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733A -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 Google Patents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733A
KR20100090733A KR1020090009982A KR20090009982A KR20100090733A KR 20100090733 A KR20100090733 A KR 20100090733A KR 1020090009982 A KR1020090009982 A KR 1020090009982A KR 20090009982 A KR20090009982 A KR 20090009982A KR 20100090733 A KR20100090733 A KR 20100090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elephone
shutoff
interne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구
Original Assignee
유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혁 filed Critical 유재혁
Priority to KR102009000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0733A/ko
Publication of KR20100090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전화기에 가스차단기능을 새로이 포함하는 것이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전화기에 차단기 통신기능과 제어기능을 기술적으로 경제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기존 전화망인 PSTN망과 인터넷망을 통한 기존 무선전화기와 유선전화기에 가스안전에 관한 전화원격가스차단기능, 가스타이머자동차단기능, 요리시간설정차단기, 가스감지차단기능, 가스열림잠금 실시간문자제공기능을 포함하고, 기구적 또는 회로적으로 기존 전화기를 포함 활용함으로써 전화기로서의 통화뿐만 아니고 간단히 가스차단기만 설치하면 그간 끊임없이 발생하는 가스화재와 가스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가스차단 유무선 전회기에 대한 방식이다
가스차단전화기, 가스차단기, 가스무선차단기, 가스원격제어기, 가스인터넷차단기

Description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Telephone Including Gas Closing System}
본 발명은 모든 주택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존 PSTN망의 DTMF방식의 유무선전화기와 인터넷방식의 유무선전화기는 단순 통화 기능밖에 없음으로 가스차단제어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가스차단제어부분과 통신접속 및 가스차단기 제어기술
특허 10-0323773, 10-0590454, 10-0865408, 10-0470728
주부들은 가스불을 켜놓고 외출한 적이 있으며, 주전자, 냄비, 요리, 빨래 등을 태 울 경우도 있으며, 건망증이 있고 기억력이 갈수록 감퇴 된다고 생각한 적이 있으며, 외출 후 가스불을 끄고 나왔는지 불안한 적이 있으며, 집에 가스를 사용하는 노약자 어린이만 남아 있음으로 주부들은 모두가 가스에 대하여 항상 불안한 경험을 갖고 있다. 특히 가스화재 사례로 취중에 라면을 끓이다 잠을 자 버림으로써 아파트가 화재가 발생하는 등 전국에서 가스화재로 인명 재산상의 피해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에는 도 1 종래의 가스무선차단 구성과 같이 기존 유선 전화망에 통상적인 유선 전화기와는 무관하게 별도로 점선 'A" 그림과 같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유선 전화망에서 작동하는 DTMF 방식의 가스차단무선제어기(100)를 설치하고 다시 가스 퓨즈코크에 도 1의 점선 "B" 같이 가스차단기(400)를 설치하고 외출 중 전화로 가스를 확인하고 가스를 잠그는 기능으로 이 방식은 이미 본 발명자가 10-0323773, 10-0590454, 10-0865408, 10-0470728 특허등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기 측면에서 볼 때 기존 전화기에는 가스차단 제어관련 기능이 없음으로 별도로 도 1의 점선 "A" 같이 가스차단무선제어기(100)와 전화선(102), 전원 아답터(101) 등을 설치함으로써 전화기 주변이 번잡스럽고, 누구나 설치가 어렵고 원가 부담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화기에는 단순 통화기능만 있고 가스차단 관련기능이 없음으로 별도의 가스차단무선제어기(100)와 같은 장치가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에 착안으로서 처음부터 기존 PSTN망의 DTMF 방식의 전화기와 ISDN 인터넷전화기에 가스차단제어기능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을 발명 공급함으로써 설치도 간편하고 원가 절감이 되도록 하였다.
전화기에 새로이 추가하는 가스차단 관련기능은 가스의 잠금 여부를 확인하고 가스를 잠글 수 있는 방식과 가스를 켤때마다 일일이 시간을 설정하지 않아도 설정되어있는 시간으로 자동가스를 잠그는 가스자동차단기능, 가스를 열때 요리에 필요한 시간을 설정하고 자동으로 가스가 차단하게 되는 요리설정시간차단기능, 주방에 가스감지기를 설치하고 만약 가스가 검출되면 가스가 차단되는 가스감지차단기능, 주방에 감스가 발생하면 가스감지기에 의하여 화재가 감지되고 가스가 차단되는 화재감지차단기능, 주방 내에 적외선감지기를 설치하고 주방에서의 사람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가스열림과 잠금기능을 효율적으로 적정시간에 가스차단 또는 집안의 화재 등 이상 여부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주방적외선감지 방식을 포함하고, 특히 집에 어린이 또는 노인네만 남아 있을 때 앞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외출중인 부모의 휴대폰으로 실시간 SMS 문자제공 방식을 추가함으로써 가스불안을 완전 해소하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 방식이다
본 발명의 핵심과제는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는 스테이션(220)에 도 2b와 같이 통신모듈(221), 가스차단제어부(223), TX/RX(224), 메모리234), D/A(232), 검색기(231), LED(236,237), 스위치(236)을 스테이션(220)에 구성하고, 가스차단제어부(223)를 중신으로 가스차단제어 기능을 구현하였고,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는 기존 PSTN망의 DTMF방식 또는 인터넷방식 유선전화기에 도 3b와 같이 추가로 가스차단제어부(330), 비교부(331), 검색기(332), D/A변환기(333), TX/RX(334), 메모리(328) 등으로 구성하고 가스차단제어부(33)을 중심으로 가스차단관련 기능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기능적으로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 공히 전화로 가스의 잠금 여부를 확인하고 가스를 잠글 수 있는 방식과 가스자동차단기능, 요리설정시간차단기능, 가스감지차단기능, 화재감지차단기능, 주방적외선감지 방식을 포함하고, 새로이 화재 및 가스 누출이 되었을 때는 물론 집에 어린이 노약자만 남아 요리할 때 가스를 켜고 잠글 때 인터넷 망으로 부모의 휴대폰으로 실시간 SMS 문자제공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었음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전화기는 모든 주택의 통신망이지만 단순전화 통화기능이지만 본 발명에서 가스차단제어 기능을 새로이 추가함으로써 가스차단여부를 외출시 또는 여행시에 휴대폰으로 가스 잠김 상태를 확인 잠글 수가 있으며, 평시도 선택기능으로 집에 남아 있는 노약자의 가스사용 상황 또는 가스누출, 가스화재 등을 실시간으로 SMS 문자로 표시됨으로 종래의 가스사고와 가스불안으로부터 삼중 가스안전으로 평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무선차단기 설치 구성도로서 가스차단기를 설치할 경우 종래의 전화기와는 무관하게 별도로 "A" 점선과 같이 가스차단무선제어기(100)와 아답터(101), 케이블(102) 그리고 가스퓨즈코크 부분에 "B" 점선과 같이 가스차단기(400)를 설치하게 되는 종래의 가스차단기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 전화기는 가스차단 관련기능이 없음으로 가스차단기를 설치할 경우 별도의 가스차단무선제어기(100)를 별도 구매를 하여야 하는 비용부담과 추가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2a 무선전화 가스차단기는
도 2는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새로운 방식의 스테이션(211), 무선전화기(212)와 가스차단기(400)로 구성을 설명한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방식을 표현하였다.
도 2a의 무선전화 가스차단기를 다시 설명하면, 예를 들어 종래 LG의 "안폰" 무선전화기처럼 휴대형 형태의 무선전화기(210)와 이를 전화망과의 중간에서 무선으로 통신연결과 무선전화기(210)의 밧테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능 하도록 배이스 스태이션(220)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집 주변 통달거리 범위 내에서 무선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품화되어 많은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 중에 있는 무선전화기의 스테이션(220)에 가스차단무선제어 기능과 자동문자제공방식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은 도 2a 가스차단기 무선전화기 구성 도면과 같이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의 스테이션(220) 내에 가스차단방식을 기능적, 회로적으로 내장 설치 포함함으로써 누구나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를 설치하고, 가스차단기(900)만 주방의 가스차단 퓨즈코크에 장착함으로써 보다 설치가 편리하며, 또한 원가절감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최초로 가스차단무선제어 기능과 자동문자제공방식이 가스차단 무선전호기 방식이다.
도 2b 무선전화 가스차단기의 스테이션의 블록다이어그램 구성을 설명하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 또는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P(Internet Protocol)망에 연결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방식의 통신모듈과 인터넷 모뎀과 인터넷과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221) 를 구성하고, 통신모듈(221)통해 접속되고 접수된 DTMF 아날로그 또는 인터넷 페킷 디지털 신호를 스테이션제어부(223)가 TX/RX(224) 양방향 RF 무선으로 무선전화기(210)와 통신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본 발명의 핵심인 가스차단 기능을 위하여 역시 통신모듈(221)에서 접속된 신호를 가스차단제어부(230)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접수된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기(238)에서의 신호 형태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234)에서 취하기 위하여 검색하는 검색기(231)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234),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컨버터(234)로 구성하고, 이들을 가스차단기(400)와 무선통신을 위한 TX/RX(233), 과정별 상황을 표현하는 LED(236, 237), 입력 스위치 S/W(235), 모든 동작에 필요한 전원과 무선전화기의 충전을 담당하는 전원부(222)로 구성하였다.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가 PSTN망의 DTMF방식의 경우 기능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만약 발신자가 휴대폰으로 가스를 잠구었는지 불안하여 집으로 전화를 하면, PSTN 전화망(10)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의 스테이션(220)내의 통신모듈(221)과 스테이션제어부(223), RF 통신모듈인 TX/RX(224)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무선 전화기(210)에 접속되어 링신호가 울리게 되고, 한편 동시에 통신모듈(221)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차단제어기(230)에도 공히 링신호가 감지되며, 이때 가스차단제어부(230)의 비교부(238)에서는 메모리(234)에 이미 설정 저장되어 있는 예를 들어 7회라고 설정한 링 횟수 또는 예를 들어 20초라고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집에 사람이 있어 무선전화기(210)의 통화접속키를 눌러 전화를 받을 때 까지 링의 횟수 또는 링이 울리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 횟수 7회 또는 설정 시간 20초 이내이면 링신호가 중단 과 동시 가스차단부(230)에서는 통화임을 감지 판단하고 가스차단제어기(230)의 비교부(238)가 작동을 멈추게 되고, 만약 집에 아무도 없음으로 무선전화기(210)을 받지 않아 울리는 링의 횟수 7회 또는 링이 울리는 시간이 20초 이상이 되면 가스차단제어부(230)에서는 가스차단기 모드로 인식하게 되는 DTMF방식의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의 가스차단기 모드로 접속단계 방식.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가 인터넷 방식일 경우 ISDN IP LAN(20)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의 모든 데이터는 디지털 형태임으로 임으로 D/A 변환기(232)는 필요 없게 되며, 통신모듈(221)은 아날로그 형태의 DTMF 전화방식과 달리 가스차단제어부(230)의 마이크로콘트롤러의 테이터 처리 형태 및 결과를 인터넷망과 통신을 담당하는 TCP/IP 통신방식이며 이 외의 가스차단제어부(230), 메모리(234), 비교부(238), 검색기(231), 전원부(222), 가스차단기(4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TX/RX(233)은 모두 동일하다,
다시 정리하면 일반적인 PSTN망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전화기의 통신모듈은 DTMF 톤 방식의 통신모듈이고, 인터넷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의 통신모듈은 TCP/IP 표준 통신모듈이다
발신자가 전화를 하면 집의 인터넷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의 통신모듈(221)은 인터넷 고유 IP 주소를 갖고 있음으로 통상적으로 발신자가 IP주소로 접속이 이루어 지지만 일상적으로 휴대폰에서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인터넷 가스차단전화기(200)와 통화를 위한 무선전화기(210)의 코드를 "00"이라고 설정하고, 가스차단을 위한 가스차단제어부(230)의 코드를 "01", 전화기에 연결되어 있는 기타 예를 들어 방범 등의 코드를 "02" 라고 설정한 상태에서 외출시 "02-123-4567" 라고 전화번호를 입력 전화를 걸었을 전화번호는 해당 통신사의 서버에 접속이 되고 집의 전화번호 "02-123-4567" 를 고유IP 주소로 변환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의 IP 통신모듈(221)을 통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는 단계, 이때 앞서 설명한 DTMF 방식의 가스차단무선전화기와 같이 링의 횟수 또는 링이 울리는 시간을 판단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나, 주요한것은 전화번호"02-123-4567"를 입력하고 가스차단을 위한 예를 들어 특정키 "*" 또는 "01"을 입력하는 형태로 IP주소 코드와 데이터 정보 내에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ID코드 "01"을 함께 보내옴으로써 앞의 방법처럼 링신호를 비교하거나 링 시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즉시 원하는 단말기와 접속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이때 IP주소의 데이터 내에 하위코드 구성이 "01" 임으로 가스차단제어부(230)과의 접속 가능한 인터넷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의 가스차단기 접속단계 방식.
다음 가스확인을 목적으로 가스차단제어기(230)에 접속상태에서 가스차단제어부(230)는 검색기(231)로 하여금 표 1과 같이 메모리(234)의 음성 데이터 저장영역에서 저장되어 있는 주소 "101" 검색하고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세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취하고 이를 D/A컨버터(232)로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 환하고 이를 인터넷 통신모듈(221)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인터넷망을 통하여 발신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비밀번호 입력안내단계 방식.
그리고 인터넷 가스차단전화기(200)방식에서 DTMF방식과 아날로그방식이 아니고 패킷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 방식임으로 "101" 검색하고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세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패킷의 데이터 영역에 디지털로 포함하여 통신모듈(221)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인터넷망을 통하여 발신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비밀번호 입력안내단계 방식
[표 1] 음성 데이터
주소 음성내용
101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세요”
102 비밀번 호4자리를 다시 입력하세요”
103 가스가 열렸습니다, 가스를 잠그시려면 우물 #자를 입력하세요”
104 가스가 열렸습니다.?
105 가스가 잠겼습니다.”
106 가스가 누출 되었습니다”
107 확기를 시키십시요”
108 가스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109 정상화 되았습니다
110 가스차단기를 점검하여 주십시요”
표 1은 가스차단제어에 필요한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메모리(234)에 음성데이터 영역을 할당하고 저장한 공간으로서, 저장한 음성은 "101"부터 "110"만이 고정이 아니며,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 유선전화의(300) 제품 모델형태에 따라 음성 내용이 가감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발신자는 휴대폰으로 "비밀번호 4자리를 입력하세요" 라는 안내를 받고 비밀번호 예를 들어 "1, 1, 1, 1" 4자리를 입력시키면, 통신모듈(221)을 통하여 발신자의 입력번호 "1, 1, 1, 1" 4자리를 비교기(238)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본인 비밀번호 "1, 1, 1, 1"와 비교하여 일치함을 확인하고 본인확인을 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메모리(234)의 표 1 음성데이터에서 "102"의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시키세요"를 검색하고 D/A컨버터에서 음성신호로 변환 통신제어모듈(221)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비밀번호를 재입력하도록 반복하는 본인확인단계.
다음 가스차단제어부(223)는 비밀번호가 비교부(238)의 역할로 일치하여 발신자가 본인임이 확인되면, 다음 단계로 가스차단제어부(230)의 가스차단기의 가스차단구동부(408)가 열렸는지, 닫혔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RF모듈 TX/RX(233)와 TX/RX(401)를 통하여 가스차단여부 확인 명령이 가스차단기(400)의 차단제어부에(405) 하달되고 차단제어부(405)는 차단구동부(408)와 연동되어 있는 가스열림 스위치(409)가 열려있음으로 "ON"이 되어 있으면 이를 차단제어부(405)에 의하여 역순으로 가스차단기의 TX/RX(401)과 TX/RX(233)을 통하여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의 가스차단제어부(230)에 가스열림 상태를 전송하는 가스열림상태 확인단계 방식
다음 가스가 열림상태 임을 확인한 차단제어부(230)는 발신자에게 가스 잠금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검색기(231)는 메모리(103)의 음성데이터에서 "103"의 "가스가 열렸습니다, 가스를 잠그시려면 우물 "#" 자를 입력하세요"를 검색하고 이 디지털 데이터를 통신모듈(221)과 인터넷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알리는 가스열림상태 알림단계
다음 휴대폰 발신자가 가스를 잠그려고 우물 "#"자를 입력하면, 인터넷 TX/RX통신모듈(221)을 통하여 접수가 되고 가스차단제어부(230)와 비교기(238)에서 우물 "#"자를 확인하고 "#"인 경우 발신자의 가스차단하고자 함을 인지하고 가스차단제어부(230)은 RX/TX(233)를 통하여 차단기(400)의 차단제어부(405)를 통하여 차단구동부(408)에게 명령하여 가스를 잠그게 되며 가스닫힘스위치(409)는 "OFF"상태로 된다. 만약 발신자가 입력한 신호가 "#"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다시 "103"의 "가스가 열렸습니다, 가스를 잠그시려면 우물 "#" 자를 입력하세요"라고 반복하고 발신자는 반복하여 우물 "#"자를 입력 반복하여 가스차단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스잠금단계
다음 스위치(409)가 닫힘 상태 "OFF"가 확인되면 가스차단기(400)의 차단제어부(405)는 가스 "OFF" 상태를 가스차단제어기(230)에 전송하고 가스차단제어기(230)는 검색기(231)에 명령하여 음성메모리(234)에서 "105"의 "가스가 잠겼습니다"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여 발신자에게 가스잠김 상태를 전송하게 되고 발신자는 가스관련하여 안심을 하게 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DTMF방식 또는 인터넷방식의 가스차단무선전화기 방식
도 3a 가스차단 유선전화기 구성도는 앞서 설명한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는 무선전화기(210)과 스테이션(220)과 분리되어 있지만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는 전화관련 모든 기능과 가스차관련 기능 전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스차단기(400)만 필요로 하는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차단기 설치를 할 경우 별도의 가스차단무선제어기(100)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별도 구매를 하여야 하는 비용부담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선전화기 내부에 가스차단관련 방식을 새로이 추가함을 특징으로 한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를 표현하였다
도 3b 가스차단 유선전화기 블록 다이어그램의 구성으로서 설명하면 대부분이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기능과 동일하며 무선전화기는 전화제어부(320)가 가스차단제어부(330) 또는 스테이션(220)과 분리되어 있지만 가스차단유선전화(300)는 스테이션(220)이 없고 전화기 한 몸체 내에 통신모듈(321), 전화제어부(320), LCD(323), 키보드(324), 증폭기(327), 스피커, 송수화기(340), 메모리(328), 전원부(322), 가스차단제어부(330), 비교기(331), 검색기(332), D/A(333), TX/RX(33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스차단을 위하여 가스차단기(400)만 필요하도록 구성하였다.
발신자가 휴대폰으로 가스를 잠구었는지 불안하여 집으로 전화를 하면, PSTN 전화 망(10)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차단유선전화기(300)의 통신제듈(321)통하여 전화제어부(320)에 접속이 되고 링신호가 울리게되고, 동시에 통신모듈(321)에 병행 연결되어 있는 가스차단제어기(330)에도 공히 링신호가 감지되며, 이때 이미 가스차단제어부(330)의 비교기(331)에서는 앞에서 도 2b의 PSTN망의 DTMF방식의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경우의 설명과 같이 DTMF 링신호를 메모리(328)에 이미 설정 저장되어 있는 링 횟수 또는 링이 울리는 시간과 비교하게 되고 집에서 사람이 전화를 받음으로 설정 횟수 또는 설정 시간 이내에 훅크 스위치가 작동하면 통화 상태로 되어 링 신호가 중단되고 가스차단제어기(330)의 비교기(331)가 작동을 멈추게 되며, 만약 집안에 사람이 없음으로 울리는 링의 횟수 또는 링이 울리는 시간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가스차단제어부(330)에서는 가스차단기 모드로 인식하게 되며 가스차단 모드로 접속이 되게 되는 가스차단기 모드 접속단계.
한편 ISDN IP LAN(20)에 인터넷 가스차단전화기(300) 일 경우는 메모리(328) 음성저장 형태가 디지털 데이터임으로 D/A(333)변기가 필요 없지만 그 외의 가스차단제어부(330), 메모리(328), 검색기(332), 비교부(331)전원부(322), 가스차단기(4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TX/RX(334)은 모두 동일하지만, 통신모듈(321)은 PSTN 방식과 인터넷 방식은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인 PSTN전화의 통신모듈은 DTMF방식의 통신모듈이고, 인터넷 통신모듈은 ISDN망 통한 TCP/IP 표준 통신모듈로서 인터넷 접속, 통신 프로토콜 방식이며, 발신자가 전화를 하면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가스차단전화기(300) 경우 접속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집의 가스차단전화기(300)의 인터넷 통신모듈(321)은 인터넷망의 고유 IP Address를 갖게 됨으로 비록 발신자가 "02-123-4567"라고 전화번호를 입력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통신사에서는 집의 전화번호를 고유IP 주소로 변환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차단 무선전화기(300)의 통신모듈(321)을 통하여 접속이 가능하며, 발신자의 접속 목적이 통화인지, 가스관련 확인지를 분간하는 방안은 앞의 방법과 같이 링의 횟수 또는 링이 울리는 시간이 비교부(331)에서 판단하는 방식과 인터넷 데이터는 디지털 패킷 방식으로 정보가 보내짐으로, 초기 IP주소 코드와 데이터 영역에 하위코드 ID 정보를 동시 제공함으로써 선택이 가능함으로 IP 주소에 의하여 접속이 되면 선택적으로 동시에 차단기와도 접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터넷 가스차단유선전화기와의 통화를 위한 전화제어부와의 접속을 "00", 가스차단을 위한 가스차단제어부와의 접속을 "01", 가스차단유선전화기에 연결되어 있는 기타 XX단말기와의 접속을 "02"라고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발신자가 통화 목적으로 전화를 하면 해당 IP주소 하위코드에 "00"라고 접수가 되면 전화제어부(320)와 접속이되게 되고, 가스차단을 목적으로 전화를 하면 해당 IP주소와 하위코드를 "01"라고 지정함으로써 가스차단제어부(330)과의 접속됨으로 가스차단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스차단기와 접속방식단계
다음 가스차단제어부(330)에서 가스차단 모드로 인식되어 발신자의 휴대폰과 가스 차단제어기(330)와의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첫번째로 가스차단제어기(330)는 검색기(332)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표 1의 음성데이터 "101"을 검색하게 되고 "비밀번호 4자리를 눌러주세요" 메모리 디지털 데이터를 D/A컨버터(333)로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 통신모듈(321)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인터넷망을 통하여 발신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게되는 비밀번호 입력안내단계.,
다음 발신자는 휴대폰으로 비밀번호 예를 들어 "1, 1, 1, 1" 4자리를 입력시키면, 통신모듈(321)을 통하여 발신자의 입력번호 "1, 1, 1, 1" 4자리를 비교부(331)에서 이미 저장되어 있는 발신 본인 비밀번호 "1, 1, 1, 1" 와 비교하여 일치함을 확인하고 본인확인을 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음성 메모리(328)에서 "102"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세"?검색 D/A컨버터에서 음성신호로 변환 통신모듈(321)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비밀번호를 재입력하도록 반복하는 본인확인단계.
다음 가스차단제어부(330)는 비밀번호가 일치하여 발신자가 본인임이 확인되면, 다음 단계로 가스가 열렸는지, 닫혔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RF모듈 TX/RX(334)와 차단기의 RF모듈 TX/RX(401)를 통하여 차단기의 차단제어부(405)에 접속이 되고 차단구동부(408)와 연동되어 있는 가스열림스위치(409)가 "ON"이 되어 있음으로 열림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차단제어부(405)는 역순으로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가스차단제어기(330)에 가스열림 상태를 전송하는 가스열림상태 확인단계,
다음 가스가 열림 상태임을 확인한 가스차단제어부(330)는 발신자에게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검색기(332)는 음성 메모리(328)에서 "104"의 "가스가 열렸습니다, 가스를 잠그려면 우물 # 자를 입력하세요" 검색한 디지털 데이터를 D/A(333)와 통신모듈(321)과 인터넷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알리는 가스열림상태 알림단계
휴대폰 발신자가 가스를 잠그려고 우물 "#"자를 누르면, 인터넷, 통신모듈(321)을 통하여 접수가 되고 가스차단제어부(330)의 비교기(331)에서 "#"자 인지를 확인하고 "#"자인 경우 RX/TX(334)를 통하여 차단기(400)의 RX/TX(401)을 통하여 가스차단구동부(408)를 작동토록 하여 가스차단기를 잠그게 되며 가스닫힘스위치(409)는 "OFF" 상태로 된다. 만약 발신자가 입력한 신호가 "#"자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103"의 "가스가 열렸습니다, 가스를 잠그시려면 우물 #자를 입력하세요" 반복하고 발신자는 반복하여 우물 "#"자를 눌러 반복하여 가스차단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스잠금단계
스위치 닫힘 위치(409)가 닫힘 상태로 확인되면 가스차단제어기(330)에서는 검색기(331)에 명령하여 음성메모리(328)에서 “가스가 잠겼습니다”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여 발신자에게 가스잠김 상태를 전송하게 되고 발신자는 가스를 잠금을 확인하게 됨으로써 불안한 가스가 닫혔는지 확인함으로써 안심을 하게 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PSTN의 DTMF 또는 인터넷 가스차단유선전화기 방식
도 5는 가스 유무선 전화기에 의한 SMS 문자 알림 방식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가스차단 유선전화기(200), 가스차단 무선전화(300)기 공히 집에 어린이 또는 노약자만을 두고 외출 또는 여행시 실시간으로 집에서의 가스사용상황을 제공받음으로써 가스관련 안심할 수 있도록 한 편리한 방식이며, 이 기능이 필요 없을 경우 또는 필요할 경우에 따라 가스무선전화기(200)에서는 가스차단 제어부(230, 306)의 LED(236,237)과 S/W(235)를 작동하여 또는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인 경우는 전화기의 LCD(323)의 메뉴를 통하여 SMS제공 알림 모드에서 선택함으로써 실시간 자동으로 가스누출문자표시단계(617), 가스열림문자표시단계(625), 가스잠금문자표시단계(635), 화재발생문자표시단계(645) 등을 휴대폰(600) 및 인터넷 단말기로 SMS(Short Message Service) 문자로 받아볼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가스차간유선전화기(300) 방식이며 이를 흐름도로 도 5에 표현하였다.
[표 2] 문자 데이터
주소 문자내용
201 가스가 누출되었습니다”
202 환풍기가 작동합니다”
203 가스가 열렸습니다.?
204 가스가 잠겼습니다.”
205 가스가 누출 되었습니다”
206 환기를 시키십시요”
207 가스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208 정상화되었습니다 안심하십시요”
209 가스차단기를 점검하여 주십시요”
표 2는 가스차단제어에 필요한 문자를 메모리에 저장 영역을 할당하고 공간으로서, 저장한 문자는 "201"부터 "209" 지만 문자내용은 고정이 아니며,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 유선전화의(300) 제품 모델형태에 따라 문자 내용이 가감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가스 유무선 전화기에 의한 SMS 문자 알림 방식 흐름도 상세히 설명하면
가스누출문자제공방식(510)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가스차단기(400) 회로 블록 다이어그램의 가스차단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감지기(400)에서 가스가 검출되어 검출 신호가 가스검출입력(411)로 입력되는 가스누출감지단계(610), 가스차단기(400)의 차단제어부(405)에서 가스누출 상황을 분석하고 가스차단구동부(408)의 가스닫힘 스위치(409)가 열려 있을 경우 차단구동부(408)를 작동시켜 가스를 차단하고, 이어 주방의 환기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환기장치를 작동하고 또한 환기를 위한 창문 개폐장치가 병행 설치되어 있을 경우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가스환기차단단계(611)와 같이 차단제어부(405)는 긴급한 가스누출 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하고, 다음 가스누출상황을 가스차단기(400)의 TX/RX(401)와 가스차단 무선전화기 또는 유선전화기의 TX/RX(233,334)를 통하여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 가스검출신호전송단계(614)으로 가스누설감지신호가 접수되면,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서는 메모리(234,328)에서 표1에서 "106"의 "가스가 누출되었습니다"를 검색 D/A 컨버터(232,333)로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기(239,327)를 통하여 스피커로 집안에 있는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알려주게 되는 가스누출 음성알림단계(616), 가스차단 전화기(200,300)에서는 다시 이미 전화번호가 등록된 부모에게 SMS 문자 전 송을 위하여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서는 메모리(234,328)에 문자로 저장되어 있는 "205"의 가스가 누출되었습니다"를 검색하여 대상 휴대폰(600) 전화번호와 함께 IP형태로 통신모듈(221, 321)로 보내져 인터넷을 통하여 대상자 휴대폰에 접속토록 하는 가스검출문자전송단계(615), 이를 휴대폰(600)으로 표시를 하여 집안에 가스누출이 되었음을 알려주어 알아서 다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누출 문자표시단계(617)로 작동하는 가스누출문자제공방식(510)을 특징으로하는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가스열림문자제공방식(520)을 상세히 설명하면 외출 또는 여행을 할 경우 집안에 어린이 또는 노약자만 남아 있을 때, 집에서 가스를 사용하게 됨으로 가스 불안이 있게 된다. 만약 집에서 요리를 위하여 가스를 열게 되면 가스차단기(400)의 가스차단구동부(408)의 가스열림스위치(409)가 열림상태로 감지되는 가스열림감지단계(620), 이때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서는 감지된 열림신호 "ON" 을 TX/RX(401)과 가스차단 유무선 전화기 TX/RX(234, 334)를 통하여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 접수되고 이때 가스차단제어부(230,330)는 가스열림을 인지하고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에서 "104"의 "가스가 열렸습니다"응 검색하고 음성데이터를 D/A컨버터(232, 333)로 음성으로 변환하고 증폭기(239,327)와 스피커로 집안의 사람에게 알려주는 가스열림 음성알림단계(623), 다시 외출 중인 부모의 휴대폰(600) 또는 수신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인터넷 주소와 함께 문자 데이터 "203"의 "가스가 열렸습니다"의 문자 SMS 데이터를 IP통신모듈(221,321)과 인터넷망으로 대상 휴대폰 및 단말기에 접속토록 하는 휴대폰가스열림문자전송단계(624), 이를 휴대폰(600)의 디스플레이에 문자로 표시하여 알리게 되는 가스열림문자표시단계(625)로 작동하는 가스열림문자제공방식(520)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가스잠금문자제공방식(530)을 상세히 설명하면 집안에서 요리 완료 후 가스를 잠그게 되는데 이때 가스차단기(400)의 가스차단작동부(408)의 가스열림스위치(409)가 잠금위치 "OFF" 위치에 있음을 가스 차단제어부(405)가 감지하는 가스잠김감지단계(630), 가스 차단제어부(405)에서는 감지된 닫힘 "OFF" 신호를 TX/RX(401)와 가스차단 유무선 전화기 TX/RX(234, 334)를 통하여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 접수되고 이때 가스차단제어부(230,330)는 메모리(234,328)에서 "105"의 "가스가 잠겼습니다" 음성데이터를 D/A컨버터(232, 333)로 음성으로 변환하고 증폭기(239,327)와 스피커로 집안의 사람에게 "가스가 잠겼습니다"라고 알려주는 가스잠김 음성알림단계(623), 다시 외출 중인 부모의 휴대폰(600) 전화 또는 인터넷주소와 함께 문자데이터 표 2의 "204"의 "가스가 잠겼습니다" 문자 데이터를 가스차단제어부(230,330)에서는 이를 PSTN, IP통신 모듈과 인터넷망으로 해당 휴대폰(600) 및 단말기에 접속하고 문자발송 하는 가스잠김문자전송단계(624), 이를 휴대폰(600)의 디스플레이에 문자로 표시하여 알리게 되는 가스잠김문자알림단계(625)로 작동하는 가스잠김문자제공방식(530)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가스화재문자제공방식(530)을 상세히 설명하면 집에서 가스누출 등으로 화재가 발생시 가스차단기(400)에 연결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에서 화재감지 신호가 가스차단제어기(405)에서 화재발생 신호로 인식되는 화재발생감지단계(640), 감지 즉시 가스차단기가 열려 있을 때 가스차단구동부(408)를 작동 가스차단기의 가스차단단계(641), 화재발생에 의한 화재감지신호는 가스차단제어기(405) TX/RX(401)와 가스차단 유무선 전화기 TX/RX(234, 334)를 통하여 가스차단제어부(230,330)로 전송되면 가스차단제어기에서는 메모리(234,328)에서 표 1의 "108"의 "가스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를 검색하게 되고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검색 D/A로 변환하고 증폭기(239,327)와 스피커로 집안에 있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화재발생음성알림단계(644), 다시 가스차단제어부(230,330)는 이미 등록이 되어 있는 휴대폰(600) 또는 인터넷 단말기에 접속을 하고 메모리(234,328)에 저장되어 표 2의 문자 데이터 있는 "207"의 "가스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라는 문자를 검색 문자 데이터를 접속된 휴대폰 또는 인터넷 단말기에 전송하게되는 화재발생문자전송단계 (643). 휴대폰(600) 또는 인터넷 단말기에서 문자로 표시하는 화재발생문자표시단계(645)로 작동되는 가스화재문자제공방식(540)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차단 무선전화기(200),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대부분의 가정에서 온수, 난방 및 요리에 주 연료로 가스를 사용하고 있는 한 주부들이 가스안전에 대하여 항상 편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고, 가스화재 피해를 대비하여 가스안전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며, 국내외 대부분의 가정에는 유선전화가 있고 또한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음으로 이 통신망을 이용한 "가스폰", 가스안심폰", 가스프리폰" 등의 브랜드로 시장규모가 급속히 감소하게 되는 유선전화망 시장을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내 시장뿐만 아니고 미국, 중국 등 해외시장까지도 진출할 수 있는 새로운 가스차단유선전화기, 가스차단무선전화기 방식이다
[도 1] 가스무선차단기 구성
[도 2a] 가스차단 무선전화기 구성
[도 2b] 가스차단 무선전화기 스테이션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a] 가스차단 유선전화기 구성
[도 3b] 가스차단 유선전화기 블록 다이어그램
[도 4] 가스차단기(400) 블록 다이어그램
[도 5] SMS 문자제공방식 흐름도

Claims (3)

  1. 기존 PSTN망의 DTMF 방식과 인터넷 방식의 유선전화기의 스테이션(220) 내에 최초로 도 2-2의 구성과 상세한 설명과 같이 가스차단제어기능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TN망의 DTMF 방식과 인터넷 방식을 포함한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 방식
  2. 기존 PSTN망의 DTMF 방식과 인터넷 방식의 유선전화기 내에 최초로 도 3-2의 구성과 상세한 설명과 같이 가스차단제어기능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STN망의 DTMF 방식과 인터넷 방식을 포함한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방식
  3. 도 5의 구성과 상세한 설명과 같이 기존 무선전화기, 무선전화기 전화기에 가스검출, 화재검출, 가스차단기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휴대폰 또는 인터넷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SMS 문자로 제공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PSTN망의 DTMF 방식과 인터넷 방식을 포함한 가스차단무선전화기(200)와 PSTN망의 DTMF 방식과 인터넷 방식을 포함한 가스차단 유선전화기(300) 방식
KR1020090009982A 2009-02-07 2009-02-07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KR20100090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82A KR20100090733A (ko) 2009-02-07 2009-02-07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82A KR20100090733A (ko) 2009-02-07 2009-02-07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733A true KR20100090733A (ko) 2010-08-17

Family

ID=4275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82A KR20100090733A (ko) 2009-02-07 2009-02-07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07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0838A (zh) * 2017-09-25 2018-02-23 南京律智诚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家庭漏气报警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0838A (zh) * 2017-09-25 2018-02-23 南京律智诚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家庭漏气报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598B2 (en) Remote control of a speaker phone device as a standalone device or as part of a security system
JPS59160360A (ja) 通信方式
US8345846B2 (en) Gate intercom with a wireless telephony interface
GB2166321A (en) Emergency call unit
CN109274849A (zh) 具备语音交互功能的无线报警装置
KR20100090733A (ko) 가스차단기능을 포함한 전화기
RU226092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гнализации о событиях, управления событиями и запуска событий дистанционно через телефонную сеть
KR200234152Y1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CN101063555B (zh) 一种电话遥控热水器
CN109167887A (zh) 具有交互功能和无线通话功能的双通道宽带智能cpe控制系统
US8285271B1 (en) Wireless telephone interface for remote command of an operator for an automatic gate
CN209250731U (zh) 具有交互功能和无线通话功能的双通道宽带智能cpe控制装置
KR100626874B1 (ko) 통신망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범/방재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639744B (zh) Gsm/pstn自动转接装置
CN204465645U (zh) 一种安防话机系统
KR100812179B1 (ko) 가스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공급 단속 제어방법
CN201491094U (zh) 远程家电控制系统
KR20100093149A (ko) 인터넷 가스차단기
KR200306156Y1 (ko) 방범 전화 시스템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TWM623008U (zh) 無雲端居家聯網系統
EP1215873A1 (en) A method &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ppliance
CN206379988U (zh) 一种基于pstn的家用电器远程控制
KR100462885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도어폰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34153Y1 (ko) 원격 인터폰/경보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