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9808A - 손가락 보호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9808A
KR20100089808A KR1020100065106A KR20100065106A KR20100089808A KR 20100089808 A KR20100089808 A KR 20100089808A KR 1020100065106 A KR1020100065106 A KR 1020100065106A KR 20100065106 A KR20100065106 A KR 20100065106A KR 20100089808 A KR20100089808 A KR 2010008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rotective device
fastening
fastening r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816B1 (ko
Inventor
이승만
Original Assignee
이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만 filed Critical 이승만
Priority to KR102010006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8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 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바르게 지지함과 동시에 매우 신속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다친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보호하여 업무 또는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손가락 보호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가락(1)에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의 형태와 모양을 감안하여 손가락 모양으로 보호구(2) 동체를 형성하되, 양 측면에는 절개부(21)를 형성하고, 후미 상하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링 삽입홈(22)과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23)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링 삽입홈(22)을 통해 끼운 뒤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링(3)의 내경 상하부에는 가압돌기(31)를 돌출형성하고, 보호구(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통기공(3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손가락의 골절, 또는 심한 외상이나 봉합수술 후 수시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다친 손가락에 씌움으로서 다친 손가락을 매우 안정적이고도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종 작업이나 활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색인어]
합성수지부목, 손가락 보호캡, 깁스 보조구, 손가락 상처보호구.

Description

손가락 보호구{finger safety cover}
본 발명은 치료 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바르게 지지함과 동시에 매우 신속 간편하게 치료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다친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손가락을 다친 상태에서도 업무 또는 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손가락이 골절되는 등의 손상을 입어 치료하여야 할 경우나 손가락이 굽어서 교정을 하여야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깁스치료인데, 이는 치료 또는 교정하여야 할 부위에 부목을 댄 후 붕대를 감은 다음 이 위에 석고를 굳혀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치료와 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손가락이 절단되어 봉합시키거나 뼈가 손상되지 않았더라도 손가락에 심한 외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치료와 손가락보호를 위해 약을 바른 후 붕대를 감아 두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손가락이 골절되었을 경우에 그 치료나 교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손가락보호구가 실용신안등록 제0439984호(이하 '선등록 고안'이라 함)로 선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 등록 고안의 구조는 치료 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반원형상으로 손가락 안치홈을 가진 받침바디와, 상기 받침바디의 내측에 하향 형성되어 손바닥과 연접되는 연접부와, 받침바디의 외측에 상향형성되어 손가락의 끝 부위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라운드부, 그리고 상기 받침바디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선 등록고안은 받침구의 구조가 손가락의 형태를 감안하여 손가락의 바닥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게 함으로서 치료 또는 교정하고자 하는 손가락을 바른 상태로 유지하기 쉬우면서 붕대를 감을 때도 손가락을 바른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감을 수 있음은 물론 일반 부목을 사용할 때에 비해 통기성도 좋은 효과가 있다 하겠다.
그러나 전술한 선 등록 고안은 깁스 등을 할 때나 붕대를 감을 때 부목을 사용할 때에 비해 치료나 교정효과가 뛰어난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손가락의 등부분이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작업을 하거나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주위의 사물에 손가락의 등부분이 부딪히는 등의 충격이 발생되면 매우 심하게 아플 뿐만 아니라 다친 손가락이 재 골절되거나 상처가 덧나는 등의 문제점도 쉽게 발생되며 더불어 작업이나 활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매우 필요하면서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손가락 보호구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손가락의 골절, 절단후 봉합, 손가락의 심한 외상치료 후 손가락에 끼워 다친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더불어 업무나 활동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수시로 손가락을 치료함에 있어서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손가락 보호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 체결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업무 또는 활동 중에 손가락 보호구가 빠지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하고, 더불어 손가락 모양의 면직물로 된 캡을 더 구비하여 붕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가락 치료를 보다 더 안전하면서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하려는 데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손가락 보호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가락(1)에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의 형태와 모양을 감안하여 손가락 모양으로 보호구(2) 동체를 형성하되, 양 측면에는 절개부(21)를 형성하고, 후미 상하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링 삽입홈(22)과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23)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링 삽입홈(22)을 통해 끼운 뒤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링(3)의 내경 상하부에는 가압돌기(3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체결링(3)의 외주면에 가압돌기(31)의 위치에 맞춰 눈금 또는 문자나 기호 등의 표시부(30)를, 그리고 보호구(2)의 후미 외주면에는 체결압력조절홈(23)의 각단에 맞춰 눈금이나 숫자로 된 표시부(20)를 형성하며, 보호구(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통기공(2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이다.
한편, 상기 보호구(2)의 후미 외주면 상하부에 돌기(25)를 돌출 형성하고, 체결링(3)의 내경 상하부에는 삽입안내홈(32)과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3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이다.
또, 인체에 무해한 면직물 등으로 붕대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캡(4)을 형성하여 붕대를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에 약물처리 등의 치료를 한 후 캡(4)을 씌운 뒤 손가락 보호구(2)를 끼움으로서 치료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대폭 줄이고 치료 후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손가락의 골절, 또는 심한 외상이나 봉합수술 후 수시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다친 손가락에 씌움으로서 다친 손가락을 매우 안정적이고도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종 작업이나 활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손가락이 골절되거나 심한 외상이나 절단으로 봉합수술을 하거나 또는 손가락이 심하게 다친 경우 치료를 받음에 있어서, 치료과정에서 간혹 외부 환경요인이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 등으로부터 효과적이고도 안정적으로 다친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치료기간 단축, 교정효과 극대화 및 각종 작업 및 생활의 안정적 영위를 목적으로 한 손가락 보호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에 있어서는 먼저 손가락 보호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통상 손가락(1)의 형태와 모양을 감안하여 형성하되 사람들의 손가락 사이즈보다 다소 큰 사이즈로 손가락(1)에 끼울 수 있는 보호구(2)를 형성하되, 상기 보호구의 양 측면에는 절개부(21)를 형성하고, 후미 상하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링 삽입홈(22) 및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23)을 형성하였다. 상기 절개부(21)는 선단에 원형홈이 형성되게 하고 후미는 완전히 절개되어 분리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서 자체 탄성이 있어서 보호구(2)가 원활하게 벌어지거나 체결링(3)에 의해 오므러들게 하였고, 상기 체결링 삽입홈(22)과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23)은 체결링(3)의 내경 상하부에 돌출 형성된 가압돌기(31)를 체결링삽입홈(22)을 통해 원활하게 삽입시킨 뒤 체결링(3)을 돌려주면 가압돌기(31)가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23)을 단계적으로 거치면서 체결력, 즉 조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체결링(3)의 외주면에는 가압돌기(31)의 위치에 맞춰 눈금 또는 문자나 기호 등의 표시부(30)를 형성하고, 보호구(2)의 후미 외주면에는 체결압력조절홈(23)의 각단에 맞춰 눈금이나 숫자로 표시부(20)를 형성함으로서 확인과 사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 보호구(2)의 상하면에 다수의 통기공(24)을 형성함으로서 다친 손가락에 끼웠을 때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오래 사용하더라도 쾌적하도록 하였고, 보호구(2)의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서 업무나 활동 중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딪히더라도 그 충격이 손가락에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서 안심하고 업무나 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한편, 도5 및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보호구(2)의 후미 외주면 상하부에 돌기(25)를 돌출 형성하고, 체결링(3)의 내경 상하부에는 삽입안내홈(32)과 더불어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33)을 연장 형성함으로서 체결링(3)의 삽입안내홈(32)을 돌기(25)에 맞춰 끼운 뒤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가며 끼워 고정시키면 보호구(2)의 후미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등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또, 다친 손가락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에 약품을 바른 뒤 손가락 모양으로 된 캡(4)을 씌우되, 상기 캡(4)은 통풍이 원활하고 천연소재인 면직물 등으로 구성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일일히 붕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고, 더불어 치료 및 처지가 신속 간편한 이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캡(4)을 씌운 뒤에는 손가락 보호구(2)를 끼우면 됨으로 치료에 따른 시간과 인력을 대폭 줄이고 치료 후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게 된다.

Claims (3)

  1. 손가락 보호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손가락(1)에 끼울 수 있도록 손가락의 형태와 모양을 감안하여 인체의 손가락 사이즈 보다 큰 형태와 모양으로 보호구(2)를 형성한 구성과,
    상기 보호구(2)의 양 측면에 절개부(21)를 형성한 구성과,
    보호구(2)의 후미 상하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링 삽입홈(22)과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23)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체결링 삽입홈(22)을 통해 끼운 뒤 적절한 압력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내경 상하부에 가압돌기(31)를 돌출 형성하여서 된 체결링(3)과,
    상기 체결링(3)의 외주면에 가압돌기(31)의 위치에 맞춰 눈금 또는 문자나 기호 등의 표시부(30)를, 그리고 보호구(2)의 후미 외주면에는 체결압력조절홈(23)의 각단에 맞춰 눈금이나 숫자로 된 표시부(20)를 형성한 구성과,
    원활한 통풍을 위해 보호구(2)의 상하면에 다수 형성된 통기공(2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2)의 후미 외주면 상하부에 돌기(25)를 돌출 형성하고, 체결링(3)의 내경 상하부에는 삽입안내홈(32)과 다단의 체결압력조절홈(3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이다.
  3. 인체에 무해하고 통기성이 뛰어난 면직물 등으로 손가락 형태의 캡(4)을 구성하여 붕대 대용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보호구.
KR1020100065106A 2010-07-05 2010-07-05 손가락 보호구 KR10113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106A KR101135816B1 (ko) 2010-07-05 2010-07-05 손가락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106A KR101135816B1 (ko) 2010-07-05 2010-07-05 손가락 보호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381U Division KR20100007369U (ko) 2010-06-15 2010-06-15 손가락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808A true KR20100089808A (ko) 2010-08-12
KR101135816B1 KR101135816B1 (ko) 2012-04-16

Family

ID=4275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106A KR101135816B1 (ko) 2010-07-05 2010-07-05 손가락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601A (ko) * 2019-10-22 2021-04-30 (주) 솔루션라인코리아 환자 맞춤형 깁스 및 그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05B1 (ko) 2022-01-28 2022-06-22 박정욱 의료용 손가락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69B1 (ko) * 2007-12-14 2010-06-17 오정훈 손가락 골절용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601A (ko) * 2019-10-22 2021-04-30 (주) 솔루션라인코리아 환자 맞춤형 깁스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816B1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925B1 (en) Finger splint
ES2592266T3 (es) Bisturí de seguridad
US20140137306A1 (en) Finger protector
US103762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NO852021L (no) Forbedret spjelkeanordning.
WO2014094005A1 (en) Universal circumcision device
KR101135816B1 (ko) 손가락 보호구
US111411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surgical incisions
US10238521B2 (en) Flex lock for orthotic braces
US20140142600A1 (en) Retractable universal safety scalpel
KR20100007369U (ko) 손가락 보호구
CN205041594U (zh) 一种新型骨折固定装置
KR20210059346A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1757456B1 (ko) 의료용 스플린트 보호대
GB2487950A (en) Cutting implement with protective sheath
US10512565B2 (en) Scleral marker for surgical procedures
US20190246715A1 (en) Cosmetology and barbering glove
WO2016126561A1 (en) Digit protector device
US20150018743A1 (en) Nail and Nail Bed Protecting Bandage
US20030163072A1 (en) Wound protector
CN111372543B (zh) 手矫形器以及用于适配手矫形器的方法
KR102320532B1 (ko) 손 강직 완화 보조기
EP2015715B1 (en) Support device
KR200493975Y1 (ko) 보호대 수용 스포츠 양말
KR20130135689A (ko) 손가락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