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211A -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211A
KR20100090211A KR1020100010505A KR20100010505A KR20100090211A KR 20100090211 A KR20100090211 A KR 20100090211A KR 1020100010505 A KR1020100010505 A KR 1020100010505A KR 20100010505 A KR20100010505 A KR 20100010505A KR 20100090211 A KR20100090211 A KR 20100090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object
communication
operating environment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064B1 (ko
Inventor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90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56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dapting media to devic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통신 단말기가 미리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고,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 시, 통신 단말기가 갱신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 및 다른 통신 단말기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통신 단말기에서 효율적으로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DIA ADAPTATION THEREI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킷(multimedia packet) 송수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그에서 통신 단말기의 미디어 적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킷 송수신을 위한 통신 서비스(Multimedia Telephony Service for IMS; MTSI)를 제공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패킷은 음성 패킷(speech packet) 또는 영상 패킷(video packet)을 포함한다. 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패킷을 적어도 하나의 무선 채널(Radio Frequency Channel)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수가 증가하거나 무선 채널의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통신 단말기들 간 멀티미디어 패킷의 전송이 지연(delay)되거나 멀티미디어 패킷의 적어도 일부가 손실(loss)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라 패킷 단위를 조절하고, 해당 패킷 단위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패킷의 손실을 억제하고 있다. 이를 미디어 적응(media adaptation)이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는 제조 시 기록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통신 단말기에서 동일한 설정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미디어 적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킷 손실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적응 방법은,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미리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과정과,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갱신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 및 다른 통신 단말기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적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관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관리 객체 수신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관리 객체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적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전송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위치되는 셀이 변화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변경 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적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다수개의 후보 객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동작 환경에 따라 상기 후보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적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의 로드 정보 변경 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적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른 패킷 손실 비율, 오실레이션 억제 기준값, 갱신 주기, 특정 요청에 대한 응답 제한 시간 또는 패킷 손실 버스트, 통신 경로에 대한 명시적 폭주 통지, 인코딩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동작 환경에 대응하여 특정 관리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동작 환경 변화 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고,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 시, 상기 갱신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 및 다른 통신 단말기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결정된 패킷 단위에 따라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관리 객체가 통보되면, 상기 통보된 관리 객체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위치되는 셀이 변화하거나, 상기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변경 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다수개의 후보 객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환경에 따라 상기 후보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의 로드 정보 변경 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른 패킷 손실 비율, 오실레이션 억제 기준값, 갱신 주기, 특정 요청에 대한 응답 제한 시간 또는 패킷 손실 버스트, 통신 경로에 대한 명시적 폭주 통지, 인코딩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 환경에 적응적으로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라 관리 객체를 제공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효율적으로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킷 손실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패킷의 음성 또는 영상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통신 부하(load)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인터페이즈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적응 절차 수행 시 신호 호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 및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명령어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미디어 적응 시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서 관리 객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적응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동작 환경”이라는 용어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 제공 시,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주변 요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동작 환경은 무선 채널의 상태 정보로 일컬어질 수 있다. 이 때 동작 환경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network) 또는 특정 네트워크에서 통신 단말기가 위치되는 셀(cell)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또는 동작 환경은 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해 변화 가능하다. 즉 동작 환경은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 예컨대 멀티미디어 패킷에 대한 음성 또는 영상 품질 기준이나 통신 비용 기준 등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의 변경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또는 동작 환경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기지국의 통신 부하, 예컨대 기지국에서 전력 증폭 장치의 전여 전력량 등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 MO)"라는 용어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가 미디어 적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변수들로 이루어지는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 이 때 관리 객체는 변화 가능하며, 통신 단말기는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관리 객체에 따라 다양하게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객체는 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패킷, 즉 음성 패킷과 영상 패킷을 송수신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음성 설정(Speech_Setup) 정보와 영상 설정(Video_Setup) 정보 및 멀티미디어 패킷을 위한 미디어 적응을 수행하는데 실질적으로 필요한 음성 적응(Speech_Adaptation) 정보와 영상 적응(Video_Adapt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설정 정보 별로 다양한 음성 적응 정보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영상 설정 정보 별로 다양한 영상 적응 정보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설정 정보는 특정 음성 적응 정보와 조합될 수 있으며, 영상 설정 정보는 특정 영상 적응 정보와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설정 정보와 영상 설정 정보는 각각 음성 패킷 또는 영상 패킷을 분석하기 위한 코딩 방식, 대역폭(Bandwidth)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음성 적응 정보 및 영상 적응 정보 각각은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른 패킷 손실 비율(Packet Loss Ratio; PLR_i), 오실레이션 억제 기준값(N_INHIBIT), 갱신 주기(N_HOLD), 특정 요청에 대한 응답 제한 시간(T_RESPONSE), 패킷 손실 버스트(Packet Loss Burst), 통신 경로에 대한 명시적 폭주 통지(ECN;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인코딩율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패킷 단위”라는 용어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들 간에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 미리 정의되는 제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 때 패킷 단위는 통신 단말기에서 미디어 적응을 통해, 동작 환경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패킷 단위는 멀티미디어 패킷의 비트 전송율(bit-rate), 즉 멀티미디어 패킷의 실질적인 생성 사이즈 또는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는 해당 패킷 단위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100), 기지국(160),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180) 및 관리 서버(Device Management server; DM server; 200)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100)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device)로서, 이동성(mobility)을 갖는다. 이러한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패킷을 적어도 하나의 무선 채널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단말기(100)는 특정 관리 객체를 저장하고 있으며,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하기에 앞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즉 통신 단말기(100)는 동작 환경에 적합하게 패킷 단위를 결정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는 패킷 단위에 따라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객체를 갱신할 수 있다.
기지국(160)은 특정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서비스 지역을 제어하며, 해당 서비스 지역의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지국(160)은 다른 기지국(16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 지역의 통신 단말기(100)와 다른 서비스 지역의 통신 단말기(100)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즉 기지국(160)은 통신 단말기(100)들 간 멀티미디어 패킷의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80)는 네트워크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코어 네트워크(180)는 특정 네트워크의 기지국(160)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의 통신 단말기(100)들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180)는 특정 네트워크의 기지국(160)과 다른 네트워크의 기지국(160) 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즉 코어 네트워크(180)는 통신 단말기(100)들 간 멀티미디어 패킷의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에서 갱신하기 위한 관리 객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 변화 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에 따른 관리 객체를 결정하여 통보한다. 이 때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와 같은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핸드 오버(hand over)나 로밍(loaming), 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한 네트워크 교체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200)는 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해 관리 정보 변경 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패킷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서 인터페이즈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는 음성 데이터(speech) 및 영상 데이터(video)를 각각 압축한 다음 패킷 단위로 구분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패킷에 RTP(Routing Table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헤더를 차례로 부착하고,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 예컨대 네트워크 A의 레이어(Layer) 3, 2, 1 헤더를 차례로 부착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패킷을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통해 기지국(160)으로 전송한다. 물리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패킷 수신 시, 기지국(160)은 멀티미디어 패킷에서 레이어 1, 2, 3 헤더를 차례로 제거한다. 또한 기지국(160)은 코어 네트워크(180)를 통해 멀티미디어 패킷을 다른 기지국(16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180)를 통해 멀티미디어 패킷 수신 시, 기지국(160)은 멀티미디어 패킷에 해당 네트워크, 예컨대 네트워크 B의 레이어 3, 2, 1 헤더를 차례로 부착한다. 그리고 기지국(160)은 멀티미디어 패킷을 물리 채널을 통해 다른 통신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물리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패킷 수신 시,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패킷에서 레이어 1, 2, 3 헤더를 차례로 제거하고, PDCP를 통해 IP, UDP, RTCP, RTP 헤더를 차례로 제거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패킷을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로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적응 절차 수행 시 신호 호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미디어 적응 절차는, 통신 단말기(100)가 311단계에서 관리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100)는 제조 시 설정되는 바에 따라 관리 객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100)와 관리 서버(200)는 관리 객체로 갱신하기 위한 후보 객체들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후보 객체는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단말기(100)는 관리 서버(200)의 후보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313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을 파악한다. 이 때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을 수시로 수집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가 연결된 네트워크 및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되는 셀을 파악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해당 통신 시스템의 관리 정보를 파악한다. 이 후 관리 서버(200)는 315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에 변화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100)의 핸드 오버나 로밍,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한 네트워크 교체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가 연결된 네트워크 또는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되는 셀이 변화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해 관리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315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 서버(200)는 316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대응하여 관리 객체의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관리 서버(200)는 통신 단말기(100)에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316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어 관리 객체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 서버(200)는 317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에 따른 관리 객체를 결정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319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관리 객체를 통보한다. 이 때 관리 서버(200)는 해당 관리 객체가 통신 단말기(100)에 후보 객체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으면, 관리 서버(200)는 해당 관리 객체의 식별 아이디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는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관리 서버(200)는 해당 관리 객체를 직접적으로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 후 관리 객체가 통보되면, 통신 단말기(100)는 321단계에서 관리 객체를 갱신한다. 이 때 특정 관리 객체가 수신되면,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관리 객체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후보 객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식별 아이디가 수신되면, 통신 단말기(100)는 식별 아이디를 이용하여 후보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 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해당 관리 객체가 통신 단말기(100) 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200)에 후보 객체로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관리 서버(200)는 이를 'Invalid Media Adaptation'과 같은 경고 메시지(warning sign)로 통신 단말기(100)에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통신 단말기(100)는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323단계에서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 시, 통신 단말기(100)는 325단계에서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명령어를 교환한다. 그리고 명령어 수신 시, 통신 단말기(100)는 327단계에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100)는 동작 환경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와 다른 통신 단말기(300)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한다. 이 후 통신 단말기(100)는 329단계에서 패킷 단위에 대응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절차의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 및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100)는 단말 통신부(111), 단말 메모리(113), 단말 제어부(115), 오디오 처리부(117), 표시부(119) 및 키 입력부(121)를 구비한다.
단말 통신부(111)는 통신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통신부(1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단말 메모리(113)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객체를 갱신하고, 관리 객체에 따라 미디어 적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메모리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메모리(1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 객체를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 메모리(113)는 관리 객체로 갱신하기 위한 후보 객체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후보 객체는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15)는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15)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이러한 단말 제어부(1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관리 객체가 통보되면, 단말 메모리(113)의 관리 객체를 갱신한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115)는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15)는 패킷 단위를 결정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115)는 단말 메모리(113)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로 패킷 단위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을 생성한다. 게다가, 단말 제어부(115)는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15)는 멀티미디어 패킷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7)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19)는 단말 제어부(115)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19)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119)는 LCD 제어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21)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200)는 서버 통신부(211), 서버 메모리(213) 및 서버 제어부(215)를 구비한다.
서버 통신부(211)는 관리 서버(2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버 통신부(2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서버 메모리(213)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관리 서버(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 별 관리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서버 메모리(2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 별 관리 객체를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 메모리(2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의 관리 객체를 갱신하기 위한 후보 객체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후보 객체는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메모리(213)는 통신 단말기(100)가 존재 가능한 동작 환경,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셀 별로 후보 객체를 대응시켜 저장하거나, 통신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 별로 후보 객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 메모리(213)는 후보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통신 단말기(100)의 관리 객체로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15)는 관리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서버 제어부(215)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 및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제어부(2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서버 제어부(215)는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215)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와 같은 위치 서버로부터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을 수집하거나,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해 등록 및 변경되는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215)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 변화 시, 서버 메모리(213)의 후보 객체들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에 따른 관리 객체를 결정하여, 서버 통신부(211)를 통해 통신 단말기(100)에 통보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서버 제어부(215)는 서버 메모리(215)에서 통신 단말기(100) 별 관리 객체를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서 명령어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서 미디어 적응 시 상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절차는, 단말 제어부(115)가 511단계에서 단말 메모리(113)에 관리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단말 메모리(113)는 후보 객체들을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후보 객체는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후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관리 객체가 통보되면, 단말 제어부(115)가 5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5단계에서 단말 메모리(113)의 관리 객체를 갱신한다. 이 때 관리 객체가 수신되면, 단말 제어부(115)는 단말 메모리(113)의 관리 객체를 갱신할 뿐만 아니라, 관리 객체를 후보 객체로 단말 메모리(113)에 저장한다. 또는 식별 아이디가 수신되면, 단말 제어부(115)는 단말 메모리(113)에서 식별 아이디에 상응하는 후보 객체를 선택하여 관리 객체로 갱신한다. 여기서, 관리 객체는, 예컨대 하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Parameter Value/meaning Comment
PLR_1 3 %
PLR_2 1 %
PLR_3 2 %
PLR_4 10 %
N_INHIBIT 1000 frames A random value may be used to avoid large scale oscillation problems.
N_HOLD 5 measurement periods
T_RESPONSE 200 ms Estimated response time for a request to be fulfilled.
Packet Loss Burst 2 or more packet losses
in the last 20 packets
-
-
-
-
-
-
한편,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관리 객체가 통보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 실행 시, 단말 제어부(115)는 5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5단계에서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명령어를 교환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15)는 음성 데이터를 위한 패킷 단위를 결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용 명령어,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RTCP-APP 명령어를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상호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115)는 영상 데이터를 위한 패킷 단위를 결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용 명령어, 즉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TO_ARR RTCP APP 명령어 또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TMMBR 명령어를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상호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115)는 527단계에서 단말 메모리(113)의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15)는 송신을 위한 패킷 단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RTCP-APP 명령어 수신 시, 단말 제어부(1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적응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사이즈 및 생성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APTO_ARR RTCP APP 명령어 또는 TMMBR 명령어 수신 시, 단말 제어부(115)는 미디어 적응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사이즈 및 생성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115)는 현재 상태(State)를 파악하고, RTCP-APP 명령어의 RTCP_APP_REQ_RED 데이터, RTCP_APP_REQ_AGG 데이터, RTCP_APP_CMR 데이터 등에 따라 상태 변환(state transition)을 통해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 제어부(115)는 RTCP_APP_REQ_RED 데이터에 대응하여 리던던시 레벨(redundancy level) 및 오프셋 레벨(offset level)을 조절할 수 있고, RTCP_APP_REQ_AGG 데이터에 대응하여 음성 데이터의 생성 빈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RTCP_APP_CMR 데이터에 대응하여 비트 전송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제어부(115)의 상태는 S1, S2, S3 및 S4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S1, S2, S3 및 S4는 각각 하기 <표 2>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115)의 상태 변환은 하기 <표 3>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State Description
S1 Default/normal state: Good channel conditions.
S2 In this state the encoding bit-rate and the packet rate is reduced. The state is divided into 2 sub states (S2a and S2b). In state S2a the codec rate is reduced and in state S2b the packet rate is also reduced (the frame aggregation is increased). State S2a may also involve a gradual decrease of the codec-rate in order to be in agreement with the session parameters. If no restrictions are in place regarding mode changes (i.e. such as only allowing changing to a neighbouring mode), it changes bit-rate to the target reduced bit-rate directly. If restrictions are in place, several mode changes might be needed.
S3 This is an interim state where the total bit-rate and packet rate is roughly equal to state S1. 100% redundancy is used with a lower codec mode than S1. This is done to probe the channel band-width with a higher tolerance to packet loss to determine if it is possible to revert back to S1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e the packet loss rate.
S4 In this state the encoding bit-rate is reduced (the same bit-rate as in S2) and redundancy is turned on. Optionally also the packet rate is kept the same as in state S2.
State transition Description
S1→S2a Condition: Packet loss ≥ PLR_1 or packet loss burst detected.
A request to reduce the encoding bit-rate is sent using RTCP_APP_CMR, e.g. change mode from AMR 12.2 to AMR 5.9.
A failed transition counter counts the number of consecutive switching attempts S2a→S1 that fails. In the number of failed attempts is two or more state S1 is inhibited for N_INHIBIT frames.
S2a→S2b Condition: Packet loss ≥ PLR_1.
This state transition occurs if the packet loss is still high despite the reduction in codec rate. A request is sent to reduce the packet rate is reduced by means of an RTCP_APP_REQ_AGG message.
S2b→S2a Condition: Packet loss ≤ PLR_2 for N_HOLD consecutive measurement periods.
This state transition involves an increase of the packet rate restoring it to the same value as in S1. The request transmitted is RTCP_APP_REQ_AGG. If the state transition S2b→S2a→S2b occurs in sequence, the state will be locked to S2b for N_INHIBIT frames to avoid state oscillation.
S2a→S1 Condition: Packet loss ≤ PLR_2 for N_HOLD consecutive measurement periods.
Redundancy is turned on (100%) by means of request RTCP_APP_REZ_RED.
다음으로, 단말 제어부(115)는 529단계에서 패킷 단위에 대응하여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15)는 단말 메모리(113)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로 패킷 단위에 따라 멀티미디어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패킷 수신 시, 단말 제어부(115)는 오디오 처리부(117) 및 표시부(119)를 통해 멀티미디어 패킷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관리 객체가 통보되거나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이 실행되지 않으면, 단말 제어부(115)는 533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통신부(111)를 통해 'Invalid Media Adaptation'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 제어부(115)는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115)는 통화 품질이 낮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표시부(119) 또는 오디오 처리부(117)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다른 통신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115)는 다른 관리 객체가 통보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서 관리 객체 구조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의 동작 절차는, 서버 제어부(215)가 811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을 수집하여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서버 메모리(213)는 통신 단말기(100)가 존재 가능한 동작 환경,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셀 별로 대응되거나,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 별로 대응되는 후보 객체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후보 객체는 고유의 식별 아이디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후 서버 제어부(215)는 813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이 변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서버 제어부(215)는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215)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와 같은 위치 서버로부터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을 수집하거나,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해 등록 및 변경되는 관리 정보를 수집하여, 통신 단말기(100) 별 동작 환경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 제어부(215)는 통신 단말기(100)의 핸드 오버나 로밍,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한 네트워크 교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서버 제어부(215)는 통신 시스템의 사업자에 의한 관리 정보 등록 및 변경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813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제어부(215)는 815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대응하여 관리 객체의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버 제어부(2156)는 통신 단말기(100)에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815단계에서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관리 객체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제어부(215)는 817단계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변수(parameter)들에 대응하는 노드들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에 따른 관리 객체를 결정한다. 즉 서버 제어부(215)는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관리 객체를 검색한다. 여기서, 서버 제어부(215)는 음성 설정 정보와 영상 설정 정보를 결정한 다음, 해당 음성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음성 적응 정보를 결정하고, 해당 영상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적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제어부(215)는 819단계에서 해당 관리 객체가 서버 메모리(213)에 후보 객체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819단계에서 서버 메모리(213)에 후보 객체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제어부(215)는 821단계에서 해당 관리 객체가 통신 단말기(100)에 후보 객체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서버 메모리(213)는 서버 제어부(215)가 통신 단말기(100)에 통보한 바 있는 관리 객체들의 기록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서버 제어부(215)는 이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후보 객체들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821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제어부(215)는 823단계에서 해당 관리 객체에 상응하는 식별 아이디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즉 서버 제어부(215)는 서버 메모리(213)에서 해당 관리 객체와 동일한 후보 객체의 식별 아이디를 검출하여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는 821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제어부(215)는 825단계에서 해당 관리 객체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즉 서버 제어부(215)는 서버 메모리(213)에서 해당 관리 객체와 동일한 후보 객체의 식별 아이디를 검출하여, 해당 관리 객체와 더불어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한편, 819단계에서 서버 메모리(213)에 후보 객체로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 제어부(215)는 827단계에서 'Invalid Media Adaptation'과 같은 경고 메시지를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에서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라 관리 객체를 관리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단말기에서 직접적으로 동작 환경에 따라 관리 객체를 관리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900), 기지국(960) 및 코어 네트워크(980)를 포함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900), 기지국(960) 및 코어 네트워크(980) 각각의 기능 및 내부 구성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지국(960)은 통신 단말기(900)의 동작 환경을 파악하여 통신 단말기(900)에 통보한다. 이 때 기지국(960)은 해당 기지국(960)의 통신 부하, 예컨대 해당 기지국(960)에서 전력 증폭 장치의 잔여 전력량 등으로 로드 정보(loading information)를 구성하여 통신 단말기(900)의 동작 환경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960)은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환경을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 단말기(900)에 통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통신 단말기(900)는 기지국(960)을 통해 동작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적응 절차 수행 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미디어 적응 절차는, 통신 단말기(900)가 911단계에서 관리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900)는 제조 시 설정되는 바에 따라 관리 객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900)는 관리 객체로 갱신하기 위한 후보 객체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900)는 913단계에서 동작 환경을 파악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900)는 기지국(960)을 통해 수시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작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900)는 기지국(960)의 통신 부하, 예컨대 해당 기지국(960)에서 전력 증폭 장치의 소모 전력량 등으로 로드 정보를 수집하여 동작 환경을 파악할 수 있다. 이 후 통신 단말기(900)는 915단계에서 동작 환경에 변화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915단계에서 동작 환경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단말기(900)는 917단계에서 관리 객체의 변경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통신 단말기(900)는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915단계에서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관리 객체가 저장되어 있어 관리 객체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단말기(900)는 919단계에서 현재의 동작 환경에 따른 관리 객체를 결정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900)는 후보 객체들에서 현재의 동작 환경에 적합한 어느 하나를 관리 객체로 선택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동작 환경이 기지국(960)의 통신 부하가 높은 상태이면, 통신 단말기(900)는 비교적 낮은 비트 전송율과 비교적 높은 패킷 손실 비율을 가정하여 관리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현재의 동작 환경이 기지국(960)의 통신 부하가 낮은 상태이면, 통신 단말기(900)는 비교적 높은 비트 전송율과 비교적 낮은 패킷 손실 비율을 가정하여 관리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900)는 음성 설정 정보와 영상 설정 정보를 결정한 다음, 해당 음성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음성 적응 정보를 결정하고, 해당 영상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적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통신 단말기(900)는 921단계에서 관리 객체를 갱신한다.
다음으로, 923단계에서 다른 통신 단말기(990)와 통신 시, 통신 단말기(900)는 925단계에서 다른 통신 단말기(990)와 명령어를 교환한다. 그리고 명령어 수신 시, 통신 단말기(900)는 927단계에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미디어 적응을 수행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900)는 동작 환경에 따라 통신 단말기(900)와 다른 통신 단말기(990)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한다. 이 후 통신 단말기(900)는 929단계에서 패킷 단위에 대응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990)와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신 단말기(900)에서 후보 객체들을 사업자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900)에서 후보 객체들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신규 후보 객체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가 동작 환경에 적응적으로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 서버가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라 관리 객체를 제공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효율적으로 미디어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패킷 손실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패킷의 음성 또는 영상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통신 부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9)

  1. 통신 시스템에서 미디어 적응 방법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미리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과정과,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 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갱신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 및 다른 통신 단말기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관리 서버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관리 객체가 통보되면,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보된 관리 객체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다수개의 후보 객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동작 환경에 따라 상기 후보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와 상기 결정된 패킷 단위에 따라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른 패킷 손실 비율, 오실레이션 억제 기준값, 갱신 주기, 특정 요청에 대한 응답 제한 시간 또는 패킷 손실 버스트, 통신 경로에 대한 명시적 폭주 통지, 인코딩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전송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위치되는 셀 변화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전송 과정은,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 변경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의 로드 정보 변경 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단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사이즈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미디어 적응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는 기본 설정 정보와 상기 기본 설정 정보와 조합되는 적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객체 갱신 과정은,
    상기 동작 환경에 따라 상기 기본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기본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적응 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적응 방법.
  11. 통신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현재의 동작 환경에 대응하여 특정 관리 객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동작 환경 변화 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고,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 시, 상기 갱신된 관리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 및 다른 통신 단말기 간 패킷 단위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결정된 패킷 단위에 따라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와 멀티미디어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 변화 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관리 객체가 통보되면, 상기 통보된 관리 객체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후보 객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환경에 따라 상기 후보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동작 환경에 따른 패킷 손실 비율, 오실레이션 억제 기준값, 갱신 주기, 특정 요청에 대한 응답 제한 시간 및 패킷 손실 버스트, 통신 경로에 대한 명시적 폭주 통지, 인코딩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 또는 상기 네트워크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가 위치되는 셀 변화 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포함하는 관리 정보 변경 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관리 객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의 로드 정보 변경 시, 상기 저장된 관리 객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단위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사이즈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패킷의 생성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단말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되는 기본 설정 정보 및 상기 기본 설정 정보와 조합되도록 선택되는 적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100010505A 2009-02-05 2010-02-04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 KR101669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197 2009-02-05
KR20090009197 2009-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211A true KR20100090211A (ko) 2010-08-13
KR101669064B1 KR101669064B1 (ko) 2016-10-25

Family

ID=4239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505A KR101669064B1 (ko) 2009-02-05 2010-02-04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7548B2 (ko)
EP (1) EP2394460B1 (ko)
KR (1) KR101669064B1 (ko)
WO (1) WO20100904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1997A1 (fr) * 2017-10-02 2019-04-05 Orange Signalisation d’une requete d’adaptation d’une session de communication en voixsur i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595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류 정정 패킷을 이용한 전송률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통신 장치
WO2007022875A1 (en) * 2005-08-26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stablishment of media sessions with media adaptation
US20080091815A1 (en) * 2006-10-16 2008-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agnostic agent in device that retrieves key performance indicators
KR20080065094A (ko) * 2007-01-08 2008-07-11 광주과학기술원 다자간 협업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비스의 품질 향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7676B2 (en) * 2001-10-11 2008-02-0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program therefor and data transmission unit using the same
JP4219930B2 (ja) * 2003-09-10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伝送パラメータ制御装置
EP1691562B1 (en) * 2003-11-14 2016-10-05 ZTE Corporation A packet schedul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355942B2 (ja) 2004-09-07 2009-11-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ー移動通信網局設定集中管理モデル化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53465A (ja) * 2005-08-16 2007-03-01 Kddi Corp トラヒック制御システム、トラヒック制御方法、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66297B1 (ko) 2005-09-30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시 다중 PoC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7664B1 (ko) 2006-01-12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역폭에 적응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방법 및 이를적용한 호스트장치
BRPI0715131B1 (pt) * 2006-08-21 2019-11-05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e arranjo para adaptar a transmissão de mídia codificada em uma rede comutada por pacote para diferentes condições de operação
JP5080585B2 (ja) * 2006-11-01 2012-11-21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c−fdmaシステムにおける変化するパワー・オフセットを有する制御及びデータの多重化
KR100924309B1 (ko) 2009-06-04 2009-11-02 전자부품연구원 시간확장성과 버퍼상태판단을 통한 품질 적응적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8595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류 정정 패킷을 이용한 전송률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통신 장치
WO2007022875A1 (en) * 2005-08-26 2007-03-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stablishment of media sessions with media adaptation
US20080091815A1 (en) * 2006-10-16 2008-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agnostic agent in device that retrieves key performance indicators
KR20080065094A (ko) * 2007-01-08 2008-07-11 광주과학기술원 다자간 협업 시스템에서 미디어 서비스의 품질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0454A2 (en) 2010-08-12
EP2394460B1 (en) 2019-06-26
EP2394460A2 (en) 2011-12-14
EP2394460A4 (en) 2015-06-24
WO2010090454A3 (en) 2010-11-25
US10027548B2 (en) 2018-07-17
US20100195528A1 (en) 2010-08-05
KR101669064B1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054B2 (en) Seamless video pipeline transition between WiFi and cellular connections for real-time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US7634574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0574412C (zh) 采用对偶网络模式的增强的视频传输
JP4991942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受信機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構成
US9049690B2 (e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5770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영상 포맷을 지원하여 영상통화의 고품질 영상을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137883A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822262B1 (en) Mechanism of dynamic signaling of encoder capabilities
US87807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84784A (zh) 通过多个网络发送数据
WO2024088233A1 (zh) 异常网络服务恢复方法、装置、电子设备和服务器
US20090310495A1 (en) Session Control System, Sess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090174762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669064B1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미디어 적응 방법
CN102984785A (zh) 通过多个网络发送数据
WO201009840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1244395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226208A (ja) 通信端末及び伝送路選択方法
JPWO2014142295A1 (ja) 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ビットレート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
KR101435013B1 (ko)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음성패킷망 서비스를 위한 패킷 결합 방법 및 그 단말 장치
JP2013538515A (ja) セルラネットワーク
CN113573248A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与装置
EP2239916A1 (en) Improved application of unreliable transfer mechanisms
JP2013038494A (ja) 無線基地局、無線lanシステム、データの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00355B2 (ja) 無線通信端末、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