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051A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051A
KR20100091051A KR1020090010328A KR20090010328A KR20100091051A KR 20100091051 A KR20100091051 A KR 20100091051A KR 1020090010328 A KR1020090010328 A KR 1020090010328A KR 20090010328 A KR20090010328 A KR 20090010328A KR 20100091051 A KR20100091051 A KR 20100091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ssue
dynamic
output style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785B1 (ko
Inventor
조정열
Original Assignee
조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열 filed Critical 조정열
Priority to KR1020090010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7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접속한 이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오브젝트로 정의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판독·분석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처리하여, 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가시성이 부여된 동적 드로잉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픈 서비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Description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Dynamic object conversion middleware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 and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using it}
본 발명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접속한 이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오브젝트로 정의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판독·분석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처리하여 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가시성이 부여된 동적 드로잉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인터넷은 그동안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초창기에는 소수의 과학자들 또는 일반인들이 서로 연구 결과물들을 교환하거나, 대학에서 온라인으로 강의 요강을 게시하며, 회사에서는 몇 개의 문서와 계약에 관한 자료를 올려놓고 접속한 사용자의 게시된 자료의 요청을 수신하여 응답하는 정도의 단순한 자료의 게시장소의 역할만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인터넷의 비약적인 보급과 발전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그 중 인터넷은 공론의 장으로서 접속된 사용자간의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가 사용자 간의 공론의 장 내지 다양한 형태의 의사소통 즉 커뮤니케이션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의 수행을 위하여 제공되고 있다. 위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로는, 공공기관 및 기업에서 운용하는 자신의 사이트내 또는 포탈 등 타 사이트 내에서 운영하는 예컨대, 메신저, 블로그, 커뮤니티, 토론방등의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공기관 및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이용자들 간의 의사소통의 장을 제공하는 부가적인 서비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공기관 및 기업의 대상이 되는 이용자 즉, 국민 또는 고객의 관심사, 불만 및 만족의 감정, 희망사항 등 잠재적인 이슈를 이용자들이 작성하는 댓글과 업로드하는 문서와 이미지의 메시지를 통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다수의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는 기업이 기존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통해 흥미 유발을 위한 재미적 요소의 구비해야 하며, 온라인에 친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내지 사이트는 단순히 이용자가 작성한 댓글과 업로드하는 문서와 이미지등 메시지를 나열하여 게시하는 정도의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독자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내지 웹사이트를 개별 기업 또는 공공기관 단위의 개발할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여, 그 개발이 보류되거나 포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별 공공기관 및 기업이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국민 또는 고객의 관심사, 불만 및 만족의 감정, 희망사항 등의 잠재적인 이슈를 체계적이고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국민 또는 고객의 관심사, 불만 및 만족의 감정, 희망사항 등의 잠재적인 이슈의 파악은 담당 직원 등에 의해 수동적 이루어져, 담당직원의 업무부담을 증가시키고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어, 그 정확성 및 신속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짐으로써, 흥미 유발을 위한 재미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평소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들도 쉽게 이용가능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별 기업 또는 공공기관 단위로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비하지 않고도 위와 같은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운영하는 공공 기관 내지 업체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고객의 관심사, 불만 및 만족의 감정, 희망사항 등 잠재적인 이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운영하는 공공 기관 내지 업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잠재적 이슈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접속된 이용자의 메시지 입력에 따른 메시지 입력 요청과 오브젝트 형식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을 단위로 오브젝트 형식 정보와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하는 메시지 입력 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와; 상기 메시지 수신/오브젝트 정의부로부터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독부(220)와;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별 출력 스타일 정보와 각 출력 스타일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를 저장하는 출력 스타일 DB(242)와 상기 오브젝트 판독부로부터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이 판단되어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들을 상기 출력 스타일 DB로부터 호출하여,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여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에 전달하는 출력 스타일 관리 모듈(241)로 이루어지는 출력스타일 관리부(24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를 동적 드로잉 형태로 변경하여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메시지가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동적 드로잉 생성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입력 요청된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욕설 필터링 또는 유해 이미지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하다 판단되면 당해 오브젝트의 변환 및 출력을 차단하는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오브젝트 판단부로부터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이 판단되어 유효하다고 판단된 오브젝트를 저장하여 이슈별로 회원과 메시지를 관리하는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베이스(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오브젝트 판독부에 의하여 유효성이 판단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메시지의 의미 여부를 분석하고, 메시지를 긍정, 중립,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이에 기초하여 각 이슈 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체에 제공하는 이슈 분석 서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접속된 이용자에게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미지화된 이슈 및 상기 이슈가 속하는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슈 및 카테고리 중의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하여 이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이미지화된 이슈 및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한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 입력 단계; 상기 메시지를 입력한 이용자의 메시지의 입력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 입력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하는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독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상기 출력 스타일에 따른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를 결정하여, 메시지를 동적 드로잉의 형태로 변환 전달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동적 드로잉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은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오브젝트의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욕설 필터링과 유해 이미지 필터링을 수행하는 유해 오브젝트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상기 오브젝트를 이슈 별로 저장하여 이슈별로 회원과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메시지의 의미 여부를 분석하고, 메시지를 긍정, 중립,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분류되어 저장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각 이슈별 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의 입력 요청이 수신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유효성 을 판단하는 단계 및 유효하지 않은 사이트인 경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 드로잉 생성단계는, 카테고리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슈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슈내에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 결정하여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 및 기업은 본 발명이 적용된 오픈 시스템에 가입함으로써, 독창적인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게 되고, 아울러, 메시지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흥미 유발을 위한 재미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평소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들도 쉽게 이용 가능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오픈 시스템에서 상기와 같은 기능이 미들웨어 시스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개별 기업 또는 공공기관 단위로, 독자적인 클리언트 사이트 개발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비하지 않고도 위와 같은 경제성 있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고객의 관심사, 불만 및 만족의 감정, 희망사 항 등 잠재적인 이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운영하는 공공 기관 내지 업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잠재적 이슈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오픈 시스템 서비스의 형태에 관하여 도9, 도12 내지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오픈 시스템 서비스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기업에 제공하기 위한 운영 효율화된 시스템 서비스이다.
한편, 미들웨어란 주로 상하 관계나 동종 관계로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거나 프레임워크 역할을 하는 일련의 중간 계층 프로그램을 말한다. 시스템에 분산되어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 웹 서버간 연결을 최적화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조정 및 중개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인 것이다. 최근 미들웨어는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를 연결시켜 주는 곳에 적용되고 있다. 이것은 웹 브라우저에 양식을 띄워놓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찾아올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의 요청 내용에 따라 다이나믹 페이지(dynamic page)를 나타낼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대표적인 상용 미들웨어 분야로는 ODBC와 같은 DB 미들웨어, 코바ORB와 같은 객체 미들웨어, 트랜잭션을 위한 턱시도,티맥스등의 TP모니터, 비동기 방식을 지원하는 메시징 미들웨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의 웹 미 들웨어가 있다. 이처럼 규격화된 미들웨어도 있으나, 대부분의 미들웨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적인 제품으로 특정한 사용자와 목적에 맞게 제작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후자에 분류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특화된 미들웨어 시스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특화된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오픈 시스템 서비스의 특징은 하나의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소스를 여러 기업의 사이트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운영, 관리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는 데에 있다. 즉, OSMU(One Source Multi Use)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단, 보안과 서비스 제공 기업의 기존 사이트와의 연동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는 기업별로 별도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오브젝트 입력을 통해 제 3자와 소통할 수 있는 서비스 일체를 의미한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예로는 메신저, 블로그, 커뮤니티, 토론방 등을 들 수 있으며, 다이나믹 객체변환 시스템은 어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성을 구비하여 공공 기관 또는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가시성을 부여, 재미와 이해를 높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단순히 독립적인 홈페이지 자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홈페이지 전체 또는 홈페이지 내의 블로그, 커뮤니티. 게시판과 같은 일부분분만 아니라 나아가, 메신저 등과 같은 실시간 의사소통 가능한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오픈 시스템 서비스 흐름은 업체 등록(911)에서 시작한다. 업체 등록(911) 후 아이디를 부여받은 업체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과 자신의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등록(912)한다. 오픈 시스템 서비스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업체별로 클라이언트 사이트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개시, 변경, 만료일 등의 정보를 서비스 등록정보로서 관리한다.
각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위한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은 나무 모양(도12)와 우체통 모양(도13), 건물 모양(도14)등 오픈 시스템에서 템플릿으로 제공되는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필요시 별도 제작도 가능하다.
도12의 나무 모양 출력 스타일의 경우에는 카테고리는 도12(a)와 같이 이미지화 되었으며, 이슈는 도12(b)와 같이 동적으로 이미지화된 경우이다. 도12(b)에서 원하는 나무 즉 이슈를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나뭇잎)을 선택한 뒤, 도12(c)에서와 같이 해당 이슈 및 위치에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템플릿에는 카테고리,이슈, 및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방법이 각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 정보에 따라, 카테고리, 이슈, 메시지의 출력에 필요한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과 사이트를 등록한 이후 업체는 이후 직접 카테고리 등록(921) 및 이슈 등록(922)을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카테고리 및 이슈의 유효기간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기간 임시 폐쇄, 특정 이용자 접속제한 등 시간적 또는 이용자별 메시지 입력의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형태에 따라서는, 메시지가 입력될 카테고리의 상위 카테고리와 그 하위카테고리, 또는 상위 이슈와 그 하위 이슈등으로 분류하여 더욱 다층적인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13의 출력 스타일에서와 같이 카테고리나 이슈의 하나만을 선택하여, 접속한 이용자가 당해 서비스 접속 후 한번의 카테고리나 이슈의 선택에 의하여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형태에 따라서는, 메시지가 입력될 새로운 이슈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이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오픈 시스템에 등록된 출력 스타일의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 공공기관 및 기업은 별도의 개별적인 개발 절차 없이도, 상기 오픈 시스템에 가입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 내의 카테고리 및 이슈의 이미지에 간단히 예를 들면, 클릭에 의하여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작성한 메시지를 입력을 원하는 카테고리 및 이슈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속한 이용자의 정보와 선택된 카테고리 및 이슈, 입력한 메시지의 정보가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처리되어 각 출력 스타일에 맞도록 동적 드로잉 이미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동적 드로잉 이미지란 메시지 내지 후술하는 오브젝트를 다이나믹하게 변환해 가시성을 부여하는 다이나믹 객체변환의 결과물로, 입력된 메시지 내지 오브젝트를 동적으로 형태가 변화하는 나무 또는 나무의 가지 상의 잎사귀등과 같은 정적 또는 동적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오브젝트 객체변환 모델 중 하나이다.
또한, 오픈 시스템 등록한 기업 또는 공공기관은 핵심 이슈 추출(931)과 이슈 분석 리포트(932)등 부가적인 서비스를 오픈 시스템 사이트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는 자신이 메시지를 작성하여 입력을 원하는 카테고리 및 이슈를 선택하고 메시지를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는 메시지의 입력요청과 함께 오브젝트의 형식 정보와 메시의 내용을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이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는 텍스트, 그림, 사진, 동영상 등 온라인에서 작성 또는 업로드 가능한 모든 타입을 포함한다. 또한, 메시지는 메시지의 내용과 작성자 정보, 작성자의 IP정보, 작성일자, 메시지의 형식에 관한 정보등의 메시지의 작성 정보 일체를 포함한다.
오브젝트의 형식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 정보, 메시지의 입력이 요청되는 카테고리 정보 및 이슈정보,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접속된 이용자 정보, 메시지의 작성 정보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 형식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 또는 이슈정보는 포함하지 않게 된다.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메시지의 내용과 함께 상기 오브젝트 형식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140)가 입력한 오브젝트를 판독·분석·변환하여 동적 드로잉(150) 형태로 출력 가능하게 하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110)과, 판독·분석된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이에 부가하여, 입력된 오브젝트의 의미를 긍정, 부정, 중립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이슈분석 서버(130)등을 포함하여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110)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110)의 구체적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110)는 메시지 입력 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 오브젝트 판독부(220),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 출력 스타일 관 리 모듈(241)/출력 스타일 DB(242)로 구성되는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로 구성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의 각 구성을 차례로 설명한다.
1) 메시지 입력 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
도2 및 도5를 참조하면, 메시지 입력 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즉,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접속 이용자의 메시지 입력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메시지 입력요청과 함께 메시지와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 정보(예컨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URL),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자가 직접 선택하거나 생성한 입력이 요청된 메시지가 속하는 카테고리 정보 및 이슈 정보, 접속한 이용자 정보를 수신한다(510). 또한, 메시지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는 상기 입력요청이 수신된 클라이언트 사이트 정보(또는 이를 통해 확인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의 정보)를 확인하고(520), 오픈 시스템에 기 등록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서비스 개시, 변경, 만료일 등의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서비스 등록정보와 대조하여, 상기 입력요청이 수신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존재 여부 및 유효성을 판단하여 입력 요청된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유효한 사이트인지를 판단한다(530). 유효하지 않은 사이트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차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A라는 공공기관이 본 발명을 통해 프로모션을 3개월 진행한 경우, 프로모션 개시일로부터 3개월 이후에 입력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차단하 게 된다.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유효한 사이트인 경우, 로그인된 사용자의 메시지의 입력 요청를 단위로, 위 클라이언트 사이트 정보(URL)(또는 이를 통해 확인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 정보), 메시지의 입력이 요청되는 카테고리 정보 및 이슈정보, 접속된 이용자 정보, 메시지의 작성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형식과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당해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한다(560). 상기 정의된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판독부(220)로 전달된다(570).
실시예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오브젝트 형식에는 카테고리 정보 또는 이슈정보는 포함하지 않게 된다.
이에 부가하여 유효한 사이트인 경우, 당해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 이전에 로그인 여부/회원가입 여부(540)를 확인할 수 있다. 당해 메시지 입력 요청이 로그인된 이용자의 요청인지를 판단하여(550), 로그인하지 않은 경우 로그인을 요청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비회원인 경우에는 회원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추가로 출력하여 비회원의 회원가입을 유도한다. 이 기능은 오픈 서비스 업체의 정책에 따라,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하여만 메시지 입력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2) 오브젝트 판독부(220)
도2 및 도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 판독부(220)은 메시지 수신/오브젝트 정의 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당해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620). 오브젝트 형식에 누락된 부분이 있는 경우 오브젝트 형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브젝트가 저장, 변환 및 출력되는 것을 취소하여 사전에 차단한다(630).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 판단결과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오브젝트 데이터 베이스에 전달에 저장하거나, 각 커뮤니케이션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에 따라, 동적 드로잉의 형태로 변환 출력하도록 해당 부분에 전달함으로써(640), 당해 이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메시지를 동적 드로잉 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추가적으로 메시지의 타입 즉, 텍스트 인지 이미지 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 판단결과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당해 오브젝트를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으로 전달하여, 메시지 타입에 따라 각각 욕설/유해이미지 필터링후, 오브젝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각 커뮤니케이션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에 따라, 동적 드로잉의 형태로 출력하도록 하여, 당해 사용자가 동적드로잉 형태로 표시된 자신이 작성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 판단은 다음과 같은 판단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스타일 DB(242)에는 카테고리의 존재 여부 및 등록된 카테고리 정보, 이슈의 존재 여부 및 등록된 이슈정보, 메시지의 형식에 관한 정보, 이들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스타일 정보가 각 커뮤니케이션 업체별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 될 카테고리, 이슈 및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가 저장되어 있다. 등록된 카테고리 정보와 이슈 정보에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가 업체등록시 설정한 각각의 유효기간, 임시 메시지 입력 차단 여부에 관한 정보등 각각의 유효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이슈에 저장될 메시지의 상한에 관한 정보와 현재 각 이슈에 입력된 메시지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6(b)를 참조하면, 오브젝트 판독부(220)는 유효성이 확인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대하여, 출력 스타일 DB를 조회하여,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를 조회(621) 수신하여 입력 요청된 메시지의 출력 스타일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A라는 공공기관이 해당 사이트에 나무 모양의 출력 스타일(도 11)을 매치했을 경우 오브젝트 판독부(220)는 입력된 메시지의 출력 스타일을 나무 모양으로 정의하게 된다.
이어, 상기 출력 스타일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요청된 메시지에 대한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 판단에는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유효성 판단이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하기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 판단중 카테고리의 유효성 판단(623) 또는 이슈의 유효성 판단(634)중 하나가 생락된다.
메시지 형식의 유효성 판단(622)
메시지 형식은 메시지의 내용을 제외한 해당 메시지의 작성자 정보, IP 정보등 작성 정보의 일체를 포함하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정책에 따라 가감될 수 있으며, 메시지 형식의 유효성 판단은 출력 스타일 DB를 조회하여 수신된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특정된 작성정보의 누락이 있는 지를 분석하여 메시지의 형식이 유효한 지를 판단하며, 특별한 정책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작성 정보 전부에 대하여 누락되어 있는 경우 유효하지 않은 오브젝트로 판단하여, 오브젝트가 저장, 변환 및 출력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카테고리의 유효성 판단(623)
카테고리의 유효성 판단은 출력 스타일DB를 조회하여 수신된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입력 요청된 카테고리의 유효성 즉, 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현재 당해 카테고리가 사용기간 만료, 임시 폐쇄등으로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오브젝트로 판단하고 오브젝트가 저장, 변환 및 출력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슈의 유효성 판단(624)
이슈의 유효성 판단은 출력 스타일 DB를 조회하여 수신된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입력 요청된 이슈의 유효성 즉, 메시지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현재 당해 카테고리가 사용기간 만료, 임시 폐쇄등으로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유효하지 않은 오브젝트로 판단하고 오브젝트가 저장, 변환 및 출력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메시지 개수의 한계 판단(625)
메시지 개수의 한계 판단은 출력 스타일 DB를 조회하여 수신된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정보를 분석하여 당해 오브젝트가 메시지 개수의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오브젝트가 저장, 변환 및 출력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출력 스타일 관리부에 당해 이슈에 대한 하위 이슈의 정보를 요청하여 입력 요청된 메시지를 새로이 생성된 상기 하위 이슈에 관한 것으로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 모양의 출력 스타일(도11)의 경우 나무가 하나의 이슈가 되고, 나무의 군집인 숲이 하나의 카테고리가 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이슈 즉 나무 당 최대 메시지 개수를 100개로 제한했을 경우,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130)는 99번째 메시지가 작성될 때 해당 이슈 나무 정보를 저장했다가 100번째 메시지가 작성된 후부터는 새로운 이슈 나무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새로이 생성된 하위 이슈는 기존 이슈의 하부 이슈로 관리된다.
3)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
도2 및 도8을 참조하면,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20)는 입력 요청된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욕설 필터링 모듈(231)과 유해 이미지 필터링 모듈(232)로 보내어 유해성을 판단하여 유해한 오브젝트를 차단한다. 각각의 모듈에 의해 유해하다 판단 되어 변환 및 출력이 차단된 오브젝트는 욕설 DB(232), 유해 이미지 DB(234)로 나누어 별도 관리한다.
욕설 필터링 모듈(231)은 입력된 오브젝트를 욕설 DB(232)와 실시간 대조하여 욕설 포함 여부를 판단하여 욕설이 아닐 경우 출력 스타일 관리부(241)로 보내고, 욕설일 경우 오브젝트를 차단하여 업로드 대기 상태에 둔다(833). 예를 들어, "아저씨발가락"의 경우 띄어쓰기 오류로 인해 욕설인 "씨발"이 들어가지만 의미상 욕설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시스템은 욕설을 업로드 대기(833) 상태에 두고 관리자에게 이메일과 단문메시지 형태로 알림경보(834)를 보낸다. 관리자의 직접 확인을 통해 욕설인 경우 업로드를 거절(836), 욕설이 아닌 경우 승인(838)하여 오브젝트를 전달하여(839),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 베이스(120)에서 당해 오브젝트를 저장하거나,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로 전달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유해 이미지 필터링 모듈(233)은 이미지에 포함된 컬러를 기반으로 1차 필터링을 하게 된다. 피부색에 인접한 컬러가 전체 이미지의 30% 이상일 경우 상기 모듈은 얼굴(face)과 몸체(body shape) 인식을 통해 얼굴일 경우 유해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몸체인 경우 유해 이미지인 것으로 판단하여 업로드 대기(833)하고 관리자에게 알림경보(834)를 보낸다. 욕설과 마찬가지로 관리자의 직접 확인을 통해 유해 이미지인 경우 업로드를 거절, 유해 이미지가 아닌 경우 승인하여 오브젝트를 전달하여(839), 당해 오브젝트를 오브젝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출력 스타일 관리 부(230)에서 출력하도록 한다.
4)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는 출력 스타일 관리 모듈(241)과 출력 스타일 DB(242)로 이루어진다. 출력 스타일 관리 모듈(241)은 오브젝트 전달받아(710) 메시지에 대한 출력요청으로 해석한다. 오브젝트에 따라, 각 오브젝트가 출력될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확인하고(720) 출력 스타일 DB로부터 각 출력 스타일에 따라, 필요한 카테고리, 이슈, 메시지의 출력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들을 호출하여(730), 각 출력 스타일 정보에 따라, 당해 메시지를 출력할 카테고리의 위치 색상 등을 디스플레이 정보, 이슈의 위치 색상 등 디스플레이 정보, 및 메시지의 위치 색상등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여(740)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으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가 전달 받는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판독부(220)에 의하여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이 확인되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의 확인뿐만 아니라,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를 통해,욕설/유해이미지 필터링을 거친 오브젝트이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출력 스타일 DB(242)에는 카테고리의 존재여부 및 등록된 카테고리 정보, 이슈의 존재여부 및 등록된 이슈정보, 메시지의 형식에 관한 정보, 이들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스타일 정보가 각 커뮤니케이션 업체별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카테고리, 이슈 및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가 저장되어 있다. 등록된 카테고리 정보와 이슈 정보에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가 업체등록시 설정한 각각의 유효기간, 임시 메시지 입력 차단 여부에 관한 정보등 각각의 유효 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이슈에 저장될 메시지의 상한에 관한 정보와 현재 각 이슈에 입력된 메시지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스타일은 하나의 스타일에 하나의 사이트를 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예를 들어 A라는 공공기관에서 나무 모양의 출력 스타일(도12)과 우체통 모양의 출력 스타일(도13) 2개를 동시에 서비스할 시 클라이언트 사이트로는 2개가 되어야 한다. 단, 하나의 출력 스타일로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하나의 출력 스타일로 다중의 사이트를 서비스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는 카테고리의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이슈의 디스플레이 정보중 하나가 포함되지 않게 된다.
5)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
도2 및 도7을 참조하면,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은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로부터 전달받은 당해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하여 카테고리, 이슈 및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노드로 정의되는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를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적합한 동적 드로잉 형태로 변경하여 동적 드로잉을 생성하여(750)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전달함으로써(760) 상기 메시지가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동적 드로잉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은 다양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타입(260)과 연동 가능하도록 확장성을 구비한다.
노드로 정의되는 위치에 있어서 노드는 당해 메시지가 변환되어 배열될 화면의 지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나무 모양 출력 스타일(도12)의 경우 잎사귀 하나가 하나의 노드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메시지가 변환되어 출력될 위치인 노드 정보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에서 연산 되어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메시지의 형식변환 하여 동적 드로잉을 생성하는 과정(750)은 세부적으로는 카테고리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1)와 이슈의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2), 메시지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3)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또는 노드) 및 형식을 결정하고 메시지를 적합한 동적 드로잉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754)를 거쳐, 메시지를 각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 및 각 사이트의 타입(260)에 연동되도록 변환하여 입력한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출력한다(755).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카테고리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1) 또는 이슈의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2)중 하나가 생략된다.
2. 오브젝트저장 데이터베이스(120)
도1 및 도11을 참조하면,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베이스(120)에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110)를 거친 메시지가 출력 스타일과 함께 저장된다. 도11에서 와 같이, 오브젝트 데이터베이스(120)는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운영하는 오픈 시스템 등록 업체정보(1110)와 출력 스타일(1120)과 카테고리(1130)와 이슈(1140)로 위계 구조를 가진다. 이슈 데이터베이스 아래에는 회원로그(1141)와 메시지로그(1142)가 쌓여 이슈별로 회원과 메시지가 관리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사이트를 운영하는 오픈 시스템 등록 업체정보는 자신의 오브젝트 데이터베이스(120)를 접속하여, 자신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슈별/회원별로 분류된 이용자의 메시지를 열람함으로써 이용자의 관심사, 불만 및 만족의 감정, 희망사항 등 잠재적인 이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출력 스타일 정보 하위의 카테고리(1130)와 이슈(1140)중 하나가 생략된다.
3. 이슈 분석 서버(130)
도1 및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은 이슈분석 서버(130)를 포함하여 이에 의하여 메시지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접속한 이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는 다이나믹 객체변환 미들웨어부(110)의 오브젝트 판독부(220)을 거쳐 오브젝트 형식이 유효하다 판단된 메시지만을 대상으로 메시지의 의미를 분석하게 된다(1010). 메시지 의미 분석(1010) 단계에서 이슈 분석 서버(130)은 미리 저장된 긍정 단어와 중립 단어, 부정 단어와 대조하여 메시지가 이들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1010), 분석 결과 어 떤 해당 단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있을 경우 메시지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1020), 해당 메시지를 긍정, 중립, 부정으로 분류하여 메시지 관리 시스템에 저장(1030)한다. 이슈분석 서버에 의한 메시지 분석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당해 메시지 입력에 대한 오브젝트에 대하여 오브젝트 판독부(220)을 거친뒤, 오브젝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직렬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약 입력된 메시지가 긍정·중립·부정적 의미에 해당하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판다(1020)하여 포함하고 있지 않을 시에는 메시지 관리 시스템에 저장(1030)하는 절차 없이 바로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메시지를 저장하게 된다(1040).
이후, 메시지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긍정·중립·부정으로 분류된 메시지는 이슈 분석 결과는 그래프(도15)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체에 제공된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는 이를 통해 이슈를 관리할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이슈 분석 결과는 예를 들어, 1510과 같이 -9에서 -10의 강도인 부정 메시지의 빈도와 9에서 10의 강도인 긍정 메시지의 빈도가 동일하고 높으면서 중립의 메시지 빈도가 낮을 경우, 해당 이슈에 대해 찬반이 강하게 대립하여 향후 갈등의 상황으로 발전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공기관 및 기업은 해당 이슈에 대한 갈등 관리 대책을 미리 세우는 것이 현명하다.
다른 예로 1520과 같이 -3에서 -5의 강도인 부정 메시지의 빈도만 도드라지게 높을 경우 해당 메시지를 입력한 공중을 중립 혹은 긍정으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향후 해당 이슈에 대한 부정적 관점이 지배적인 위기의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마지막 예로 1530과 같이 긍정 및 부정 메시지의 빈도가 낮고 중립의 빈도가 높을 경우, 중립의 빈도가 높은 원인을 별도로 파악해 향후 해당 이슈에 대한 여론이 긍·부정 중 어느 방향으로 흐를 것인지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예측을 위해 이슈분석 서버(120)는 입력된 메시지들의 패턴을 분석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나 이미지를 핵심어로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에 관한 실시 형태의 설명된 사항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접속된 이용자에게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미지화된 이슈 및 상기 이슈가 속하는 카테고리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슈 및 카테고리 중의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4는 출력 스타일이 이미지화된 카테고리 및 이슈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출력 스타일이 이미지화된 카테고리 및 이슈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은 카테고리 선택 단계(S10) 및 이슈 선택 단계(S20)를 거쳐, 메시지 입력 단 계(S30),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S40), 오브젝트 판독 단계(S50), 및 동적 드로잉 생성 단계(S6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카테고리 선택 단계(S10)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접속한 이용자의 단말에 이미지화된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여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당해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등록시 도12의 나무 모양의 출력 스타일이 지정된 경우 도12(a)의 이미지화된 카테고리가 이용자의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의 이미지에 클릭함으로써 카테고리의 선택이 완료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 선택 단계(S10)는 생략된다.
상기 이슈 선택 단계(S20)는, 카테고리를 선택한 이용자 단말에 당해 카테고리에 속하는 이미지화된 이슈를 디스플레이하여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슈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도12의 나무 모양의 출력 스타일의 경우 도12(a)에서 어느 한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도12(b)와 같이, 해당 이슈가 나무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본 화면의 경우 하나의 큰 나무와 작은 나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나, 선택 가능한 이슈가 많을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나무의 숫자는 이슈의 수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용자가 직접 이슈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로그인 확인/회원가입 과정과 새로운 이슈의 생성 및 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이슈 선택 단계(S200)은 생략된다.
메시지 입력 단계(S30)은 상기 이슈를 선택한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도12의 나무 모양의 출력 스타일의 경우 도12(b)에서 이슈가 선택하고, 해당 부분에 클릭하면, 도12(c)와 같이 메시지 입력창이 출력되어 이용자는 자신이 입력을 원하는 메시지를 입력하고 입력 요청을 하게 된다.
이어,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S40)은 상기 메시지를 입력한 이용자의 메시지의 입력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 입력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하게 된다. 앞서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의 메시지 입력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가 수행하게 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메시지 입력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의 기능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S40)는 이슈를 선택한 이용자 단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의 입력 요청이 수신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유효하지 않은 사이트인 경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정의된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독 단 계(S50)이 진행된다. 앞서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의 오브젝트 판독부(220)가 수행하게 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오브젝트 판독부(220)의 기능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다.
동적 드로잉 생성 단계(S60)은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당해 메시지가 출력될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대한 카테고리 및 이슈와 메시지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를 결정하여 동적 드로잉의 형태로 변환 전달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앞서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의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의 출력 스타일 관리 모듈(241)이 출력 스타일 DB(242)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함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고, 이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동적 드로잉 생성모듈부(250)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를 결정하여 동적 드로잉의 형태로 변환 전달함으로써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스타일 관리부(240)와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의 기능과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다.
또한, 상기 동적 드로잉 생성단계(S60)는, 카테고리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751), 이슈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752), 메시지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753),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슈내에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 결정하여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754)를 포함하 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사이트가 카테고리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 또는 이슈만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카테고리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1) 또는 이슈의 디스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752)중 하나가 생략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상기 오브젝트를 이슈 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메시지의 의미 여부를 분석하고, 메시지를 긍정, 중립,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분류되어 저장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각 이슈별 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이슈 분석 서버(130)와 관련하여 충분히 살펴 보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의 범위의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사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의 구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입력 메시지 처리과정의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의 세부 알고리즘.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판독 단계의 세부 알고리즘.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드로잉 생성 단계의 세부 알고리즘.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오브젝트 차단 단계의 알고리즘.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시스템 서비스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슈 분석 단계의 알고리즘.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조.
도12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의 예시 화면.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의 예시 화면.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의 예시 화면.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슈 분석 리포트의 예시도.

Claims (10)

  1.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접속된 이용자의 메시지 입력에 따른 메시지 입력 요청과 오브젝트 형식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을 단위로 오브젝트 형식 정보와 메시지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하는 메시지 입력 요청 수신/오브젝트 정의부(210)와;
    상기 메시지 수신/오브젝트 정의부로부터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독부(220)와;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별 출력 스타일 정보와 각 출력 스타일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를 저장하는 출력 스타일 DB(242)와, 상기 오브젝트 판독부로부터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이 판단되어 유효하다고 판단된 상기 메시지 입력 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수신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산출하는 함수들을 상기 출력 스타일 DB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출력 스타일에 따른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여 동적 드로잉 생성 모듈부(250)로 전달하는 출력 스타일 관리 모듈(241)로 이루어지는 출력스타일 관리부(240); 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를 동적 드로잉 형태로 변경하여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메시지가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동적 드로잉 생성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요청된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욕설 필터링 또는 유해 이미지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하다 판단되면 당해 오브젝트의 변환 및 출력을 차단하는 유해 오브젝트 차단부(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판단부로부터 오브젝트 형식의 유효성이 판단되어 유효하다고 판단된 오브젝트를 저장하여 이슈별로 회원과 메시지를 관리하는 오브젝트 저장 데이터베이스(1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판단부에 의하여 유효성이 판단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메시지의 의미 여부를 분석하고, 메시지를 긍정, 중립,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여 저장하 며, 이에 기초하여 이슈 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체에 제공하는 이슈 분석 서버(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5.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을 가지는 클라이언트 사이트에 접속된 이용자에게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미지화된 이슈 및 상기 이슈가 속하는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입력할 메시지가 속하는 이슈 및 카테고리 중의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하여 이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화된 이슈 및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한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 입력 단계;
    상기 메시지를 입력한 이용자의 메시지의 입력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 입력요청에 대한 오브젝트를 정의하는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형식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오브젝트 판독 단계; 및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상기 출력 스타일에 따른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따라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를 결정하여, 메시지를 동적 드로잉의 형태로 변환 전달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이미지화된 출력 스타일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동적 드로잉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 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오브젝트의 메시지의 타입에 따라, 욕설 필터링과 유해 이미지 필터링을 수행하는 유해 오브젝트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상기 오브젝트를 이슈 별로 저장하여 이슈별로 회원과 메시지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이 판단된 유효한 오브젝트를 전달받아, 메시지의 의미 여부를 분석하고, 메시지를 긍정, 중립, 또는 부정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분류되어 저장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각 이슈별 분석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청 수신 및 오브젝트 정의 단계는 상기 메시지의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의 입력 요청이 수신된 클라이언트 사이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유효하지 않은 사이트인 경우 클라이언트 사이트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드로잉 생성단계는, 카테고리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슈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슈내에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형식 및 위치 결정하여 메시지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90010328A 2009-02-09 2009-02-0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KR10106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28A KR101067785B1 (ko) 2009-02-09 2009-02-0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28A KR101067785B1 (ko) 2009-02-09 2009-02-0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51A true KR20100091051A (ko) 2010-08-18
KR101067785B1 KR101067785B1 (ko) 2011-09-28

Family

ID=4275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328A KR101067785B1 (ko) 2009-02-09 2009-02-0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78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005B1 (ko) * 2002-03-15 2005-01-24 김영신 무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프로바이더 시스템
KR100475853B1 (ko) * 2002-12-14 2005-03-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niORB 코바 기반의 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구현객체에 대한 동적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785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4446B1 (en) Segmenting access to electronic message boards
Chaudhuri et al. The Aadhaar scheme: a cornerstone of a new citizenship regime in India?
Chang A cybernetics social cloud
US2012026026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ata delivering using chatbot
JP6506762B2 (ja) サードパーティアプリケーションのアクティビティデータの収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9108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analytics data
US201200304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opinions
US201102190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public forums
US11645623B1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WO2023071624A1 (zh) 一种基于esop的数据管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WO2008049360A1 (fr) Procede et systeme correspondant de fourniture de service provenant d'une tierce partie
US20230237515A1 (en) Mobile cloud and mobile cloud computing for a user-customized survey or el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1901882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submitting a petition
US202000819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opinions
US20240112201A1 (en) Consumer-permissioned data processing system
Steibel et al. Designing Web 2.0 tools for online public consultation
CN111898154B (zh) 一种协商式的移动应用隐私数据共享协议签署方法
CN105809556A (zh) 基于用户数据更新的多维度用户智能化联络方法及系统
KR101067785B1 (ko)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사용되는 다이나믹 객체 변환 미들웨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JPH11353377A (ja) 協同情報発信方法
US115265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thical collection of data
Holt Assessing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data collection methods to study online phenomena
KR20000049723A (ko)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전자 게시판 시스템
Mustofa et al. Web-based village information system
US20210279742A1 (en)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a metric and predictive analysis for compliance of cannabis relate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