrid tacti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