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831A -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831A
KR20100087831A KR1020090006843A KR20090006843A KR20100087831A KR 20100087831 A KR20100087831 A KR 20100087831A KR 1020090006843 A KR1020090006843 A KR 1020090006843A KR 20090006843 A KR20090006843 A KR 20090006843A KR 20100087831 A KR20100087831 A KR 2010008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subscriber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유경
Original Assignee
민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유경 filed Critical 민유경
Priority to KR102009000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7831A/ko
Publication of KR2010008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3/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3/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teaching applian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답변이 정답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학습 컨텐츠, 콜 설정, 통화연결 설정,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Studying method and system that use call establishment process}
본 발명은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늘의 학습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수신한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질문을 디스플레이하고 답변을 입력 받아서 가입자에게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뿐 아니라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무선 인터넷을 통한 웹 서핑,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장치와의 연결 서비스, 음악청취 및, 이메일 서비스 등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게임 및 영화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받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컨텐츠 중에 학습에 관한 컨텐츠는 그 수가 많지 않고,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청취만 하도록 제작된 수동적인 컨텐츠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컨텐츠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통화연결 설정 전에 질문을 통해 가입자에게 학습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입자 별로 분류된 컨텐츠를 생성하고 가입자 각각에 분류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오늘의 학습정보를 송신하여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답변이 정답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가입자 정보 및 학습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한 상기 컨텐츠 내용의 일부를 오늘의 학습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고, 상기 답변이 정답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컨텐츠 실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는, 가입자 정보 및 학습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를 등록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송신한 상기 컨텐츠 내용의 일부를 오늘의 학습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학습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통신연결 설정 전에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답변이 정답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빈번하게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어디에서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질문과 답변을 통한 능동적인 학습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학습에 관한 성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쟁심을 자극하여 학구열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질문에 대한 답변 입력시 단축 입력 기법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오늘의 학습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연결을 설정하기 전에 수신한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질문을 디스플레이하고 답변을 입력 받아서 가입자에게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설명은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학습 컨텐츠 서버(110)는 등록된 가입자 단말기(120)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매일 오늘의 학습정보(210)를 가입자 단말기(120)로 제공한다.
그러면 가입자 단말기(120)는 착신 단말기(130)로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등의 가입자 단말기(120)의 사용을 허가 하기에 앞서 오늘의 학습정보(210)에 해당하 는 질문(220)을 생성하여 가입자에게 출력하고 가입자로부터 정답(230)을 입력 받으면 통신 연결 설정하는 등의 가입자 단말기(120)의 사용을 허가한다. 이때, 정답(230)은 단축 입력 기법을 이용하여 입력된 경우로서 단축 입력 기법에 대해서는 이후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입자에게 학습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영어를 학습하는 경우를 도시화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공 가능한 학습 서비스로는 영어, 일어, 국어 등과 같은 언어에 관한 학습뿐 아니라 질문과 답변을 통해 습득 가능한 모든 학습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 컨텐츠 서버(110)는 제어부(300), 컨텐츠 제공부(302), 학습정보 제공부(304), 추가정보 제공부(306), 가입자 관리부(308),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1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320) 및, 통신부(330)를 포함한다.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10)는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수신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와 학습 분류 정보에 따라 분류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320)는 학습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은 가입자들의 성적처리와 과금을 처리하기 위해 가입자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33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을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부(302)는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를 통신부(330)를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컨텐츠 제공부(302)는 가입자로부터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학습정보와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학습정보 제공부(304)는 가입자 별 컨텐츠 내용의 일부를 오늘의 학습정보로 생성하여 통신부(330)를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가입자 관리부(308)는 가입자 정보 및 학습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를 등록한다
추가정보 제공부(306)는 가입자의 링백톤 구간에서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정보를 가입자의 단말기로 음성으로 제공한다. 만약, 학습 컨텐츠가 영어를 학습하는 컨텐츠이고 오늘의 학습정보가 영어단어이면 추가정보는 오늘의 학습 정보에 포함된 단어가 포함된 예문일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컨텐츠 서버는 텍스트(Text)로 된 예문을 문자 음성 자동변환 기술(TTS; text to speech)를 이용하여 링백톤 구간 동안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부(302), 학습정보 제공부(304), 추가정보 제공부(306) 및, 가입자 관리부(308)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컨텐츠 제공부(302), 학습정보 제공부(304), 추가정보 제공부(306) 및, 가입자 관리부(308)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3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3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컨텐츠들을 분류하는 학습 분류 정보는 아래 도 5와 같은 예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분류 방법은 더욱 세분화 되거나 단순화 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세분화하기 위한 학습 분류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학습 분류 정보는 학습의 종류를 분류한 컨텐츠 유형 정보, 사회적 지위를 분류한 계층별 유형 정보 및, 컨텐츠의 난이도를 분류하는 서비스 수준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20)는 제어부(400), 메시지 처리부(402), 컨텐츠 실행부(404), 입력부(410), 저장부(420), 통신부(430) 및,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키 패드(key pad)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400)로 제공한다.
저장부(420)는 휴대용 단말기(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 및,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압축된 이미지 파일, 사진, 동영상 등)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신한 학습에 관련된 컨텐츠를 저장한다.
통신부(430)는 수신할 때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신할 때는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고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디스플레이(440)는 휴대용 단말기(12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44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440)는 오늘의 학습정보를 출력하고, 질문을 출력한다.
메시지 처리부(402)는 학습 컨텐츠 서버(110)로부터 오늘의 학습정보를 메시지로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가입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오늘의 학습정보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실행부(404)는 통신연결과 같이 단말기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고, 답변이 정답이면 통신연결을 제공하는 등의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한다. 이때 컨텐츠 실행부(404)는 질문을 이전에 오답이었던 질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실행부(404)는 답변이 오답이고 오답의 횟수가 기설정한 횟수 이상 이 아니면 답변의 재입력을 요청하고, 오답의 횟수가 기설정한 횟수 이상이면 정답을 디스플레이(440)로 출력하고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한다.
또한, 컨텐츠 실행부(404)는 링백톤 구간에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정보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음성으로 수신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컨텐츠 실행부(404)는 기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질문에 대한 정답 여부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 송신하고,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학습에 관한 성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실행부(404)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을 때, 정답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키 버튼이 입력되면 일회 입력으로 상기 정답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 입력 기법으로 상기 답변을 입력 받는다. 단축 입력 기법을 아래에서 도 6의 예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답변을 입력 받을 때 단축 입력 기법에 의해 입력 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부(410)가 포함하는 키 패드(600)가 도면과 같은 경우 일반적인 입력 기법(610)에 의해 boy를 입력하는 경우 도면과 같이 키 버튼을 2,2,6,6,6,9,9,9의 키 버튼을 입력해야 한다, 즉 boy를 입력하기 위해서 8번의 키 입력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단축 입력 기법(620)의 경우 정답과 비교해서 키 입력버튼에 입력할 정답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일회 입력으로 정답에 해당하는 문자의 입력으로 판단함으로 2,6,9의 키 버튼을 입력하여 boy를 입력할 수 있다. 즉, 3번의 키 입력으로 boy의 입력이 가능하고 이는 일반적인 입력 기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입력을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처리부(402) 및, 컨텐츠 실행부(404)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메시지 처리부(402) 및, 컨텐츠 실행부(404)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제품을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 모두를 제어부(4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을 상기 제어부(4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학습 컨텐츠 서버는 S700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 정보 및 학습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를 등록하고, S702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가 요구하는 학습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S702단계의 확인결과 가입자가 요구하는 학습정보를 수신하면 학습 컨텐츠 서버는 S7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학습정보와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한 가입자 컨텐츠 생성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가입자에게 생성한 컨텐츠를 송신한다.
S702단계의 확인결과 가입자가 요구하는 학습정보의 수신이 없으면 학습 컨텐츠 서버는 S706단계로 진행하여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존에 생성하여 저장한 중에서 학습 분류 정보에 해 당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가입자에게 송신한다.
이후, 학습 컨텐츠 서버는 S708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 별로 대응하는 컨텐츠에 해당하는 오늘의 학습정보를 생성하여 각각의 가입자에게 송신한다.
이후, 학습 컨텐츠 서버는 S710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가 링백톤시에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710단계의 확인결과 링백톤 시에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학습 컨텐츠 서버는 S712단계로 진행하여 추가정보를 요청하는 가입자에 대하여 가입자에게 송신한 오늘의 학습정보와 관련된 추가정보를 링백톤 구간 동안 음성으로 가입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S800단계로 진행하여 학습 컨텐츠 서버와 연결하고 가입자 정보와 학습 분류 정보를 등록하여 학습 서비스에 가입하고, S802단계로 진행하여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기설정한 시간에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S804단계에서 통신연결을 설정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하면, S806단계로 진행하여 학습에 관련된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생성하여 출력되는 질문은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련된 내용이거나 이전에 오답이었던 질문 중에서 하나 일 수 있다. 한편 질문은 설정에 따라 하루에 한번만 출력될 수도 있고 통신연결을 설정할 때마다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S808단계에서 답변의 입력을 수신하면 S81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받은 답변이 정확한 답변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정확한 답변이 아니면, S812단계로 진행하여 기설정한 횟수 이상의 오답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기설정한 횟수 이상의 오답이 아니면 상기 S808단계로 돌아간다.
S810단계의 확인결과 정확한 답변이면, 휴대용 단말기는 S816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통신연결 설정을 허가한다.
한편, S812단계의 확인결과 기설정한 횟수 이상의 오답이면, 휴대용 단말기는 S814단계로 진행하여 질문에 대한 정답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S816단계로 진행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통신연결 설정을 허가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S818단계로 진행하여 링백톤 구간 동안에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정답 또는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 정보를 음성으로 수신하여 출력하고, S82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도 8의 예에서는 통신 연결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로 도 4의 설명과 같이 단말기의 사용 허가 여부를 놓고 학습 컨텐츠를 수행할 수도 있다.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출력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세분화하기 위한 학습 분류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답변을 입력 받을 때 단축 입력 기법에 의해 입력 받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20)

  1.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답변이 정답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질문을 이전에 오답이었던 질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이 오답이고, 오답의 횟수가 기설정한 횟수 이상이면, 정답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 단계는,
    정답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키 버튼이 입력되면 일회 입력으로 상기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 입력 기법으로 상기 답변을 입력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을 수행하면 링백톤 구간에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정보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음성으로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가입자 정보와 학습 분류 정보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 송신하여 학습 서비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서비스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로 가입자가 요구하는 학습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분류 정보와 상기 학습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기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정답 여부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학습에 관한 성적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가입자 정보 및 학습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가입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송신한 상기 컨텐츠 내용의 일부를 오늘의 학습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로부터 학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학습정보와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링백톤 구간에서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음성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에서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12.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오늘의 학습정보를 수신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관한 내용을 질문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고, 상기 답변이 정답이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을 허가하는 컨텐츠 실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상기 질문을 이전에 오답이었던 질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상기 답변이 오답이고, 오답의 횟수가 기설정한 횟수 이상이면, 정답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허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여러 문자를 입력하도록 설정된 키 버튼들로 구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정답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키 버튼이 입력되면 일회 입력 으로 상기 정답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문자가 입력되는 단축 입력 기법으로 상기 답변을 입력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통신 연결을 수행하면 링백톤 구간에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정보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음성으로 수신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실행부는,
    기설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질문에 대한 정답 여부를 학습 컨텐츠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 서버로부터 학습에 관한 성적정보를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가입자 정보 및 학습 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를 등록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송신한 상기 컨텐츠 내용의 일부를 오늘의 학습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가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학습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가입자로부터 학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학습정보와 상기 학습 분류 정보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링백톤 구간에서 상기 오늘의 학습정보에 대한 추가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음성으로 송신하는 추가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서버.
KR1020090006843A 2009-01-29 2009-01-29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7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843A KR20100087831A (ko) 2009-01-29 2009-01-29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843A KR20100087831A (ko) 2009-01-29 2009-01-29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831A true KR20100087831A (ko) 2010-08-06

Family

ID=427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843A KR20100087831A (ko) 2009-01-29 2009-01-29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78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7389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uto answering function and auto answering method for use in the mobile terminal
KR100566263B1 (ko) 스케쥴 내용에 따라 메신저 상태 정보를 변경하는 메신저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7510223A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内容表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ショートメッセージ表示決定方法及び装置
EP3001661B1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device and system thereof
US20180240162A1 (en) Conversational commerce platform
KR20130085509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US9794415B2 (en) Calling methods and devices
AU20052346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lert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3263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699716A (zh) 通信控制方法和通信控制装置
US9065920B2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esenting incoming-call identifiers
KR100821221B1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 통신 단말기
US977473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elephone interaction
KR20100087831A (ko) 통화연결 설정 과정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시스템
US95602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voice service
US85653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interaction over a distance using a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830533B1 (ko) 화상 통화 기반 자동 응답 단말기,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762085B1 (ko) 무선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454488B1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7397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한 발신자 표시장치 및 방법
KR20220116653A (ko) 단말기 사용자간 송.수신시 광고홍보, 자기pr 방법
US93071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interaction over a distance using a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10471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답안 입력 방법
KR20020075955A (ko) 단축키를 이용한 대화형 문자서비스 제공방법
KR100762936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